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9442B1 -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 Google Patents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442B1
KR101359442B1 KR1020097026279A KR20097026279A KR101359442B1 KR 101359442 B1 KR101359442 B1 KR 101359442B1 KR 1020097026279 A KR1020097026279 A KR 1020097026279A KR 20097026279 A KR20097026279 A KR 20097026279A KR 101359442 B1 KR101359442 B1 KR 10135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crotch
line
wearer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743A (ko
Inventor
치즈루 후쿠요
노조무 세이케
히로시 코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홀딩스
Publication of KR2010005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4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41D1/08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with crotch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체간의 회선이나, 양각의 회선·외전·내전이라는 3차원적인 동작을 따르는 각종의 운동에 있어서의 퍼포먼스를 충분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제공한다.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에서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제 1 조임부(21)에 의한 조임력이 대전자의 주위에 존재하는 근육군에 작용하고, 골반대의 가동 영역이 넓혀지도록 서포트된다. 한편, 환상의 제 1 조임부(21)의 내측에는 제 1 라인(21a)과 제 2 라인(21b)의 간격이 대전자 위치(A)에 접근함에 따라서 서서히 넓어짐으로써 사이드 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드 홀(24)의 형성에 의해 착용자의 대전자가 제 1 조임부(21)에 의해 직접적으로 압박되는 것이 회피된다. 따라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에서는 제 1 조임부(21)에 의한 대전자 주위의 근육군의 서포트, 및 사이드 홀(24)에 의한 골반대의 유연성의 확보에 의해 각종의 운동 퍼포먼스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Description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CLOTHING WITH CROTCH FOR EXERCISE}
본 발명은 착용자의 체간(體幹)·하지(下肢)의 운동을 서포트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운동의 퍼포먼스의 향상에는 하반신, 특히 골반으로부터 고관절에 걸친 골반대의 유연성이나 안정성이 중요하게 된다. 최근에는 하반신을 서포트함으로써 운동 퍼포먼스의 향상을 꾀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가 알려져 있다.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대한 니즈(needs)는 매우 뿌리 깊은 것이 있고, 골프를 예로 들면, 날마다의 근력 트레이닝이나 스트레치 등을 하지 않더라도 클럽의 스윙 스피드를 높여서 비거리를 늘리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 유저는, 현재적으로 수많이 존재하고 있다.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하지부 보호 의료가 있다. 이 종래의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는, 신축성을 갖는 길과, 길보다 강한 조임력을 갖는 서포트부를 구비하고 있고, 서포트부의 제 1 라인이 큰볼기근의 상부로부터 중간볼기근 및 대전자를 지나고, 서포트부의 제 2 라인이 중간볼기근 전방부로부터 큰볼기근 하방부를 지나도록 되어 있다. 대전자를 중심으로 하는 하지부의 서포트에 의해 보행시 등에 있어서의 다리부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원활화하여 체축에 대한 중심(重心)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6-322121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서는, 서포트부의 제 1 라인 및 제 2 라인이 대전자의 위치에서 교차하고 있고, 대전자에 조임력이 직접 작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대전자에 과잉한 조임력이 작용하여 골반대의 유연성이 오히려 저해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구성에서는, 체간의 회선(回旋)이나, 양각(兩脚)의 회선·외전(外轉)·내전(內轉)이라는 3차원적인 움직임이 제한되어, 스윙 동작 등을 행하는 각종의 운동에 있어서의 퍼포먼스의 향상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체간의 회선이나, 양각의 회선·외전·내전이라는 3차원적인 동작을 따르는 각종의 운동에 있어서의 퍼포먼스를 충분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는, 착용자의 하반신 중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신축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보다 높은 조임력을 갖는 조임부를 구비하고, 조임부는, 본체부의 측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대전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제 1 조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는, 착용자의 하반신 중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신축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보다 높은 조임력을 갖는 조임부를 구비하고, 조임부는, 본체부의 측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대전자보다 상측을 지나는 제 1 라인과, 착용자의 대전자보다 하측을 지나는 제 2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대전자의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서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의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상기 대전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제 1 조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는, 착용자의 하반신 중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신축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보다 높은 조임력을 갖는 조임부를 구비하고, 조임부는, 본체부의 측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대전자 주위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조임부를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좌우 한쌍의 제 1 조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들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서는, 본체부보다 높은 조임력을 갖는 제 1 조임부가 착용자의 대전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조임부는 대전자의 주위에 존재하는 중간볼기근, 큰볼기근, 대퇴근막장근이라는 근육군의 움직임을 조장하고, 골반대의 가동 영역이 넓어지도록 작용한다. 한편, 제 1 조임부는 대전자를 직접적으로 압박하지 않아 대전자 자체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서는, 대전자 주위의 근육군의 서포트와, 골반대의 유연성 확보의 쌍방을 실현할 수 있고, 체간의 회선이나, 양각의 회선·외전·내전이라는 3차원적인 동작을 따르는 각종의 운동에 있어서의 퍼포먼스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임부는, 본체부의 전방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서혜부를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제 1 조임부에 연결된 띠 형상의 제 2 조임부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2 조임부는 착용자의 골반대를 약간 앞으로 기울이는 작용을 갖는다. 이렇게, 골반체가 전경(前傾)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체간·하지의 움직임 용이함의 향상이 더욱 도모된다.
