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4771B1 - Tricycle for children - Google Patents

Tricycle for childr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771B1
KR101364771B1 KR1020120111199A KR20120111199A KR101364771B1 KR 101364771 B1 KR101364771 B1 KR 101364771B1 KR 1020120111199 A KR1020120111199 A KR 1020120111199A KR 20120111199 A KR20120111199 A KR 20120111199A KR 101364771 B1 KR101364771 B1 KR 101364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frame
fastening
shaft
tricy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로봇
Priority to KR102012011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7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77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을 구비한 조향축이 결합되고, 페달을 구비한 앞바퀴와 한 쌍의 뒷바퀴가 결합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 사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을 구비한 안장; 하단에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안장에 탈부착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결합되어 안장에 착석한 유아를 태양광으로부터 보호하는 차양;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호자가 파지할 수 있는 밀대를 포함하여,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고, 유모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ring shaft having a handle is coupled, the front frame having a pedal and a pair of rear wheels are coupled to the main frame; A saddl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he saddl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t an upper end thereof; A backrest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t a lower end thereof and detachable from the saddle; Shades that ar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to protect the infant seated in the saddle from sunlight; And a push rod detachab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frame so as to be held by a protector, and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and to a tricycle for a child capable of performing a stroller function.

Description

유아용 세발 자전거{Tricycle for children}Tricycle for children}

본 발명은 유아용 세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고, 유모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tri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ant tricycl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and that can perform a stroller function.

일반적으로 세발 자전거는 걸음마 단계를 막 지난 유아의 놀이와 승용을 겸한 기구로서, 안정성을 위해 하나의 앞바퀴와 2개의 뒷바퀴로 구성된 자전거이다. 이러한 세발 자전거는 유아의 신체 발달이나 지능 향상에 기여하는 승용 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In general, a tricycle is a device that combines play and riding of an infant who has just passed the step. It is composed of one front wheel and two rear wheels for stability. Such a tricycle serves as a riding toy that contributes to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intelligence of the infant.

한편, 3세 정도까지의 유아는 일반적으로 유모차를 사용하는데, 짧은 사용 기간에 비해 유모차의 구입 가격은 상당히 비싼 것이 현실이다. 특히 성장 속도가 빠른 유아의 경우 빠른 성장으로 인해 사용 기간이 더욱 짧아져 금방 쓸모가 없어져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한 가구 당 자녀의 수가 평균 한명도 되지 않는 요즘에는 이러한 고가의 유모차를 형제간에 물려 쓰는 것도 드문 일이 되어 버렸다.On the other hand, infants up to about 3 years old generally use a stroller, but the purchase price of the stroller is considerably higher than a short use period. In particular, infants with high growth rates are often shortened due to rapid growth, which can quickly become useless. And nowadays, when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per household is less than one, it is rare to use such expensive strollers among siblings.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유모차의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세발 자전거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유모차 기능을 구비한 세발 자전거들은 보통 조립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 조립되어 완성된 형태로 판매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유모차 기능을 구비한 세발 자전거를 접거나 해체하기 힘들기 때문에, 외출시 차량에 유모차 기능을 구비한 세발 자전거를 싣고 이동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various tricycles having a function of a stroller have recently been proposed. By the way, the tricycle with a stroller function is usually difficult to assemble the pre-assembled is sold in a completed form. Therefore, since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fold or disassemble the tricycle having a stroller function,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carry the tricycle having a stroller function in the vehicle when going ou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고, 유모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icycle for childre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and can perform a stroller fun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핸들을 구비한 조향축이 결합되고, 페달을 구비한 앞바퀴와 한 쌍의 뒷바퀴가 결합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 사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을 구비한 안장; 하단에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안장에 탈부착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결합되어 안장에 착석한 유아를 태양광으로부터 보호하는 차양;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호자가 파지할 수 있는 밀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teering shaft having a handle is coupled, the front frame having a pedal and a pair of rear wheels are coupled; A saddl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he saddl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t an upper end thereof; A backrest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t a lower end thereof and detachable from the saddle; Shades that ar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to protect the infant seated in the saddle from sunlight; And a push rod detachab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frame to be held by a prote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 하단에는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구비한 뒷바퀴 체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뒷바퀴 체결 프레임은 상기 관통공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은 단부 외주연에 고리형상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의 외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홈에 끼워지는 체결 클립을 구비하여, 상기 뒷바퀴가 원터치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ar low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is provided with a rear wheel fastening frame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rotary shaft of the rear wheel is inserted, and the rear wheel fastening frame is a cut portion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The rear wheel has a rotating shaft having an annular groov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and an outer side of the cutout includes a fastening clip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rotating shaf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rear wheel has a one-touch meth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클립은 일단이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만곡된 부분으로부터 양 갈래로 분지되어 중앙측으로 점차 간격이 감소하다가 타단측으로 점차 간격이 증가하며, 타단이 각이 지게 외측으로 구부러진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 클립이 상기 회전축의 홈에 끼워져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고, 만곡된 부분을 누르면 상기 체결 클립이 상기 회전축의 홈과 이격되어 상기 뒷바퀴 회전축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fastening clip has one end in a curved shape, branched from the curved portion to both branches, and the gap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center side, and gradually increases to the other end side, and the other end is bent outwardly to an angle. It is made of a metal wire, when the rotary shaft of the rear whee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fastening clip is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rotary shaft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rotary shaft of the rear wheel, pressing the curved portion the fastening clip is the groove of the rotary shaft Spaced apart from the rear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axis can be separated.

