[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6010B1 - 건식 벽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식 벽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010B1
KR101366010B1 KR1020120078129A KR20120078129A KR101366010B1 KR 101366010 B1 KR101366010 B1 KR 101366010B1 KR 1020120078129 A KR1020120078129 A KR 1020120078129A KR 20120078129 A KR20120078129 A KR 20120078129A KR 101366010 B1 KR101366010 B1 KR 10136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plate
support plate
contact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179A (ko
Inventor
곽진열
김양규
김규식
임재웅
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2007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0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0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conduits
    • E04F2019/0445Ventilating pl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상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벽면의 하면에 위치되는 하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하부 런너부를 연결하면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상기 벽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철골 스터드부들;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철골 스터드부의 일부, 및 상기 하부 런너부와 상기 철골 스터드부의 일부를 덮는 환기부들; 및 상기 환기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환기부들에 의해 지지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마감 보드부들를 포함하되, 상기 환기부들을 통해 상기 벽면과 상기 마감 보드부 사이에 형성된 이중 공간이 환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건식 벽체 구조물은 지중 콘크리트 옹벽의 벽면과 건식 벽체 구조물 사이의 이중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고, 공간의 천장면이나 바닥면의 상태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환기부들을 설치하며, 별도의 구성없이 마감 보드부를 고정시킬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식 벽체 구조물{DRYWALL STRUCTURE}
본 발명은 건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 콘크리트의 옹벽의 벽면과 건식 벽체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이중 공간의 환기를 용이하게 하는 차수벽 건식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차수벽이란, 지중 콘크리트 옹벽의 벽면에 방수층의 시공결함, 방수층의 노후, 주변에 대규모 공사로 인한 지반 이완 등과 같은 원인으로 균열이 발생할 경우에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누수로 의한 물이 실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벽 하단에 배수로 및 집수정을 설치하고, 이와 인접하게 설치하는 벽을 말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은 지하 차수벽 구획면을 따라 복수 개의 경량철골 스터드(stud)(11)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고, 스터드(11)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 런너(runner)(12)와 하부 런너(13)가 각각 결합된다. 또한, 스터드(11)의 실내측면에 바탕 보드(15)가 설치되고, 바탕 보드(15)와 이음매가 엇갈리도록 바탕 보드(15)의 판면에 마감 보드(16)가 부착된다. 또한, 지중 콘크리트 옹벽의 벽면(1)과 건식 벽체 구조물(10) 사이에 형성되는 이중 공간(3)의 내부 환기를 위하여 건식 벽체 구조물(10) 표면의 상부 및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환기구(17)들이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은 이중 공간(3) 내부의 환기를 위한 환기구(17)를 별도로 설치하므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중 콘크리트 옹벽의 벽면과 건식 벽체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이중 공간의 환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식 벽체 구조물이 설치되는 공간의 천장면이나 바닥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이중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벽면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상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벽면의 하면에 위치되는 하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하부 런너부를 연결하면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상기 벽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철골 스터드부들;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철골 스터드부의 일부, 및 상기 하부 런너부와 상기 철골 스터드부의 일부를 덮는 환기부들; 및 상기 환기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환기부들에 의해 지지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마감 보드부들를 포함하되, 상기 환기부들을 통해 상기 벽면과 상기 마감 보드부 사이에 형성된 이중 공간이 환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환기부는, 상기 이중 공간이 환기 가능하도록 상기 환기부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환기부는,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와 마주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공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부(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는 상기 마감 보드부에 인접한 제 1 종단 및 상기 제 1 종단 반대편의 제 2 종단을 갖는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제 1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철골 스터드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마감 보드부들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부;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제 2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에 연결되는 접촉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부는, 상기 철골 스터드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제 1 종단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철골 스터드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마감 보드부의 종단면과 접촉하는 제 3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마감 보드부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 4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접촉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몸체 플레이트부의 제 2 종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접촉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접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 2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은 상부 런너부, 하부 런너부, 철골 스터드부들, 환기부들 및 마감 보드부들을 포함하여, 지중 콘크리트 옹벽의 벽면과 건식 벽체 구조물 사이에 이중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환기부들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런너부 또는 하부 런너부를 따라 위치되고 상부 런너부와 철골 스터트부의 일부 및 하부 런너부와 철골 스터드부의 일부를 덮는다. 이러한 환기부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이 형성되고, 타공을 통해 이중 공간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식 벽체 구조물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환기부들을 통한 이중 공간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의 환기부들은 상부 런너부 또는 하부 런너부, 및 철골 스터드부를 걸쳐 설치된다. 이때, 환기부들은 건식 벽체 구조물이 설치되는 공간의 천장면이나 바닥면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은 환기부들을 천장면이나 바닥면의 상태로 인한 변형없이 벽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3)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의 환기부는 메인 플레이트부, 지지 플레이트부 및 접촉 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특히, 지지 플레이트부는 마감 보드부의 종단면 및 일면에 접촉되어 마감 보드부를 지지하고, 철골 스터드부들과 조합하여 마감 보드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은 마감 보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식 벽체 구조물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식 벽체 구조물의 환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식 벽체 구조물(100)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식 벽체 구조물(100)의 환기부(104)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0)은 상부 런너부(101), 하부 런너부(102), 철골 스터드부(103)들, 환기부(104)들 및 마감 보드부(105)들을 포함하고, 지하 콘크리트 옹벽의 벽면(1)에 설치된다.