또한 조임부는 본체부의 후방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1 조임부끼리를 연결하는 제 3 조임부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3 조임부는 착용자의 허리부의 위치를 안정시켜 운동시의 쾌적성을 높인다.
또한 제 1 조임부는 대전자의 주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후방부상측으로부터 전방부 하측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시에 있어서의 대전자의 위치는 인체의 옆쪽에서 보아서 배면 상측으로부터 전면 하측에 걸쳐서 경사지게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 1 조임부의 연장 방향을 대전자의 움직임 방향과 맞춤으로써 체간·하지의 움직임 용이함을 한층더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조임부·제 3 조임부는 복수의 조임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여도 상술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의하면, 체간의 회선이나, 양각의 회선·외전·내전이라는 3차원적인 동작을 따르는 각종의 운동에 있어서의 퍼포먼스를 충분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정면으로부터 본 인체 하지부의 골격군 및 근육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배면으로부터 본 인체 하지부의 골격군 및 근육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조임부의 기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1 조임부의 다른 기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조임부의 폭에 대한 확인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2 조임부의 기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3 조임부의 기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0, 40, 50, 60 :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10 : 본체부 20 : 조임부
21, 31, 61 : 제 1 조임부 21a, 61a : 제 1 라인
21b, 61b : 제 2 라인 22, 42, 62 : 제 2 조임부
23, 43, 63 : 제 3 조임부 A : 대전자 위치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에 나타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에 있어서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는, 예를 들면 골퍼가 연습을 행할 때, 또는 코스에서 플레이를 행할 때 등에 스윙 속도를 업시킬 목적으로 착용하는 스패츠형의 스포츠용 의류이다.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는 착용자의 허리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밀착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표측에 봉합된 띠 형상의 조임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의 좌우는 전방부(10a)로부터 후방부(10b)에 걸친 중앙 부분을 지나는 재봉 라인(L1)에 의해 서로 봉착되어져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좌우의 옷단부(10c)는 가랑이부의 중심에서 재봉 라인(L1)과 교차하는 재봉 라인(L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웨이스트부(10d)에는, 예를 들면 고무가 들어간 내면 테이프가 통과되어 있어 착용시의 웨이스트의 피트감이 확보되어 있다.