한편,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유선형상의 안장 체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안장의 하부에는 상기 안장 체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회동축과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배열되고 서로 연통된 복수의 조절공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공과 상기 안장 체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조절공의 관통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조절핀이 설치되어 상기 안장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enter of the body frame is provided with a saddle fastening frame of the convex upwards, the lower portion of the saddle is provided with a bracke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addle fastening frame, the bracket is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Arranged in an arc shap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 hole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etween the control hole and the saddle fastening frame is provided with a control pin that can be pulled in the penetrating direction of the adjustment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saddle It is done.

대안적으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유선형상의 안장 체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안장의 하부에는 상기 안장 체결 프레임과 상기 안장을 체결하는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안장 체결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a saddle fastening frame having a convex upwardly convex shap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dy frame, and a bracket for fastening the saddle fastening frame and the saddl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and the bracket is configured to fix the saddle fastening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sliding along.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는 발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rest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밀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삽입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의 외부에 끼워져 중첩되고 외주연 일부에 제1나사 결합부를 구비한 제2축, 및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고 내주연 상부에 상기 제1나사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나사 결합부를 구비하며 개방된 하단의 직경이 상기 제2축의 직경보다 작은 조임 나사를 포함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rod includes a first shaft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main body frame, a second shaft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haft, and having a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which are opened and the inner circumference. It has a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and includes a tightening screw having a diameter of the open lower e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adjustab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발판,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제1축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너트는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ody frame and the scaffold, the body frame and the first shaft is fixed through a bolt and nut, the n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andle extending to protrud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축과 상기 조향축 사이에는 연결 막대가 연결되어, 상기 밀대와 상기 조향축이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a connecting rod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teering shaft, so that the push rod and the steering shaft are interlocked.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고, 유모차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fant tricycle that can also serve as a stroller func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등받이 및 차양, 밀대, 뒷바퀴, 발판 등의 부품을 간단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어, 적재 및 이동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mantled parts such as backrest and sunshade, push rod, rear wheel, scaffold, and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loading and moving.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안장의 회동 각도 및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rotation angle and position of the sadd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가 파지하는 밀대의 길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pusher gripped by the protector.

또한, 본 발명은 앞바퀴가 페달과 선택적으로 연동되도록 하여, 보호자의 의도대로 운행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ront wheel to selectively interlock with the pedal, it is possible to drive as intended by the prot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주요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뒷바퀴와 뒷바퀴 체결 프레임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체결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안장과 안장 체결 프레임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안장과 안장 체결 프레임의 다른 형태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밀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앞바퀴에 구비된 프리휠링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icyc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tricyc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rear wheel and the rear wheel fastening frame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astening clip of FIG.
6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saddle and the saddle fastening frame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another form of the saddle and saddle fastening frame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ush rod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reewheeling mechanism provided on the front wheel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ricyc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주요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는 본체 프레임(110, 120, 130, 140, 150), 안장(131), 등받이(134), 차양(133) 및 밀대(15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tricycl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dy frame (110, 120, 130, 140, 150), saddle 131, backrest 134, sunshade 133 and push rod ( 151).

본체 프레임은 크게 앞바퀴 체결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20), 안장 체결 프레임(130), 뒷바퀴 체결 프레임(140) 및 밀대 체결 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ody frame includes a front wheel fastening frame 110, a main frame 120, a saddle fastening frame 130, a rear wheel fastening frame 140, and a push rod fastening frame 150.