상부 런너부(101)는 벽면(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때, 상부 런너부(101)는 건식 벽체 구조물(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의 천장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런너부(102)는 상부 런너부(101)와 평행하도록 벽면(1)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하부 런너부(102)는 건식 벽체 구조물(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철골 스터드부(103)들은 상부 런너부(101)와 하부 런너부(102)를 연결하면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벽면(1) 상에 위치된다. 이때, 철골 스터드부(103)는 상부 런너부(101)와 하부 런너부(102)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가공된다.
환기부(104)들은 상부 런너부(101) 또는 하부 런너부(102)를 따라 위치된다. 이때, 상부 런너부(101)에 대응되는 환기부(104)는 상부 런너부(101) 및 철골 스터드부(103)의 일부를 덮고, 하부 런너부(102)에 대응되는 환기부(104)는 하부 런너부(102) 및 철골 스터드부(103)의 일부를 덮는다. 이로 인해, 벽면(1) 상에 상부 런너부(101), 하부 런너부(102) 및 철골 스터드부(103)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일부가 폐쇄된다.
또한, 환기부(104)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104a)이 형성된다. 타공(104a)은 벽면(1)과 건식 벽체 구조물(100), 특히 마감 보드부(105) 사이에 형성된 이중 공간(110)의 환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타공(104a)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을 따라 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환기부(104) 상에서 타공(104a)의 위치나 크기는 환기 요구 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환기부(104)는 타공(104a)을 형성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통기성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환기부(104)들은 건식 벽체 구조물(100)이 설치되는 공간의 천장면이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천장면이나 바닥면의 상태로 인해 환기부(104)들은 변형되지 않고, 타공(104a)을 통한 이중 공간(110)의 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마감 보드부(105)들은 환기부(104)들 사이에 위치되고, 환기부(104)들에 의해 지지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된다. 마감 보드부(105)들에 의해 형성된 평면은 벽면(1)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마감 보드부(105)들은 나사못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부 런너부(101), 하부 런너부(102) 및 철골 스터드부(103)에 고정되고, 결합 수단이 마감 보드부(105)들 각각의 가장 자리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0)의 환기부(104)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환기부(104)들은 메인 플레이트부(141), 지지 플레이트부(143) 및 접촉 플레이트부(145)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 런너부(101)에 대응되는 환기부(104)와 하부 런너부(102)에 대응되는 환기부(104)는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상부 런너부(101)에 대응되는 환기부(104)의 구성 및 작용은 하부 런너부(102)에 대응되는 환기부(104)의 구성 및 작용으로부터 이해가능하기에, 본 실시예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런너부(102)에 대응되는 환기부(104)만을 설명하고자 한다.
메인 플레이트부(141)는 하부 런너부(10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런너부(102)와 마주한다. 메인 플레이트부(141) 상에는 타공(104a)이 형성된다. 이때, 메인 플레이트부(141)는 제 1 종단 및 제 2 종단을 갖는다. 여기서, 제 1 종단은 마감 보드부(105)에 인접한 상부 종단이고. 제 2 종단은 제 1 종단 반대편인 하부 종단이다. 이때, 제 2 종단은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플레이트부(143)는 메인 플레이트부(141)의 제 1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철골 스터드부(103)들에 연결된다. 또한, 마감 보드부(105)들은 지지 플레이트부(143) 상에 위치되어, 지지 플레이트부(14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부(143)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43a), 제 2 지지 플레이트(143b), 제 3 지지 플레이트(143c) 및 제 4 지지 플레이트(143d)를 포함한다.
