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123B1 - No hand drag functioning mouse adjustable slope - Google Patents
No hand drag functioning mouse adjustable slo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1123B1 KR101361123B1 KR1020120091299A KR20120091299A KR101361123B1 KR 101361123 B1 KR101361123 B1 KR 101361123B1 KR 1020120091299 A KR1020120091299 A KR 1020120091299A KR 20120091299 A KR20120091299 A KR 20120091299A KR 101361123 B1 KR101361123 B1 KR 1013611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g
- housing
- base housing
- signal
- m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조작 하우징을 갖는 본체와, 조작 하우징 상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커서 위치 조정신호 및 드래그 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 유니트와, 마우스 유니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하우징의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경사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경사도 조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에 의하면, 손을 이용할 수 없는 장애인이 이마 또는 턱을 이용하여 트랙볼이 형성된 조작 하우징을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원하는 기울기로 버튼 조작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드래그 모드를 외력을 지속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할 수 있어 드래그 모드를 수행하기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base housing, an operating housing rotatably coupl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base housing about a hinge coupled to the base housing, and A mouse unit which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generate a cursor position adjustment signal and a drag signal by a user's operation, and an inclination adjustment unit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housing of the operation housing for operating the mouse unit; . According to the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a handicapped person who cannot use his / her hand can adjust the operation housing having a trackball formed by using a forehead or a chin with a desir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housing by button operation, and adjust the drag mode. It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maintained, which provides the convenience of performing drag m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손과 팔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된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that can be easily used by a handicapped person who cannot use his / her arm.
마우스 장치는 컴퓨터의 입력장치의 하나로서 컴퓨터에 연결되어 표시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이다.The mouse device is an input device of a computer and is connected to a computer to adjust the position of a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이러한 마우스 장치는 커서의 위치 조정 및 커서가 위치되는 화면상의 아이콘을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드래그 기능을 지원한다.Such a mouse device supports a drag function for adjusting a cursor position and moving an icon on a screen on which the cursor is position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우스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신체에 장애가 없는 경우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으나, 양손과 양발을 사용할 수 없어 턱이나 이마를 포함하는 안면부분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밖에 없는 장애인의 경우 이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such a conventional mouse device can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held by the hand,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use when there is no obstacle in the body, but can not use both hands and feet, so that the face part including the chin or forehea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use in the case of a disabled person who can only operate by using.
특히, 턱이나 이마를 이용하여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책상과 같은 테이블에 안착된 마우스 장치로 고개를 숙여야 하는데, 고개의 숙임이 원할하지 않은 장애인의 경우 조작하기가 어렵고, 고개의 숙임이 가능하더라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perform a mouse function using a chin or forehead, a mouse device seated on a table, such as a desk, needs to be bowed down. Even if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fatigue over time.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0495호에는 마우스가 안착되는 패드의 경사각을 볼트의 조정에 의해 조정할 수 있는 마우스 패드가 개시되어 있으나, 손을 이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에게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0495 discloses a mouse pad that can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ad on which the mouse is seated by adjusting the bol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for the handicapped.
한편, 종래의 마우스 장치는 드래그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 드래그 버튼의 누름조작을 계속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턱이나 이마를 이용하는 경우 드래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커서를 이동하는 이중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mouse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the dual operation of moving the cursor while maintaining the drag function when using the chin or forehead because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drag button must be maintained when the drag function is to be perform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부분에 대한 경사도를 전동식으로 조정할 수 있으면서, 드래그모드를 외력을 지속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while the inclination of the user's operation portion can be adjusted electrically, the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to maintain the drag mode even without sustaining the external force The object is to provide a mouse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조작 하우징을 갖는 본체와; 상기 조작 하우징 상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커서 위치 조정신호 및 드래그 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 유니트와; 상기 마우스 유니트를 조작하기 위한 상기 조작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경사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경사도 조정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ousing and an operation housing rotatably coupl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base housing about a hinge coupled with the base housing. A main body having; A mouse unit installed to be expos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and generating a cursor position adjustment signal and a drag signal by a user's operation; And an inclination adjustment unit configured to adjust an inclination of the base housing of the operation housing for operating the mouse unit.