앞바퀴 체결 프레임(110)은 본체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고, 그 상부에 조향축(111)을 구비한다. 조향축(111)의 상단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핸들(112)이 구비되고, 조향축(111)의 하부에는 앞바퀴(113)가 장착된다. 그리고, 앞바퀴(113)에는 양측면에 각각 페달(114)이 구비된다. The front wheel fastening frame 11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body frame, the steering shaft 111 is provided on the top.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shaft 111 is provided with a handle 112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ront wheel 113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shaft 111. And, the front wheel 113 is provided with pedals 114 on both sides.

메인 프레임(120)은 조향축(11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20)의 중앙 하부에는 후술되는 발판(121)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봉(122)이 구비된다. 안장 체결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20)의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구비되고, 이 상부에 후술되는 안장(131)이 체결된다. 뒷바퀴 체결 프레임(140)은 메인 프레임(120)의 후방 단부로터 좌우 양방향으로 분지되어 연장되고, 이 연장된 부분에 각각 뒷바퀴(141)가 장착된다. 그리고, 밀대 체결 프레임(150)은 안장 체결 프레임(130)의 후방 단부 및 메인 프레임(120)의 후방 단부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약간 기울어져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The main frame 120 extends rearward from the steering shaft 111 and has a downwardly convex shape. In addition, a fastening rod 122 for fastening the scaffold 121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at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20. Saddle fastening frame 130 is provided in the upper convex sha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20, the saddle 131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The rear wheel fastening frame 140 is branched and extended bilaterally from the rear end rotor of the main frame 120, and the rear wheels 141 are mounted on the extended port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ush rod fastening frame 15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addle fastening frame 130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20, and slightly inclined backwar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안장(131)은 앞바퀴(113)와 뒷바퀴(141) 사이에서 본체 프레임의 중앙에, 정확하게는 안장 체결 프레임(130)에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132)을 구비한다. 삽입공(132)은 안장(131)의 상단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 삽입공(132)에 후술되는 차양(133)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Saddle 131 i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wheel 113 and the rear wheel 141 in the center of the main frame, precisely the saddle fastening frame 130,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hole 13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opened Equipped. Insertion holes 132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saddle 131, the shade 133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is insertion hole 132 is fixed.

등받이(134)는 "∩"자 형상의 프레임(134a)에 망(134b)으로 덮여 있는 구성이다. "∩"자 형상의 프레임(134a)의 하단 즉, 양단부에는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결합 돌기(135)가 구비되고, 결합 돌기(135)는 안장(131)의 삽입공(132)에 삽입된다. 따라서, 등받이(134)는 안장(131)에 간단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여기서, 삽입공(132)의 내주연에는 결합 돌기(135)의 삽입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결합 돌기(135)의 외주연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끼워져 삽입되는 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ckrest 134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134a of the "∩" shape is covered with the mesh 134b. The lower end of the "∩" shaped frame 134a, that is, both ends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35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the coupling protrusion 13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2 of the saddle 131. . Therefore, the backrest 134 can be easi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saddle 131. Her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132 may be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upling projection 135, th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projection 135 (Not shown) may be provided.

차양(133)은 등받이(134)의 상부에 결합되어 안장(131)에 착석한 유아를 태양광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차양(133)은 등받이(134)의 "∩"자 형상 프레임(131a)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자 형상 프레임(133a) 및 이 "∩"자 형상 프레임(133a)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차양 프레임(133b)을 구비하고, "∩"자 형상 프레임(133a)과 복수의 차양 프레임(133b)의 외부에는 캐노피(133c)가 연결되어, 차양 프레임(133)이 펼쳐지면 캐노피(133c)가 펼쳐지도록 구성된다.Shades 133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134 serves to protect the infant seated in the saddle 131 from the sun. Here, the sunshade 133 is a "∩" shaped frame 133a rotatably mounted outside the "∩" shaped frame 131a of the backrest 134 and the outside of this "외측" shaped frame 133a. And a plurality of sunshade frames 133b rotatably mounted on the outside, and a canopy 133c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hape" shaped frame 133a and the plurality of sunshade frames 133b, and the sunshade frame 133 is provided. The canopy 133c is configured to unfold when this is unfolded.

