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1571B1 -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571B1
KR101361571B1 KR1020120103278A KR20120103278A KR101361571B1 KR 101361571 B1 KR101361571 B1 KR 101361571B1 KR 1020120103278 A KR1020120103278 A KR 1020120103278A KR 20120103278 A KR20120103278 A KR 20120103278A KR 101361571 B1 KR101361571 B1 KR 10136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low
gas
cylinder head
head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13/0416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arranged in valve-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3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deflection device, e.g. scr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8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실린더 헤드커버 상에 오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가 개시된다. 실린더 헤드커버 상에 오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는, 블로 바이 가스의 입구부와 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 사이에 제1 드레인부와 제2 드레인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 드레인부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1차로 분리하여 상기 제1 드레인부로 보내는 제1 오일 분리부와; 상기 제2 드레인부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2차로 분리하여 상기 제2 드레인부로 보내는 제2 오일 분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오일 분리부는 블로 바이 가스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공극들이 형성된 다공 플레이트와, 상기 다공 플레이트를 거쳐 유속이 증가된 블로 바이 가스와 충돌하는 오일 분리 배리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VENTILATION APPARATUS FOR CYLINDER HEAD COV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린더 헤드커버에 제공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실린더 헤드커버에 제공되어 엔진의 블로 바이 가스(blow-by gas) 내 오일 미스트를 분리시키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내연기관의 엔진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블로 바이 가스는 미세한 오일 입자(즉, 오일 미스트)와 매연 및 수증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블로 바이 가스는 흡기계를 통해 연소실 내에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연소하며, 따라서, 오일의 소모량은 블로 바이 가스의 발생량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한편, 실린더 헤드에 결합되어 엔진 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장치로 벤틸레이션 장치가 있다. 이 벤틸레이션 장치는 연소시 발생하는 블로 바이 가스가 흡기계로 잘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크랭크 메커니즘의 왕복 회전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주기적인 체적 변화는 보상되어야 하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은 크랭크 케이스 내의 높은 가스속도를 유발한다. 이때 블로 바이 가스는 미세 오일을 함유하게 되고, 크랭크 케이스,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헤드커버를 지나 벤틸레이션 장치로 유입된다. 미세 오일, 즉, 오일 미스트가 함유되어 있는 블로 바이 가스는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보다 높은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을 함유하며, 연소실로 유입되어 불완전 연소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블로 바이 가스 내에 포함된 오일 미스트는 매연과 수증기 및 연료 등과 혼합되어 점성을 가지므로, 흡기 시스템 및 과급기 시스템 등에 흡착되어 성능저하 및 매연 발생을 유발한다.
이러한 이유로 벤틸레이션 장치에는 블로 바이 가스 내 오일 미스트를 분리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통상적인 벤틸레이션 장치는, 흡기계에서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오일 세퍼레이터 룸 내부에서 블로 바이 가스를 회오리 형태로 회전시고 이때 원심력으로 블로 바이 가스 내 오일 미스트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벤틸레이션 장치는 오일 세퍼레이터 룸이 실린더 헤드 커버와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된 복잡한 외장형 구조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커버와 오일 세퍼레이터 룸을 연결하는 인입 및 배출 포트의 연결 부위에서 블로 바이 가스가 누출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오일 세퍼레이터를 실린더 헤드 커버에 일체로 결합한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벤틸레이션 장치는 오일 세퍼레이터 내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부(들)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지며, 또한 오일 분리 효율이 떨어져 블로 바이 가스에 함유되어 나가는 오일의 양이 많다는 단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실린더 헤드커버 상에 제공되는 오일 퍼레이터의 구조가 간단하고 그 오일 세퍼레이터에 의한 오일 분리 효율이 높은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실린더 헤드커버 상에 오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의 오일 세퍼레이터는, 블로 바이 가스의 입구부와 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 사이에 제1 드레인부와 제2 드레인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 드레인부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1차로 분리하여 상기 제1 드레인부로 보내는 제1 오일 분리부와; 상기 제2 드레인부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2차로 분리하여 상기 제2 드레인부로 보내는 제2 오일 분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오일 분리부는 블로 바이 가스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공극들이 형성된 다공 플레이트와, 상기 다공 플레이트를 거쳐 유속이 증가된 블로 바이 가스와 충돌하는 오일 분리 배리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공극들은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전방면 및 후방면 각각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극들 각각은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전방면과 후방면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전방 연장부와 후방 연장부에 의해 상기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개방되며, 상기 전방 연장부와 상기 후방 연장부는 상기 다공 플레이트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화된 