상기 경사도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된 기울기 조정 버튼과; 상기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설치된 구동 스프라킷과; 상기 구동 스프라킷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조작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힌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조작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 고리를 통해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형성된 입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내장된 체인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 유니트는 내부 링크 플레이트와 외부 링크 플레이트가 연결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교대로 다수 연결된 체인본체와; 상기 체인본체가 제1방향으로 구부림시에는 구부림을 허용하고,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에 대해서는 상호 간섭에 의해 구부림을 차단하도록 상기 내부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링크 플레이트에 상호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간섭편;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includes a motor installed in the base housing; An inclination adjustment button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so as to operat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the motor; A drive sprocket installed in the base housing so as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motor; One end is coupled through a connecting ring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spaced from the hinge so that the operation housing can be raised or lowered relative to the base housing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procket. And a chain unit embedded in the base housing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installed in the base housing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form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chain unit is rotated by the connecting pin between the inner link plate and the outer link plate. Possibly a plurality of chain bodies connected alternately; When the chain body is bent in the first direction, the inner link plate and the outer link plate are mutually opposed to allow the bend and block the bend by mutual interference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first and second interference piec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연결고리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상기 입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출구 하부에 상기 구동 스프라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체인유니트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입출구로부터 상기 구동스프라켓 방향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을 감싸는 방향으로 굴곡진 제1부분과, 상기 입출구 맞은편의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힌지 방향으로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서 상방으로 굴곡되게 연장된 제3부분 및 상기 제3부분에서 상기 구동스프로킷 방향으로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4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let and outlet is formed in the base housing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ring, the drive sprocke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and outlet, the guide rail is driven from the inlet and outlet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hain unit A first portion extending downward in the sprocket direction and curved in a direction surrounding the drive sprocket, a second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hinge direction from the first portion opposite the entrance and exit port, and upwardly from the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extending in a curved direction and a fourth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driving sprocket direction from the third portion.
또한, 상기 마우스 유니트는 상기 조작하우징 상부에 노출되어 구름운동을 할 수 있게 설치된 트랙볼과; 상기 트랙볼의 회전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출력하는 트랙볼 감지부와; 상기 조작 하우징 상에 설치되며 드래그 모드와 드래그 해제모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되 드래그 모드로 설정되게 조작한 이후 외력이 해제되도 드래그 모드를 유지하고, 드래그 해제모드 설정조작이 있으면 드래그 해제모드를 유지하는 모드 유지형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와; 상기 트랙볼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커서 위치 이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로부터 조작신호가 드래그 모드 신호이면 드래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mouse unit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housing and the track ball installed to enable the cloud movement; A trackball detector for detecting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trackball and outputting a detection result; It is installed on the operation housing and can set the drag mode and the drag release mode, respectively, but the operation is set to the drag mode after maintaining the drag mode even if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mode to maintain the drag release mode if there is a drag release mode setting operation A maintenance drag signal generation operat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ursor position shift signal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ckball detector, to generate a drag signal if the manipulation signal is a drag mode signal from the drag signal generation controller, and to output the generated signal through an interface unit. .
