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176B1 -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8176B1 KR101358176B1 KR1020110134482A KR20110134482A KR101358176B1 KR 101358176 B1 KR101358176 B1 KR 101358176B1 KR 1020110134482 A KR1020110134482 A KR 1020110134482A KR 20110134482 A KR20110134482 A KR 20110134482A KR 101358176 B1 KR101358176 B1 KR 1013581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precast
- girder
- pier
- precast gir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872 contrast media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173 Fall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경간 또는 3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에서 양측 교대 중 일측 교대만을 프리캐스트 거더와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화시킴으로써, 2경간 교량에 있어서 1개의 교각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교각에서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승 및 1차 하강에 의해 압축력을 도입시키고, 일체화된 일측 교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교좌형 교대에서 프리캐스트 거더를 다시 2차로 하강시켜 압축력을 도입시키며, 3경간 교량에 있어서 제1교각과 제2교각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제1교각 및 제2교각에서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승 및 1차 하강시켜 압축력을 도입시키고, 일체화된 일측 교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제2교각에서 프리캐스트 거더를 다시 2차 하강시켜 압축력을 도입시킨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은 종래 시공방법이 가지는 상부 구조물인 프리캐스트 거더와 하부 구조물인 교각을 연결해야 하는 난해한 공정을 배제시키고, 교대와 상부 구조물이 연결된 일측의 일체형 교대에 압축력을 도입시킬 수 있어 구조적으로뿐만 아니라 시공성 면에서도 월등히 우수한 교량의 건설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시공방법의 특징상 결부되는 온도변화에 의한 하중 부담을 배제시킬 수 있어 프리캐스트 거더의 형고와 지간장 면에서 각각 약 15% 정도의 감소효과 또는 연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경제적인 교량의 건설도 이룰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only one of the two side shifts with the precast girder and the slab concrete in the two-span or three-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one pier in the two-span bridge raises the precast girder at the bridge. And introducing a compressive force by the first descending, and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the integrated one-side shift introduces the compressive force by secondly lowering the precast girders again in the alternating bridge alternately, and the first piers and the second piers in the three-span bridge. Parent moments generated at the piers raise and lower the precast girders at the first and second piers to introduce compressive forces, and parent moments generated at the integrated one-side alternates the precast girders at the second piers. Descent the car to introduce a compressive force. For this reason,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 the difficult process of connecting the precast girder,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ier, which is the lower structure, and have an integral shift of one side to which the shift and the upper structure are connected. Compression force can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bridges that are excellent in terms of construction as well as in constructio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load burden caused by temperature change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method. Reduction or extension of about 15% can be expected in terms of the length of the land, and economic bridge construction can be achie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양측 교대 중 일측의 교대만 일체화된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only one side of the bridge alternates.
본 출원인은 관련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2674호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d registere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42674 "Continuous synthetic ramen bridge using the precast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s a related technology.
도 1 내지 도 9는 상기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2경간 연속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을 시공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1 to 9 show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wo-span continuous composite type ramen bridge using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equence.