별물(別物) 파이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공 플레이트와 상기 오일 분리 배리어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섬유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섬유 부재는 상기 공극의 일측 개방단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일 분리 배리어는 요철 단면을 가진 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블로 바이 가스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과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오일 분리부는 상기 블로 바이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오일 분리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오일 분리핀은 상기 블로 바이 가스가 상기 복수의 유동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와류를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드레인부는, 오일이 흡기계의 흡기 부압에 의해 상기 제2 드레인부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막도록, 역류 방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을 타고 흐르는 오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내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는, 간단한 오일 세퍼레이터 구조를 가지며, 그 간단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블로 바이 가스 내 조대 오일 미스트 및 미세 오일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로 바이 가스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다공 플레이트와 유속이 증가된 오일 분리 배리어의 상호 협력에 의해 미세 오일 미스트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다공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의 공극들이 다공 플레이트의 전방면 및 후방면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으므로, 그 공극들 내로 오일이 원치 않게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다공 플레이트와 오일 분리 배리어 사이에 위치한 다공성 섬유 부재에 의해 오일 분리 효율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블로 바이 가스가 배출되는 출구부 또한 하우징 내측으로 돌출된 내부 연장부를 구비하여, 출구부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의 오일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하우징의 바닥판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하우징의 커버 케이싱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오일 세퍼레이터의 제2 오일 분리부를 블로 바이 가스 흐름의 상류 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오일 세퍼레이터의 제2 오일 분리부를 블로 바이 가스 흐름의 하류 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제2 오일 분리부의 오일 분리 배리어의 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제2 오일 분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의 오일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하우징의 바닥판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오일 세퍼레이터에서 하우징의 커버 케이싱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오일 세퍼레이터의 제2 오일 분리부를 블로 바이 가스 흐름의 상류 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오일 세퍼레이터의 제2 오일 분리부를 블로 바이 가스 흐름의 하류 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제2 오일 분리부의 오일 분리 배리어의 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제2 오일 분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실린더 헤드(3)의 일부 및 그 위에 결합된 실린더 헤드 커버(2)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는 실린더 헤드 커버(2) 상에 제공된 두개의 오일 세퍼레이터(1, 1')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1, 1')는 자동차의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 미스트를 분리하고, 이를 연소실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두개의 오일 세퍼레이터(1, 1') 중 하나의 오일 세퍼레이터(1)는 전부하 영역의 오일 세퍼레이터이고, 나머지 하나의 오일 세퍼레이터(1')는 부분 부하 영역의 오일 세퍼레이터이다.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1, 1') 각각은 세퍼레이터 하우징(10, 10')을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 하우징(10, 10') 및 그 내부에는 블로 바이 가스의 흐름을 허용하는 요소들과 블로 바이 가스 내 오일 미스트를 분리하는 요소들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의 오일 세퍼레이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이 이루어지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전부하 영역 세퍼레이터(1)에 대해서 주로 설명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1)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제1 오일 분리부(20) 및 제2 오일 분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오일 분리부(20)는 블로 바이 가스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일 미스트(이하, "조대 오일 미스트"라 함)를 분리하며, 상기 제2 오일 분리부(30)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오일 미스트(이하, "미세 오일 미스트"라 함)를 분리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커버 케이싱(10a)과 바닥판(10b)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바닥판(10b)이 실린더 헤드커버(2)와 별도로 제공된다. 하지만 상기 커버 케이싱(10a)이 상기 실린더 헤드커버(2; 도 1 참조)에 직접 결합됨으로써, 상기 실리더 헤드커버(2)가 상기 바닥판(10b)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린더 헤드커버(2)를 하우징(10)의 바닥(또는, 바닥판)으로 정의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바닥판(10b)에는 블로 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커버 케이싱(10a)의 측면에는 블로 바이 가스가 나가는 출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11)와 관련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0b)에는 입구 가이드(112)와 배리어형 가이드(114)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 가이드(112)는 상기 입구부(11)의 상부를 덮음과 동시에 측면이 사방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배리어형 가이드(114)는 상기 입구 가이드(112)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입구 가이드(112)와 상기 배리어형 가이드(114)는 상기 입구부(11)를 통해 유입된 블로 바이 가스를 상기 제1 오일 분리부(20)를 향해 효율적으로 유도한다.
