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745B1 - Electric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9745B1 KR101359745B1 KR1020120095440A KR20120095440A KR101359745B1 KR 101359745 B1 KR101359745 B1 KR 101359745B1 KR 1020120095440 A KR1020120095440 A KR 1020120095440A KR 20120095440 A KR20120095440 A KR 20120095440A KR 101359745 B1 KR101359745 B1 KR 1013597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signal transmission
- transmission medium
- lock
- insulating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578 rel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이한 구성으로 잠금 해제 조작부(12e)의 조작성 및 사용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주배선 기판에 땜납 접합되는 기판 접속부(12c)로부터 캔틸레버상으로 일체적으로 뻗어나가 탄성 변위 가능한 잠금 암 부재(12g)에, 걸림 잠금부(12a) 및 잠금 해제 조작부(12e)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기판 접속부(12c), 걸림 잠금부(12a) 및 잠금 해제 조작부(12e)를 잠금 암 부재(12g)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의 보지 작용 및 해제 작용을 동일 부재의 동작에 의해 행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ask>
The simple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12e.
[Solution]
The locking lock part 12a and the unlocking operation part 12e a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locking arm member 12g which can be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board | substrate connection part 12c which is solder-joined to the main wiring board | substrate, and can elastically displace. Then, the board connecting portion 12c, the locking lock portion 12a, and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12e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locking arm member 12g, so that the holding action and the release action of the inserted signal transmission medium F are the sam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performed by operation | movement of a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절연 하우징 내부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를 잠금 부재의 탄성 걸어맞춤력으로 보지(保持)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to hold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with the elastic engagement force of the locking member by inserting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insulating housing.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각종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과 같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서는, FPC나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가 절연 하우징(인슐레이터(insulator))의 전단측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고, 그 후에 액추에이터(actuator)(접속 조작 수단)가 작업자의 조작력으로 커넥터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접속 작용 위치를 향해 쓰러뜨려지도록 회동(回動)된다. 이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에 잠금 부재의 일부가 들어가 걸어맞춤 상태로 되고,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잠금 부재에 의해 대략 부동 상태로 보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various electrical connectors are widely used as a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various signal transmission media such as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FFC (flexible flat cable) in various electrical apparatuses. For example, in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and used on a printed wiring board as in Patent Document 1 below, a signal transmission medium made of FPC, FFC,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from the front end opening of the insulating housing (insulator). After that, the actuator (connection operation means) is rotated to fall toward the connection action position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connector by the operator's operating force. As a result, a part of the locking member enters and engages the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and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held in a substantially floating state by the locking member.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는 접속 해제 위치와 접속 작용 위치 사이에서 액추에이터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잠금 부재의 걸어맞춤·이탈을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의 삽입 작업과는 별개로 액추에이터를 조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문제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2 및 3과 같이,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서 잠금 부재의 일부가 올라앉도록 하여 탄성 변위하고, 그 후에 신호 전송 매체의 걸어맞춤부에 잠금 부재의 일부가 들어가 걸어맞춤이 행해지도록 구성된, 이른바 원액션(one action) 자동 잠금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가 종래부터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원액션 자동 잠금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를 이용하면, 전기 커넥터 내부의 소정 위치까지 신호 전송 매체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신호 전송 매체가 대략 부동 상태로 보지되게 되어 작업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connector provided with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manipulate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locking member by rotating the actuator between the disconnection position and the connection action position, but the insertion of signal transmission media (FPC, FFC, etc.) Since the actuator needs to be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work, the work efficiency may be a problem. Therefore, as shown,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s 2 and 3 below, a part of the locking member is elastical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housing so as to be elastically displaced, and the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BACKGROUND ART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o-called one action automatic locking mechanism, which is configured so that a part of the locking member is engaged and engaged, has been conventionally developed. By using the electrical connector provided with such a one-action automatic locking mechanism,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held in a substantially floating state only by inserting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electrical connector,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그렇지만,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채용되어 있는 원액션 자동 잠금 기구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처럼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를 전기 커넥터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잠금이 행해지는 이점이 있는 한편, 걸림 잠금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조작부의 구성이 복잡화하는 경향이 있고, 또 해제의 조작에 품이 듦과 아울러 사용 내구성에 문제를 일으킬 우려도 있다.However, in the one-action automatic locking mechanism employed in the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cking is performed only by inserting a signal transmission medium (FPC, FFC, etc.) into the electrical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for releasing the engaged state tends to be complicated,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operation of the releasing operation may be troublesome, and the use durability may be caused.
