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1521B1 -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521B1
KR101361521B1 KR1020110127644A KR20110127644A KR101361521B1 KR 101361521 B1 KR101361521 B1 KR 101361521B1 KR 1020110127644 A KR1020110127644 A KR 1020110127644A KR 20110127644 A KR20110127644 A KR 20110127644A KR 101361521 B1 KR101361521 B1 KR 101361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liquid
scb
fertilizer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373A (ko
Inventor
김창균
이경원
나홍식
경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보
Priority to KR102011012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2Guan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재배용 액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축분뇨를 혐기성 상태하에서 발효시켜 얻은 SCB액을 액비로 제조하는 것이다. 가축분뇨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발생시키는 바이오가스 처리는 메탄 등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생산되는 저농도의 폐액(SCB액)에는 작물영양의 다량원소인 질소, 인산, 가리가 각각 약 0.39%, 0.163% 및 0.479% 함유하고 있으며, 기타 미량원소로 철, 아연, 망간 등이 함유되어 있어 비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그러나 상기 폐액만으로는 작물의 영양성분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지 않고, 균일하지 않아 SCB액에 부족한 작물 영양성분을 보충해 주어야 작물의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가축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액을 기본 기질(Matrix)로 활용하여 천연산물 유래의 친환경 유기질 영양성분(N, P, K) 및 미량원소 등을 추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SCB액에 질소질구아노와 천연황산가리를 혼합한다. 질소질구아노에는 질소, 인산, 가리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천연황산가리에는 가리와 황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저농도의 SCB액에 질소, 인산, 가리와 미량원소를 충분하게 증가시켜 주기 위해 상기 질소질구아노 및 천연황산가리를 혼합하여 액비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축분뇨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액비는 작물의 영양성분을 증대시키고, 저온저항성, 병충해저항성 등 작물의 기능성을 향상시켜 주며, 가축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를 제조할 때 발생되는 폐액의 이용방안을 다각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environment-friendly liquid fertilizer for drenching fertilizer in the green-house}
본 발명은 시설재배용 액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CB(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 친환경저농도) 액비를 이용하여 천연산물 유래의 친환경 유기질 영양성분 질소, 인산, 가리 성분을 추가시켜 주고 호르몬, 미량원소 등의 기능성 성분을 투입하여 고품질 액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SCB액에 첨가되는 친환경유기질 영양성분의 원료로는 질소질구아노 및 천연황산가리를 미세한 크기로 만들어 혼합하여 사용하며, 상기질소질구아노 및 천연황산가리로부터 용출된 질소, 인산, 가리와 기타 미량원소가 액비의 작물 영양원을 균일하게 향상시켜 줌으로써 액비를 시비함으로써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저온환경 등에서의 생육을 좋게 한다.
우리나라 2006년도 가축분뇨 발생량 약 43,915천톤에 이르고 있으나, 이중 대부분은 폐기되고 액비로 자원화 되는 물량은 대략 3%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동안 정부는 축산 분뇨의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지원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축산분뇨를 농경지에 직접 살포하는 경우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커서 별도의 살포장비가 필요하며, 또한 비료로서의 성분이 일정하지 않아 경작지에 균일하게 살포하기 어렵고 살포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축산분뇨 등 하수슬러지 처리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축산분뇨 등 하수슬러지를 모아서 공해상에 투기하기도 하였으나, 1993년 지정한 투기해역이 유엔해양법 발효와 일본 및 중국과의 어업협정 체결로 공해가 아닌 인접 국가 공동어업구역 안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에 2006년 3월 당시 환경부, 농림부, 해양수산부는 2012년부터 하수슬러지의 해양투기를 금지하기로 합의하였다. 따라서 내년부터는 우리나라도 축산분뇨 등 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를 정화처리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축산업의 발달로 많은 가축분뇨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축산분뇨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동안 가축분뇨를 해결하고 가축분뇨의 자원화 정착을 위하여 정부에서는 가축분뇨 종합관리(Integrated Animal Waste Management) 방안이 시행되었으며, 이는 가축분뇨를 자원 순환형 유기농업에 적용하는 것이다.
