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560B1 -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3560B1 KR101363560B1 KR1020120021397A KR20120021397A KR101363560B1 KR 101363560 B1 KR101363560 B1 KR 101363560B1 KR 1020120021397 A KR1020120021397 A KR 1020120021397A KR 20120021397 A KR20120021397 A KR 20120021397A KR 101363560 B1 KR101363560 B1 KR 1013635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st
- touch screen
- selection
- item
- orig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도 2의 단계 101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원본 리스트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단계 103에서의 판별 결과가 표시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위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의 터치 스크린의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d는 이동 영역이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는 방향과 관련되어 결정되는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e는 하나의 선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f는 도 4e에서 원본 리스트가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될 경우에 나타나는 터치 스크린의 화면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g는 도 4e에서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E가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후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h는 도 4g에서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H도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후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i는 도 4h에서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N이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하는 도중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j는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들도 스크롤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k는 도 4h에서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N이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하는 도중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모습의 다른 예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l은 선택 리스트에 많은 선별 데이터가 포함됨에 따라서 아이템의 크기를 줄여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m은 선택 리스트에 많은 선별 데이터가 포함됨에 따라서 아이템의 크기를 줄여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의 다른 예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n은 선택 리스트가 반투명하게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4h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아래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의 터치 스크린의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아래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에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이 원본 리스트로 이동한 후의 터치 스크린의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10 : 메모리
20 : 터치 스크린
30 : 제어부
Claims (23)
-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원본 리스트로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스크롤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와는 구별되는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템이 제1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일 영역인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은 상기 선택 리스트의 위치와 크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함에 따라서 상기 원본 리스트의 영역 내에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2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상기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 리스트에 대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들도 스크롤될 수 있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첫 번째 아이템이 위치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은 상기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는 방향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되 상기 이동 영역에서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의 원래 위치로 복원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스크롤 이전에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선택 리스트에 고정시키는 고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로 복원시키지 않고 그대로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조건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리스트를 상기 원본 리스트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고 있으면 상기 선택 리스트를 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만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지 않고 있으면 상기 선택 리스트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 (a)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원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와는 구별되는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 상기 (c)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아이템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일 영역인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은 상기 선택 리스트의 위치와 크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함에 따라서 상기 원본 리스트의 영역 내에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e)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2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상기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 리스트에 대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들도 스크롤될 수 있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f)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스크롤하되, 상기 이동 영역에서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의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g) 상기 (b)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상기 선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선택 리스트를 상기 원본 리스트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고 있으면 상기 선택 리스트를 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만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지 않고 있으면 상기 선택 리스트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1397A KR101363560B1 (ko) | 2012-02-29 | 2012-02-29 |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
US13/546,335 US9112966B2 (en) | 2012-02-29 | 2012-07-11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device |
EP12184068.0A EP2635008A1 (en) | 2012-02-29 | 2012-09-12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1397A KR101363560B1 (ko) | 2012-02-29 | 2012-02-29 |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9697A KR20130099697A (ko) | 2013-09-06 |
KR101363560B1 true KR101363560B1 (ko) | 2014-02-18 |
Family
ID=4693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1397A Active KR101363560B1 (ko) | 2012-02-29 | 2012-02-29 |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112966B2 (ko) |
EP (1) | EP2635008A1 (ko) |
KR (1) | KR10136356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1162B1 (ko) * | 2011-08-30 | 2014-01-14 | 주식회사 팬택 |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
