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909B1 - Aluminium bumper assembly with towing - Google Patents
Aluminium bumper assembly with tow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3909B1 KR101363909B1 KR1020120028621A KR20120028621A KR101363909B1 KR 101363909 B1 KR101363909 B1 KR 101363909B1 KR 1020120028621 A KR1020120028621 A KR 1020120028621A KR 20120028621 A KR20120028621 A KR 20120028621A KR 101363909 B1 KR101363909 B1 KR 1013639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wing
- stay
- bumper
- bumper beam
- tu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2—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on two vertical sleeves, e.g. on energy absorber e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7—Fastening of bumpers' sid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잉일체형 알루미늄 범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연장되는 알류미늄 재질의 범퍼빔(110)과, 상기 범퍼빔(110)에 연결되고 내부에 관통공간이 형성되는 스테이(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150)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토잉부(163,17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토잉부(163,170)는 상기 관통공간 내부에서 상기 스테이(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채널(161)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토잉튜브(170)와, 상기 관통공간의 내면과 상기 토잉튜브(170)의 외면 사이에는 연결리브(16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토잉이 범퍼빔(110)이 아닌 스테이(150) 내부에 스테이(15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개물의 토잉이 필요없게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토잉을 범퍼 어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comprising a bumper beam (110) made of aluminum extending to one side, and a stay (150)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110) and having a through space formed therein. In the interior of the stay 150, cylindrical towing parts 163 and 170 are integrally provided, and the towing parts 163 and 170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y 150 in the through space and have a length at the center thereof. A cylindrical towing tube 170 formed to penetrate the connecting channel 161 along the direction, and a connecting rib 163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owing tube 170.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win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ay 150 inside the stay 150 instead of the bumper beam 110, the need for a separate towing is not required, so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the work for fixing the toe to the bumper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in reducing the airborne.
Description
본 발명은 범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잉이 범퍼빔에 일체로 구성된 토잉일체형 알루미늄 범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in which the towing is integrally formed in the bumper beam.
일반적으로 차량용 범퍼는 차량의 저속 충돌시에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차량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차량용 범퍼는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In general, a bumper for a vehicle is to elastically deform at a low speed collision of the vehicle to prevent physical damage of the vehicle. In other words, the vehicle bumper absorbs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vehicle or the stationary body, and serves to enhance the safety of the occupant.
이러한 일반적인 범퍼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차량의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범퍼어셈블리에는 범퍼빔(10)이 구비되고, 상기 범퍼빔(10)과 차량의 프레임은 스테이(30)에 의해 연결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범퍼빔(10)과 스테이(30) 사이에는 스테이플레이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스테이(30)를 대신하여 크러시박스(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is general bumper structure is shown in FIG. As shown in this, the bumper assembly extending forward from the frame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상기 스테이(30)의 후방에는 사이드멤버(미도시)가 결합된다. 즉, 상기 스테이(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멤버에는 범퍼빔(10)이 결합된다. 상기 범퍼빔(10)은 차량의 전후방에 차폭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2개의 범퍼레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a side memb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범퍼빔(10)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업소버가 다시 연결되고, 상기 업소버와 상기 범퍼빔(10)은 범퍼커버(미도시)에 의해 감싸진다. Although not shown, the absorber for shock absorption is reconnected to the
상기 범퍼빔(10)에는 토잉(40)이 구비된다. 상기 토잉(40)은 상기 범퍼빔(10)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차량의 견인 등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결합구에 해당한다. 상기 토잉(40)에는 별도의 토잉후크(미도시)가 나사체결 방식 등으로 결합되어 견인시에 상대 토잉후크와 걸어질 수도 있다. The
이와 같은 범퍼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업소버가 압축되면서 충돌에너지를 일부 흡수하고, 상기 업소버가 미처 흡수하지 못한 나머지 층돌에너지는 그 후방의 범퍼빔(10)과 스테이(30)를 통해 차체로 분산 흡수된다. According to such a bumper structure,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absorber is compressed to absorb some of the collision energy, and the remaining layer stone energy which the absorber has not absorbed is absorbed by the
한편, 차량의 견인 시에는, 견인차량측 견인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토잉후크를 피견인차량측 차체에 고정된 토잉후크에 걸어서 상기 견인 와이어를 권취하여 당겨줌으로써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towing of the vehicle, the towing hook provided at the end of the towing vehicle side towing wire is hooked on the towing hook fixed to the towing vehicle side vehicle body and wound up and pulled.