도면들을 참조하면, 먼저 도 1과 같이 일부 시공된 교대(13) 및 교각(14)의 상단에,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거더(33)를 거치 및 연결함과 동시에 슬래브에 압축력을 도입시키기 위한 설계상의 상승 및 하강량을 고려한 일정 높이의 외측지점 가설재(31) 및 내측지점 가설재(32)를 설치시킨 후, 내측지점 가설재(32) 위에서 맞닿은 2개의 프리캐스트 거더(33)를 서로 연결한다(도 2 참조).Referring to the drawings, first, a design for introducing a compressive force into the slab while mounting and connecting a
이어서, 도 3과 같이 서로 연결된 프리캐스트 거더(33)를 내측지점인 교각에서 1차 상승시키고 내측지점 가설재(32) 위에 상기 상승량을 유지시킬 수 있는 상승유지 고임재(35)를 설치하며, 도 4와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36)를 타설한다. 다음으로 타설한 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지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대응하는 압축력을 도입시키기 위해 1차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33)를 하강시킨다. Subsequently, the
이어서, 도 6과 같이 교대(13) 단부에서 돌출되어 나온 교대 단부 연결철근(38)과 교대 단부쪽 슬래브 콘크리트에서 돌출된 슬래브 콘크리트 연결철근(37)을 서로 연결한 후, 도 7과 같은 공정도에 따라 교대(13)와 프리캐스트 거더(33) 및 슬래브 콘크리트(36)를 모두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교대 연결 콘크리트(39)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 after connecting the alternating end connecting reinforcing
타설한 교대 연결 콘크리트(39)가 양생되면, 다시 내측지점인 교각(14) 위에서 하강시켰던 프리캐스트 거더를 2차 상승시켜(도 8 참조), 2경간 연속 라멘교의 교대 단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대응하는 압축력을 교대의 단부에도 도입시키는 것이다. 이어서, 도 9와 같이 교각 연결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거더(33)와 교각(14)을 서로 일체화시키면,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2경간 연속 합성형 라멘교가 완성된다.When the alternately connected
그런데, 상술한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시공을 완료시키기 위해서는 상부 구조물인 프리캐스트 거더와, 하부 구조물인 교대와 교각을 프리캐스트 거더와 각각 일체화하는 공정을 거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하천을 횡단하는 교량 구조물의 교각은 하천 내에, 도로를 횡단하는 교량 구조물의 교각은 하부 도로 위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다수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연결 작업에 대한 시공성은 극히 불리함을 알 수 있다. However, in order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undergoes a process of integrating the precast girders, which are the upper structures, and the alternations and piers, which are the lower structures, with the precast girders, respectively. However, in view of the fact that in general, the bridge pier crossing the river is installed in the river and the bridge pier crossing the road is installed on the lower road. Able to know.
또한, 상술한 발명의 구조는 2경간과 3경간 교량 구조물에 국한되기 때문에, 4경간 이상의 교량 구조물에는 그 적용이 제한된다는 단점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limited to two-span and three-span bridge structure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s application is limited to more than four span bridge structure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프리캐스트 거더교가 가지고 있는 시공성과 적용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pable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onstruction and applicability of a conventional precast girder brid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는 교좌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일체형 교대와, 교각과, 교좌장치가 설치되는 교좌형 교대와, 일체형 교대의 상단에 마련되는 외측지점 가설재와, 교각에 마련되는 교좌장치와, 교좌형 교대의 교좌장치 위에 마련되는 하강대비 고임재와, 교각의 교좌장치 위에서 맞닿도록 외측지점 가설재 및 교좌형 교대의 하강대비 고임재 상에 설치되는 두 개의 프리캐스트 거더와, 교각의 교좌장치 위에 프리캐스트 거더의 상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상승유지 고임재와, 프리캐스트 거더 위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형 교대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는 교대 연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2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에 있어서, 교각의 내측지점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교각의 교좌장치 위에서 맞닿은 두 개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연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승유지 고임재를 설치하여 상승시킨 상태에서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유지시킨 후,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켜 도입되는 압축력으로 상쇄시키고, 일체형 교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1차 하강 후 상기 교좌형 교대의 하강대비 고임재를 제거하여 2차 하강시켜 도입되는 압축력으로 상쇄시킨다.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tegral shift, which is not installed on the bridge device, the bridge, the bridge bridge is installed on the bridge device, and the outer point temporary material provided on the top of the integral bridge, Two precasts installed on the bridge device provided on the bridge, the fall contrast slab provided on the bridge device of the bridge type bridge, and the outer point temporary construction material on the bridge device of the bridge bridge A girder, a lifting retaining slab provided to maintain the precast girder on the pier's bridge device, slab concrete placed on the precast girder, and an alternate connection integrating the integral shift, the precast girder and the slab concrete In a two-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containing concrete, The generated parent is connected to two precast girder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bridge device of the piers, and the slab concrete is poured and maintained while the precast girder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installed with the elevating retaining material. The cast girder is first offset by the compressive force introduced by the lowering, and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the integral shift is offset by the compressive force introduced by the second lowering by removing the high retaining material compared to the lowering of the alternating shift after the first descend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교좌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일체형 교대와, 제1교각 및 제2교각과, 교좌장치가 설치되는 교좌형 교대와, 상기 일체형 교대의 상단에 마련되는 외측지점 가설재와, 상기 제1교각 및 제2교각에 마련되는 교좌장치와, 상기 제2교각의 교좌장치 위에 마련되는 하강대비 고임재와, 상기 제1교각의 교좌장치 및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 