제 1 지지 플레이트(143a)는 철골 스터드부(103)와 접촉하도록 메인 플레이트부(141)의 제 1 종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즉, 메인 플레이트부(141)와 철골 스터드부(103) 사이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43a)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제 1 지지 플레이트(143a)는 메인 플레이트부(141)와 교차한 상태이다.
제 2 지지 플레이트(143b)는 철골 스터드부(103) 상에 위치되고 제 1 지지 플레이트(143a)와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제 2 지지 플레이트(143b)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43a)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 3 지지 플레이트(143c)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43a)와 평행하도록 제 2 지지 플레이트(142b)로부터 연장된다. 마감 보드부(105)는 제 3 지지 플레이트(143c) 상에 위치된다.
제 4 지지 플레이트(143d)는 제 3 지지 플레이트(143c)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제 3 지지 플레이트(143c)와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제 4 지지 플레이트(143d)는 제 3 지지 플레이트(143c) 및 철골 스터드부(103)와 조합하여 마감 보드부(105)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제 3 지지 플레이트(143a)는 마감 보드부(105)의 종단면과 접촉되고, 제 4 지지 플레이트(143d)는 마감 보드부(105)의 일면과 접촉된다.
접촉 플레이트부(145)는 메인 플레이트부(141)의 제 2 종단(141b)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 런너부(102)에 연결된다. 접촉 플레이트부(145)는 지지 플레이트부(143)와 조합하여 타공(104a)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부(141)가 안정적으로 연결된 하부 런너부(102)와 철골 스터드부(103)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접촉 플레이트부(145)는 제 1 접촉 플레이트(145a) 및 제 2 접촉 플레이트(145b)를 포함한다.
제 1 접촉 플레이트(145a)는 하부 런너부(102)와 접촉하도록 메인 플레이트부(141)의 제 2 종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즉, 메인 플레이트부(141)와 하부 런너부(102) 사이는 제 1 접촉 플레이트(145a)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제 1 접촉 플레이트(145a)는 메인 플레이트부(141)와 교차한 상태이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접촉 플레이트(145b)는 하부 런너부(102) 상에 위치되면서 제 1 접촉 플레이트(145a)와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제 2 접촉 플레이트(145b)는 제 1 접촉 플레이트(145a)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부 런너부(102)에 대응되는 환기부(104)는 상부 런너부(101)에 대응되는 환기부(104)와 조합할 수 있다. 이때, 환기부(104)의 지지 플레이트부(143)를 이용하여 마감 보드부(105)들은 환기부(104)들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환기부(104)를 이용하여 마감 보드부(105)들이 고정될 수 있기에, 마감 보드부(105)들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본 발명의 건식 벽체 구조물(100)은 향상된 시공성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비용 절감을 제공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건식 벽체 구조물
101: 상부 런너부
102: 하부 런너부
103: 철골 스터드부
104: 환기부
104a: 타공
141: 메인 플레이트부
143: 지지 플레이트부
143a: 제 1 지지 플레이트
143b: 제 2 지지 플레이트
143c: 제 3 지지 플레이트
143d: 제 4 지지 플레이트
145: 접촉 플레이트부
145a: 제 1 접촉 플레이트
145b: 제 2 접촉 플레이트
105: 마감 보드부

Claims (5)

  1. 벽면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상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벽면의 하면에 위치되는 하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하부 런너부를 연결하면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상기 벽면 상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철골 스터드부들;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철골 스터드부의 일부, 및 상기 하부 런너부와 상기 철골 스터드부의 일부를 덮는 환기부들; 및
    상기 환기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환기부들에 의해 지지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마감 보드부들를 포함하되,
    상기 환기부들을 통해 상기 벽면과 상기 마감 보드부 사이에 형성된 이중 공간이 환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이중 공간이 환기 가능하도록 상기 환기부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와 마주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공이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부(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는 상기 마감 보드부에 인접한 제 1 종단 및 상기 제 1 종단 반대편의 제 2 종단을 갖는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제 1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철골 스터드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마감 보드부들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부;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제 2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에 연결되는 접촉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부는,
