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854B1 - Connector device - Google Patents
Connect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2854B1 KR101362854B1 KR1020130129441A KR20130129441A KR101362854B1 KR 101362854 B1 KR101362854 B1 KR 101362854B1 KR 1020130129441 A KR1020130129441 A KR 1020130129441A KR 20130129441 A KR20130129441 A KR 20130129441A KR 101362854 B1 KR101362854 B1 KR 101362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slide
- slide block
- connecting portion
- coupling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로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수용 영역, 상기 제1 수용 영역에 구비되는 제1 핀, 상기 제1 핀이 삽입되는 중공형 핀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용 영역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수용 영역, 및 상기 제2 수용 영역에 구비되는 제2 핀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제2 수용 영역에 슬라이드 결합할 때 상기 제2 핀이 상기 중공형 핀에 삽입될 수 있다.A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ng device including a first connecting part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art includes a first main body and an inner side of the first main body. And a slide block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area provided therein, a first pin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and a hollow pin into which the first pin is inserted,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second main body, a second accommodating area provided inside the second main body, and a second pin provid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wherein the slide block includes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The second pin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in when the slide is engag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두 구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핀과 플러그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 따르는 경우, 한 구조물에 핀을 구비하고 다른 구조물에 이 핀이 삽입되는 플러그를 구비한 뒤 핀이 플러그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두 구조물을 연결한다.It is known to use pins and plugs to electrically connect two structures. According to this method, two structures are connected by having a pin in one structure and a plug into which the pin is inserted in the other structure and then allowing the pin to be inserted into the plug.
일반적으로 핀이 구조물에서 돌출하여 있으므로, 두 구조물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연결되는 경우에는 핀이 플러그에 쉽게 삽입되므로 문제가 없다.In general, since the pins protrude from the structure, there is no problem because the pins are easily inserted into the plug when the two structures are connected in opposite directions.
그러나 두 구조물이 연결되는 방향이 다른 경우, 예를 들면 두 구조물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상대 회전하여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한 구조물의 핀이 다른 구조물의 플러그에 직선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하면서 삽입되므로 핀의 단부가 플러그의 단부에 충격을 가하거나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when the two structures are conn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when the two structures are hing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elative rotation. In this case, the pin of one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plug of the other structure rather than inserted in a linear dir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pin may impact or damage the end of the plug.
또한, 한 구조물이 다른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한 후에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 돌출된 핀 때문에 이러한 이동이 불가능하거나 공정이 매우 복잡해질 수 있어 문제가 된다.In addition, if one structure needs to be connected after moving along the surface of another structure, the protruding pins make this movement impossible or the process very complicated, which is problematic.
본 발명은 구조물의 연결 방향에 상관 없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로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수용 영역, 상기 제1 수용 영역에 구비되는 제1 핀, 상기 제1 핀이 삽입되는 중공형 핀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용 영역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수용 영역, 및 상기 제2 수용 영역에 구비되는 제2 핀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제2 수용 영역에 슬라이드 결합할 때 상기 제2 핀이 상기 중공형 핀에 삽입될 수 있다.A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ng device including a first connecting part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art includes a first main body and an inner side of the first main body. And a slide block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area provided therein, a first pin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and a hollow pin into which the first pin is inserted,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second main body, a second accommodating area provided inside the second main body, and a second pin provid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wherein the slide block includes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The second pin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in when the slide is engaged.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본체에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lide groove, the slide block may be provided with a slide lever movable along the slide groove.
또한,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1 핀에 평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groove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pin.
또한,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1 본체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groove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폭은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lide lever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lide groove.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버에는 레버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 손잡이의 폭은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lever is provided with a lever handle, the width of the lever handle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lide groove.
또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본체에 제1 결합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제2 결합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 구멍과 상기 제2 결합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체결하는 체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hole in the first body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a second coupling hole in the slide block, and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he first body and the slide block.
또한,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제1 수용 영역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2 수용 영역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체결할 수 있다.The fastening device may fasten the slide block with the first body in a state where the slide block protrudes from the first accommodation area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area.
또한, 상기 체결 장치는 볼트 또는 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device may be a bolt or a p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에 따르면 구조물의 연결 방향에 상관 없이 구조물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can be easily connected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8은 도 1의 연결 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이용한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이용한 제3 구조물과 제4 구조물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necting device of FIG.