본체부(10)를 구성하는 소재에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혼사율 82.9%, 폴리우레탄 혼사율 17.1%의 투웨이 트리콧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자에 대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의 밀착성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조임부(20)는 본체부(10)의 측부에 형성된 제 1 조임부(21)와, 본체부(10)의 가랑이부 부근에 형성된 제 2 조임부(22)와, 본체부(10)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 3 조임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조임부(20)는 본체부(10)보다 높은 조임력을 갖고 있고, 그 조임력의 작용에 의해 제 1 조임부(21)∼제 3 조임부(23)가 붙여진 부분의 착용자의 근육·골격을 서포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조임부(20)은, 예를 들면 나일론의 혼사율 79%, 폴리우레탄의 혼사율 21%의 새틴 파워넷을 본체부(10)에 재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임부(20)는 본체부(10)로의 재봉 외에, 본체부(10)로의 부착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고, 본체부(10)에 잇대어 붙여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체부(10)의 편직법을 변경하거나, 우레탄 등의 수지를 도포하거나 함으로써 본체부(10)와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조임부(20)에 있어서의 착압은, 예를 들면 0.5kPa∼2.5k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 1 조임부(21)∼제 3 조임부(23)의 설명에 앞서, 그 조임력이 작용하는 주된 골격·근육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정면으로부터 본 인체 하지부의 골격군 및 근육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배면으로부터 본 인체 하지부의 골격군 및 근육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체 하지부의 골반대는 허리뼈·천골·꼬리뼈로 이루어지는 골반, 및 고관절 등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대전자는 대퇴골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고관절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골반대의 가동에는 많은 근육이 관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큰볼기근, 중간볼기근, 및 대퇴근막장근의 3개의 근육에 착안하고 있다. 큰볼기근은 둔부의 표층측에 있어서 골반 하부와 대퇴골 상부를 연결하도록 위치하고 있고, 중간볼기근은 큰볼기근의 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대퇴근막장근은 대퇴의 전방부로부터 측부에 걸쳐서 대퇴골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조임부(21)는 착용자의 대전자 주위의 근육군을 서포트하는 부분이다. 제 1 조임부(21)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측부에 있어서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조임부(21)는 대전자에 대응하는 위 치(A)(이하, 「대전자 위치(A)」라고 칭한다)보다 상측을 지나는 제 1 라인(21a)과, 대전자 위치(A)보다 하측을 지나는 제 2 라인(21b)에 의해 구성되고, 전체로서 대전자 위치(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라인(21a) 및 제 2 라인(21b)은 본체부(10)에 있어서의 후방부(10b)의 상측으로부터 전방부(10a)의 하측에 걸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큰볼기근 및 중간볼기근의 상부 외측과 대퇴근막장근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하고, 둔부 및 대퇴부를 횡단하게 되어 있다. 제 1 라인(21a) 및 제 2 라인(21b)의 폭은, 예를 들면 2.5㎝∼6㎝로 되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6㎝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라인(21a)은 완만한 상향의 커브를 이루고 있는 것에 대해, 제 2 라인(21b)은 완만한 하향의 커브를 이루고 있다. 제 1 라인(21a)과 제 2 라인(21b)의 간격은 대전자 위치(A)에 접근함에 따라 서서히 넓어지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라인(21a)과 제 2 라인(21b) 사이에는 본체부(10)가 노출되는 부분(이하, 상기 부분을 「사이드 홀(24)」이라고 칭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홀(24)은 장축 방향의 양단이 뾰족한 대략 타원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 1 라인(21a) 및 제 2 라인(21b)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도록 본체부(10)에 있어서의 후방부(10b)의 상측으로부터 전방부(10a)의 하측에 걸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 사이드 홀(24)은 대전자에 걸리는 제 1 조임부(21)의 조임력을 완화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사이드 홀(24)에 해당하는 부분의 본체부(10)를 구성하는 소재는, 본체부(10)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조임력을 갖는 소재를 별도로 사용 해도 된다.
제 2 조임부(22)는 착용자의 서혜부를 서포트하는 부분이다. 제 2 조임부(22)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전방부(10a)에 있어서 제 1 조임부(21)의 제 1 라인(21a)과 일체로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조임부(22)는 제 1 라인(21a)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봉합 라인(L2)의 상부에 걸쳐서 사이드 홀(24)의 장축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서혜부를 따르도록 되어 있다. 제 2 조임부(22)의 폭은, 예를 들면 3㎝∼6㎝ 정도로 되어 있다.
제 3 조임부(23)는 좌우의 제 1 조임부(21, 21)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 3 조임부(2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후방부(10b)에 있어서 제 1 조임부(21)의 제 2 라인과 일체로,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조임부(23)는 사이드 홀(24)의 장축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고, 좌우의 제 3 조임부(23, 23)는 웨이스트부(10d) 및 웨이스트부(10d)의 하측에 있어서 봉합 라인(L1)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3 조임부(23)의 폭은, 예를 들면 6∼8㎝ 정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에서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제 1 조임부(21)에 의한 조임력이 대전자의 주위에 존재하는 중간볼기근, 큰볼기근, 및 대퇴근막장근이라는 근육군에 작용하고, 착용자가 체간이나 양각의 동작을 행하려고 할 때에 골반대의 가동 영역이 넓어지도록 서포트된다. 제 1 조임부(21)는 대전자 위치(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간의 회선이나, 양 각의 회선·외전·내전이라는 3차원적인 동작이 충분하게 서포트된다.