상에 맞닿도록 상기 외측지점 가설재 및 상기 교좌형 교대 교좌장치 상에 설치되는 세 개의 프리캐스트 거더와, 상기 제1교각의 교좌장치 위 및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 위에 프리캐스트 거더의 상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상승유지 고임재와,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위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와, 상기 일체형 교대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는 교대 연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3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에 있어서, 상기 제1교각과 제2교각의 내측지점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상기 제1교각의 교좌장치 위 및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 위에서 맞닿은 두 개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연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승유지 고임재를 설치하여 상승시킨 상태에서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유지시킨 후,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켜 도입되는 압축력으로 상쇄시키고, 상기 일체형 교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1차 하강 후 상기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를 제거하여 2차 하강시켜 도입되는 압축력으로 상쇄시킨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l shift,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alternating device, the first pier and the second pier, the alternating bridge on which the alternating device is installed, and the outer point temporary material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integral shift, To be in contact with the bridge device provided on the first pier and the second piers, the lower fall-bearing material provided on the bridge device of the second pier, and the lower fall-bearing material of the first pier and the second pier. Three precast girders installed on the outer point temporary member and the bridge type alternating bridge device, and to maintain the precast girder on the bridge device of the first pier and on the high gradation material of the second pier. A bridge for integrating the rising holding solid material provided, the slab concrete placed on the precast girder, and the integrated shift, the precast girder and the slab concrete. In a three-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including connecting concrete, the parent moments generated at the inner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pier abut on the bridge device of the first pier and above the descent of the second pier. The two precast gir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recast girder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installed by raising the slab concrete while raising slab concrete.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is provided to offset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the integrated shift and canceled by the compressive force introduced by the second descending after removing the high retaining material of the second pier after the first descen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는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기 교각의 교좌장치 위에서 상승유지 고임재를 이용하여 상승시킨 후 타설되고, 상기 교대 연결 콘크리트는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킨 후 타설된다. In addition, the slab concrete of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oured after the precast girder is raised by using the rising holding material on the bridge device of the piers, the alternating connection concrete is the precast girder 1 After the car descends, it is poured.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는 상기 제1교각의 상승량 및 1차 하강량은 상기 제2교각의 상승량 및 1차 하강량보다 크다. In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ing amount and the first falling amount of the first pier are greater than the rising amount and the first falling amount of the second pier.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는 경간별로 독립되어 제작되는 단위 프리캐스트 거더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프리플렉스 거더, 강박스 거더 중 하나를 포함한다.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precast girder that is independently produced by the span includes one of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preflex girder, steel box gird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교좌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일체형 교대와, 교좌장치가 설치된 교각과, 교좌장치가 설치된 교좌형 교대를 포함하는 2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교대와 교좌형 교대의 교좌장치 상단에 각각 외측지점 가설재와 하강대비 고임재를 설치하는 단계; 경간별로 독립되어 제작된 단위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기 외측지점 가설재와 교각의 교좌장치 사이와, 교각의 교좌장치와 하강대비 고임재 사이에 거치시키는 단계; 거치된 각각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교각의 교좌장치 위에서 서로 맞닿게 연결시키는 단계; 연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교각에서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일체형 교대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는 교대 연결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및 1차 하강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교좌형 교대에서 2차 하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wo-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comprising an integral shift in which the staircase device is not installed, the pier in which the staircase device is installed, and the staircase alternate in which the staircase device is installed, Installing an outer point provisional member and a lowering-pumped retaining material on top of the alternating device and the alternating-type seating device respectively; Mounting unit precast girders independently produced by the span between the outer point temporary member and the bridge device of the bridge, and between the bridge device of the bridg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lab; Connecting each of the mounted precast girder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a bridge device; Lifting the connected