그래서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으로, 잠금 해제 조작부의 조작성 및 사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imple configuration, which can improve the operability and durability of use of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선 기판에 기판 접속부가 땜납 접합되고,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 걸어맞춰져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대략 부동 상태로 보지하는 걸림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그 걸림 잠금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잠금 해제 조작부의 조작으로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기판 접속부로부터 캔틸레버(cantilever)상으로 일체적으로 뻗어나가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된 잠금 암 부재를 가지고, 그 잠금 암 부재의 뻗어나가는 방향에 있어서의 도중 위치 및 자유단 위치에, 상기 걸림 잠금부 및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가 탄성 변위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설치된 잠금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잠금 암 부재는 상기 기판 접속부와 상기 걸림 잠금부 사이에서 있어서 반전하여 뻗어있도록 절곡 성형되어 있는 한편, 상기 잠금 부재의 단연부에,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2체의 걸림편이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2체의 걸림편은, 돌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판폭을 가지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2체의 걸림편의 판폭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다른 2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board connection part is solder-bonded to a wiring board, and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wiring board, and is engaged with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housing, thereby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A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locking lock for holding the device in a substantially floating state, and configured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of the locking lock by operation of the unlocking operation unit, wherein the connecto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antilever from the board connecting portion. And a locking arm member arranged to extend elastically so that the locking arm member and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are elastically displaceable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the free end posi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cking arm member. The lock having an integrally installed member, the lock The lock arm member of the ash is bent and formed so as to extend in an inverted manner between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cking lock portion, and two pieces protrud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on the edge of the locking member. Of the engaging pieces of the two pieces are formed in a plate-like member having a plate wid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otruding direction, and the two pieces of the locking pieces are arranged in two different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et configuration is adopted.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 접속부, 걸림 잠금부 및 잠금 해제 조작부가 잠금 암 부재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 작용 및 해제 작용이 동일 부재의 동작에 의해 행해지게 되어, 해제 조작부의 구조 및 조작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사용의 내구성도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board connection portion, the locking lock portion, and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lock arm member, the holding action and the releasing action of the inserted signal transmission medium are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same member. As a result,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are facilitated, and the durability of use is also improv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잠금 암 부재는, 상기 기판 접속부와 상기 걸림 잠금부 사이에서 있어서 되돌려꺾도록 절곡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locking arm member in this invention is shape | molded so that it may return | fold back between the said board | substrate connection part and the said locking lock part.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한 경우라도, 작은 공간 내에서 잠금 암 부재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만큼 자유단 위치에 설치된 잠금 해제 조작부의 조작력이 작게 억제되는 한편, 걸림 잠금부를 절곡부측에 배치함으로써 당해 걸림 잠금부에 의해 큰 보지력이 확보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the electrical connector is downsized,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length of the lock arm member in a small space, whereby the operating force of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provided at the free end position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a large holding force is ensured by the locking lock part by disposing the locking lock part on the bend side.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 접촉하는 신호 전송용의 도전 콘택트가 부착된 것으로서, 그 도전 콘택트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와 상기 잠금 암 부재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 연부(緣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housing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contact for signal transmission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wherein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conductive contact and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lock arm member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h edge parts of an insulating housing which oppose each other.