9 to 11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connecting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us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6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the third structure and the fourth structure using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spectively,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specification, a singular form may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는, 제1 연결부(100) 및 제1 연결부(100)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 연결부(100)는, 제1 본체(101), 제1 수용 영역(103), 제1 핀(105) 및 중공형 핀(107)을 내장한 슬라이드 블록(109)을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ng
제1 본체(10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제1 수용 영역(103)이 구비된다. 제1 수용 영역(103)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한 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블록(109)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제1 본체(101)의 상측에는 슬라이드 홈(111)이 구비된다. 슬라이드 홈(111)은 제1 본체(101)의 길이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홈(111)의 길이는 제1 본체(10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The
제1 본체(101)의 슬라이드 블록(109) 쪽 단부 양측에는 제1 결합 구멍(11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핀(105)은 제1 수용 영역(103)에 소정 길이로 구비된다. 제1 핀(105)은 제1 본체(101)의 폭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핀(105)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여러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핀(105)은 원통형이고 그 외경은 슬라이드 블록(109)에 내장된 중공형 핀(107)의 내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핀(105)은 중공형 핀(107)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핀(105)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슬라이드 블록(109)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에 중공형 핀(107)이 구비된다. 슬라이드 블록(109)의 크기(예를 들면, 폭, 길이, 및 높이)는 제1 수용 영역(103)의 크기(예를 들면, 폭, 길이, 및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으므로 제1 수용 영역(10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중공형 핀(107)은 슬라이드 블록(109)의 내측에 소정 길이로 구비된다. 중공형 핀(107)은 제1 핀(105)과 같은 개수로 슬라이드 블록(109)의 폭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중공형 핀(107)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슬라이드 블록(109)의 제1 연결부(100) 쪽 단부 중앙에는 슬라이드 레버(113)가 구비된다. 슬라이드 레버(113)는 슬라이드 블록(109)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제1 연결부(100)의 슬라이드 홈(111)에 삽입된다. 슬라이드 레버(113)의 폭은 슬라이드 홈(111)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좁으므로 슬라이드 홈(1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한편, 슬라이드 레버(113)의 상단에는 레버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버 손잡이의 폭은 슬라이드 홈(111)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A
한편, 슬라이드 블록(109)의 제1 연결부(100) 쪽 단부 양측에는 제2 결합 구멍(117)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결합 구멍(117)은 제1 연결부(100)의 제1 결합 구멍(115)과 연통할 수 있으므로 제1 결합 구멍(115)과 제2 결합 구멍(117)을 통해 제1 본체(101)와 슬라이드 블록(109)을 체결하는 체결 장치(1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장치는 볼트 또는 핀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제2 연결부(200)는, 제2 본체(201), 제2 수용 영역(203) 및 제2 핀(205)을 포함한다.The
제2 본체(20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제2 수용 영역(203)이 구비된다. 제2 수용 영역(203)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한 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블록(109)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제2 핀(205)은 제2 수용 영역(103)에 소정 길이로 구비된다. 제2 핀(205)은 제2 본체(201)의 폭 방향(도 1의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핀(205)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여러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핀(205)은 원통형이고 그 외경은 슬라이드 블록(109)에 내장된 중공형 핀(107)의 내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핀(205)은 중공형 핀(107)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핀(205)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작동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내지 도 8은 도 1의 연결 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to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nection device of FIG.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홈(111)을 따라 슬라이드 레버(113)를 후퇴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블록(109)을 제1 연결부(100)의 제1 수용 영역(103)에 삽입한다. 이 경우 중공형 핀(107)의 내측으로 제1 핀(105)이 삽입된다. 또한, 이 경우 제1 수용 영역(103)의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드 블록(109)의 단부 표면과 제1 연결부(100)의 단부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2 to 4, the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200)를 제1 연결부(100)에 맞닿게 한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connecting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홈(111)을 따라 슬라이드 레버(113)를 전진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블록(109)을 제2 연결부(200)의 제2 수용 영역(203)에 삽입한다. 이 경우 중공형 핀(107)의 내측으로 제2 핀(205)이 삽입된다. 한편, 중공형 핀(107)의 제1 연결부(100) 쪽 단부에는 제1 핀(105)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1 핀(105)과 제2 핀(205)이 중공형 핀(107)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6 and 7, the