그러나, 이와 같은 토잉후크를 연결하기 위한 토잉(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범퍼빔(1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부품수 및 공정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특히, 상기 토잉(40)은 차량의 견인시에 사용되므로 범퍼빔(10) 등과의 결합력이 매우 커야 하고 큰 분리력을 만족해야 하는데,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경우 일정한 분리력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큰 결합력을 만족시키는 것도 어려워지고, 용접변형으로 인한 제품 분량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이와 더불어, 상기 범퍼빔(10)은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프레임구조로 구성되므로, 상기 토잉(40)과의 결합면적이 한정될 수 밖에 없으므로, 범퍼빔(10)과 토잉(40) 사이의 결합력은 일정 크기 이상 만족시키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빔과 연결된 스테이의 내부에 토잉이 일체로 형성된 토잉일체형 범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wing integral bumper assembly in which towing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stay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알류미늄 재질의 범퍼빔과, 상기 범퍼빔에 연결되고 내부에 관통공간이 형성되는 스테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토잉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토잉부는 상기 관통공간 내부에서 상기 스테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채널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토잉튜브와, 상기 관통공간의 내면과 상기 토잉튜브의 외면 사이에는 연결리브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umper beam of aluminum material extending to one side, and a stay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and a through space formed therein, A cylindrical towing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stay, and the towing portion extend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ay in the through space and a cylindrical towing tube is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channel along the length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And a connecting rib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towing tube.
상기 토잉튜브에 형성된 연결채널의 내부에는 나사산형상의 토잉탭이 구비된다. A thread-shaped towing tab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channel formed in the towing tube.
상기 토잉부는 상기 범퍼빔과 연결되는 스테이의 전방부터 상기 스테이의 후방까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The towing part is provided to be connected from the front of the stay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to the rear of the stay.
상기 토잉튜브는 상기 범퍼빔과 연결되는 전방에 비하여 상기 토잉탭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더 두껍게 형성된다.The towing tube has a thicker portion extending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towing tab than the front side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토잉튜브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The connecting ribs are provided in plural radi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wing tube.
상기 범퍼빔과 상기 스테이 사이에는 설계에 따라서는 판상의 스테이플레이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A plate-shaped stay plat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umper beam and the stay, depending on the design.
상기 스테이의 관통공간 내부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발포폼이 내장된다. Inside the through space of the stay is a foam foam for absorbing shock.