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대향하는 양 연부에 배치된 기판 접속부에 의해, 전기 커넥터의 전체가 양측으로부터 균형잡힌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해서 강고한 보지성이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whol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fixed in a balanced state from both sides by the board connection portions disposed at both edge portions facing each other, the holding for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due to the inse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or the like is secured. Castle is obtain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는,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를 외방으로 노출시키는 절결부(切缺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said unlocking operation par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id insulated housing, respectively, The notch part which exposes the said unlocking operation part to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insulating housing (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ss is provided.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양호하게 행해졌을 때에 절연 하우징의 절결부로부터 외방으로 노출되는 잠금 해제 조작부가,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절연 하우징의 내방(內方)에 매몰된 채의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동작의 양부(良否)가 용이하게 판정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inse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satisfactorily inserted,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exposed outward from the cutout portion of the insulation housing is the inner side of the insulation housing when the inse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insufficient. Since it remains in a state of being buried in the state of the art, it is easily determined whether the inserting opera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successful.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는, 배선 기판에 땜납 접합되는 기판 접속부로부터 캔틸레버상으로 일체적으로 뻗어나가 탄성 변위 가능한 잠금 암 부재에, 걸림 잠금부 및 잠금 해제 조작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기판 접속부, 걸림 잠금부 및 잠금 해제 조작부를 잠금 암 부재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 작용 및 해제 작용을 동일 부재의 동작에 의해 행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잠금 해제 조작부의 조작성 및 사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저렴하게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locking lock portion and an unlocking operation portion on a lock arm member which extends integrally onto a cantilever from a board connection portion soldered to a wiring board and is elastically displaceable. Since the board connection portion, the locking lock portion, and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lock arm member, the holding and releasing action of the inserted signal transmission medium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same member. The oper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can be improv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can be largely improved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IV-IV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잠금 부재를 평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잠금 부재를 저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도 4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가 커넥터 내부에 삽입되어 가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더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에 대한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완료되고, 신호 전송 매체가 걸림 잠금부에 의해 걸린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조작이 행해져 잠금 부재가 눌러내려진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잠금 부재를 평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가 커넥터 내부에 삽입되어 가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 부분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더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에 대한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완료되고, 신호 전송 매체가 걸림 잠금부에 의해 걸린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조작이 행해져 잠금 부재가 눌러내려진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n external perspective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electrical connector concerning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plan explanatory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anatory front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S. 1 and 2.
4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taken along a line IV-IV in FIG. 3.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locking membe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S. 1 to 4 as viewed from the planar side.
FIG.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cking member shown in FIG. 5 as viewed from the bottom face side.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of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showing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inserted into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s.
FIG. 8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of both ends of the conne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from the state of FIG. 7;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insert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8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to the electrical connector is complete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caught by the locking lock.
FIG. 10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lease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locked state shown in FIG. 9 and the locking member is pushed down.