밀대(151)는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서 밀대 체결 프레임(15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보호자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를 밀 수 있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52)를 구비한다.The push rod 151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push rod fastening frame 150 at the rear of the main frame, and has a handle 152 that can be gripped so that the guardian can push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조향축(111)의 전방 및 뒷바퀴 체결 프레임(140)의 후방에는 각각 수납 바구니(16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 구비된 체결 봉(122)에 발판(121)이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basket 16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steering shaft 111 and the rear of the rear wheel fastening frame 140. In addition, the footrest 121 may be installed on the fastening rod 122 provided at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는 세발 자전거의 기본 구조에 등받이(134), 차양(133) 및 밀대(151)를 설치하여 유모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등받이(134)와 밀대(151)를 사용자가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적재 또는 이동 편의성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imultaneously perform the stroller function by installing the backrest 134, the sunshade 133 and the pusher 151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tricycle.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user to the backrest 134 and the push rod 151, providing a convenient loading or mov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뒷바퀴와 뒷바퀴 체결 프레임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체결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rear wheel and the rear wheel fastening frame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clip of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바퀴 체결 프레임(140)은 그 양단부에 각각 뒷바퀴(141)의 회전축(142)이 삽입되는 관통공(143)을 구비한다. 그리고, 뒷바퀴 체결 프레임(140)은 관통공(143)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44)를 구비한다. 한편, 뒷바퀴(141)의 회전축(142)은 그 단부 외주연에 고리형상의 홈(142a)을 구비한다. 그리고, 절개부(144)의 외부에는 관통공(143)에 삽입된 뒷바퀴 회전축(142)의 홈(142a)에 끼워지는 체결 클립(145)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체결 클립(145)을 밀어서 뒷바퀴(141)가 원터치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rear wheel fastening frame 140 has a through hole 143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142 of the rear wheel 141 is inserted at both ends thereof. In addition, the rear wheel fastening frame 140 includes a cutout 144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43.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shaft 142 of the rear wheel 141 is provided with an annular groove 142a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thereof. In addition, a fastening clip 145 fitted to the groove 142a of the rear wheel rotation shaft 142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3 is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cutout 144. 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ar wheel 141 is detachable in a one-touch manner by pushing the fastening clip 145.

여기서, 체결 클립(145)은 일단(145a)이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만곡된 부분으로부터 양 갈래로 분지되어 중앙측(145b)으로 점차 간격이 감소하다가 타단측(145c)으로 점차 간격이 증가하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 클립(145)의 타단(145c)은 각이 지게 외측으로 구부러진다.Here, the fastening clip 145 is one end (145a)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branch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from the curved portion is gradually reduced to the center side (145b), then gradually increases to the other end side (145c). Made of metal wire. Then, the other end 145c of the fastening clip 145 is bent to the outside of the angl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뒷바퀴(141)의 회전축(142)이 관통공(143)에 삽입되면, 체결 클립(145)이 회전축(142)의 홈(142a)에 끼워진다. 따라서, 뒷바퀴(141) 회전축(142)이 관통공(14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체결 클립(145)의 일단(145a), 즉 만곡된 부분을 누르면, 체결 클립(145)이 이동하면서 회전축(142)의 홈(142a)과 이격된다. 따라서, 뒷바퀴(141)의 회전축(142)을 관통공(14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tary shaft 142 of the rear wheel 14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3, the fastening clip 145 is fitted into the groove 142a of the rotary shaft 142. Therefore, the rear wheel 141 rotation shaft 142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143. In addition, when one end 145a of the fastening clip 145, that is, the curved portion is pressed, the fastening clip 145 mov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groove 142a of the rotation shaft 142. Therefore, the rotating shaft 142 of the rear wheel 141 can be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143.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는 체결 클립(145)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뒷바퀴(141)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뒷바퀴(141)의 간단한 분리 구조는 적재 및 이동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킨다.Thus, the tricycl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or coupled to the rear wheel 141 in a one-touch manner by a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the fastening clip 145. The simple separation structure of this rear wheel 141 further improves the loading and moving convenien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안장과 안장 체결 프레임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131)의 하부에는 안장 체결 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136)이 구비된다. 이 브라켓(136)은 브라켓(136)의 회동축(137)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배열되고 서로 연통된 복수의 조절공(138)을 구비한다. 6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saddle and the saddle fastening frame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lower portion of the saddle 131 to be rotatable to the saddle fastening frame 130 The bracket 136 is provided. The bracket 13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justing holes 138 arranged in an arc shape an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tation shaft 137 of the bracket 136.