마지막으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 장치(119)를 제1 결합 구멍(115)과 제2 결합 구멍(117)에 삽입하여 제1 본체(101)와 슬라이드 블록(109)을 체결한다. 이 경우 슬라이드 블록(109)이 제1 수용 영역(103)으로 후퇴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1 연결부(100)와 제2 연결부(200)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Finally, as shown in FIG. 8, the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이용한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to 11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connecting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us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구조물(901)과 제2 구조물(903)은 힌지(905)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힌지(905)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제1 연결부(100)와 제2 연결부(200)를 구비한다. 제1 구조물(901)과 제2 구조물(903)을 연결하려면 힌지(903)에 의해 제1 구조물(901)과 제2 구조물(903)이 상대 회전을 해야 한다. 제1 구조물(901)과 제2 구조물(903)의 표면이 서로 접촉할 때까지 상대 회전한 후 제1 연결부(100)의 슬라이드 레버(113)을 밀어서 슬라이드 블록(109, 도 1 참조)을 제2 연결부(200)의 제2 수용 영역(203, 도 1 참조)에 삽입하면 제1 구조물(901)과 제2 구조물(903)이 쉽게 연결된다. 이후 체결 장치(119, 도 11 참조)를 이용하여 제1 구조물(901)과 슬라이드 블록(109)을 더욱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
9 to 11, the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이용한 제3 구조물과 제4 구조물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to 16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the third structure and the fourth structure using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3 구조물(1201)에 제1 연결부(100)가 구비되고, 제4 구조물(1203)에 제2 연결부(200)가 구비된다. 제1 연결부(100)가 제3 구조물(1201)의 내측에 구비되고 제3 구조물(1201)의 구조가 다소 복잡하다. 그러므로 제4 구조물(1203)을 제1 연결부(100)가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려면 제3 구조물(1201)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 제3 구조물(1201)의 표면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야 한다. 그런데 제1 연결부(100)의 제1 핀(105, 도 1 참조) 및 슬라이드 블록(109, 도 1 참조)이 제1 연결부(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고 제2 연결부(200)의 제2 핀(205, 도 1 참조) 역시 제2 연결부(200)의 내측에 구비되므로 제4 구조물(1203)이 제3 구조물(1201)의 표면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데 지장이 없다.12 to 16, the
한편, 제1 연결부(100)와 제2 연결부(200)가 맞닿을 때까지 제4 구조물(1203)을 수평 이동한 후 제1 연결부(100)의 슬라이드 레버(113)을 밀어서 슬라이드 블록(109, 도 1 참조)을 제2 연결부(200)의 제2 수용 영역(203, 도 1 참조)에 삽입하면 제3 구조물(1201)과 제4 구조물(1203)이 쉽게 연결된다. 이후 체결 장치(119, 도 16 참조)를 이용하여 제1 구조물(901)과 슬라이드 블록(109)을 더욱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 연결부 101: 제1 본체
103: 제1 수용 영역 105: 제1 핀
107: 중공형 핀 109: 슬라이드 블록
111: 슬라이드 홈 113: 슬라이드 레버
115: 제1 결합 구멍 117: 제2 결합 구멍
119: 체결 장치 200: 제2 연결부
201: 제2 본체 203: 제2 수용 영역
205: 제2 핀 901: 제1 구조물
903: 제2 구조물 905: 힌지
1201: 제3 구조물 1203: 제4 구조물100: first connecting portion 101: first body
103: first receiving region 105: first fin
107: hollow pin 109: slide block
111: slide groove 113: slide lever
115: first coupling hole 117: second coupling hole
119: fastening device 200: second connection portion
201: second body 203: second receiving area
205: second fin 901: first structure
903: second structure 905: hinge
1201: third structure 1203: fourth structure
Claims (9)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수용 영역,
상기 제1 수용 영역에 구비되는 제1 핀, 및
상기 제1 핀이 삽입되는 중공형 핀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용 영역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수용 영역, 및
상기 제2 수용 영역에 구비되는 제2 핀
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제2 수용 영역에 슬라이드 결합할 때 상기 제2 핀이 상기 중공형 핀에 삽입되는 연결 장치.In the connec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first body,
A first accommodating reg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A first pin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region, and
The slide block is provided with a hollow pin into which the first pin is inserted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receiving region.