가축분뇨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발생시키는 바이오가스 처리는 축산분뇨를 혐기성 발효시켜 메탄 등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그 외에 악취감소, 슬러리의 비료가치 상승, 저장기간 중 지구온난화 가스 발생 저감, 유기성 폐기물의 부수적 처리효과가 있다.
특히 가축분뇨를 바이오가스 처리하여 얻은 소화액에는 작물영양의 다량원소인 질소, 인산, 가리가 각각 약 0.39%, 0.163% 및 0.479% 함유하고 있으며, 기타 미량원소로 철, 아연, 망간 등이 함유되어 있어 비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SCB(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 액비는 일반(고농도) 액비와 비교하여 악취발생이 적고, 균질성, 청결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경작지에서 웃거름으로 시용이 가능하고 비료로서의 영양성분 이외 부식물질과 유용미생물을 함유하여 비료로서의 높은 가치를 가진다. 또한 액비로 이용이 곤란한 경우에는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정화처리하여 방류시키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1-106692호A 2011.9.29. 요약 국내공개특허 제2002-0050852호A 2002.06.28. 6쪽 1-9줄 국내등록특허 제10-0723338호B1 2007.06.30. 3쪽 10-30줄
SCB(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을 이용한 액비는 일반 액비와 비교하여 악취발생이 적고, 균질성, 청결성을 구비하고 있으나 시판되고 있는 유기질 비료나 화학비료와 비교하면 바이오가스 소화액(폐액)은 작물 영양성분의 함유량이 부족하고 성분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적정한 시비량을 판단하는 것이 어렵고, 살포량의 증가에 따른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며,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물에 사용할 수 있는 비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작물에 따라 요구되는 비료성분 즉, 다량원소 및 미량원소가 적절하게 혼합되어 있어야 하며, 작물의 생육시기별로 요구되는 영양원소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가축분뇨를 이용한 SCB액에 작물이 요구하는 수준의 영양원이 포함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영양원소를 증강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SCB액에 부족한 작물 영양성분을 보충하고 작물별 또는 작물 생육시기별 필요한 영양성분이 함유되도록 N, P, K 등 다량원소 등을 적절하게 보충해 주어야 한다. 가축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액을 기본 기질(Matrix)로 활용하여 천연산물 유래의 친환경 유기질 영양성분(N, P, K)을 추가하고 호르몬 및 미량원소 등 기능성분을 혼합하여 고품질 액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폐액을 이용하여 다기능 액비를 제조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작물의 다량영양소와 미량영양소가 바이오가스 폐액에 적절히 혼합되도록 하는 액비 제조 방법 및 생산 공정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액비를 제조할 때 저렴한 비용으로 액비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액비를 농가 실증시험을 통하여 원하는 작물, 또는 작물의 원하는 작기에 비료로서의 효과가 있음을 입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작물별 또는 작기별로 적정 시비량을 판단하고 SCB액의 작물영양성분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천연산물 유기질 비료 중 높은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는 질소질구아노와 천연황산가리를 상기 SCB액에 혼합한다. 질소질구아노의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질소 17중량%, 인산 13중량%, 가리 3중량%를 함유하고 있어 저농도의 SCB액의 영양성분 공급원으로 적합하였다. 점적호스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질소질구아노의 분말 입자 크기를 250~325Mesh 크기로 미분하였다.