한편, 환상의 제 1 조임부(21)의 내측에는 제 1 라인(21a)과 제 2 라인(21b)의 간격이 대전자 위치(A)에 접근함에 따라 서서히 넓어짐으로써, 사이드 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드 홀(24)의 형성에 의해 착용자의 대전자가 제 1 조임부(21)에 의해 직접적으로 압박될 일은 없고, 대전자 자체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에서는 제 1 조임부(21)에 의한 대전자 주위의 근육군의 서포트, 및 사이드 홀(24)에 의한 골반대의 유연성의 확보에 의해 클럽이나 라켓의 스윙 속도라고 하는 각종의 운동 퍼포먼스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에서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제 2 조임부(22)에 의한 조임력이 서혜부를 따라 작용한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골반대가 약간 앞으로 기울도록 서포트된다. 골반대의 전경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체간·하지의 움직임 용이함을 업시켜, 운동 퍼포먼스의 향상이 더욱 도모된다. 또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에서는, 좌우의 제 1 조임부(21, 21)가 본체부(10)의 후방부(10b)에 형성된 제 3 조임부(23)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가 휘청거리지 않아 안정되고, 운동시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더해,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에서는, 대전자의 주위에 있어서 제 1 조임부(21)가 본체부(10)에 있어서의 후방부(10b)의 상측으로부터 전방부(10a)의 하측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고, 사이드 홀(24)의 장축이 동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인체의 옆쪽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운동시에 있어서의 대전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것이며, 제 1 조임부(21)(사이드 홀(24))의 연장 방향을 대전자의 움직임 방향과 맞춤으로써 체간·하지의 움직임 용이함을 한층더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30)는 제 1 조임부(31)가 1개의 라인으로 진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조임부(21)가 제 1 라인(21a) 및 제 2 라인(21b)에 의해 장축 방향의 양단이 뾰족해진 대략 타원형상을 하고 있는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다. 사이드 홀(32)도 제 1 조임부(31)의 형상에 대응해서 진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다.
이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30)에 있어서도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와 마찬가지로, 제 1 조임부(31)가 대전자 위치(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간의 회선이나, 양각의 회선·외전·내전이라는 3차원적인 동작이 서포트된다. 또한 사이드 홀(32)의 형성에 의해 착용자의 대전자가 제 1 조임부(31)에 의해 직접적으로 압박될 일은 없고, 대전자 자체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전자 주위의 근육군의 서포트, 및 골반대의 유연성의 확보에 의해 각종의 운동 퍼포먼스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는 별도의 변형예에 따른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40)는 제 2 조임부(42) 및 제 3 조임부(43)가 각각, 상측을 지나는 제 1 라인(42a, 43a) 및 하측을 지나는 제 2 라인(42b, 4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2 조임부(22) 및 제 3 조임부(23)가 1개의 라인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다.
즉,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40)에서는 제 2 조임부(42)의 제 1 라인(42a) 및 제 3 조임부(43)의 제 1 라인(43a)은 제 1 조임부(21)의 제 1 라인(21a)과 일체로 형성되고, 사이드 홀(24)의 장축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2 조임부(42)의 제 2 라인(42b) 및 제 3 조임부(43)의 제 2 라인(43b)은 제 1 조임부(21)의 제 2 라인(21b)과 일체로 형성되고, 사이드 홀(24)의 장축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40)에 있어서도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와 마찬가지로, 제 1 조임부(21)가 대전자 위치(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간의 회선이나, 양각의 회선·외전·내전이라는 3차원적인 동작이 서포트된다. 또한 사이드 홀(24)의 형성에 의해 착용자의 대전자가 제 1 조임부(21)에 의해 직접적으로 압박될 일은 없고, 대전자 자체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전자 주위의 근육군의 서포트, 및 골반대의 유연성의 확보에 의해 각종의 운동 퍼포먼스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상술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의 기능 시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조임부의 기능 시험]
제 1 조임부의 기능 시험에서는, 우선, 10명의 모니터에게 골프 클럽의 스윙을 행하게 하고, 10회의 스윙 속도의 평균을 계측했다. 각 모니터에게는 실시예로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30)와 같은 샘플을 착용시켰다. 또한 종래예로서 조임부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샘플을 착용시키고, 비교예로서 사이드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대전자 위치가 조임부로 덮여지는) 샘플을 착용시켰다. 도 10은 그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명의 모니터의 종래예에 대한 스윙 속도의 증가량의 평균은, 비교예에서는 0.21m/s이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에서는 0.53m/s이었다.
