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1665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665B1
KR101361665B1 KR1020070017476A KR20070017476A KR101361665B1 KR 101361665 B1 KR101361665 B1 KR 101361665B1 KR 1020070017476 A KR1020070017476 A KR 1020070017476A KR 20070017476 A KR20070017476 A KR 20070017476A KR 101361665 B1 KR101361665 B1 KR 101361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uffer member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buff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810A (ko
Inventor
박성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66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66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의 몰드프레임에 외부 충격에 표시패널을 완충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된다. 완충부재는 표시패널과 맞닿는 부분에 굴곡된 형상을 갖도록 벤딩되어 몰드프레임과 결합된다. 따라서, 완충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표시패널과 몰드프레임의 이격거리가 가까울수록, 완충부재가 표시패널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완충부재는 몰드프레임에 가해진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완충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바텀샤시, 몰드프레임 및 액정표시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바텀샤시, 몰드프레임 및 액정표시패널이 제 1 결합상태로 결합할 때,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바텀샤시, 몰드프레임 및 액정표시패널이 제 2 결합상태로 결합할 때,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탑샤시 20 -- 액정표시패널
30 -- 몰드프레임 40 -- 광학시트
45 -- 확산판 50 -- 램프
60 -- 사이드몰드 65 -- 반사판
70 -- 백라이트 어셈블리 80 -- 바텀샤시
100 -- 사이드 몰드 200 --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충격에 의한 표시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용 장치로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수납용기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수납용기와 결합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몰드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몰드프레임에 의해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는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외부 충격이 전달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거나 지지하는 상기 수납용기 및 상기 몰드프레임은 상기 표시패널에 외부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외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충격에 표시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표시패널, 수납용기, 몰드프레임 및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용기 내 수납되고, 광을 발생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광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수납용기 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을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몰드프레임은 상기 측벽과 대향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용기와 결합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표시패널을 완충하는 완충부재가 위치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일면에 굴곡면을 갖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져 상기 표시패널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부 간의 이격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표시패널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므로 상기 완충부재는 외부로부터 상기 표시패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와 함께 제시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는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간략화되거나 다소 과장되어진 것이며, 도면상에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200)는 수납공간을 제공하 는 바텀샤시 (80),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20),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을 지지하는 몰드프레임(30), 상기 바텀샤시(80)와 결합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전면을 커버하는 탑샤시(1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20)에 입력되는 광을 발생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70)를 포함한다.
상기 바텀샤시(80)는 바닥부(81) 및 상기 바닥부(81)로부터 연장된 측벽(82)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액정표시패널(2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를 비롯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200)의 구성부품을 수납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5), 컬러필터 기판(23)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5)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23)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로부터 광을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몰드프레임(30)은 상기 바텀샤시(80)의 상기 측벽(82)과 대향하는 프레임부(32) 및 상기 프레임부(32)로부터 연장된 패널 지지부(31)를 구비하여 상기 바텀샤시(80)와 결합한다. 상기 패널 지지부(31)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이 안착 되고, 상기 프레임부(32)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측부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부(32)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측부를 완충하는 완충부재(도 2의 100)가 위치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을 완충시켜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부재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는 램프들(50), 광학시트류(40), 확산판(45), 반사판(65) 및 사이드 몰드(10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들(50)은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램프들(50)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바텀샤시(80)와 결합된 상기 사이드 몰드(100)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고정된다.
상기 반사판(65)은 상기 램프들(50) 및 상기 바텀샤시(80)의 상기 바닥부(8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들(50)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이 위치한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또한, 상기 확산판(45)은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들(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20)에 공급되는 광의 휘도를 고르게 한다.
상기 광학시트류(40)는 상기 확산판(45)의 상부에 위치하고, 프리즘 시트(43) 및 보호시트(41)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즘 시트(43)는 상기 광을 집광하여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보호 시트(41)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프리즘 시트(43)에 안착되는 것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프리즘 시트(43)로부터 집광된 광을 액정표시패널(20)에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서 바텀샤시, 몰드프레임 및 액정표시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텀샤시의 측벽(82)과 상기 몰드프레임(30)의 프레임부(32)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측벽(82) 및 상기 프레임부(32)가 결합한다. 상기 프레임부(32)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측부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32)로부터 연장된 패널 지지부(31) 상에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이 안착된다.