상기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누르면 외력이 해제되도 누른 상태를 유지하고, 눌려진 상태에서 다시 누르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 내부에 드래그모드 설정시 발광되게 장착된 모드 설정 표시용 발광다이오드가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g signal generation manipulator includes a push button switch to maintain the pressed state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by the user's operation and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pressed again in the pressed state, and to emit light when the drag mode is set in the push button switch. It is preferable that a built-in light emitting diode for displaying the mode setting is mounted.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에 의하면, 손을 이용할 수 없는 장애인이 이마 또는 턱을 이용하여 트랙볼이 형성된 조작 하우징을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원하는 기울기로 버튼 조작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드래그 모드를 외력을 지속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할 수 있어 드래그 모드를 수행하기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andicapped person who is unable to use his / her hand can adjust the operation housing having a trackball formed by using a forehead or a chin with a desir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housing by button operation, The drag mode can be maintained even without sustaining external force, providing a convenient advantage of performing the drag m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우스 장치의 베이스 하우징을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마우스 장치의 제어계통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base housing of the mouse device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of the mouse device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우스 장치의 베이스 하우징을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마우스 장치의 제어계통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base housing of the mouse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of the mouse device of FIG. 1. Control system block diagra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100)는 본체(101)와, 경사도 조정부(130) 및 마우스 유니트(150)를 구비한다.1 to 3, the tilt-controlled no-hand drag
본체(101)는 베이스 하우징(110)과, 베이스 하우징(110)과 결합된 힌지(103)를 중심으로 베이스 하우징(110)에 대해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조작 하우징(120)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베이스 하우징(110)은 사각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후술되는 경사도 조정부(130)의 요소가 수용되는 내부공간(112)이 마련되어 있다.The
조작 하우징(120)은 베이스 하우징(110)과 힌지(103)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힌지(103)를 중심으로 베이스 하우징(1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위치에서부터 힌지(103) 맞은편이 상방으로 상승되어 베이스 하우징(110)에 대해 경사지게 회동되며 경사각도는 후술되는 경사 조정부(13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경사도 조정부(130)는 후술되는 마우스 유니트(150)가 장착된 조작 하우징(120)의 베이스 하우징(110)에 대해 경사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경사도 조정부(130)는 모터(131), 구동 스프라켓(133), 체인 유니트(135), 기울기 조정버튼(147)을 구비한다.The
모터(131)는 베이스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기울기 조정버튼(133)의 조작에 따라 정회전, 역회전 또는 정지한다.The
구동 스프라켓(133)은 모터(131)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게 베이스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어 있다.The
구동 스프라켓(133)은 베이스 하우징(110)에 형성된 입출구(116)를 통해 후술되는 체인유니트(135)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입출구(116)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The
여기서 모터(131)와 구동 스프라킷(133) 사이에는 동력을 원하는 감속비로 조정하여 중계하는 감속기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체인 유니트(135)는 구동 스프라킷(133)의 회전에 연동되어 조작 하우징(120)을 베이스 하우징(110)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힌지(103)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의 조작 하우징(120)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 고리(145)를 통해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베이스 하우징(110)에 형성된 입출구(116)를 통과하여 베이스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4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베이스 하우징(110) 내에 내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The
여기서, 연결고리(145)와 대향되는 위치의 베이스 하우징(110)의 상면에 내부공간(112)과 연통되게 입출구(116)가 형성되어 있다.Here, the entrance and
체인 유니트(135)는 체인 본체(136) 및 제1 및 제2간섭편(138)(139)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체인 본체(136)는 '8'자 형태로 형성된 내부 링크 플레이트(136a)와 외부 링크 플레이트(136b)가 연결핀(136c)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교대로 다수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제1 및 제2 간섭편(138)(139)은 체인본체(136)가 제1방향인 구동스프라켓(133)을 감싸는 방향으로 구부림시에는 구부림을 허용하고,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에 대해서는 상호 간섭에 의해 구부림을 차단하도록 내부 링크 플레이트(136a)와 외부 링크 플레이트(136b)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and
참조부호 137은 체인 유니트(135)의 타단에 체인본체(136)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스토퍼이다.