상기 스테이 및 상기 스테이 내부에 구비되는 토잉부와 연결리브는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공정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The stay and the connecting rib provided in the stay and the stay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an aluminum extrusion process.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토잉일체형 알루미늄 범퍼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토잉이 범퍼빔이 아닌 스테이 내부에 스테이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개물의 토잉이 필요없게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토잉을 범퍼 어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win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ay inside the stay, not the bumper beam, the need for a separate towing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the number of labors for fixing the toe to the bumper assemb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토잉이 스테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특히 스테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므로, 별개물인 토잉을 용접가공하는 것에 비하여 토잉과 범퍼어셈블리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win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ay, and in particular, is provid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y,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owing and the bumper assembly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welding a separate to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한 토잉탭이 스테이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스테이의 전방으로부터 토잉탭에 이르기까지 연결리브와 토잉튜브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토잉탭은 설계의 목적에 따라 스테이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고 토잉탭부 이외의 구간은 스테이 외부 및 연결리브와 함께 스테이의 좌굴을 유도하여 충격흡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wing tab for coupling with the counterpart is located inside the stay, and the connecting rib and the towing tube are provided from the front of the stay to the towing tab. Located in front of or behind the stay and a section other than the towing tap portion, the buckling of the stay together with the outside of the stay and the connecting ribs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hock absorption rat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의 구성을 후방에서 보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잉일체형 알루미늄 범퍼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테이의 내부구성을 보인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vehicle bumper assembl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umper assembly for a typical vehicle from the rear.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a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토잉일체형 알루미늄 범퍼 어셈블리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토잉일체형 알루미늄 범퍼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ssembled stat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토잉일체형 알루미늄 범퍼 어셈블리(이하 '범퍼 어셈블리'라 한다)는 크게 범퍼빔(110)과 스테이(150) 그리고 상기 범퍼밈과 스테이(150) 사이를 연결하는 스테이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테이플레이트(13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테이(150)에는 사이드멤버(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고 사이드멤버는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되나,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umper assembly') is largely connected between the
먼저 범퍼빔(11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범퍼빔(110)은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구조로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형상이다. 상기 범퍼빔(110)은 알루미늄재질로 만들어지고, 어느 일방향으로 곧게 연장되거나 또는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도 3에는 그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First, the
상기 범퍼빔(110)에는 다수개의 제1체결공(115)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체결공(115)은 상기 범퍼빔(110)과 상기 스테이플레이트(130) 사이의 체결을 위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에 해당한다. 물론, 상기 범퍼빔(110)은 스테이플레이트(130)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상기 범퍼빔(110)에는 빔통공(118)이 형성된다. 상기 빔통공(1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테이플레이트(130)의 플레이트홀(138) 및 스테이(150)에 형성되는 연결채널(161)과 연통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후술할 토잉탭(171)과의 결합을 위한 별개물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범퍼빔(110)에는 스테이플레이트(130)가 결합된다. 상기 스테이플레이트(130)는 상기 범퍼빔(110)과 스테이(150) 사이에 구비되어, 범퍼빔(110)과 스테이(150) 사이의 결합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게 된다. The
상기 스테이플레이트(130)는 판상의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범퍼빔(110)과의 결합을 위한 제2체결공(135)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제2체결공(135)은 상기 범퍼빔(110)의 제1체결공(115)과 연통되는 것으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삽입된다. The
상기 스테이플레이트(130)에는 플레이트홀(138)이 형성되는데, 상기 플레이트홀(138)은 상기 범퍼빔(110)의 빔통공(118) 및 스테이(150)의 연결채널(161)과 연통될 수 있는 중심부에 형성된다. A
상기 스테이플레이트(130)에는 스테이(150)가 결합된다. 상기 스테이(150)는 상기 스테이플레이트(130)에 체결구 또는 용접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The
상기 스테이(150)는 상기 범퍼빔(1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변형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속이 빈 입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15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When the
상기 스테이(150)는 도 3 및 도 5에서 보듯이, 대략 길이방향으로 관통공간(도면부호 미부여)이 연장되는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기둥형상이다. 3 and 5, the