    상기 철골 스터드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제 1 종단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철골 스터드부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마감 보드부의 종단면과 접촉하는 제 3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마감 보드부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 3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 4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몸체 플레이트부의 제 2 종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접촉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런너부 또는 상기 하부 런너부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 1 접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 2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
KR1020120078129A 2012-07-18 2012-07-18 건식 벽체 구조물 Active KR10136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129A KR101366010B1 (ko) 2012-07-18 2012-07-18 건식 벽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129A KR101366010B1 (ko) 2012-07-18 2012-07-18 건식 벽체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79A KR20140011179A (ko) 2014-01-28
KR101366010B1 true KR101366010B1 (ko) 2014-02-21

Family

ID=5014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129A Active KR101366010B1 (ko) 2012-07-18 2012-07-18 건식 벽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0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421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케이씨씨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KR20200068420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케이씨씨 바닥 구배 조정이 가능한 차수벽 구조
KR102146453B1 (ko) * 2020-05-04 2020-08-20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구
KR20210022256A (ko) * 2019-08-20 2021-03-0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모듈형 욕실 층상 배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5735A (ko) 2023-05-16 2024-11-25 서웅율 건식벽체 시공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812A (ja) * 1998-10-23 2000-05-09 Asahi Chem Ind Co Ltd 壁体内の換気構造
KR200290614Y1 (ko) * 2002-06-21 2002-10-04 내차산업 주식회사 이중벽을 갖는 내화 차음 칸막이
KR20090067930A (ko) * 2007-12-21 2009-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변형 건식벽체의 런너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812A (ja) * 1998-10-23 2000-05-09 Asahi Chem Ind Co Ltd 壁体内の換気構造
KR200290614Y1 (ko) * 2002-06-21 2002-10-04 내차산업 주식회사 이중벽을 갖는 내화 차음 칸막이
KR20090067930A (ko) * 2007-12-21 2009-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변형 건식벽체의 런너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421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케이씨씨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KR20200068420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케이씨씨 바닥 구배 조정이 가능한 차수벽 구조
KR102208068B1 (ko) 2018-12-05 2021-01-26 주식회사 케이씨씨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KR102208067B1 (ko) 2018-12-05 2021-01-26 주식회사 케이씨씨 바닥 구배 조정이 가능한 차수벽 구조
KR20210022256A (ko) * 2019-08-20 2021-03-0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모듈형 욕실 층상 배관 시스템
KR102229142B1 (ko) * 2019-08-20 2021-03-18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모듈형 욕실 층상 배관 시스템
KR102146453B1 (ko) * 2020-05-04 2020-08-20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79A (ko)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010B1 (ko) 건식 벽체 구조물
JP6205197B2 (ja) 建物の換気構造
JP2014218814A (ja) 建物の断熱構造及び断熱方法
JP6261172B2 (ja) 軒天換気材
KR20150004021A (ko) 선박 거주구용 공조시스템의 덕트구조
JP2017538054A (ja) 複数の石膏ボードの少なくとも一つの隔離された中間層を有する乾式壁構築のための乾式壁用形材
JP5117978B2 (ja) 換気構造
KR101366872B1 (ko) 지하 차수벽 건식벽체
JP2018188802A (ja) 通気部材のエンドキャップ及び外壁構造
JP7433976B2 (ja) 床下浸水防止構造
JP5424040B2 (ja) 小屋裏換気構造
JP2009162024A (ja) 垂壁納まり用部材及び該部材を用いた垂壁
JP4869639B2 (ja) 水切部材及び建物通気構造
JP3108109U (ja) 集合住宅の玄関部構造
JP2016108859A (ja) 目地構造
JP2021055499A (ja) 通気部材および壁材施工構造
JP6475999B2 (ja) 建物の天井構造
JP6890989B2 (ja) 建物の通気構造
JP6863726B2 (ja) 屋根パネルの設置方法、屋根パネルおよび屋根構造
JP6958224B2 (ja) 壁体通気構造
JP2007285067A (ja) 床下換気構造
JP7157533B2 (ja) 壁板施工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タータ補助部材
JP2015143411A (ja) 間仕切り壁
JP2007224519A (ja) 壁体及びパネルジョイント
JP2015183477A (ja) 庇取付け構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