가이드 레일(141)은 체인유니트(135)의 진행궤도를 형성하며, 요구되는 길이의 체인 유니트(135)를 수용하면서도 베이스 하우징(110)의 상하폭을 줄을 수 있도록 굴곡진 궤도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The
가이드 레일(141)은 체인유니트(135)의 연장방향을 따라 입출구(116)로부터 구동스프라켓(133) 방향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동스프라켓(133)을 구동 스프라켓(133)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감싸는 방향으로 굴곡진 제1부분(141a)과, 입출구(116) 맞은편의 제1부분(141a)으로부터 힌지(103) 방향으로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2부분(141b)과, 제2부분(141b)에서 상방으로 굴곡되게 연장된 제3부분(141c) 및 제3부분(141c)에서 구동스프로킷(133) 방향으로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4부분(141d)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제2부분(141b)의 참조부호 143으로 표기된 인출제한부분을 기준으로 제3부분(141c) 및 제4부분(141d)으로 이어지는 제1내부통로(142)는 스톱퍼(137)가 이동될 수 있는 내경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인출제한부분(143)을 기준으로 제1부분(141a)으로 이어지는 제2내부통로(144)는 스톱퍼(137)를 제외한 체인 유니트(135)의 통과만 허용되게 제1내부통로(142) 좁게 형성되어 있다.Here, the
인출 제한부분(143)에는 스톱퍼(137)의 접촉을 검출하는 제1센서(148)이 설치되어 있고, 제4부분(141d)에도 스톱퍼(137)의 접촉을 검출하는 제2센서(148)가 설치되어 있다.The
여기서, 제1센서(148) 및 제2센서(149)는 후술되는 기울기 조정버튼(147)의 조작 하우징(120)로부터 하강 또는 상승 신호가 계속 유지되어 스톱퍼(137)가 제1센서(148) 또는 제2센서(149)에 접촉되는 신호가 발생되면 모터(131)의 구동을 차단시키기 위해 적용된 것이다.Here, the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1센서(148) 및 제2센서(149)를 생략하고 모터(131)의 구동전류가 설정된 전류 이상이 되면 차단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a method of omitting the
또한, 단차진 인출제한부분(143)을 갖지 않게 제1내부통로(142)를 제2내부통로(144)를 동일한 폭을 갖게 연장 형성하고, 체인 유니트(135)의 상승 및 하강 제한 감지 위치에 해당하는 체인 유니트(135)의 타단 위치상에 포토 인터럽터를 설치하여 체인 유니트(135)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 모터(131)의 회전량을 검출하여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first
기울기 조정버튼(147)은 모터(131)의 정역 회전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하우징(120)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The
도시된 예에서는 기울기 조정 버튼(147)은 참조부호 147a로 표기된 부분이 눌려지게 조작하면 체인 유니트(135)가 입출구(116)로부터 상승하는 방향으로 모터(131)를 회전시키고, 참조부호 147b로 표기된 부분이 눌려지게 조작하면 체인 유니트(135)가 입출구(116)로부터 하강하는 방향으로 모터(131)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수평상태로 유지하면 모터(131)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기울기 조정 버튼(147)의 모터(131) 정지, 정회전, 역회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는 도시된 구조와는 다른 조작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tructure for generating the
모터(131)는 교류모터, 또는 직류모터가 적용될 수 있고, 직류모터가 적용되는 경우 내부에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기가 적용되면 된다.The
참조부호 107은 상용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모터 구동용 외부 전원선이다.
마우스 유니트(150)는 조작 하우징(120) 상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커서 위치 조정신호 및 드래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마우스 유니트(150)는 트랙볼(152), 트랙볼 감지부(154), 모드 유지형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156), 제어부 및 인터페이스부(160)를 구비한다.The
트랙볼(151)은 조작 하우징(120) 상부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부분(151)의 상부에 노출되어 구름운동을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The
여기서 파지부분(151)은 정상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파지가 용이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gripping
참조부호 171 및 172는 정상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드래그 모드 조작버튼 및 메뉴열람지시버튼이다. 여기서, 드래그 모드 조작버튼(171)은 누른 상태에서만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드래그 신호가 해제되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트랙볼 감지부(154)는 트랙볼(152)의 회전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제어부(159)에 출력한다.The
트랙볼(152)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차원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구조는 공지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모드 유지형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156)는 파지부분(151)을 벗어난 위치의 조작 하우징(120) 상에 설치되며 드래그 모드와 드래그 해제모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되 드래그 모드로 설정되게 조작한 이후 외력이 해제되도 드래그 모드를 유지하고, 드래그 해제모드 설정조작이 있으면 드래그 해제모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mode-holding drag
도시된 예에서 모드 유지형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156)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누르면 외력이 해제되도 누른 상태를 유지하고, 눌려진 상태에서 다시 누르면 초기 위치로 상승되어 복귀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157)가 적용되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mode-holding drag
이러한 푸시버튼 스위치(157)의 구조는 공지되어 있어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