It is an external perspective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electrical connector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explanatory view of the locking member used in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1 as viewed from the planar side. FIG.
FIG. 13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of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showing a stat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inserted into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1; FIG.
FIG. 14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diagram of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from the state of FIG. 13; FIG.
Fig. 15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insert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4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to the electrical connector is complete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s caught by the locking lock.
FIG. 16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lease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locked state shown in FIG. 15 and the locking member is pushed down.
이하,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의 전기 접속을 행하기 위해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하여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to the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and used on the wiring boar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which consists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 flexible flat cable (FFC), etc. is shown. It demonstrates in detail based on the following.
[제1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Regard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먼저, 도 1~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10)는, 이른바 논집(NON-ZIF) 타입의 원액션(one action) 자동 잠금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술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단말 부분을,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부(前端緣部)(도 4의 좌단연부)에 설치된 매체 삽입구(11a)를 통하여 절연 하우징(11) 내부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에, 신호 전송 매체(F)의 잠금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First, the
[절연 하우징에 대하여][About Insulated Housing]
이때 상기 절연 하우징(11)은 가늘고 길게 뻗어있는 중공 프레임상의 절연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긴 횡폭 방향을 이하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부르고, 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단말 부분을 삽입 또는 이탈시키는 방향을 「커넥터 전후 방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그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 부분(도 3 좌단연 부분)에는, 상술한 것처럼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F)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는 매체 삽입구(11a)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모양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으로서 상기 매체 삽입구(11a)의 양측 외방 부분에는 후술하는 잠금 부재(1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절연 하우징(11)의 후단측 부분(도 4의 우단연 부분), 즉 상술한 매체 삽입구(11a)의 커넥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 부분에는, 도전 콘택트(13) 등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부착구(11b)가 동일하게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모양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F mad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front edge portion (FIG. 3 left edge portion) of the
[도전 콘택트에 대하여][About conductive contacts]
도전 콘택트(13)는 적당한 형상을 이루는 박판상 금속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들 복수체의 도전 콘택트(13)가 절연 하우징(11)의 후단측의 부품 부착구(11b)로부터 전방측(도 4의 좌방측)을 향해 삽입되고,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다극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도전 콘택트(13)의 각각은 신호 전송용 또는 그라운드 접속용의 어느 것으로서 주(主)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형성된 도전로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된 상태로 사용된다.The
즉, 상술한 것처럼 하여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된 각 도전 콘택트(13)의 배치 위치는, 매체 삽입구(11a)를 통하여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측으로 삽입되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에 설치된 배선 패턴에 대응한 설정으로 되어 있다. 그 신호 전송 매체(F)에 설치된 배선 패턴은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선 패드) 또는 쉴드(shield)용 도전로(쉴드선 패드)를 적당한 피치(pitch) 간격으로 배치한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각 도전 콘택트(13)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당해 도전 콘택트(13)는 신호 전송 매체(F)의 삽탈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인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 뻗어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후단부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주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형성된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선 패드)에 땜납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a)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기판 접속부(13a)는 당해 기판 접속부(13a)로부터 상방 계단부를 개재하여 전방측으로 뻗어나가는 가늘고 긴 모양의 빔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요성(flexible) 암부(13b)에 연접되어 있다.When the structure of each
즉, 그 가요성 암부(13b)는 상술한 기판 접속부(13a)와의 연접 부분에 있어서 대략 직각으로 일어서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일어선 끝에 있어서 전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다시 절곡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도시 상방측의 천장판의 내벽면을 따라 캔틸레버상을 이루도록 뻗어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전 콘택트(13)에 설치된 가요성 암부(13b)는, 기판 접속부(13a)와의 연접 부분 또는 그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도 4의 지면 내에 있어서 상하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at is, the