precast girder at the pier; Placing and curing slab concrete on the precast girder; Firstly lowering the raised precast girder; Placing and curing alternating connecting concrete integrating the integral shift with precast girder and slab concrete; And a step of secondly lowering the precast girder which has been first lowered in the cross seat shif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교좌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일체형 교대와, 교좌장치가 설치된 제1교각 및 제2교각과, 교좌장치가 설치된 교좌형 교대를 포함하는 3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교대의 상단에는 외측지점 가설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2교각의 교좌장치 상단에는 하강대비 고임재를 설치하는 단계; 경간별로 독립되어 제작된 단위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기 외측지점 가설재와 제1교각의 교좌장치의 사이와, 상기 제1교각의 교좌장치와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 사이와, 제2교각 하강대비 고임재와 상기 교좌형 교대의 교좌장치 사이에 거치시키는 단계; 거치된 각각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제1교각의 교좌장치 및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 위에서 서로 맞닿게 연결시키는 단계; 연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제1교각 및 제2교각에서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일체형 교대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는 교대 연결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하강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제2교각에서 2차 하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three-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including an integral shift without a bridge device, a first bridge and a second bridge with a bridge device, and a bridge bridge with a bridge device A method, comprising: installing an outer point temporary construction material on an upper end of the integrated shift, and installing a stiffening material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ier bridge device; The unit precast girders independently manufactured by the span are placed between the outer point temporary member and the bridge device of the first pier, between the bridge device of the first bridge and the descent to the second bridge, and the second bridge pier Mounting between the solid material and the device of the alternating bridge; Connecting each of the mounted precast girder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bridge device of the first pi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er; Raising the connected precast girder at the first and second piers; Placing and curing slab concrete on the precast girder; Firstly lowering the raised precast girder; Placing and curing alternating connecting concrete integrating the integral shift with precast girder and slab concrete; And a second step of descending the first precast girder lowered at the second piers.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교각의 상승량 및 1차 하강량은 상기 제2교각의 상승량 및 1차 하강량보다 크다.일체형 교대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의 연결에 있어서,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ascending and the amount of first descending of the first pier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ascent and the amount of first falling of the second pier. Integral shift and precast girder and slab concrete In the connection 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단부의 측면에는 거더노출철근을 하면에는 연결플레이트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일체형 교대 위 가설재에 거치시킨 후, 연결플레이트와 인발방지 플레이트를 서로 관통하여 연결되는 연결철근을 설치하고, 일체형 교대에서 노출되어진 교대연결철근과 프리캐스트 거더 단부의 측면에서 노출되어진 거더노출철근을 서로 연결하고, 교대 단부에서 노출되어진 교대 단부 연결철근과 슬래브 콘크리트에서 노출되어진 슬래브 콘크리트 연결 철근을 서로 연결한 후, 상기 모두를 감싸는 연결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대와 거더를 일체화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irder exposed reinforcing bar on the side of the end of the precast girder, the precast girder with the connecting plate is mounted on the temporary alternating material on the integral shift, and then the connecting plate and drawing Connecting bar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revention plate, connecting the alternating connecting bars exposed in the integral shift and the exposed girder bars in the side of the precast girder end, and the alternating end connecting bars exposed at the alternating ends; After connecting the slab concrete connecting rebar exposed from the slab concrete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concrete covering all of the above to be poured to integrate the shift and the girder.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은 기존의 시공방법이 가지는 상부 구조물인 프리캐스트 거더와 하부 구조물인 교각을 연결하는 난해한 공정을 배제시키고 교대와 상부 구조물이 연결된 일체형 교대에 압축력을 도입시킬 수 있어, 구조적으로뿐만 아니라 시공성 면에서도 월등히 우수한 교량의 건설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경간 이상의 연속된 교량 구조물에서도 그 적용성이 뛰어나다.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difficult process of connecting the precast girder,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iers of the lower structure, and introduces compressive force to the integral shift connected to the alternating and superstructure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bridge that is excellent in terms of construction as well as construction, and is excellent in applicability in a continuous bridge structure of four or more spans.
또한 종래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의 특징상 결부되는 온도변화에 의한 하중 부담을 교량의 양측 교대 중 일측 교대만을 일체화시키는 시공방법으로 배제시킬 수 있어 프리캐스트 거더의 형고와 지간장 면에서 각각 약 15% 정도의 감소효과 또는 연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경제적인 교량의 건설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e load burden caused by temperature change can be eliminated as a construction method that integrates only one side shift of both sides of the bridge. The reduction or extension effect of 15% can be expected and economic bridge construction can be achieved.