또한, 모드 유지형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156)의 푸시 버튼 스위치(157) 내부에는 드래그모드 설정시 발광되게 장착된 모드 설정 표시용 발광다이오드(158)이 내장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구동전원(Vcc)으로부터 푸시 버튼 스위치(157), 발광다이오드(159) 및 저항(R) 소자가 직렬상으로 어레이된 회로 구조에서 푸시 버튼 스위치(157)가 하방으로 스위치 온되면 제어부에 하이 신호가 인가되고, 발광다이오드(158)가 발광하면서 드래드 모드설정신호가 제어부(159)로 출력된다. 푸시 버튼 스위치(157)가 다시 눌려져 스위치 오프 되면 그라운드 신호가 드래그 모드 해제신호로서 제어부(159)에 제공되고, 발광다이오드(158)는 오프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도 발광다이오드(158)의 온/오프에 의해 드래그 모드 설정 또는 해제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제어부(159)는 트랙볼 감지부(154)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커서 위치 이동신호를 생성하고,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156)의 푸시버튼 스위치(157)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드래그 모드 신호 또는 드래그 모드 해제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출력한다.The
참조부호 160a는 인터페이스부의 케이블선이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160)는 접속단자(162)를 통해 컴퓨터(미도시)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Here, the
이상에서 설명된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100)는 손을 이용할 수 없는 장애인이 이마 또는 턱을 이용하여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기울기 조정버튼(147)을 조작하여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맞게 조작 하우징(120)의 베이스 하우징(110)에 대한 경사도를 조정하고, 이후 드래그 모드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모드 유지형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156)를 드래그 모드가 유지되게 조작한 다음 트랙볼(152)를 조작하면 드래그 모드를 외력을 지속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할 수 있어 드래그 모드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tilt-adjustable no-hand drag
101: 본체 130: 경사도 조정부
150: 마우스 유니트101: main body 130: inclination adjustment unit
150: mouse unit
Claims (5)
상기 조작 하우징 상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커서 위치 조정신호 및 드래그 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 유니트와;
상기 마우스 유니트를 조작하기 위한 상기 조작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경사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경사도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도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된 기울기 조정 버튼과;
상기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설치된 구동 스프라킷과;
상기 구동 스프라킷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조작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힌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조작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 고리를 통해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형성된 입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내장된 체인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 유니트는
내부 링크 플레이트와 외부 링크 플레이트가 연결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교대로 다수 연결된 체인본체와;
상기 체인본체가 제1방향으로 구부림시에는 구부림을 허용하고,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에 대해서는 상호 간섭에 의해 구부림을 차단하도록 상기 내부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링크 플레이트에 상호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간섭편;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A main body having a base housing and an operation housing rotatably coupl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base housing about a hinge associated with the base housing;
A mouse unit installed to be expos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and generating a cursor position adjustment signal and a drag signal by a user's operation;
An inclination adjustment unit configured to adjust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housing of the operation housing for operating the mouse unit,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A motor installed in the base housing;
An inclination adjustment button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so as to operat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the motor;
A drive sprocket installed in the base housing so as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motor;
One end is coupled through a connecting ring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spaced from the hinge so that the operation housing can be raised or lowered relative to the base housing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procket. And a chain unit embedded in the base housing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installed in the base housing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formed in the housing.