상기 출구부(12)는, 하우징(10)의 내측면으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된 내부 연장부(122)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10)의 외측 방향은 물론이고 하우징(10)의 내측 방향으로도 돌출되어 있다. 상기 내부 연장부(122)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오일이 출구부(12)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는 오일이 블로 바이 가스 내에 다시 포함되어 배출될 가능성을 최소화시켜준다.
상기 하우징(10)의 커버 케이싱(10a)을 사출 성형하여 상기 내부 연장부(122)를 형성하기 어려운 경우, 파이프 형상의 별물(別物)을 금형에 배치한 후 하우징(10)의 일부인 커버 케이싱(10a)을 상기 별물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전술한 내부 연장부(122)를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0b)에는 전술한 제1 오일 분리부(20) 및 제2 오일 분리부(3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실린더 헤드로 내보내는 제1 드레인부(40) 및 제2 드레인부(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드레인부(50)에는 역류 방지 부재(52)가 설치되며, 상기 역류 방지 부재(52)는 흡기계의 급격한 흡기 부압에 의하여 오일이 상기 제2 드레인부(50)를 통해 역류되어 빨려 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b)에는 상기 제1 드레인부(40)를 향해 수렴하는 깔때기 형상의 제1 드레인 유도부(41)와 상기 제2 드레인부(50)를 향해 수렴하는 깔때기 형상의 제2 드레인 유도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드레인 유도부(41)는 상기 제1 오일 분리부(30)의 설치 영역을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오일 분리부(30)로부터 상기 제1 드레인부(40)까지 아래로 경사지에 이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2 드레인 유도부(51)는, 일측에서 상기 제2 오일 분리부(30)로부터 상기 제2 드레인부(50)까지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이어지는 한 한편, 타측에서 상기 출구부(12) 부근으로부터 상기 제2 드레인부(50)까지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이어져 있다.
상기 제1 오일 분리부(20)는, 비교적 큰 입자의 오일 미스트, 즉, 조대 오일 미스트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1 드레인부(40)의 직상 영역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 복수의 오일 분리 핀(oil separating fin; 22)들을 포함한다. 상기 오일 분리 핀(fin)들은 블로 바이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유동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블로 바이 가스가 상기 복수의 유동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와류를 일으키도록 해준다. 또한, 와류를 일으키면서 유동하는 블로 바이 가스는 상기 오일 분리 핀(22)들과 빈번히 충돌하며, 그 과정에서 블로 바이 가스 내 오일 미스트가 분리된다. 상기 와류 형성을 돕도록, 상기 오일 분리 핀(22)들 각각은 굴곡진 분기부 또는 연장부(222)들을 일체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오일 분리 핀(22)들은 커버 케이싱(10a)의 내측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오일 분리부(30)는, 비교적 작은 입자의 오일 미스트, 즉, 미세 오일 미스트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1 오일 분리부(20)와 상기 출구부(12)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 오일 분리부(30)의 후방 측에 제2 드레인부(50)가 위치하며, 상기 제2 오일 분리부(20)에서 분리된 미세 입자의 오일은 전술한 제2 드레인 유도부(51)를 거쳐 상기 제2 드레인부(50)로 보내지며, 상기 제2 드레인부(50)를 통해 배출 오일은 실린더 헤드 측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2 오일 분리부(30)는 블로 바이 가스의 유로를 덮도록 설치되며, 블로 바이 가스의 흐름 방향을 따라 다공 플레이트(32)와 오일 분리 배리어(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공 플레이트(32)와 오일 분리 배리어(34) 사이에는 오일 분리 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다공성 섬유 부재(3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32)는 다수의 공극(322)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공극(322) 각각은 블로 바이 가스의 유로 역할을 하면서 그 유로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블로 바이 가스의 유속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속이 급격하게 증가된 블로 바이 가스가 오일 분리 배리어(34)에 충돌함으로써, 블로 바이 가스 내 미세 입자의 오일 미스트가 상기 블로 바이 가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섬유 부재(33)는 플리스(fleece)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며, 상기 다공 플레이트(32)와 상기 오일 분리 배리어(34)를 도와 오일의 분리 효율을 높인다.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 플레이트(32)의 공극(322)들 각각은, 플랜지 형태로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전방 연장부 및 후방 연장부에 의해,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는 블로 바이 가스의 빠른 유속에 의해 오일이 상기 다공 플레이트(32) 전방 및 후방 벽면을 따라 상기 공극(322) 내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전술한 것과 같은 다공 플레이트(32)의 구조를 만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321)가 상기 다공 플레이트(32)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상기 다공 플레이트(32)에 일체화되며, 이에 의해, 상기 공극(322)의 전방 연장부와 후방 연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321)를 일체로 갖는 다공 플레이트(32)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별물(別物) 파이프(321)를 미리 준비하고, 상기 다공 플레이트(32)의 사출 성형시, 상기 별물 파이프(321)를 다공 플레이트(32)와 일체화하는 방식이 유리하게 적용될 있다. 