도 1 내지 도 9는 종래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2경간 연속교에 대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3경간 연속교에 대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8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2경간 및 3경간 연속교에서 교좌형 교대를 연속 교각으로 대치한 연속교를 도시한 것이다.
도 30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에서의 일체형 교대의 교대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의 연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1 to 9 illustrate a continuous composite ramen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a conventional precast girder.
10 to 18 illustrate a construction method for a two-span continuous bridge of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7 illustrate a construction method for a three span continuous bridge of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to 29 illustrate a continuous bridge in which two-stage and three-span continuous bridges of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a continuous bridge.
30 to 34 illustrate a method of connecting the integral alternating alternation and the precast girder and the slab concrete in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시공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10 to 18 illustrat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wo-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rder.
본 발명의 시공을 위해서는 먼저 도 10과 같이 일부 시공되어 상부 구조물과 일체로 연결될 일체형 교대(51)와, 교좌장치(53)까지 설치되어 시공이 완전히 완료된 교각(14)과, 교좌장치(53)가 설치된 교좌형 교대(52)가 준비된다. 여기서, 일부 시공된 일체형 교대(51)의 상부에는 프리캐스트 거더의 거치를 위한 외측지점 가설재(31)와, 추후 도 15에서와 같이 상부 구조물인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와 교대(51)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는 교대 단부 연결철근(38)을 미리 돌출시켜 놓으며, 교좌형 교대(52)의 교좌장치(53) 위에는 추후 2차 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일체형 교대(51)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대응하는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해 2차 하강을 위한 하강대비 고임재(54)가 설치된다.For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이어서, 상기와 같이 마련된 교대(51,52) 및 교각(14) 위에 도 11과 같이 공장 또는 현장에서 제작된 2개의 프리캐스트 거더(33) 중 1개는 일체형 교대(51)의 외측지점 가설재(31) 위와 교각 위의 교좌장치(53) 사이에, 다른 1개는 교각 위의 교좌장치(53)와 교좌형 교대(52)의 하강대비 고임재(54) 사이에 각각 가설하고, 두 프리캐스트 거더는 교각(14)에서 맞닿도록 서로 연결한다. 연결된 2개의 프리캐스트 거더(33)는 내측지점인 교각(14)에서 상승시키고, 교각(14)의 교좌장치(53) 위에는 상기 상승량을 유지시킬 수 있는 상승유지 고임재(35)를 설치한 후(도 12 참조), 도 13과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36)를 타설한다. 이때, 타설하는 슬래브 콘크리트는 일체형 교대(51)측 단부의 슬래브 콘크리트 연결 철근(37)이 일부분 노출되도록 타설하는데, 이는 추후 일체형 교대(51)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기 위함이다.Subsequently, one of the two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설한 슬래브 콘크리트(36)가 양생되면, 교각(14) 위의 상승유지 고임재(35)를 제거하여, 내측지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대응하는 압축력을 교각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36)에 도입시킬 수 있도록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33)를 1차 하강시켜 교좌장치(53) 위에 안착시킨다(도 14 참조). As shown in FIG. 13, when the
이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 교대(51) 단부에서 돌출되어 나온 교대 단부 연결철근(38)과 일체형 교대측 슬래브 콘크리트(36)의 단부에서 돌출된 슬래브 콘크리트 연결 철근(37)을 서로 연결한 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 교대(51)와 프리캐스트 거더(33) 및 슬래브 콘크리트(36)를 모두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교대 연결 콘크리트(39)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5, the alternate
타설한 교대 연결 콘크리트(39)가 양생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좌형 교대(52)의 교좌장치(53) 위에 설치된 하강대비 고임재(54)를 제거하여 프리캐스트 거더(33)를 2차로 하강시켜 교좌장치(53) 위에 안착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의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2경간 연속교가 완성된다.When the alternately connected