EP2632119A1 (en) * | 2012-02-27 | 2013-08-28 | Doro AB | Two-mode access linear UI |
KR101952177B1 (ko) * | 2012-07-30 | 2019-0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KR20140058212A (ko) * | 2012-11-06 | 2014-05-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객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US10437452B2 (en) * | 2013-05-20 | 2019-10-08 | Rakuten, Inc.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
KR102040611B1 (ko) * | 2013-05-31 | 2019-1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USD741875S1 (en) | 2013-06-10 | 2015-10-27 | Apple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D750658S1 (en) | 2013-09-10 | 2016-03-01 | Apple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9818325B2 (en) * | 2013-11-01 | 2017-11-14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Data processor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by |
USD763299S1 (en) | 2013-11-26 | 2016-08-09 | Apple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
US9411422B1 (en) | 2013-12-13 | 2016-08-09 | Audible, Inc. | User interaction with content markers |
JP6331466B2 (ja) * | 2014-02-27 | 2018-05-30 | 日本電気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10025461B2 (en) * | 2014-04-08 | 2018-07-17 | Oath Inc. | Gesture input for item selection |
USD754712S1 (en) * | 2014-06-04 | 2016-04-26 | Salesforce.Com,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
US9785331B2 (en) * | 2014-06-27 | 2017-10-10 | Symbol Technologies, Llc | One touch scroll and select for a touch screen device |
KR101728358B1 (ko) | 2014-08-25 | 2017-04-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KR101685288B1 (ko) * | 2015-05-11 | 2016-12-09 | 주식회사 카카오 |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 및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
KR101739388B1 (ko) * | 2015-10-07 | 2017-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N106873955A (zh) * | 2016-06-07 | 2017-06-20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动态列表的显示方法、装置、设备和系统 |
US10417231B2 (en) | 2016-06-28 | 2019-09-17 | Walmart Apollo, Llc |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locating a receipt for a product |
JP6617724B2 (ja) * | 2017-01-26 | 2019-12-11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10430064B2 (en) * | 2018-01-29 | 2019-10-01 | Amazon Technologies, Inc. | Techniques for utilizing translucent user interface elements |
JP6562115B2 (ja) * | 2018-04-27 | 2019-08-21 | 日本電気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JP7131110B2 (ja) * | 2018-06-18 | 2022-09-06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JP7172276B2 (ja) * | 2018-08-20 | 2022-11-16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JP7077182B2 (ja) * | 2018-08-27 | 2022-05-30 | シャープ株式会社 |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7372987B2 (ja) * | 2019-12-27 | 2023-11-0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0818A (ko) * | 2008-08-13 | 2010-0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KR20110037298A (ko) * | 2009-10-06 | 2011-04-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12732B2 (ja) * | 2005-03-31 | 2009-08-12 |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
KR101192988B1 (ko) | 2006-03-23 | 2012-10-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US7986418B2 (en) * | 2007-05-25 | 2011-07-26 | Kabushiki Kaisha Toshiba | Driver apparatus, process control method, process control program |
KR101320919B1 (ko) | 2008-01-29 | 2013-10-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분할 화면을 통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
KR101470543B1 (ko) | 2008-02-15 | 2014-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KR20100035474A (ko) | 2008-09-26 | 2010-04-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
KR101791540B1 (ko) | 2009-06-08 | 2017-10-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
KR101623783B1 (ko) * | 2009-10-08 | 2016-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데이터 추출 방법 |
KR101660723B1 (ko) | 2009-11-30 | 2016-09-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2012
- 2012-02-29 KR KR1020120021397A patent/KR101363560B1/ko active Active
- 2012-07-11 US US13/546,335 patent/US9112966B2/en active Active
- 2012-09-12 EP EP12184068.0A patent/EP2635008A1/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0818A (ko) * | 2008-08-13 | 2010-0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KR20110037298A (ko) * | 2009-10-06 | 2011-04-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35008A1 (en) | 2013-09-04 |
US20130222435A1 (en) | 2013-08-29 |
KR20130099697A (ko) | 2013-09-06 |
US9112966B2 (en) | 2015-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3560B1 (ko) |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 |
KR102580796B1 (ko) |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 |
US10162482B2 (en) |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 |
CN109753326B (zh) | 处理方法、装置、设备和机器可读介质 | |
US10152196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a message-based conversation for grouping of messages | |
US20130318437A1 (en) |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 |
CN105144071A (zh) | 用于管理同时打开的软件应用程序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 |
KR20100051105A (ko) | 아이템 리스트와의 상호작용 방법 | |
CN102640101A (zh) | 用于提供用户接口的方法及装置 | |
KR20100124439A (ko) | 목록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CN106325842B (zh) | 访问智能终端同类应用的方法、装置及智能终端 | |
US20180181295A1 (en) |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terminal equipment | |
WO2018112925A1 (zh) | 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 |
WO2019085820A1 (zh) | 处理方法、装置、设备和机器可读介质 | |
KR20140036576A (ko) | 카테고리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
CN117908728A (zh) | 用于与对应于应用程序的用户界面对象进行交互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 |
US9753630B1 (en) | Card stack navigation | |
US20170083212A1 (en) | Application program preview interfa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CN113268182A (zh) | 应用图标的管理方法和电子设备 | |
US9959010B1 (en) |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terminal equipment | |
WO2023045927A1 (zh) | 对象移动方法和电子设备 | |
US11132104B1 (en) | Managing user interface items in a visual user interface (VUI) | |
CN111399724A (zh) | 系统设置项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CN107102797A (zh) | 一种对选定的对象内容执行搜索操作的方法及终端 | |
CN108885527B (zh) | 在压力触控屏上操作多个对象的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