또한, 조절공(138)과 안장 체결 프레임(130) 사이에는 상기 조절공의 관통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조절핀(139)이 설치된다. 이 조절핀(139)은 조절공(138) 내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조절공(138) 내부로 힘을 받는다. 그리고, 조절핀(139)은 조절공(138)의 크기보다 더 큰 외측 플랜지(139a)를 구비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adjusting hole 138 and the saddle fastening frame 130 is provided with a control pin 139 that can be pulled in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adjusting hole. The adjusting pin 139 is forced into the adjusting hole 138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adjusting hole 138. And, the adjusting pin 139 has an outer flange (139a) larger than the size of the adjusting hole (138).

이러한 구성에 따라, 조절핀(139)은 탄성 부재에 의해 브라켓(136) 내부로 가압되고, 사용자가 외측 플랜지(139a)를 외부로 잡아당기면, 조절핀(139)을 상기 조절공의 관통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장(131)이 회동축(13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여, 안장(13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djusting pin 139 is pressed into the bracket 136 by the elastic member, and when the user pulls the outer flange 139a to the outside, the adjusting pin 139 in the penetrating direction of the adjusting hole. You can move it. Therefore, the saddle 131 can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137,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saddle 131.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조절공(138)은 내측면이 둥근 계단식 배열로 구비되어, 조절핀(139)의 회동 각도를 일정량씩 조절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adjustment holes 138 are provided in a stepped array of rounded inner surfac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adjustment pin 139 by a predetermined amount.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안장과 안장 체결 프레임의 다른 형태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131')의 하부에 구비된 브라켓(136')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이동 축(137')을 구비하고, 안장 체결 프레임(13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홈(138')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이동 축(137')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 6에 도시된 조절핀(139')이 체결되어 안장(131')을 안장 체결 프레임(130')에 체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saddle and the saddle fastening frame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bracket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addle (131 ') ( 136 'may have a moving shaft 137' at the front and the rear, respectively, and the saddle fastening frame 130 'may have a sliding groove 138'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moving shafts 137 ′ is fastened to the adjustment pin 139 ′ shown in FIG. 6 to fasten the saddle 131 ′ to the saddle fastening frame 130 ′.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안장(131')은 안장 체결 프레임(130')의 슬라이딩 홈(138')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안장(131')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saddle 131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sliding groove 138' of the saddle fastening frame 130 ',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addle 131' can be adjusted.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홈(138')은 내측면이 둥근 계단식 배열로 구비되어, 이동 축(137')의 이동량을 일정량씩 조절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liding groove 138 'is provided in a stepped arrangement in which the inner surface is rounded, so tha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moving shaft 137' can be adjus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밀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151)는 제1축(153), 제2축(154) 및 조임 나사(155)를 포함한다.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ush rod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push rod 151 is the first shaft 153, the second shaft 154 and the tightening screw ( 155).

제1축(153)은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한 밀대 체결 프레임(150)에 삽입되는 중공의 파이프이다. 제2축(154)은 제1축(153)의 외부에 끼워져 중첩되고, 외주연 일부에 제1나사 결합부(154a)를 구비한 중공의 파이프이다. 그리고, 조임 나사(155)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고 내주연 상부에 제2축(154)의 제1나사 결합부(154a)와 체결되는 제2나사 결합부(155a)를 구비한다. 또한 조임 나사(155)는 개방된 하단의 직경이 제2축(15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first shaft 153 is a hollow pipe inserted into the push rod fastening frame 150 located behind the main frame. The second shaft 154 is a hollow pipe which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haft 153 and overlaps, and has a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4a a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In addition, the fastening screw 155 has a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55a that is open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4a of the second shaft 154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In addition, the tightening screw 155 is formed in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haft 154.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축(153)을 밀대 체결 프레임(150)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제1축(153)의 외주연에 조임 나사(155)를 삽입한 후, 제2축(154)이 조임 나사(155)를 관통하여 제1축(153)의 외주연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 나사(155)의 제2나사 결합부(155a)와 제2축(154)의 제1나사 결합부(154a)를 체결하면, 밀대(151)의 조립이 완료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shaft 153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ush rod fastening frame 150, and after the tightening screw 155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haft 153, the second shaft 154 is inserted.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55a of the tightening screw 155 and the first screw coupling of the second shaft 154 are insert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haft 153 through the tightening screw 155. When the part 154a is fastened, the assembly of the push rod 151 is completed.

그리고, 조임 나사(155)를 풀어서 제1나사 결합부(154a)와 제2나사 결합부(155a)의 체결을 해제하면, 밀대(15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n, by releasing the fastening screw 155 to release the fastening of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154a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155a, the length of the push rod 151 can be adjusted.