그리고, 당해 가요성 암부(13b)에 있어서의 전단측의 뻗어나간 부분(도 4의 좌단측 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에 형성된 신호 전송용 도전로 또는 쉴드용 도전로(배선 패턴)의 어느 것인가에 대응하여 단자 접촉 볼록부(13c)가 도시 하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도전 콘택트(13)에 설치된 단자 접촉 볼록부(13c)는, 상술한 것처럼 신호 전송 매체(F)가 절연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왔을 때에, 당해 신호 전송 매체(F)에 설치된 배선 패턴 상에 올라앉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그 신호 전송 매체(F)가 소정의 최종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가요성 암부(13b)의 탄성력에 의해 압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Then, a signal transmission conductive path or shield form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FPC or FFC, etc.) F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the left end portion in FIG. 4) of the
[원액션 자동 잠금 기구에 대하여][About one-action automatic locking mechanism]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10)는, 전술한 것처럼 원액션 자동 잠금 기구를 구비한 것이지만, 그 전제로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단말 부분에는, 특히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폭방향 양측의 단연 부분에 절결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 F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호 전송 매체(F)에 설치된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 Fa)에 대응하여 전기 커넥터(10)측에는 한 쌍의 잠금 부재(12, 12)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 잠금 부재(12, 12)의 걸림 작용(잠금 작용)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F)의 삽입 상태가 보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lthough the
[잠금 부재에 대하여][About a lock member]
상술한 것처럼 양 잠금 부재(12, 12)는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전기 커넥터(10)의 내부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가 삽입되었을 때에, 각 잠금 부재(12)의 일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걸림 잠금부(12a)가 신호 전송 매체(F)의 표면 상에 올라앉고, 그에 의해 잠금 부재(12)가 하방으로 탄성 변위한 상태로 되고, 또한 잠금 부재(12)의 일부를 이루는 걸림 잠금부(12a)가 신호 전송 매체(F)의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의 내부를 향해 밀어올려짐으로써 걸어맞춤 상태(잠금 상태)로 된다.As described above, both locking
이때의 각 잠금 부재(12)는,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박판 금속 부재의 일체 절곡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고, 주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놓이는 평판상의 기저판(12b)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기저판(12b)에 대해서, 주배선 기판에 땜납 접합되는 기판 접속부(12c)와, 신호 전송 매체(F)를 보지하는 걸림 잠금부(12a)와, 걸림 잠금부(12a)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 조작부(12e)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 부재(12)를 구성하는 박판 금속 부재의 단연부에는, 2체의 걸림편(12d, 12d)이 적당한 위치에 있어서 잠금 부재(12)로부터 커넥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그들 걸림편(12d, 12d)이 절연 하우징(11)에 압입됨으로써 잠금 부재(12)의 고정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또, 기저판(12b)의 단연부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의 커넥터 내방측을 향해, 고정편(12f)이 단차를 이루도록 돌출설치되어 있고, 당해 고정편(12f)이 절연 하우징(11)에 삽입됨으로써, 잠금 부재(12)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locking
상술한 기판 접속부(12c)는 각 잠금 부재(12)마다 2체씩 설치되어 있고, 그 중 1체의 기판 접속부(12c)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외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 기판 접속부(12c)는 커넥터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기판 접속부(12c)가 주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형성된 도체 부분에 땜납 접합됨으로써 전기 커넥터(10)의 실장이 행해진다.The board |
또, 상술한 기저판(12b)의 전단연부, 즉 후단측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12c)와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는, 잠금 암 부재(12g)가 캔틸레버상을 이루도록 일체적으로 뻗어나가 있다. 이 잠금 암 부재(12g)는 후단측의 기판 접속부(12c)로부터 기저판(12b)을 개재하여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기저판(12b)과의 연결 부분에는 측면 대략 U자상을 이루는 2체의 절곡부(12g1, 12g1)가 개재되어 있다. 그들 각 절곡부(12g1)는 상술한 기저판(12b)의 전단연으로부터 일단 전방으로 돌출한 후에, 당해 기저판(12b)의 상방측을 향해 반전하도록 만곡하고 있고, 당해 절곡부(12g1)로부터 연속하는 잠금 암 부재(12g)의 본체 부분이,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기울기 상방으로 뻗어나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캔틸레버 구조를 이루는 잠금 암 부재(12g)는, 상술한 절곡부(12g1) 및 그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7의 지면 내에 있어서 상하의 방향으로 요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Moreover, the
또, 상술한 캔틸레버상의 잠금 암 부재(12g)의 뻗어나가는 방향에 있어서의 도중 위치 및 자유단 위치에는, 걸림 잠금부(12a) 및 잠금 해제 조작부(12e)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중 걸림 잠금부(12a)는 잠금 암 부재(12g)의 단연부로부터 돌출하는 훅(hook)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잠금 암 부재(12g)가 가지는 커넥터 내방측의 단연 부분을 상방을 향해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하도록 절곡 형성한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이 걸림 잠금부(12a)에는 상단측의 정점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기울기 하방으로 뻗어있는 경사 안내변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locking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걸림 잠금부(12a)는, 상술한 신호 전송 매체(F)에 설치된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가 직상(直上)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잠금 암 부재(12g)의 탄성력에 의해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의 내부를 향해 밀어올려져 걸어맞춤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끼워맞춤 상태로 되었을 때의 걸림 잠금부(12a)의 걸어맞춤력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F)의 삽입 상태가 보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locking
한편, 잠금 해제 조작부(12e)는 잠금 암 부재(12g)의 자유단 부분을 절곡 형성한 평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걸림 잠금부(12a)의 후방측에 형성된 돌출 계단부를 개재하여 상방측으로 돌출하도록 연설(連設)되어 있다. 그리고, 그 잠금 해제 조작부(12e)의 평면 부분에 작업자의 손가락끝이 올려져 하방으로 눌림으로써, 상술한 잠금 암 부재(12g)와 함께 걸림 잠금부(12a)가 하방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locking