The chain unit
A chain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inner link plates and outer link plates are alternately rotatably rotated by a connecting pin;
When the chain body is bent in the first direction, the inner link plate and the outer link plate are mutually opposed to allow the bend and block the bend by mutual interference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tilt-controlled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and a first interference piec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조작하우징 상부에 노출되어 구름운동을 할 수 있게 설치된 트랙볼과;
상기 트랙볼의 회전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출력하는 트랙볼 감지부와;
상기 조작 하우징 상에 설치되며 드래그 모드와 드래그 해제모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되 드래그 모드로 설정되게 조작한 이후 외력이 해제되도 드래그 모드를 유지하고, 드래그 해제모드 설정조작이 있으면 드래그 해제모드를 유지하는 모드 유지형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와;
상기 트랙볼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커서 위치 이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드래그 신호 생성 조작기로부터 조작신호가 드래그 모드 신호이면 드래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use unit
A track ball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housing to enable rolling motion;
A trackball detector for detecting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trackball and outputting a detection result;
It is installed on the operation housing and can set the drag mode and the drag release mode, respectively, but the operation is set to the drag mode after maintaining the drag mode even if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mode to maintain the drag release mode if there is a drag release mode setting operation A maintenance drag signal generation operat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ursor position movement signal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ckball detector, to generate a drag signal if the manipulation signal is a drag mode signal from the drag signal generator, and to output the generated signal through an interface unit. Tilt-adjustable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5. The push button switch of claim 4, wherein the drag signal generation manipulator includes a push button switch which maintains a pressed state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and returns to an initial position when pressed again in the pressed state. The tilt-controlled no-hand drag function mouse device, wherein a light emitting diode for displaying a mode setting is mounted to emit light when the drag mode is s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299A KR101361123B1 (en) | 2012-08-21 | 2012-08-21 | No hand drag functioning mouse adjustable slo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299A KR101361123B1 (en) | 2012-08-21 | 2012-08-21 | No hand drag functioning mouse adjustable slo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1123B1 true KR101361123B1 (en) | 2014-02-12 |
Family
ID=5027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12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1123B1 (en) | 2012-08-21 | 2012-08-21 | No hand drag functioning mouse adjustable slo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1123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8726A (en) * | 2004-03-02 | 2005-09-07 | 한기봉 | Positioning device of input device |
KR200427928Y1 (en) | 2006-07-21 | 2006-10-04 | 윤-페이 왕 | Adjustable laptop workbench |
KR20110006302A (en) * | 2009-07-14 | 2011-01-20 | 서춘택 | Inclined Pad for Mouse |
-
2012
- 2012-08-21 KR KR1020120091299A patent/KR10136112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8726A (en) * | 2004-03-02 | 2005-09-07 | 한기봉 | Positioning device of input device |
KR200427928Y1 (en) | 2006-07-21 | 2006-10-04 | 윤-페이 왕 | Adjustable laptop workbench |
KR20110006302A (en) * | 2009-07-14 | 2011-01-20 | 서춘택 | Inclined Pad for Mous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카달로그(2011.09.01)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54526B2 (en) | Foot-operated key pad | |
US9770377B2 (en) | Movement assistance robot | |
US9039016B2 (en) | Accessory cart | |
JP6544691B2 (en) | Stand-up operation support system, control method of control unit of stand-up operation support system, program for control unit of stand-up operation support system, care belt, robot | |
TWI642389B (en) | Electric-lifting tab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6483985A (en) | Portable device for controlling lifting equipment and lifting equipment control method | |
US8347799B2 (en) | Sewing machine operating device and sewing machine provided therewith | |
US7692632B2 (en) | Foot-operated computer input device | |
US20200069490A1 (en) | Control system for a lifting chair | |
TWI250394B (en) | Foot controlled rolling ball signal generator | |
KR101361123B1 (en) | No hand drag functioning mouse adjustable slope | |
CA3095539A1 (en) | Handset for controlling a support device or a movable surface | |
WO2017094128A1 (en) | Care device | |
KR101383562B1 (en) | Stick for vision impared people | |
JPWO2015011838A1 (en) | Holder and assistance robot | |
KR101289926B1 (en) | Foot mouse | |
KR100885886B1 (en) | Electronic rope skipping device | |
KR100655719B1 (en) | Foot mouse | |
TWM515814U (en) | Electric telescopic desk leg disc and circuit control device for desk plate height adjustment | |
JPH09313550A (en) | Dental treatment unit | |
JP6800110B2 (en) | Controls and electric furniture | |
KR200370864Y1 (en) | Controlling equipment of mouse pointer | |
WO2017190374A1 (en) | New type of upright massage machine | |
KR20100064534A (en) | Foot mouse input device | |
CN220913658U (en) | Intelligent unmanned experience vending platfor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