또한 SCB액에 혼합되는 천연황산가리는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가리 50%를 함유하고 황을 18%를 함유하고 있어 SCB액 중 가리 및 황 비료성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가축분뇨를 이용한 SCB(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 액비는 일반 액비와 비교하여 악취발생이 적고, 균질성, 청결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경작지에서 웃거름으로 시용이 가능하고 비료로서의 영양성분 이외 부식물질과 유용미생물을 함유하여 비료로서의 높은 가치를 가진다. 또한 액비로 이용이 곤란한 경우에는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정화처리하여 방류시키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가축분뇨의 바이오가스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액 즉, SCB액에 질소질구아노 천연황산가리를 혼합하여 액비를 제조하는 경우 SCB액의 부족한 영양성분을 보충해 줄 수 있으며, 작물의 생육환경이 나쁜 경우에도 저항성을 증가시켜 주어 생육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발명의 SCB액에 질소질구아노 및 천연황산가리를 혼합하여 친환경 기능성 액비를 제조하는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상기 액비며를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작물이 원하는 시기에 비료성분으로 양호한 효과를 나타냈다.
본 발명에서는 가축분뇨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제조할 때 그 폐액에 작물의 영양성분을 혼합하여 작물의 영양성분을 증대시키고, 저온저항성, 병충해저항성 등 작물의 기능성이 구비된 친환경 기능성 액비를 제조하며, 가축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를 제조할 때 발생되는 폐액의 이용방안을 다각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농도 가축분뇨액인 SCB(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액을 이용하여 시설재배에서 관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비료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관주용 비료로써 높은 영양성분을 가지기 위하여 천연산물 유래 친환경 영양성분 및 기능성분을 SCB액과 혼합하여 관주용 친환경 기능성 비료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농도 SCB액은 가축분뇨를 혐기성 상태에서 발효시키면 메탄 등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바이오가스 처리과정에서 남은 농도가 낮은 폐액이며, 상기 폐액은 작물의 영양 성분이 부족하고 영양성분이 일정하지 못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가축분뇨의 바이오가스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의 부족한 작물 영양성분을 보충하고 작물별 또는 작물 생육시기별 필요한 영양성분이 함유된 액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N, P, K 등 다량원소를 보충하여 작물생육에 용이하도록 영양성분의 균형을 갖춰줄 필요가 있다.
상기 저농도 SCB액은 N, P, K가 각각 0.39%, 0.163% 및 0.479%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기타 미량원소로 철, 아연, 망간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시판되고 있는 유기질 비료나 화학비료에 비해 그 작물의 영양성분 함유량이 부족하고 성분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적정 시비량 판단 어려움, 살포량의 증가에 따른 노동력 과다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작물별 또는 작기별로 적정 시비량을 판단하고 SCB액의 작물영양성분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천연산물 유기질 비료 중 높은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는 질소질구아노와 천연황산가리를 상기 SCB액에 혼합하였다. 질소질구아노의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질소 17중량%, 인산 13중량%, 가리 3중량%를 함유하고 있어 저농도의 SCB액의 영양성분 공급원으로 적합하였다. 그러나 질소질구아노는 천연 분말형태로 되어있고 입자가 크고 균일하지 않아 일반 관주시설에 사용시 점적호스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점적호스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질소질구아노 및 천연황산가리의 분말 입자 크기를 250~325Mesh 크기로 미분하였다. 상기 미분한 질소질구아노를 SCB액에 혼합하여 작물에 점적호스를 이용하여 관주시비한 결과 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SCB액에 혼합되는 천연황산가리는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가리 50%를 함유하고 황을 18%를 함유하여 SCB액의 가리 및 황 공급원으로 적합하였다.
SCB액에 혼합되는 질소질구아노 및 천연황산가리의 비율은 중량비로 4~6:3~5:1의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5 : 4 : 1로 혼합하여 액비를 제조한다. 상기 액비의 성분함량은 질소 5~10중량%, 인산 3~8중량%, 가리 4~8중량%, 황 1~4중량%(나머지는 물)의 비율이 되도록 조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질소 7중량%, 인산 5중량%, 가리 6중량%, 황 3중량%가 되게 하여 기본 액비를 제조한다. 상기 액비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글라이신베타인 6~8중량%, 해조추출물 아스코필럼노도섬 4~6중량%(나머지는 물)를 혼합하며, 바람직하게는 글라이신베타인 7.5중량%, 해조추출물 아스코필럼노도섬을 5중량% 혼합한다. 상기 기능성 물질을 액비에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여름철 고온기 및 겨울철 저온기에 재배 작물이 시설내에서 적응력이 향상되어 작물이 양호하게 생육한다.