상기 스테이(150)의 내부에는 토잉부(163,17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토잉부(163,170)는 다시 토잉튜브(170)와 연결리브(163)로 구성되는데, 상기 토잉튜브(170)는 상기 관통공간 내부에서 상기 스테이(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채널(16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리브(163)는 상기 관통공간의 내면과 상기 토잉튜브(170)의 외면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Toying
여기서 토잉튜브(170)는 상기 스테이(150)의 관통공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종의 원형관으로서, 관통공간의 입구(도 6을 기준으로 좌측단)으로부터 출구(도 6을 기준으로 우측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Here, the towing
이와 같은 상기 토잉튜브(170)에 형성된 연결채널(161)의 내부에는 토잉탭(171)이 구비된다. 상기 토잉탭(171)은 연결채널(161)의 내부에 나사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별개물인 토잉후크(미도시)와의 연결이나, 또는 견인시 또는 차량 정렬시에 사용되는 외부물과 직접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A
이와 같이 상기 스테이(150) 내부의 연결리브(163) 및 토잉튜브(170)는 상기 스테이(15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스테이(150)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일정 형상으로의 좌굴(座屈, buckling)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충격 흡수를 유도하게 된다. As such, the connecting
그리고, 이와 같은 스테이(150)의 좌굴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토잉튜브(170)의 두께가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토잉튜브(170)는 상기 범퍼빔(110)과 연결되는 전방에 비하여 상기 토잉탭(171)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175)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towing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초기변형이 이루어지는 스테이(150)의 전방에서는 좌굴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되고, 토잉튜브(170)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후방(175)에서는 완충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ront of the
그리고, 이러한 기능은 상기 스테이(150)와 토잉부(163,17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테이(150)와 토잉부(163,170)는 일체로 제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150)와 토잉부(163,170)는 알루미늄의 압출을 통해 만들어진다. 즉, 압출공정을 통해 스테이(150)가 제조되는 동시에 내부의 토잉튜브(170) 및 연결리브(163)가 함께 제조되는 것이다. And, such a function can be effectively expressed by the
한편, 상기 연결리브(163)는 상기 토잉튜브(17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슨 총 4개의 연결리브(163)가 일정간격으로 상기 토잉튜브(170)에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여기서, 상기 토잉탭(171)의 형성위치는 설계값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잉탭(17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스테이(150) 후방에 위치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전방 입구측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는 스테이(150)에 의한 변형량이나 충격흡수정도 등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다. Her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잉탭(171)이 압출을 통해 상기 스테이(150)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이와 같은 설계변경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토잉일체형 범퍼 어셈블리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owing integral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범퍼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차량을 견인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토잉탭(171)부에 연결된 토잉후크에 견인차량의 토잉후크를 연결하여 견인하게 된다. First, a process of towing a vehicle using the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is towed by connecting the towing hook of the towing vehicle to the towing hook connected to the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토잉탭(171)부에 견인차량의 토잉을 직접 나사체결하여 견인할 수도 있다. Of course, in some cases, the towing of the towing vehicle may be directly screwed to the
다음으로, 상기 범퍼 어셈블리가 채용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외부로부터 범퍼커버에 충격이 가해지면, 범퍼커버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범퍼빔(110)에 충격이 전달되고, 상기 범퍼빔(110)에 전달된 충격은 다시 상기 스테이(150) 및 사이드멤버에 차례로 전달된다. Next,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vehicle employing the bumper assembly, first,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bumper cover from the outside,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이때, 철금속으로 구성되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그 재질의 특성상 충격흡수율이 좋은 스테이(150)에 의해 많은 양의 충격에너지가 흡수된다. At this time, a large amount of impact energy is absorbed by the
보다 정확하게는 스테이(150) 및 그 내부의 발포폼이 좌굴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타 다른 부분에 전해지는 충격은 최소화 될 수 있는 것이다.More precisely,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스테이(150) 내부에 구비된 토잉부(163,170)에 의해 스테이(150)의 좌굴이 일정하게 유도되므로, 스테이(150)에 의한 이러한 충격흡수 기능은 보다 안정적이고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ckling of the
작업자는 차량의 훼손 후에, 이를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정도에 따라 변형된 스테이(150)만을 교체하여 범퍼 어셈블리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스테이(150)의 경우 범퍼빔(110)이나 사이드멤버와 별개물로 구성되어 조립되므로, 이를 탈거하여 쉽게 재조립할 수 있다. After the vehicle is damaged, the operator may reuse only the bumper assembly by replacing only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10: 범퍼빔 130: 스테이플레이트
150: 스테이 160: 연결리브
171: 토잉탭 110: bumper beam 130: stay plate
150: stay 160: connecting rib
171: towing tap
Claims (8)
상기 범퍼빔에 연결되고 내부에 관통공간이 형성되는 스테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토잉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토잉부는
상기 관통공간 내부에서 상기 스테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채널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토잉튜브와,
상기 관통공간의 내면과 상기 토잉튜브의 외면 사이에는 연결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토잉튜브에 형성된 연결채널의 내부에는 나사산형상의 토잉탭이 구비되고,
상기 토잉튜브는 상기 범퍼빔과 연결되는 전방에 비하여 상기 토잉탭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부벽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일체형 알루미늄 범퍼 어셈블리.