이때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당해 절연 하우징(11)의 상면 부분을 후단측으로부터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절결하도록 형성된 절결부(11c)가 설치되어 있어, 눌러내려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 있는 잠금 해제 조작부(12e)가, 절연 하우징(11)의 상면 부분으로부터 절결부(11c)를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여 눈에 보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both ends of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sulating
여기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삽입으로부터 걸어맞춤까지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둔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구(11a)를 통하여 신호 전송 매체(F)가 절연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오면, 그 신호 전송 매체(F)의 삽입측의 선단연부가, 잠금 부재(12)에 설치된 걸림 잠금부(12a)의 경사 안내변에 맞닿고, 당해 걸림 잠금부(12a)가 신호 전송 매체(F)의 표면 상에 올라앉는다. 이에 의해, 잠금 부재(12)의 잠금 암 부재(12g)가 절곡부(12g1) 및 그 근방의 요동 지점(支點)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측으로 눌러내려지도록 탄성 변위하고, 그 상태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F)의 단말 부분이 후방측을 향해 더 밀어넣어지면, 당해 신호 전송 매체(F)의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가 걸림 잠금부(12a)의 직상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잠금 암 부재(12g)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 잠금부(12a)가 신호 전송 매체(F)의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의 내부로 밀어올려지도록 이동된다. 그 결과, 신호 전송 매체(F)의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에 대해서 걸림 잠금부(12a)가 걸어맞춤 상태로 되어, 신호 전송 매체(F)가 빠져나가지 않게 보지된다.Here, the state from the inse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FPC or FFC, etc.) F to the engagement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F is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이와 같이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가 잠금 부재(12)에 의해 걸어맞춤 상태(잠금 상태)로 되기 전의 도중 상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걸림 잠금부(12a)를 포함하는 잠금 암 부재(12g)가 하방으로 눌러내려지도록 탄성 변위되게 되는데, 그때 잠금 해제 조작부(12e)가 절연 하우징(11)의 상면 부분으로부터 절결부(11c)를 통하여 커넥터 내부에 격납되고, 그에 의해 잠금 암 부재(12g)의 하방측으로의 탄성 변위가 확인되게 되어 있다. 그 후, 신호 전송 매체(F)가 잠금 부재(12)에 의해 걸어맞춤 상태(잠금 상태)로 된 상태가 되면, 그때까지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내려앉아 있던 잠금 해제 조작부(12e)가 다시 절결부(11c)를 통하여 절연 하우징(11)의 상표면으로부터 상방측으로 돌출하여 눈에 보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is way, in the intermediate state before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FPC or FFC, etc.) F is brought into the engaged state (locked state) by the locking
한편, 전술한 것처럼 걸림 잠금부(12a)가 신호 전송 매체(F)의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에 걸어맞춰져 신호 전송 매체(F)가 보지된 상태로부터,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잠금 해제 조작부(12e)가 눌러내려짐으로써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지면, 잠금 암 부재(12g)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걸림 잠금부(12a)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당해 걸림 잠금부(12a)가 신호 전송 매체(F)의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로부터 이탈되어, 잠금 부재(12)에 의한 걸어맞춤 상태(잠금 상태)가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locking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잠금 부재(12)에 의하면, 기판 접속부(12c), 걸림 잠금부(12a) 및 잠금 해제 조작부(12e)가 잠금 암 부재(12g)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보지 작용 및 해제 작용이 동일 부재의 동작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잠금 해제 조작부(12e)를 포함하는 잠금 부재(12)의 구조 및 조작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사용의 내구성도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locking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잠금 암 부재(12g)는, 기판 접속부(12c)와 걸림 잠금부(12a) 사이에 있어서 되돌려꺾도록 절곡 형성된 절곡부(12g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10)의 전체를 소형화한 경우라도, 작은 공간 내에서 잠금 암 부재(12g)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만큼 자유단 위치에 설치된 잠금 해제 조작부(12e)의 조작력이 작게 억제되는 한편, 걸림 잠금부(12a)를 절곡부(12g1)쪽에 배치함으로써, 당해 걸림 잠금부(12a)에 의해 큰 보지력이 확보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locking
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가 삽입되고 나서 보지 상태로 되기까지 걸림 잠금부(12a)와 함께 잠금 해제 조작부(12e)가, 절연 하우징(11)의 절결부(11c)로부터 외방으로 노출된 상태와 내방으로 매몰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되게 되는데, 절연 하우징(11)에 잠금 해제 조작부(12e)를 외방으로 노출시키는 절결부(11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F)의 삽입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잠금 해제 조작부(12e)가 절연 하우징(11)의 절결부(11c)로부터 내방으로 매몰된 채의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신호 전송 매체(F)의 삽입 동작의 양부가 용이하게 판정된다.Moreover, the unlocking
[제2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Electric connector concerning 2nd Embodiment]
한편,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11~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20)에서는, 잠금 부재(22)가 직선상으로 뻗어있는 띠판상 부재를 적당하게 절곡 형성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전단 부분에 배치된 기판 접속부(22c)로부터 후방측으로 뻗어나가는 잠금 암 부재(22g)가 후단측의 자유단연(緣) 부분에 배치된 잠금 해제 조작부(22e)까지 대략 일정 폭의 띠모양을 이루도록 뻗어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또, 이러한 잠금 암 부재(22g)에 있어서의 뻗어있는 방향의 도중 위치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에 대응하는 걸림 잠금부(22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잠금부(22a)는, 상술한 기판 접속부(22c)의 후방측으로 상방 계단부를 개재하여 기울기 상방으로 뻗어나가도록 배치되어 있고, 측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성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잠금 암 부재(22g)의 전단 부분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22c)는 커넥터 전단연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도전 콘택트(13)의 기판 접속부(13a)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러한 배치 관계에 의해 도전 콘택트(13)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13c)와 잠금 암 부재(22g)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22c)가 절연 하우징(11)의 서로 대향하는 양 연부에 배치되게 되고, 절연 하우징(11)의 서로 대향하는 양 연부에 양 기판 접속부(13a, 22c)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전기 커넥터(10)의 전체가 양측으로부터 균형잡힌 상태로 고정되어,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해서 강고한 보지성이 얻어진다.