실시예
폐액(SCB액)의 영양성분 분석결과 (단위 %)
구분 N P K Mg S Ca B Fe Mo 비고
SCB 액 0.06 0.0076 0.09 0.0096 0.0096 0.036 0.032 0.0016 0.00004 축과원
(수원)
폐액(SCB액)의 유해성분 분석결과 (단위 : mg/kg)
구분 비소 카드뮴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 염분(%) 비고
SCB 액 흔적 흔적 흔적 흔적 1.3 1.8 2.5 2.1 0.071 축과원
(수원)
SCB액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과 유해성분을 분석한 결과 작물영양 다량원소인 질소, 인산, 가리는 작물의 필요량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높은 비료성분을 가진 유기질 원료를 혼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유해성분의 경우 가축분뇨 잔사, 또는 기타 유기질 비료의 최대 함유량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안전하여 액비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액비 제조시 영양성분 증대를 위해 SCB액에 첨가할 원료를 선발하기 위하여 유기질 원료를 검색하고 2종을 선발하여 시제품을 제작 후 그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높은 질소, 인산, 가리 함량의 유기질원료 탐색 및 비분 함유량 분석(단위: %)
원료명 질소 인산 가리 비고
질소질구아노 17.0 13.0 3.0 3.5 질소 및 인산 성분 보강
천연황산가리 0.0 0.0 50.0 18.0 가리 및 황 성분 보강
여러 친환경 유기질 원료 중 질소, 인산 보강을 위해 질소, 인산 비분이 높은 질소질구아노를 선정하였고 가리 및 황성분을 보강하기위해 천연황산가리를 선정하여 적절한 배합비율로 액비와 혼합하여 표 4과 같이 액비의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표 4의 액비시제품의 원료 배합비율은 액비랑 플러스 A는 축분액비 : 원료 A : 원료 B = 50:40:10의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액비랑 플러스 B는 축분액비 : 원료 A : 원료 B= 60:35:5의 비율로 혼합하여 액비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원료A의 원료는 질소질구아노, 원료B의 원료는 천연황산가를 사용하였다.
액비 및 유기질 원료 배합에 따른 시제품 2종의 영양성분량 추정 (단위: %)
액비 시제품명 N P K S 배합비(%)
액비랑 플러스 A 7.0 5.0 6.0 3.0 축분액비 : 원료 A : 원료 B
= 50:40:10
액비랑 플러스 B 6.0 4.0 4.0 2.0 축분액비 : 원료 A : 원료 B
= 60:35:5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액비를 경작지에서 사용할 때 사용량은 액비 처리시 큰 불편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일반화학 비료(40~60kg/10a)보다는 많지만 유박비료(200~300kg/10a)보다는 적게 처리하는 수준으로 사용량을 10a당 120kg내외로 처리할 수 있도록 액비의 영양성분을 조절하였다. 본 발명의 액비 시제품 명은 액비랑 플러스 A, 액비랑 플러스 B로 하였고 제조된 액비 시제품의 영양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실제 영양성분을 확인하였다.
영양성분 추정량에 따른 작물별 적정 시비량
작물 액비 시제품명 시비량(kg/10a) 처리방법
기비 추비
방울토마토 액비랑 플러스 A 160 160 기비 : 전량 토양 혼화
추비 : 관주, 분시
액비랑 플러스 B 200 200
액비 시제품에 대한 영양성분 분석결과 (단위 : %)
액비 시제품명 N P K S 배합비(%)
액비랑 플러스 A 6.86 5.27 6.26 3.28 축분액비 : 원료 A : 원료 B
= 50:40:10
액비랑 플러스 B 6.03 4.63 3.62 2.22 축분액비 : 원료 A : 원료 B
= 60:35:5
액비 시제품에 대한 유해성분 분석결과 (단위 : mg/kg)
구분 비소 카드뮴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 염분(%) 비고
액비랑 플러스 A 흔적 0.30 흔적 흔적 0.41 1.37 0.66 1.66 1.43 -
액비랑 플러스 B 흔적 0.27 흔적 흔적 1.69 1.66 0.97 2.41 1.38 -
시제품 액비의 영양성분 및 유해성분 분석결과 영양성분은 추정치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유해성분은 가축분뇨 잔사, 또는 기타 유기질 비료의 최대 함유량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안전하였다.