An aluminum bumper beam extending to one side;
A stay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and having a through space formed therein,
A cylindrical towing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stay, and the towing portion
A cylindrical towing tube extending in the through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y and having a connecting channel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It comprises a connecting rib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owing tube,
A thread-shaped towing tab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channel formed in the towing tube.
The towing tube is integral to the aluminum bump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end wall of the portion extending to the rear relative to the towing tab is formed thicker than the front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The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towing part is provided to be connected from the front of the stay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to the rear of the stay.
4. The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are radially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owing tube.
6. The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plate-shaped stay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bumper beam and the stay.
7. The towing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ay and the connecting rib provided in the stay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of aluminum.
8. The towing of claim 7, wherein the bumper beam, the stay plate, and the towing portions of the stay are formed with beam holes, plate holes, and connection channels, respectively, and the beam holes, plate holes, and connection channel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tegral aluminum bumper assemb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621A KR101363909B1 (en) | 2012-03-21 | 2012-03-21 | Aluminium bumper assembly with tow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621A KR101363909B1 (en) | 2012-03-21 | 2012-03-21 | Aluminium bumper assembly with tow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6939A KR20130106939A (en) | 2013-10-01 |
KR101363909B1 true KR101363909B1 (en) | 2014-02-20 |
Family
ID=4963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8621A Active KR101363909B1 (en) | 2012-03-21 | 2012-03-21 | Aluminium bumper assembly with tow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390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6773B1 (en) * | 2017-03-14 | 2018-06-12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Rear side member assembly for vehicl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2136A (en) * | 2001-06-21 | 2003-01-08 | Nissan Motor Co Ltd | Towing hook installation structure for automobile |
US20060255603A1 (en) * | 2005-05-12 | 2006-11-16 | Olivier Rebuffet | Bumper system |
KR101046170B1 (en) * | 2009-07-27 | 2011-07-04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Car Crash Box |
-
2012
- 2012-03-21 KR KR1020120028621A patent/KR1013639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2136A (en) * | 2001-06-21 | 2003-01-08 | Nissan Motor Co Ltd | Towing hook installation structure for automobile |
US20060255603A1 (en) * | 2005-05-12 | 2006-11-16 | Olivier Rebuffet | Bumper system |
KR101046170B1 (en) * | 2009-07-27 | 2011-07-04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Car Crash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6939A (en) | 2013-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48318B2 (en) | Body front structure | |
JP5979084B2 (en) | Body front structure | |
KR101588752B1 (en) |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for coping with small overlap collision | |
US7300080B2 (en) | Bumper system | |
CN104903154B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US9771106B2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US9663147B2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of a vehicle | |
KR101134946B1 (en) | A mounting method of bumper beam | |
US8651564B2 (en) | Polygonal cross-sectional frame, and rear vehicle body structure | |
WO2016148635A1 (en) | Progressive crash box member and its arrangement | |
KR102557313B1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US10464609B2 (en) | Small overlap impact countermeasure for vehicle | |
CN106660504B (en) | vehicle bumper | |
KR20150145356A (en) | Bumper back beam for vehicle | |
KR100775806B1 (en) | Car Crash Box | |
KR101363909B1 (en) | Aluminium bumper assembly with towing | |
KR100932673B1 (en) | Car Crash Box | |
JP6610232B2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KR101270938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
KR102054508B1 (en) | Bumper stay for vehicles and bumper beam unit using this | |
KR101338046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WO2011108080A1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KR101588801B1 (en) |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for coping with front collision | |
KR101286685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KR101669014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