도 18은 상술한 시공방법에 따라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2경간 연속교에서 발생하는 휨모멘트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교좌형 교대(52)의 프리캐스트 거더 2차 하강에 의해 일체형 교대(51)에 압축력이 도입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2차 하강으로 인해 내측지점부인 교각(14)에는 다시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역효과가 발생하나, 이는 교각(14)에서의 프리캐스트 거더 1차 하강시 이를 상쇄시킬 수 있는 충분한 압축력을 도입시키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FIG. 18 schematically shows the bending moment diagram generated in the two-span continuous bridge of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method. It can be seen that the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to). However, due to the above-described secondary lowering, the
도 19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시공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19 to 27 illustrate a construction method of a three-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rder.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3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일체형 교대(51)와, 두 개의 교각 즉, 제1교각(61) 및 제2교각(62)과, 1개의 교좌형 교대(52)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교각을 제1교각(61)과 제2교각(62)으로 분리시켜 명명하는 이유는 본 실시예의 3경간 연속교의 시공방법에서는 2경간 연속교의 시공방법과는 달리 제2교각(62)에서만 2차 하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rst, the three-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e
본 실시예의 3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을 위해서는 먼저, 도 19와 같이 일부 시공되어 상부 구조물과 연결될 일체형 교대(51)와, 교좌장치(53)까지 설치되어 시공이 완전히 완료된 제1교각(61) 및 제2교각(62)과, 교좌형 교대(52)가 준비된다. 여기서, 일체형 교대(51)의 상부에는 프리캐스트 거더의 거치를 위한 외측지점 가설재와, 추후 도 24에서와 같이 상부 구조물인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는 교대 단부 연결철근(38)을 미리 돌출시켜 놓으며, 제2교각(62)의 교좌장치(53) 위에는 추후 2차 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일체형 교대(51)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대응하는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2차 하강에 필요한 하강대비 고임재(54)가 설치된다.For the construction of the three-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as shown in FIG. 19, the
상기와 같이 교대 및 교각이 시공 준비되면, 도 20에 도시한 바과 같이 공장 또는 현장에서 제작된 복수의 프리캐스트 거더(33)를 일체형 교대(51)의 외측지점 가설재(31) 위와, 제1교각(61)의 교좌장치(53) 위와, 제2교각(62)의 교좌장치(53) 위에 설치된 하강대비 고임재(54) 위와, 교좌형 교대(52)의 교좌장치(53) 위에 양단이 각각 걸쳐지도록 가설한다. 즉, 일체형 교대(51)와 제1교각(61) 사이의 프리캐스트 거더(33)는 수평으로 가설하고, 제1교각(61)과 제2교각(62) 사이의 프리캐스트 거더(33)와 제2교각(62)과 교좌형 교대(52) 사이의 프리캐스트 거더(33)는 제2교각(62) 측이 높아지도록 가설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hift and the pier is ready for construction, as shown in FIG. 20, the plurality of
이어서, 복수의 프리캐스트 거더(33) 중 내측지점인 제1교각(61) 및 제2교각(62) 위에서 맞닿은 프리캐스트 거더(33)는 상승되며, 이때 교좌장치(53) 위에는 상기 상승량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승유지 고임재(35)가 설치된다(도 21 참조). 또한, 여기서 제1교각(61)의 상승량은 제2교각(62)의 상승량보다 크게 하여 추후 공정인 1차 하강 시 제1교각(61)의 프리캐스트 거더(33) 하강량이 제2교각(62)의 하강량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1교각(61)보다 제2교각(62)에 더 큰 압축력이 도입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이유는 도 26의 시공도 및 도 27의 휨모멘트도에서 부연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이어서, 도 21의 공정이 완료되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36)를 타설한다. 이때, 타설하는 슬래브 콘크리트(36)는 일체형 교대측 단부로부터 슬래브 콘크리트 연결 철근(37)이 일부분 노출되도록 타설하는데 이는 추후 일체형 교대(51)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기 위함이다.Subsequently, when the process of FIG. 21 is completed, the
타설한 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내측지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대응하는 압축력을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36)에 도입시키기 위해 1차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33)는 제1교각(61)의 교좌장치(53) 위 및 제2교각(62)의 하강대비 고임재(54) 위에 하강 안착시킨다(도 23 참조). When the poured slab concrete is cured, the
이어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 교대(51) 단부에서 돌출되어 나온 교대 단부 연결철근(38)과 일체형 교대측의 슬래브 콘크리트 단부에서 돌출된 슬래브 콘크리트 연결 철근(37)을 서로 연결한 후,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 교대(51)와 프리캐스트 거더(33) 및 슬래브 콘크리트(36)를 모두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교대 연결 콘크리트(39)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4, after connecting the alternating