다음에 3명의 모니터에게 골프 클럽의 스윙을 행하게 하고, 5회의 스윙에 있어서의 허리의 회선 속도의 평균을 계측했다. 각 모니터에게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 비교예, 종래예의 3종의 샘플을 착용시켰다. 도 11은 그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3명의 모니터의 허리의 회선 속도의 평균은, 종래예에서는 446.3deg/s, 비교예에서는 447.0deg/s이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에서는 462.4deg/s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전자 위치에 직접적으로 조임력을 가하면 종래예에 비해서 스윙 속도의 향상이 보여지지만, 허리의 회선 속도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것으로부터, 비교예에서는 조임력이 근육에 작용하는 한편, 골반 대의 움직임이 저해되어 스윙 속도의 향상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에서는, 대전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골반대의 유연성을 살린 자연스러운 스윙이 가능해지고, 스윙 속도의 향상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1 조임부의 폭에 대한 확인 시험]
이 확인 시험에서는, 제 1 조임부의 폭이 다른 샘플을 순차적으로 착용시킨 6명의 모니터에게 골프 클럽의 스윙을 행하게 하고, 10회의 스윙 속도의 증가량의 평균을 계측했다. 실시예 1에서는 제 1 조임부의 폭을 6.0㎝(외경 18.0㎝, 내경 6.0㎝)로 하고, 실시예 2에서는 제 1 조임부의 폭을 4.0㎝(외경 18.0㎝, 내경 10.0㎝)로 했다. 또한 비교예 1에서는 제 1 조임부의 폭을 4.5㎝(외경 15.0㎝, 내경 6.0㎝)로 하고, 비교예 2에서는 제 1 조임부의 폭을 2.5㎝(외경 15.0㎝, 내경 10.0㎝)로 했다. 비교예 3에서는 제 1 조임부의 폭을 3.0㎝(외경 12.0㎝, 내경 6.0㎝)로 했다.
도 12는 그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명의 모니터의 스윙 속도의 증가량의 평균은, 또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어느 것이나 0.6m/s이며, 비교예 3에서는 0.3m/s이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0.9m/s, 실시예 2에서는 1.1m/s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제 1 조임부의 폭은 2.5㎝∼6㎝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 1 조임부의 외경은 본체부의 형상의 관계로부터 18㎝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조임부의 내경은 운동시의 대전자의 움직 임과 착용자의 체형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조임부의 기능 시험]
제 2 조임부의 기능 시험에서는, 5명의 모니터에게 골프 클럽의 스윙을 행하게 하고, 10회의 스윙 속도의 증가량의 평균을 계측했다. 각 모니터에게는 실시예로서 제 1 조임부 및 제 2 조임부가 형성된 샘플을 착용시키고, 비교예로서 제 1 조임부만이 형성된 샘플을 착용시켰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조임부의 폭은 3.5㎝로 했다.
도 13은 그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명의 모니터의 스윙 속도의 증가량의 평균은, 비교예에서는 0.42m/s이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에서는 0.54m/s이었다. 이 것으로부터 제 2 조임부에 의해 골반대의 전경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 운동 퍼포먼스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 3 조임부의 기능 시험]
제 3 조임부의 기능 시험에서는 5명의 모니터에게 골프 클럽의 스윙을 행하게 하고, 테이크백(take back)의 하기 쉬움, 및 스윙시의 허리의 비틀기 쉬움에 대해서, 10점을 만점(기준점 5점)으로 하는 주관 평가를 행하였다. 각 모니터에게는 실시예로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와 같은 샘플을 착용시켰다. 또한 비교예 1로서 조임부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샘플을 착용시키고, 비교예 2로서 제 1 조임부 및 제 2 조임부만이 형성된 샘플을 착용시켰다.