액비로서의 작물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액비랑 플러스A, 액비랑 플러스B를 시설 방울토마토에 시비하여 포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시제품 액비 처리는 방울토마토의 경우 액비랑 플러스A 160kg을 기비로 토양관주하고, 추비로 액비랑 플러스A 160kg을 정식 후 50일부터 1주 간격으로 5회 분시하였으며, 액비랑 플러스B 200kg을 기비로 토양관주하고, 추비로 액비랑 플러스B 200kg을 방울토마토 정식 후 50일부터 1주 간격으로 5회 나누어 시비하였다.
상추의 경우 액비랑 플러스A 50kg, 액비랑 플러스B 60kg을 각각 기비로 토양관주하고, 액비랑 플러스A 50kg, 액비랑 플러스B 60kg을추비로 정식 후 15일부터 1주 간격으로 3회 분시하였다.
시설 방울토마토 액비처리에 따른 생육효과
조사항목 효과지수(%)
관행구 액비랑 플러스 A 액비랑 플러스 B
초장 100.0b 102.4a 101.6a
경경 100.0b 104.2a 101.4b
시설 방울토마토 액비처리에 따른 수량효과
조사항목 효과지수(%)
관행구 액비랑 플러스 A 액비랑 플러스 B
과수/주 100.0c 105.7a 103.4b
과중/개 100.0c 104.5a 102.7b
시설 방울토마토에 액비 처리시 생육효과는 액비랑 플러스 A에서 관행구 대비 효과지수가 높게 나왔고 액비랑 플러스 B의 경우 관행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량효과에서는 관행구 대비 액비랑 플러스 A, B 모두 관행구 보다 효과지수가 높게 나왔다.
제조 액비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실에서 방울토마토를 대상으로 온도를 10℃로 맞추고 일주일간격으로 2회 처리하여 처리 4주후 그 생육을 비교하였다.
시설 방울토마토 저온처리에 따른 생육효과
구분 처리농도 효과지수
초장(cm) 경경(mm)
무처리 - 100.0 100.0
대조냉해예방제 500배 116.1 122.1
1,000배 129.3 122.1
액비랑플러스 A 250배 125.1 116.3
500배 132.8 130.8
1000배 138.4 136.6
시설 방울토마토의 저온처리에 따른 생육효과를 보면 액비랑플러스 A를 처리한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보다 높은 효과지수를 나타내었고 500배, 1,000배 처리구에서 대조냉해예방제 처리구보다 높은 효가지수를 나타내어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Claims (4)

  1. 저농도의 가축분뇨액인 SCB액을 이용한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CB액에 분말 입자 크기를 250~325Mesh 크기로 각각 미분한 질소질구아노와 천연황산가리를 혼합하여 친환경 액비를 제조하되,
    상기 질소질구아노는 질소 17중량%, 인산 13중량% 및 가리 성분이 3중량%를 포함되는 질소질구아노를 사용하며,
    상기 SCB액과 질소질구아노, 천연황산가리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4~6:3~5: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SCB액과 질소질구아노, 천연황산가리를 혼합할 때 혼합된 액비의 성분함량은 질소 5~10중량%, 인산 3~8중량%, 가리 4~8중량%, 황 1~4중량%, 글라이신베타인 6~8중량%, 해조추출물 아스코필럼노도섬 4~6중량%이고 나머지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
KR1020110127644A 2011-12-01 2011-12-01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 Active KR10136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44A KR101361521B1 (ko) 2011-12-01 2011-12-01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44A KR101361521B1 (ko) 2011-12-01 2011-12-01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73A KR20130061373A (ko) 2013-06-11
KR101361521B1 true KR101361521B1 (ko) 2014-02-24

Family

ID=4885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44A Active KR101361521B1 (ko) 2011-12-01 2011-12-01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5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4887B2 (en) 2015-04-20 2017-03-28 True Organic Products, Inc. Betaine based organic fertilizer
US9815744B2 (en) 2015-09-24 2017-11-14 True Organic Products, Inc. pH adjusted betaine based organic fertilizer
US9850178B2 (en) 2015-08-06 2017-12-26 True Organic Products, Inc. Betaine based organic fertilizer
US10301226B2 (en) 2016-04-13 2019-05-28 True Organic Products, Inc. Ph adjusted organic fertilizer from anaerobic digestate and grain by-products