상기 다공 플레이트(32)의 공극(322)들의 개수와 상기 파이프(32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공극(322)들의 후방 연장부 길이 및 전방 연장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을 높이고 및 압력 손실을 줄이는 방식의 구조 최적화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다공성 섬유 부재(33)는, 일단 설치되면 교체 없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다공 플레이트(32), 특히, 공극(322)의 일측 개방단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다공성 섬유 부재(33)의 노후시, 상기 다공성 섬유 부재(33)의 다공이 막혀 블로 바이 가스의 흐름을 막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극(322)의 일측 개방단을 상기 다공성 섬유 부재(33)와 이격시키면, 블로 바이 가스가 상기 다공성 섬유 부재(33) 주변으로 우회하여 상기 분리 배리어(34)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분리 배리어(34)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되, 상기 하우징(10) 바닥과는 이격되어 갭을 형성한다. 상기 갭을 통해 블로 바이 가스가 상기 배출구(12)를 향해 계속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배리어(34)는 블로 바이 가스와의 충돌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요철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의 볼록부(342)와 오목부(344)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이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1, 1': 오일 세퍼레이터 2: 실린더 헤드커버
10, 10': 하우징 11: 입구부
12: 출구부 20: 제1 오일 분리부
22: 오일 분리 핀 30: 제2 오일 분리부
32: 다공 플레이트 33: 다공성 섬유 부재
34: 오일 분리 배리어 40: 제1 드레인부
41: 제1 드레인 유도부 50: 제2 드레인부
51: 제2 드레인 유도부 52: 역류 방지 부재
122: 내부 연장부 321: 파이프
322: 공극

Claims (8)

  1. 실린더 헤드커버 상에 오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는,
    블로 바이 가스의 입구부(11)와 출구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11)와 상기 출구부(12) 사이에 제1 드레인부(40)와 제2 드레인부(50)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제1 드레인부(40)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10) 내에 마련되며,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1차로 분리하여 상기 제1 드레인부(40)로 보내는 제1 오일 분리부(20);
    상기 제2 드레인부(50)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10) 내에 마련되며,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2차로 분리하여 상기 제2 드레인부(50)로 보내는 제2 오일 분리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오일 분리부(30)는 블로 바이 가스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공극(322)들이 형성된 다공 플레이트(32)와, 상기 다공 플레이트(32)를 거쳐 유속이 증가된 블로 바이 가스와 충돌하는 오일 분리 배리어(34)를 포함하되,
    상기 오일 분리 배리어(34)는 요철 단면을 가진 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블로 바이 가스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바닥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공극(322)들은 상기 다공 플레이트(32)의 전방면 및 후방면 각각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극(322)들 각각은 상기 다공 플레이트(32)의 전방면과 후방면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전방 연장부와 후방 연장부에 의해 상기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개방되며, 상기 전방 연장부와 상기 후방 연장부는 상기 다공 플레이트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화된 별물(別物) 파이프(321)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 플레이트(32)와 상기 오일 분리 배리어(34)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섬유 부재(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섬유 부재(33)는 상기 공극(322)의 일측 개방단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 분리부(20)는 블로 바이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오일 분리핀(2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오일 분리핀(22)은 블로 바이 가스가 상기 복수의 유동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레인부(50)는, 오일이 흡기계의 흡기 부압에 의해 상기 제2 드레인부(50)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막도록, 역류 방지 부재(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12)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을 타고 흐르는 오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내부 연장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KR1020120103278A 2012-09-18 2012-09-18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6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278A KR101361571B1 (ko) 2012-09-18 2012-09-18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278A KR101361571B1 (ko) 2012-09-18 2012-09-18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571B1 true KR101361571B1 (ko) 2014-02-12