타설한 교대 연결 콘크리트(39)가 양생되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교각(62)의 교좌장치(53) 위에 설치된 하강대비 고임재(54)를 제거하여 프리캐스트 거더(33)를 2차로 하강시켜 교좌장치(53) 위에 안착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3경간 연속교가 완성된다. When the alternately connected concrete 39 is cured, as shown in FIG. 26, the
도 27은 상술한 바에 따라 시공된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3경간 연속교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2교각(62)에서의 프리캐스트 거더(33)의 2차 하강에 의해 일체형 교대(51)에 압축력이 추가 도입됨을 알 수 있다. 이때, 2차 하강은 제1교각(61)에 다시 부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역효과가 발생하나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교각(61)에서의 프리캐스트 거더 1차 하강시 이를 상쇄시킬 수 있는 충분한 압축력을 도입시키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제1교각(61)에서의 하강량을 제2교각(62)에서의 하강량보다 크게 하여 더 큰 압축력을 도입시키는 것이다.FIG. 27 shows the bending moments occurring in the three-span continuous bridges of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nd are integrally shifted by the second descending of the
이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의 시공방법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briefly summarizes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2경간 또는 3경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에서 교량의 양측 교대 중 일측 교대만을 프리캐스트 거더와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화시키는 구성을 기본으로, 2경간 교량에 있어서 1개의 교각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교각에서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승 및 1차 하강에 의해 압축력을 도입시키고, 일체형 교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교좌형 교대에서 프리캐스트 거더를 다시 2차로 하강시켜 압축력을 도입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integrating only one of the two sides of the bridge with the precast girder and the slab concrete in the two-span or three-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one pier in the two-span bridge In the precast girder, the compression force is introduc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primary, and the parent moment occurring in the integral shift lowers the precast girder to the secondary again in the alternating shift and introduces the compression force.
반면에 3경간 교량에 있어서 제1교각과 제2교각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제1교각 및 제2교각에서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승 및 1차 하강시켜 압축력을 도입시키고, 일체형 교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제2교각에서 프리캐스트 거더를 다시 2차 하강시켜 압축력을 도입시키는 시공방법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ree-span bridge, the parent moments generated at the first and second piers are introduced by the precast girders at the first and second piers to raise and lower the precast girders to introduce compressive forces, and the parent moments generated at the integral bridges. Is a construction method of introducing a compressive force by secondly lowering the precast girders again in the second piers.
한편, 본 발명의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의 시공방법에서 적용되어지는 프리캐스트 거더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프리플렉스 거더, 강박스 거더 등에 공히 적용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recast girder applied in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both prestressed concrete girder, preflex girder, steel box girder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은 도 10 내지 도 18까지의 2경간 연속교, 도 19 내지 도 27까지의 3경간 연속교에서 도시한 교좌형 교대 대신에 도 28 및 도 29와 같이 연속된 교각(15,63)에서도 그 적용이 가능하므로, 종래 발명이 2경간 교량 및 3경간 교량에만 국한되어 적용되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re shown in Figs. 28 and 29 instead of the cross-sectional shift shown in the two-span continuous bridge shown in Figs. Since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ontinuous bridges (15, 63), it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 that the conventional invention is limited to the two-span bridge and three-span bridge.