도 14는 그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크백의 하기 쉬움에 대해서는 각 모니터의 평가의 평균은, 비교예 1에서는 5.0점, 비교예 2에서는 6.6점이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에서는 7.2점이었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윙시의 허리의 비틀기 쉬움에 대해서는, 각 모니터의 평가의 평균은 비교예 1에서는 5.0점, 비교예 2에서는 6.2점이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에서는 7.4점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 3 조임부에 의한 허리의 안정화가 운동시의 쾌적성의 향상에 연결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 30, 40)에서는 제 1 조임부(21, 31)가 대전자 위치(A)의 주위를 완전하게 둘러싸도록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50)와 같이, 제 1 라인(21a) 전방측의 끝부와 제 2 라인(21b) 전방측의 끝부 사이, 및 제 1 라인(21a)의 후방측의 끝부와 제 2 라인(21b)의 후방측의 끝부 사이가 도중에 끊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60)와 같이, 복수의 원형상의 조임부(20)를 대략 라인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제 1 조임부(61)의 제 1 라인(61a) 및 제 2 라인(61b), 제 2 조임부(62), 및 제 3 조임부(63)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원형상의 조임부(20)는 1열로는 한정하지 않고, 메쉬 형상으로 배열해도 좋다. 복수의 조임부(20)의 형상은 원형상 외에 사각형, 별모양 등으로 해도 좋다.
조임부(20)는 본체부(10)의 이면측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임부(20)가 착용자의 피부측에 숨으므로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1, 30, 40)의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패츠형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예시했지만, 스패츠형 외에, 예를 들면 팬츠, 거들, 다이츠, 스타킹이라는 각종의 가랑이가 있는 의류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11)

  1. 삭제
  2. 착용자의 하반신 중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로서:
    신축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높은 조임력을 갖는 조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대전자보다 상측을 지나는 제 1 라인과, 상기 착용자의 대전자보다 하측을 지나는 제 2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전자의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서 상기 제 1 라인과 상기 제 2 라인의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상기 대전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제 1 조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라인은 상향의 커브를 이루고, 상기 제 2 라인은 하향의 커브를 이루며, 상기 제 1 라인 및 상기 제 2 라인은,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후방부의 상측으로부터 전방부의 하측에 걸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으며,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큰볼기근 및 중간볼기근의 상부 외측과 대퇴근막장근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하고, 둔부 및 대퇴부를 횡단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부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서혜부를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조임부에 연결된 띠 형상의 제 2 조임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부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조임부끼리를 연결하는 제 3 조임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부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서혜부를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조임부에 연결된 띠 형상의 제 2 조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부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조임부끼리를 연결하는 제 3 조임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임부는 복수의 조임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조임부는 복수의 조임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임부, 상기 제 2 조임부 및 상기 제 3 조임부는 각각 복수의 조임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임부는 복수의 조임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KR1020097026279A 2007-09-12 2007-09-12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Expired - Fee Related KR101359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7708 WO2009034621A1 (ja) 2007-09-12 2007-09-12 運動用股付き衣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743A KR20100059743A (ko) 2010-06-04
KR101359442B1 true KR101359442B1 (ko) 2014-02-07

Family

ID=4045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2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9442B1 (ko) 2007-09-12 2007-09-12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96893B2 (ko)
EP (1) EP2186427B1 (ko)