상기 프레임부(32) 상에는 완충부재(100)가 형성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측부와 접촉한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장변 및 단변과 나란한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32) 상에 두 개씩 위치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을 완충시키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완충부재(1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장변 및 단변과 나란한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32) 상에 두 개 이상 위치할 수 있지만,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32) 상에는 서로 동일한 수의 상기 완충부재(1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바텀샤시, 몰드프레임 및 액정표시패널이 각각 제 1 결합상태 및 제 2 결합상태로 결합할 때,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재(1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과 접촉하는 완충부(102) 및 상기 완충부(102)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부(32)와 결합되는 결합부(101,103)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굴곡면을 구비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측부와 맞닿는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100)는 상기 프레임 부(32)와 상기 액정표시패널(20) 간의 이격거리가 외부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변하더라도, 상기 완충부재(100) 자체의 탄성으로 상기 프레임부(32)와 상기 액정표시패널(20) 간의 이격거리를 어느 일정한 이격거리로 이격시킨다.
상기 제 1 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과 상기 몰드프레임(30)의 프레임부(32)는 제 1 거리(L1)로 상호 간에 이격된다. 상기 몰드프레임(3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이 상기 제 1 결합상태로 결합할 때, 상기 완충부재(10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이 접촉하는 면적의 폭은 제 1 폭(W1)이다.
한편, 상기 제 2 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과 상기 몰드프레임(30)의 상기 프레임부(32)는 상기 제 1 거리(L1)보다 짧은 제 2 거리(L2)로 상호 간에 이격된다. 상기 몰드프레임(3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이 상기 제 2 결합상태로 결합할 때, 상기 완충부재(10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이 접촉하는 면적의 폭은 상기 제 1 폭(W1)보다 큰 값을 갖는 제 2 폭(W2)이다.
상기 제 1 결합상태를 외부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20)과 상기 몰드프레임(30)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의 결합상태로 가정하면, 상기 제 2 결합상태는 상기 제 1 결합상태에서 상기 몰드프레임(3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 상기 몰드프레임(30)이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을 향해 순간적으로 유동된 결합상태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상태에서, 즉, 상기 몰드프레임(30)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완충부재(1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0)과 접촉하는 면적의 폭은 증가한다. 상기 완충부재(100)가 상기 액정표시패널(20)과 접촉하는 면적의 폭이 증가되 면, 상기 프레임부(32) 및 상기 완충부재(100)를 통해 상기 액정표시패널(20)에 전해지는 단위면적당 외부 충격은 작아지므로 상기 액정표시패널(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몰드프레임에 외부의 충격에 표시패널을 완충하는 완충부재가 형성된다. 완충부재는 표시패널과 맞닿는 부분에 굴곡된 형상을 갖도록 벤딩되어 몰드프레임과 결합한다. 따라서, 몰드프레임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의 크기에 따라, 완충부재와 몰드프레임이 접촉하는 면적이 변하게 되어 몰드프레임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완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광을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
    상기 측벽과 대향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용기와 결합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몰드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굴곡면을 가져 상기 굴곡면과 접촉하는 상기 표시패널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일면에 상기 굴곡면을 갖도록 벤딩된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프레임부 간의 이격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완충부가 접촉하는 면적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져 다수의 측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다수의 측부들을 지지하고, 상기 다수의 측부들 각각과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상기 완충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70017476A 2007-02-21 2007-02-21 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61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476A KR101361665B1 (ko) 2007-02-21 2007-02-21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476A KR101361665B1 (ko) 2007-02-21 2007-02-21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10A KR20080077810A (ko) 2008-08-26
KR101361665B1 true KR101361665B1 (ko) 2014-02-13

Family

ID=3988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4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1665B1 (ko) 2007-02-21 2007-02-21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639B1 (ko) 2010-02-02 2012-03-0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10251023B (zh) * 2019-07-26 2024-11-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框架结构及洗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544A (ja) * 1994-06-23 1997-03-11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表示装置
JP2004516522A (ja) 2000-12-18 2004-06-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544A (ja) * 1994-06-23 1997-03-11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表示装置
JP2004516522A (ja) 2000-12-18 2004-06-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10A (ko)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4261B2 (en) Optical film support arrangement, and backlight module and LCD using the same
KR10168804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0015238A (ko) 액정표시장치
WO2015063852A1 (ja) 表示装置
CN105319768A (zh) 背光单元
US8770820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381328B1 (ko) 표시 장치
US7760285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61665B1 (ko) 표시장치
KR101157239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70090093A1 (en) Light source components and backlight modules
KR200157956Y1 (ko) 액정표시장치
KR20160141085A (ko) 백라이트 유닛 수납용 커버와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85400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90008042A (ko) 액정 표시 장치
KR19980083546A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구조
KR1012106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7769A (ko) 표시장치
KR2007009424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06000213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06005485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6815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0983500B1 (ko) 평판 표시 장치
KR20090092575A (ko) 액정표시장치
JP7284643B2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