바람직하게는, 밀대 체결 프레임(150)과 제1축(153)은 볼트(10) 및 너트(20)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여기서 너트(20)는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손잡이(21)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간단하게 볼트(10)와 너트(20)를 체결하여 밀대(151)를 조립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ush rod fastening frame 150 and the first shaft 153 may be fixed through the bolt 10 and the nut 20, where the nut 20 is a handle (extended to protrud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21).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ssemble the push rod 151 by fastening the bolt 10 and the nut 20 by hand without using a tool.

또한, 앞에서 언급한 체결 봉(122)과 발판(121) 역시 도 8에 도시된 볼트(10) 및 너트(20)를 통해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rod 122 and the footrest 121 can also be simply fastened through the bolt 10 and the nut 20 shown in FIG. 8.

한편,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조향축(111)과 제1축(153) 사이에는 연결 막대(170)가 연결된다. 이 연결 막대(170)는 밀대(151)와 조향축(111)이 연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밀대(151)를 잡은 보호자가 밀대(151)를 회동시키면, 조향축(111)이 연동되어 세발 자전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and 2, a connecting rod 170 is connected between the steering shaft 111 and the first shaft 153. The connecting rod 170 serves to allow the rod 151 and the steering shaft 111 to interlock. Therefore, when the guardian holding the pusher 151 rotates the pusher 151, the steering shaft 111 can be link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tricycl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의 앞바퀴에 구비된 프리휠링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113)의 일측면에는 페달(114)의 회전축(115)과 연결되어 앞바퀴(113)와 페달(114)이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프리휠링 기구(freewheeling mechanism)(116)가 설치된다.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reewheel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front wheel of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rotational shaft 115 of the pedal 114 on one side of the front wheel 113 And a freewheeling mechanism 116 to selectively engage the front wheel 113 and the pedal 114.

구체적으로, 프리휠링 기구(116)는 외주면에 나사 체결부(116a)를 구비하고 중심에 페달(114)의 회전축(115)이 삽입되는 관통공(116b)을 구비한 원형 부재로서, 앞바퀴(113)와 대면하는 일측면에 앞바퀴(113)를 향해 소정길이 연장된 복수의 결합 돌기(116c)를 구비한다. 이 복수의 결합 돌기(116c)는 관통공(116b)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배열을 갖는다. 또한, 프리휠링 기구(116)는 타측면 테두리에 복수의 파지홈(116d)을 구비한다. Specifically, the freewheeling mechanism 116 is a circular member having a screw fastening portion 116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through hole 116b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115 of the pedal 114 is inserted at the center thereof. )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116c)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wheel 113 on one side facing.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6c has a radial arrangement around the through hole 116b. In addition, the freewheeling mechanism 11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116d at the other side edge.

그리고, 앞바퀴(113)는 프리휠링 기구(116)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홈(117)을 구비한다. 여기서, 체결홈(117)의 내주연에는 프리휠링 기구(116)의 나사 체결부(116a)와 체결되는 나사 체결부(117a)가 구비된다. 또한, 체결홈(117)의 저면 중심에는 페달(114)의 회전축(115)이 삽입되는 관통공(117b)이 형성된다. 또한, 체결홈(117)의 저면에는 관통공(117b)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결합홈(117c)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117c)은 일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wheel 113 has a fastening groove 117 for inserting and fastening the freewheeling mechanism 116. Her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groove 117 is provided with a screw fastening portion 117a fastened to the screw fastening portion 116a of the freewheeling mechanism 116. In addition, a through hole 117b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115 of the pedal 114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117.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7c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through hole 117b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117. Here, the coupling groove 117c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n inclination in one side direc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프리휠링 기구(116)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결합 돌기(116c)와 결합홈(117c)이 맞물려, 페달(114)의 회전에 의해 앞바퀴(113)가 회전된다. 반면, 프리휠링 기구(11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결합 돌기(116c)와 결합홈(117c)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페달(114)이 회전하여도 앞바퀴(113)는 회전되지 않는다.By this structure, when the freewheeling mechanism 116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engaging projection 116c and the engaging groove 117c are engaged, and the front wheel 113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pedal 114.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eewheeling mechanism 116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6c and the coupling groove 117c is released, and the front wheel 113 is not rotated even when the pedal 114 is rota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세발 자전거를 유모차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아이의 페달 조작과 관계없이 보호자의 의도대로 운행이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infant tr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for the use of a baby carriage, or operate as the guardian intends regardless of the pedal operation of the chil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