JP (1) JP4578527B2 (ko)
KR (1) KR101359442B1 (ko)
CN (1) CN101754698B (ko)
CA (1) CA2629459C (ko)
TW (1) TWI439236B (ko)
WO (1) WO20090346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06U (ko) * 2017-02-23 2018-08-31 임호택 몸매 보정용 하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335B2 (ja) * 2009-09-14 2011-08-31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 スポーツ用衣服
JP4918151B2 (ja) * 2010-03-31 2012-04-18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JP4601020B1 (ja) * 2010-05-14 2010-12-22 敬司 岡本 ボトム衣類
GB201103883D0 (en) * 2011-03-08 2011-04-20 Smith Aaron F Gilmore's groin & aductor support shorts
CA2870093C (en) * 2012-04-10 2018-10-23 Wacoal Corp. Crotched exercise garment
ITMI20120904A1 (it) 2012-05-24 2013-11-25 Freddy Spa Pantalone, in particolare un pantalone per modellare la natiche ed i fianchi femminili
ITMI20120907A1 (it) * 2012-05-24 2013-11-25 Freddy Spa Indumento per modellare le natiche ed i fianchi femminili, n particolare un indumento sportivo per danza o ginnastica
US9872526B2 (en) * 2012-12-13 2018-01-23 Marc Safran Brace for preventing symptoms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CN110916259A (zh) * 2014-07-30 2020-03-27 Vf伊玛格瓦尔公司 构造为用于增强移动性的裤子
GB2533077B (en) 2014-08-22 2017-12-06 Speedo Int Ltd Swimming garments
DE102015217841A1 (de) 2015-09-17 2017-03-23 Adidas Ag Sportbekleidungsartikel mit Unterstützungselementen
USD809245S1 (en) * 2015-11-27 2018-02-06 Adidas Ag Garment
EP3437501A4 (en) * 2016-03-30 2019-11-06 Toray Industries, Inc. CLOTHING
USD827983S1 (en) * 2017-03-24 2018-09-11 Nike, Inc. Gar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8952A1 (en) 1999-04-21 2003-02-13 Takako Fujii Garment
US20050193461A1 (en) 2004-02-10 2005-09-08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Garment
JP2007023465A (ja) * 2005-06-13 2007-02-01 Mizuno Corp 運動用スパッツ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187A (en) * 1904-01-19 Drawers
US2250218A (en) * 1940-04-13 1941-07-22 Cadous Esther Pantie
US2958327A (en) * 1957-03-29 1960-11-01 Gladys W Geissmann Foundation garment
US3298373A (en) * 1965-03-08 1967-01-17 Marchisella Americo Feminine foundation garment especially for separately shaping the individual buttocks of a wearer
US3542033A (en) * 1967-11-09 1970-11-24 Sarong Inc Action zone girdle
CH544518A (de) * 1971-11-11 1973-11-30 Tempelhof Hermann Hose, insbesondere Arbeitshose aus luftundurchlässigem Material
US4089064A (en) * 1976-01-19 1978-05-16 Chandler Jr Franklin Woodrow Protective athletic pants hose
US4625336A (en) * 1985-05-30 1986-12-02 Nike, Inc. Athletic garment
US4862523A (en) * 1988-01-11 1989-09-05 Sergei Lipov Buttock and leg support
US5201074A (en) * 1991-06-10 1993-04-13 Dicker Timothy P Exercise suit with resilient reinforcing
US5267928A (en) * 1992-05-12 1993-12-07 Brace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device
JP2898225B2 (ja) * 1995-07-20 1999-05-31 キシ株式会社 体型補整機能裏地付き衣服
US5737773A (en) * 1997-02-20 1998-04-14 Dicker; Timothy P. Aerobic exercise garment
JP3012819B2 (ja) * 1997-04-01 2000-02-28 株式会社ワコール 下肢部保護衣料
JP3870232B2 (ja) 1999-04-21 2007-01-17 株式会社ワコール 衣料
GB9919969D0 (en) * 1999-08-24 1999-10-27 Courtaulds Textiles Holdings An undergarment
GB9929867D0 (en) * 1999-12-17 2000-02-09 Speedo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s of clothing
US6430753B2 (en) * 1999-12-30 2002-08-13 Intermarketing Express Inc Reinforced undergarment
US6279161B1 (en) * 2000-01-19 2001-08-28 Steven E. Johnston Biographics: apparel that has moving graphics and patterns
TW475887B (en) * 2000-04-20 2002-02-11 Wacoal Corp Leg portions supporting wear
JP2002212814A (ja) 2000-11-09 2002-07-31 Combi Corp 脚力増強衣類
US20040111781A1 (en) * 2001-01-29 2004-06-17 Jo Miyake Clothing
AU2003206656B2 (en) * 2002-02-08 2008-05-15 Brand Factory Swiss Gmbh Thermoregulating item of clothing and method for removing humidity from areas of the skin