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board |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잠금 해제 조작부(22e)는, 잠금 암 부재(22g)의 자유단측에 배치된 상방측 돌출 계단부를 개재하여 연설된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러한 잠금 해제 조작부(22e)에 대응하여,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부분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한 쌍의 잠금 조작 커버부(11d, 11d)가 설치되어 있다. 그들 각 잠금 조작 커버부(11d)는 잠금 부재(22)에 설치된 잠금 해제 조작부(22e)의 직상 위치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1)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뻗어나가 있고, 잠금 해제 조작부(22e)에 포개어지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들 각 잠금 조작 커버부(11d)는 비교적 큰 폭을 이루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비교적 큰 폭으로 된 잠금 조작 커버부(11d)가 좁은 폭의 판두께를 가지는 잠금 해제 조작부(22e)의 상면을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것 같은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lock
이러한 잠금 조작 커버부(11d)의 상표면에는, 요철상의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잠금 조작 커버부(11d)가 작업자의 손가락끝 등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내려짐으로써, 상술한 잠금 부재(22)의 잠금 해제 조작부(22e)도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눌러내려지고, 그에 의해 당해 잠금 해제 조작부(22e)에 연설된 잠금 암 부재(22g) 및 걸림 잠금부(22a)가 하방으로 눌러내려진다. 그 결과, 그때까지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에 걸어맞춰져 있던 걸림 잠금부(22a)가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Fa)로부터 하방으로 이탈하여, 신호 전송 매체(F)가 자유 상태로 되어 전방측을 향해 뽑아내기 가능한 상태로 된다.On the trademark surface of this locking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none.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를 채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신호 전송용 매체 등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For example,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lthough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or FFC (flexible flat cable) is used as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fix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case of using other signal transmission media or the like is also us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는 동일 형상의 도전 콘택트가 이용되고 있지만, 다른 형상의 도전 콘택트를 교대로 배치한 구조라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same type of conductive contacts are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 structure in which conductive contacts having different shapes are alternately arranged.
본 발명은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하는 다종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electrical connectors used in various electric devices.
10 전기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1a 매체 삽입구
11b 부품 부착구
11c 절결부
12 잠금 부재
12a 걸림 잠금부
12b 기저판
12c 기판 접속부
12d 걸림편
12e 잠금 해제 조작부
12f 고정편
12g 잠금 암 부재
12g1 절곡부
13 도전 콘택트
13a 기판 접속부
13b 가요성 암부
13c 단자 접촉 볼록부
F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a 걸어맞춤 위치 결정부
22 잠금 부재
22a 걸림 잠금부
22c 기판 접속부
22e 잠금 해제 조작부
22g 잠금 암 부재10 electrical connector
11 insulated housing
11a Media insertion port
11b Component Mounting Hole
11c cutout
12 locking member
12a jam lock
12b base plate
12c board connection
12d jam
12e unlock control panel
12f Batten
12g locking arm
12g1 bend
13 conductive contacts
13a Board Connections
13b flexible cancer
13c terminal contact convex
F signal transmission medium (such as FPC or FFC)
Fa engaging position determining section
22 locking member
22a jam lock
22c board connection
22e unlock control panel
22g locking arm member
Claims (4)
절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 걸어맞춰져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부동 상태로 보지하는 걸림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그 걸림 잠금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잠금 해제 조작부의 조작으로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기판 접속부로부터 캔틸레버상으로 일체적으로 뻗어나가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된 잠금 암 부재를 가지고,
그 잠금 암 부재의 뻗어나가는 방향에 있어서의 도중 위치 및 자유단 위치에, 상기 걸림 잠금부 및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가 탄성 변위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설치된 잠금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잠금 암 부재는 상기 기판 접속부와 상기 걸림 잠금부 사이에서 있어서 반전하여 뻗어있도록 절곡 성형되어 있는 한편,
상기 잠금 부재의 단연부에,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2체의 걸림편이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2체의 걸림편은, 돌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판폭을 가지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2체의 걸림편의 판폭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다른 2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board connection part is solder-bonded to a wiring board, and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mounted on the wiring board,
In addition to having a locking lock that is engaged with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housing to hold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in a floating state,
In the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of the locking lock portion by the operation of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Having a locking arm member which extends integrally from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onto the cantilever and is arranged to be elastically displaceable,
In the middle position and the free end posi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ck arm member, the locking member and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are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integrally provided so as to be elastically displaceable.