110: 앞바퀴 체결 프레임 111: 조향축
112: 핸들 113: 앞바퀴
114: 페달 116: 프리휠링 기구
117: 체결홈 120: 메인 프레임
121: 발판 122: 체결 봉
130: 안장 체결 프레임 131: 안장
132: 삽입공 133: 차양
134: 등받이 135: 결합 돌기
136: 브라켓 137: 회동축
138: 조절공 139: 조절핀
140: 뒷바퀴 체결 프레임 141: 뒷바퀴
142: 회전축 143: 관통공
144: 절개부 150: 밀대 체결 프레임
151: 밀대 152: 손잡이
153: 제1축 154: 제2축
155: 조임 나사 160: 수납 바구니
170: 연결 막대
110: front wheel fastening frame 111: steering shaft
112: steering wheel 113: front wheel
114: pedal 116: freewheeling mechanism
117: fastening groove 120: main frame
121: scaffold 122: fastening rod
130: saddle fastening frame 131: saddle
132: insertion hole 133: sunshade
134: back 135: engaging projection
136: bracket 137: rotating shaft
138: adjusting hole 139: adjusting pin
140: rear wheel fastening frame 141: rear wheel
142: rotation axis 143: through hole
144: incision 150: tack fastening frame
151: push rod 152: handle
153: first axis 154: second axis
155: captive screw 160: storage basket
170: connecting rod

Claims (10)

핸들을 구비한 조향축이 결합되고, 페달을 구비한 앞바퀴와 한 쌍의 뒷바퀴가 결합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 사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을 구비한 안장; 하단에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안장에 탈부착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결합되어 안장에 착석한 유아를 태양광으로부터 보호하는 차양;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호자가 파지할 수 있는 밀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 하단에는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구비한 뒷바퀴 체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뒷바퀴 체결 프레임은 상기 관통공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은 단부 외주연에 고리형상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의 외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홈에 끼워지는 체결 클립을 구비하여, 상기 뒷바퀴가 원터치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
A steering frame having a steering wheel coupled thereto, the body frame having a front wheel equipped with a pedal and a pair of rear wheels coupled thereto; A saddl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he saddl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t an upper end thereof; A backrest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t a lower end thereof and detachable from the saddle; Shades that ar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to protect the infant seated in the saddle from sunlight; And a push rod detachab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frame to be held by a protector.
A rear wheel fastening frame having a through hole in which the rear axis of the rear wheel is inserted is provid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main frame, and the rear wheel fastening frame has a cutout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The rotating shaft of the rear wheel has an annular groov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cutout includes a fastening clip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rotating shaf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rear wheel is detachable in a one-touch manner. Infant tricyc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은 일단이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만곡된 부분으로부터 양 갈래로 분지되어 중앙측으로 점차 간격이 감소하다가 타단측으로 점차 간격이 증가하며, 타단이 각이 지게 외측으로 구부러진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 클립이 상기 회전축의 홈에 끼워져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고, 만곡된 부분을 누르면 상기 체결 클립이 상기 회전축의 홈과 이격되어 상기 뒷바퀴 회전축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clip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t one end, branched from the curved portion to both branches, the gap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center side, and gradually increases to the other end side, and the other end is made of a metal wire bent outward to an angle. When the rotating shaft of the rear whee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fastening clip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otating shaft to prevent the rear shaft from being separated, and when the curved portion is pressed, the fastening clip is spaced apart from the groove of the rotating shaft. Baby tri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shaft can be re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의 안장 체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안장의 하부에는 상기 안장 체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회동축과 이격된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배열되고 서로 연통된 복수의 조절공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공과 상기 안장 체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조절공의 관통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조절핀이 설치되어 상기 안장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er of the body frame is provided with a saddle fastening frame of the upward convex shape, the lower portion of the saddle is provided with a bracke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addle fastening frame, the bracket is a circular arc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ivo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justment holes arranged in shape an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between the adjustment hole and the saddle fastening frame is provided with a control pin that can be pulled in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adjustment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addle Infant tricy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의 안장 체결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안장의 하부에는 상기 안장 체결 프레임과 상기 안장을 체결하는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안장 체결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er of the body frame is provided with a saddle fastening frame of the upward convex shape, the lower portion of the saddle is provided with a bracket for fastening the saddle fastening frame and the saddle, the bracket is slidable along the saddle fastening frame Baby tri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 하부에는 발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
Infant tri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rest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main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삽입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의 외부에 끼워져 중첩되고 외주연 일부에 제1나사 결합부를 구비한 제2축, 및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고 내주연 상부에 상기 제1나사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나사 결합부를 구비하며 개방된 하단의 직경이 상기 제2축의 직경보다 작은 조임 나사를 포함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ush rod is a first shaft inserted in the rear of the main frame, a second shaft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haft and overlapped with a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open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An infant tricycle having a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and including a tightening screw having a diameter of an open lower e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haf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발판,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제1축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너트는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in body frame and the footrest, the main frame and the first shaft is fixed through a bolt and nut, the nut is a tricycl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handle extending to protrud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조향축 사이에는 연결 막대가 연결되어, 상기 밀대와 상기 조향축이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세발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connecting rod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teering shaft, so that the push rod and the steering shaft are linked to each other.
삭제delete
KR1020120111199A 2012-10-08 2012-10-08 Tricycle for children Expired - Fee Related KR1013647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99A KR101364771B1 (en) 2012-10-08 2012-10-08 Tricycle for child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99A KR101364771B1 (en) 2012-10-08 2012-10-08 Tricycle for childre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491A Division KR20140045464A (en) 2014-01-27 2014-01-27 Tricycle for child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771B1 true KR101364771B1 (en) 2014-02-27