/ RTI >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second body,
A second accommodation region provided inside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fin provided in the second receiving region
/ RTI >
And the second pi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in when the slide block slides into the second receiving area.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본체에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가 구비되는 연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ody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lide groove,
And the slide block includes a slide lever movable along the slide groove.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1 핀에 평행한 연결 장치.In claim 2,
And the slide groove is parallel to the first pin.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1 본체의 길이보다 짧은 연결 장치.In claim 3,
And the slide groove is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first body.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폭은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보다 좁은 연결 장치.In claim 4,
And the width of the slide lever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lide groove.
상기 슬라이드 레버에는 레버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 손잡이의 폭은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보다 넓은 연결 장치.In claim 5,
The slide lever is provided with a lever handle,
And the width of the lever handle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lide groove.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제1 본체에 제1 결합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제2 결합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 구멍과 상기 제2 결합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체결하는 체결 장치를 더 포함하는 연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first coupling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body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slide block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hole,
And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he first body and the slide block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제1 수용 영역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2 수용 영역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체결하는 연결 장치.In claim 7,
The fastening device is a connecting device for fastening the first block and the slide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block protrudes from the first receiving area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area.
상기 체결 장치는 볼트 또는 핀인 연결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fastening device is a bolt or a p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441A KR101362854B1 (en) | 2013-10-29 | 2013-10-29 | Connecto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441A KR101362854B1 (en) | 2013-10-29 | 2013-10-29 | Connector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2854B1 true KR101362854B1 (en) | 2014-02-14 |
Family
ID=5027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9441A Active KR101362854B1 (en) | 2013-10-29 | 2013-10-29 | Connector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285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8841A (en) | 2001-12-10 | 2003-06-27 | Sharp Corp | Connector for fpc |
JP2009004381A (en) | 2003-05-31 | 2009-01-08 | Woodhead Industries Inc | Electrical connector |
KR100936333B1 (en) | 2007-11-19 | 2010-01-1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with variable mating angle |
KR101214847B1 (en) | 2011-04-13 | 2012-12-24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with slide lever |
-
2013
- 2013-10-29 KR KR1020130129441A patent/KR1013628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8841A (en) | 2001-12-10 | 2003-06-27 | Sharp Corp | Connector for fpc |
JP2009004381A (en) | 2003-05-31 | 2009-01-08 | Woodhead Industries Inc | Electrical connector |
KR100936333B1 (en) | 2007-11-19 | 2010-01-1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with variable mating angle |
KR101214847B1 (en) | 2011-04-13 | 2012-12-24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with slide lev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00705B2 (en) | Safety door for a rotatable power supply socket | |
CN105190321B (en) | Probe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using probe | |
JP5392522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USB connector | |
US20140273613A1 (en) | Connector cable for multiple connectors | |
CN103972688B (en) | swivel plug | |
ES2354464T3 (en) | CONNECTION CONTACT FOR ELECTRICAL CONDUCTORS. | |
TWI586966B (en) | Probe and electronic device with probe | |
JP2015507341A5 (en) | ||
CN108512012B (en) | Terminal board | |
US7635286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9444171B1 (en) | Fast wire connector | |
TWI603538B (en) | Connector | |
US8545241B2 (en) | USB flash drive | |
KR101362854B1 (en) | Connector device | |
TWI627801B (en) | Retractable plug device | |
JP5650316B2 (en) | Electric plug-in contact | |
US20150056837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8218246A (en) | Connector with protective cover | |
US20120129377A1 (en) | Card-Edge Connector | |
JP2018059766A (en) | Probe pin and inspection unit | |
TW201830786A (en) | Electric contact and socket for electric component | |
KR20130064920A (en) | Interposer for interposer socket and interposer socket | |
TW201830545A (en) | Electric contact and socket for electric component | |
KR100996146B1 (en) | Fix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center contact fin of femail connector | |
JP2014175086A (en) | Connector fit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