Family

ID=5027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2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1571B1 (ko) 2012-09-18 2012-09-18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5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5083A (zh) * 2015-08-12 2015-11-18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油气分离结构
KR101724503B1 (ko) * 2015-12-11 2017-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크랭크 케이스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1731733B1 (ko) * 2015-12-16 2017-04-28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오일 세퍼레이터
WO2018034235A1 (en) * 2016-08-17 2018-02-22 Nifco Inc. An oil separating device
US10107160B2 (en) 2016-09-09 2018-10-23 Hyundai Motor Company Flow accelerating ventilation type head cover and engine thereb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543A (ja) * 1995-09-29 1997-03-31 Tenetsukusu:Kk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JP2009121281A (ja) * 2007-11-13 2009-06-04 Mahle Filter Systems Japan Corp 内燃機関のオイルセパレータ
KR20100011749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로우바이 가스의 오일 분리장치
JP2010248935A (ja) * 2009-04-10 2010-11-04 Toyota Boshoku Corp オイルセパレ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543A (ja) * 1995-09-29 1997-03-31 Tenetsukusu:Kk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JP2009121281A (ja) * 2007-11-13 2009-06-04 Mahle Filter Systems Japan Corp 内燃機関のオイルセパレータ
KR20100011749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로우바이 가스의 오일 분리장치
JP2010248935A (ja) * 2009-04-10 2010-11-04 Toyota Boshoku Corp オイルセパレータ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5083A (zh) * 2015-08-12 2015-11-18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油气分离结构
CN105065083B (zh) * 2015-08-12 2017-11-0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油气分离结构
KR101724503B1 (ko) * 2015-12-11 2017-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크랭크 케이스 벤틸레이션 시스템
DE102016123325B4 (de) 2015-12-11 2022-10-27 Hyundai Motor Company Motorbelüftungssystem
KR101731733B1 (ko) * 2015-12-16 2017-04-28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오일 세퍼레이터
WO2018034235A1 (en) * 2016-08-17 2018-02-22 Nifco Inc. An oil separating device
JP2018531340A (ja) * 2016-08-17 2018-10-25 株式会社ニフコ オイル分離装置
CN109642483A (zh) * 2016-08-17 2019-04-16 株式会社利富高 油分离装置
US10946320B2 (en) 2016-08-17 2021-03-16 Nifco Inc. Oil separating device
DE112017004120B4 (de) 2016-08-17 2022-10-20 Nifco Inc. Ölabscheidevorrichtung
US10107160B2 (en) 2016-09-09 2018-10-23 Hyundai Motor Company Flow accelerating ventilation type head cover and engine thereb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571B1 (ko) 실린더 헤드커버 벤틸레이션 장치
JP2009121281A (ja) 内燃機関のオイルセパレータ
CN105102778B (zh) 用于喷雾气流的分离设备
KR101014532B1 (ko) 블로우바이 가스의 오일 분리장치
CN104879189B (zh) 内燃机的窜气处理装置
JP5899378B2 (ja) オイルミスト分離を改善するためのヘッドカバーのバッフルシステム
JP6549659B2 (ja) 内燃機関のブリーザ装置
KR101720557B1 (ko) 내연기관용 세퍼레이터
CN113453934B (zh) 用于车辆的进气装置
JP2010248935A (ja) オイルセパレータ
US12115478B2 (en) Aerosol separator for separating aerosols in a blow-by gas
JP2010248934A (ja) オイルセパレータ
RU2677319C2 (ru) Внутренняя подача воздуха через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е в клапанную крышку впускные желоба
CN105723059A (zh) 具有集成止回阀的油喷射泵的曲轴箱通风系统
KR20090065384A (ko) 실린더 헤드커버의 블로바이 가스내 오일 포집 장치
JP2015197097A (ja) 吹き返し防止構造
KR100777257B1 (ko)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 유속증대용 배플플레이트
JPH11294271A (ja) エアクリーナ
JP7109405B2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JP6131794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RU151349U1 (ru) Клапанная крышка для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6729333B2 (ja)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ンジン
JP2004360481A (ja) ベーパガス分離装置およびストレーナ
JP6988439B2 (ja) オイルセパレータ
JP6913726B2 (ja)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