US6874337B2 (en) * 2002-06-05 2005-04-05 Mizuno Corporation Underpant garment
US7730552B2 (en) * 2003-04-15 2010-06-08 Wacoal Corp. Pants garment
CN100404005C (zh) * 2003-05-01 2008-07-23 华哥尔株式会社 腿线矫正用的带裆部的衣服
JP3923929B2 (ja) * 2003-07-30 2007-06-06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テクニカルセンター 運動用被服
DE112004002591D2 (de) * 2003-10-15 2006-09-14 Thomas Lutz Bekleidungsstück
CN100466924C (zh) * 2003-11-28 2009-03-11 华哥尔株式会社 带裆部的矫正衣
JP3924586B2 (ja) * 2004-05-20 2007-06-06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WO2006006457A1 (ja) * 2004-07-12 2006-01-19 Shinji Takeuchi 股部を有する衣類
US7615027B2 (en) * 2004-07-22 2009-11-10 Nordt Development Co., Llc Support with framework fastened to garment
US7615023B2 (en) * 2004-07-22 2009-11-10 Nordt Development Co., Llc Donning support with framework fastened to garment
JP4018682B2 (ja) * 2004-09-21 2007-12-0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スパッツ
EP1802208B1 (en) * 2004-09-23 2016-08-17 Skins International Trading AG Compression gar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JP2006144210A (ja) * 2004-10-19 2006-06-08 Onyone Kk スポーツウェア
EP1919308B1 (en) * 2004-12-21 2011-12-07 Smart Fitness Products, LLC Vail Colorado Garment with enhanced knee support
FR2879900B1 (fr) * 2004-12-24 2007-10-12 Promiles Sa Collant a effet localise de contention pour la pratique d'un sport
JP4294598B2 (ja) * 2005-01-26 2009-07-15 有限会社 中澤研究室 タイツ
US7087032B1 (en) * 2005-03-07 2006-08-08 Chieko Ikeda Controlling undergarment
JP2006322121A (ja) 2005-05-20 2006-11-30 Keio Gijuku 下肢部保護衣料
JP3924580B2 (ja) * 2005-05-27 2007-06-06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JP2007016361A (ja) * 2005-07-11 2007-01-25 Hiromi Hori 男性用下着
JP4673182B2 (ja) * 2005-10-18 2011-04-20 アサヒマカム株式会社 衣類
CN101389232B (zh) * 2006-02-27 2011-10-05 播本吉春 男性用短裤
GB2444804B (en) * 2006-12-15 2009-04-01 Speedo Int Ltd Elasticated sports garments
KR101314139B1 (ko) * 2006-12-26 2013-10-04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홀딩스 운동용 의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8952A1 (en) 1999-04-21 2003-02-13 Takako Fujii Garment
US20050193461A1 (en) 2004-02-10 2005-09-08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Garment
JP2007023465A (ja) * 2005-06-13 2007-02-01 Mizuno Corp 運動用スパッ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06U (ko) * 2017-02-23 2018-08-31 임호택 몸매 보정용 하의
KR200487825Y1 (ko) 2017-02-23 2018-11-08 임호택 몸매 보정용 하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39236B (zh) 2014-06-01
KR20100059743A (ko) 2010-06-04
TW200911152A (en) 2009-03-16
JPWO2009034621A1 (ja) 2010-12-16
EP2186427A1 (en) 2010-05-19
EP2186427B1 (en) 2017-02-08
EP2186427A4 (en) 2016-03-02
CA2629459C (en) 2014-04-08
WO2009034621A1 (ja) 2009-03-19
JP4578527B2 (ja) 2010-11-10
US20100162466A1 (en) 2010-07-01
CN101754698B (zh) 2015-06-03
HK1145422A1 (en) 2011-04-21
US9596893B2 (en) 2017-03-21
CA2629459A1 (en) 2009-03-12
CN101754698A (zh)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442B1 (ko)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6065000B2 (ja) 運動用股付き衣類
TWI428095B (zh) 運動用衣服
US8245324B2 (en) Bottom garment
US10092048B2 (en) Garment
US20190254852A1 (en) Sports garment
JP2014515440A (ja) スポーツ用衣服
WO2004096105A1 (ja) 股付き衣類
KR101088802B1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2004011055A (ja) 股付き矯正衣類
KR101766644B1 (ko)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JP4368364B2 (ja) 運動用スパッツ
WO2005051110A1 (ja) 股つき矯正衣類
JP5333974B2 (ja)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半身用衣料
WO2010050539A1 (ja) 衣類
JP2005248389A (ja) 脚部を有する衣類
JP2005146450A (ja) 運動用スパッツ
JP4846349B2 (ja) スパッツ
HK1145422B (en) Clothing with crotch for exercise
JP2011239883A (ja) ゴルフ用下衣
HK1125272B (en) Clothing for exercise
TWM456100U (zh) 下肢部分段式壓力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6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