The locking arm member of the locking member is bent and formed so as to extend in an inverted manner between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cking locking portion,
Two locking piece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are integrally provided at the edge of the locking member,
The two locking pieces are formed from a plate-like member having a plate wid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otruding direction, and the two connector pieces are set in two different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 접촉하는 신호 전송용의 도전 콘택트가 부착된 것으로서,
그 도전 콘택트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와, 상기 잠금 암 부재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 연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insulating housing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contact for signal transmission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dium,
An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in the conductive contact and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ck arm member are disposed at opposite edges of the insulating housing.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가 상기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양단 부분에는, 상기 잠금 해제 조작부를 외방으로 노출시키는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s are dispos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sulating housing,
An electrical connector, wherein cutouts for exposing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outward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ulating hou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5440A KR101359745B1 (en) | 2012-08-30 | 2012-08-30 | Electric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5440A KR101359745B1 (en) | 2012-08-30 | 2012-08-30 | Electric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9745B1 true KR101359745B1 (en) | 2014-02-06 |
Family
ID=5027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54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9745B1 (en) | 2012-08-30 | 2012-08-30 | Electric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974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62641A (en) * | 2016-03-09 | 2017-09-14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KR20200001074U (en) | 2018-11-15 | 2020-05-26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Connector |
CN111463602A (en) * | 2020-03-25 | 2020-07-28 | 厦门宏远达电器有限公司 | A structural component with reliable connection and a relay socket |
CN114883829A (en) * | 2022-06-06 | 2022-08-09 |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interface uni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2993A (en) * | 2006-08-23 | 2008-03-06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connector |
JP2011040246A (en) * | 2009-08-10 | 2011-02-24 | I-Pex Co Ltd | Connector device |
-
2012
- 2012-08-30 KR KR1020120095440A patent/KR10135974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2993A (en) * | 2006-08-23 | 2008-03-06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connector |
JP2011040246A (en) * | 2009-08-10 | 2011-02-24 | I-Pex Co Ltd | Connector devic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62641A (en) * | 2016-03-09 | 2017-09-14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KR20200001074U (en) | 2018-11-15 | 2020-05-26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Connector |
KR200493420Y1 (en) * | 2018-11-15 | 2021-03-26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Connector |
CN111463602A (en) * | 2020-03-25 | 2020-07-28 | 厦门宏远达电器有限公司 | A structural component with reliable connection and a relay socket |
CN114883829A (en) * | 2022-06-06 | 2022-08-09 |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interface un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78844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action automatic mechanism | |
JP5601347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451500B1 (en) | Electric connector | |
US8371880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board connection leg portion with a locking portion to engage a signal transmission medium and a connector main body with an unlocking portion | |
KR101882622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553465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298227B1 (en) | connector | |
KR101359745B1 (en) | Electric connector | |
JP5772257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790280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 |
JP5979418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TWI479745B (en) | Electric connector | |
CN103730768B (en) | Electric connector | |
JP5971558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929228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ircuit device | |
JP5939029B2 (en) | Electric connector and signal transmission medium holding / removing method | |
JP5854272B2 (en) | Connect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