US11155504B1 (en) 2019-01-10 2021-10-26 True Organic Products, Inc. Combination fertiliz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170B1 (ko) * 2006-10-23 2008-01-07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질소질 구아노를 주성분으로 하는 친환경 유기질 비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170B1 (ko) * 2006-10-23 2008-01-07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질소질 구아노를 주성분으로 하는 친환경 유기질 비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잔디학회지 논문(2011.06.25(1)권, 73~78pp)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4887B2 (en) 2015-04-20 2017-03-28 True Organic Products, Inc. Betaine based organic fertilizer
US9850178B2 (en) 2015-08-06 2017-12-26 True Organic Products, Inc. Betaine based organic fertilizer
US9815744B2 (en) 2015-09-24 2017-11-14 True Organic Products, Inc. pH adjusted betaine based organic fertilizer
US10301226B2 (en) 2016-04-13 2019-05-28 True Organic Products, Inc. Ph adjusted organic fertilizer from anaerobic digestate and grain by-products
US11155504B1 (en) 2019-01-10 2021-10-26 True Organic Products, Inc. Combination ferti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73A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zra Different types of eco-friendly fertilizers: An overview
CN101781139B (zh) 一种有机复混肥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0360475C (zh) 一种以活性堆肥为基料的有机-无机复混肥
CN101913953B (zh) 一种花卉专用型功能生物液体肥及其制备方法
CN104211488A (zh) 厌氧发酵液为基液的生态液肥制备方法
CN103626610A (zh) 一种竹炭生物有机肥及其生产方法
CN108059569B (zh) 一种生态有机型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Losak et al. Digestate from biogas plants is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mineral fertilisation of kohlrabi
CN102807459A (zh) 生物炭为基质的混配型设施菜田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KR101361521B1 (ko)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기능성 액비 제조방법
Sopha et al. Application of liquid organic fertilizer from city waste on reduce urea application on Chinese mustard (Brassica juncea L) cultivation
CN105330439A (zh) 一种富硒植物营养液及其制备方法
CN104885612A (zh) 一种利用农村剩余废弃物改良盐碱地的方法
CN103910576A (zh) 提高桑树桑叶产量和质量的有机无机复混肥
Alidadi et al. Effects of biofertilizers effects of compost, vermicompost and sulfur compost on yield of saffron.
Vennila et al. Vermicompost on crop production-A review
Khaled et al. Evaluation of organic farm and compost combined with urea fertilizers on fertility and maize productivity in newly reclaimed
Shakywal et al. Role of organic manure for improving soil health
Piri et al. Struvite/biochar composites as recovered phosphorus fertilizers from domestic sewage sludge increased biomass and nutrient uptake of maize
CN101781140B (zh) 一种有机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Rani Rejuvenating soil health using organic manur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KR101317170B1 (ko) 시설재배 관주전용 친환경 액비 제조방법
Olle The effect of vermicompost and K+ amino on the winter rape growth
Ortega-Quispe et al. Sustainable management of wastewater sludge through composting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Enhancing the growth of Tecoma stans. Org. Farming, 10 (2), 108-119
Singh et al.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for sustaining crop produ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3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