Family

ID=5027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1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4771B1 (en) 2012-10-08 2012-10-08 Tricycle for childr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77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174A1 (en) * 2014-04-14 2015-10-22 (주)이디 Riding device for children
CN108116481A (en) * 2018-02-01 2018-06-05 嘉兴市优贝童车有限公司 A kind of perambulator trailing wheel structure easy to disassemble
CN108502070A (en) * 2018-03-05 2018-09-07 平湖市至爱童车有限公司 A kind of multi-function baby stroller
CN111301507A (en) * 2020-03-03 2020-06-19 中山市永达儿童用品有限公司 a baby strol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48Y1 (en) * 2001-01-10 2001-06-15 김형호 Multiuse trishaw for Child
KR200428429Y1 (en) * 2006-07-14 2006-10-12 최효성 Tricycle saddle with auxiliary steering
KR20090038688A (en) * 2007-10-16 2009-04-21 김춘추 Bicycle Saddle Angle Adju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48Y1 (en) * 2001-01-10 2001-06-15 김형호 Multiuse trishaw for Child
KR200428429Y1 (en) * 2006-07-14 2006-10-12 최효성 Tricycle saddle with auxiliary steering
KR20090038688A (en) * 2007-10-16 2009-04-21 김춘추 Bicycle Saddle Angle Adjus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174A1 (en) * 2014-04-14 2015-10-22 (주)이디 Riding device for children
KR101619368B1 (en) 2014-04-14 2016-05-11 (주)이디 Vehicle device for child
CN108116481A (en) * 2018-02-01 2018-06-05 嘉兴市优贝童车有限公司 A kind of perambulator trailing wheel structure easy to disassemble
CN108502070A (en) * 2018-03-05 2018-09-07 平湖市至爱童车有限公司 A kind of multi-function baby stroller
CN111301507A (en) * 2020-03-03 2020-06-19 中山市永达儿童用品有限公司 a baby stroller
CN111301507B (en) * 2020-03-03 2025-06-24 中山市永达儿童用品有限公司 A baby st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421B1 (en) Free-wheeling, free-steering, foldable multi-stage tricycle with a single-motion release mechanism
KR101364771B1 (en) Tricycle for children
US9545969B2 (en) Conversion scooter
US8517406B2 (en) Position-adjustable vehicle
TWI636910B (en) Baby carriage
US9616963B2 (en) Quick release device
KR102031279B1 (en) Stroller
CN103359149B (en) Brake mechanism and child carrier with same
CN106572937B (en) Driving assist system with other installation frame
JP2006137410A (en) Convertible type riding toy
CN103723224B (en) A kind of toy tricycle
CN103192929B (en) Folding bicycle
KR20140045464A (en) Tricycle for children
KR200413288Y1 (en) Tricycle stroller
CN202806976U (en) Three-wheel child bicycle with novel steering mechanism
KR200459090Y1 (en) Tricycle for kids
CN104071273A (en) Novel three-wheel baby carrier with rear-control steering
KR101605679B1 (en) Tricycle
CN201357855Y (en) Children stroller with front wheel brakes and insertion type dinner plate
JP3180848U (en) Children's vehicle
US20110057502A1 (en) Wheel rocking mechanism
CN201694330U (en) Multifunctional bicycle
CN203237349U (en) Novel rear-controlled steering control three-wheel baby carriage
KR200339830Y1 (en) Tricycle in which pram's fanction is contained
CN107187488B (en) Multifunctional three-wheeled s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1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