도 30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및 그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부구조물과 일체화되어지는 일체형 교대의 교대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의 연결 방법을 좀 더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30 to 34 show in more detail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alternating alternating body and the precast girder and the slab concrete integrated with the superstructure in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프리캐스트 거더(33)의 일체형 교대와 연결되어지는 단부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철근가설구멍(71)이 뚫린 연결플레이트(72)와 거더노출철근(73)을 설치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연결플레이트(72)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후 일체형 교대(51)과 프리캐스트 거더(33)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철근(74)과 프리캐스트 거더(33)를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거더노출철근(73)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 교대(51)의 시공시 배근되어 교대의 표면 위로 노출된 교대연결철근(75)과 연결을 위함이다. 도 31은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일체형 교대(51)에 거치하기 전 일체형 교대(51)에 설치된 외측지점 가설재(31)와 일체형 교대(51)의 시공시 배근되어 교대의 표면 위로 노출된 교대연결철근(75)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이때 일체형 교대(51)에는 프리캐스트 거더의 끝단 쪽으로 프리캐스트 거더 위의 슬래브 콘크리트(36)에서 노출된 슬래브 콘크리트 연결 철근(37)과 연결하기 위한 교대 단부 연결철근(38)이 추가로 노출되어 있다.FIG. 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의 교대 위에 도 30의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거더(33)를 외측지점 가설재(31) 위에 거치시키면 도 32와 같은 상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도면의 인식성을 높이기 위해 도 31에서 도시한 일체형 교대(51)의 시공시 배근되어 교대의 표면 위로 노출된 교대연결철근(75)과 교대 단부 연결철근(38)의 표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When the
프리캐스트 거더(33)를 도 32와 같이 거치한 후, 일체형 교대(51)와 프리캐스트 거더(33)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철근(74)을 연결플레이트(72)에 설치된 철근가설구멍(71)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연결철근(74)이 한꺼번에 연결되고 상부 하중의 재하시 거더(33)에 발생하는 인발을 방지하기 위한 인발방지 플레이트(76)를 설치한다(도 33 참조). 이와 동시에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구조물인 프리캐스트 거더(33)와 하부구조물인 일체형 교대(51)를 서로 연결하여 완전 일체화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일체형 교대(51)의 시공시 배근되어 교대의 표면 위로 노출된 교대연결철근(75)과 프리캐스트 거더에서 노출되어 설치된 거더노출철근(73)을 서로 연결하고, 타설 양생된 슬래브 콘크리트(36)에서 노출된 슬래브 콘크리트 연결철근(37)과 교대 단부 연결철근(38)을 연결한다. 여기서, 도 34에서는 도면의 인식성을 높이기 위해 도 33에서 표현한 연결철근(74) 및 인발방지 플레이트(76)의 표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After the
다음 공정으로는 도 16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0 내지 도 34까지 기술한 모든 부분을 둘러싸는 교대 연결 콘크리트(39)를 타설하여 상부 구조물인 프리캐스트 거더(33)와 하부 구조물인 일체형 교대(51)를 완전히 일체화시킨다.In the next process, as shown in FIGS. 16 and 25, the alternating connecting
13 : 교대
14 : 교각
31 : 외측지점 가설재
32 : 내측지점 가설재
33 : 프리캐스트 거더
35 : 상승유지 고임재
36 : 슬래브 콘크리트
37 : 슬래브 콘크리트 연결 철근
38 : 교대 단부 연결철근
39 : 교대 연결 콘크리트
40 : 교각 연결 콘크리트
51 : 일체형 교대
52 : 교좌형 교대
53 : 교좌장치
54 : 하강대비 고임재
61 : 3경간 연속교에서 제1교각
62 : 3경간 연속교에서 제2교각
71 : 철근가설구멍
72 : 연결플레이트
73 : 거더노출철근
74 : 연결철근
75 : 교대 연결철근
76 : 인발방지 플레이트13: shift
14: pier
31: Outer point temporary construction
32: medial point temporary material
33: Precast Girder
35: rising holding
36: slab concrete
37: slab concrete connection rebar
38: alternate end connecting rebar
39: alternating connection concrete
40: pier connecting concrete
51: integral shift
52: staggered shift
53: device
54: high wages in preparation for descent
61: first pier in a 3-span continuous bridge
62: 2nd pier in 3 span continuous bridge
71: rebar temporary hole
72: connecting plate
73: Girder Exposed Rebar
74: connecting rebar
75: alternating connecting bars
76: pull out plate
Claims (9)
상기 교각 내측지점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상기 교각의 교좌장치 위에서 맞닿은 두 개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연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승유지 고임재를 설치하여 상승시킨 상태에서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유지시킨 후,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켜 도입되는 압축력으로 상쇄시키고,
상기 일체형 교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1차 하강 후 상기 교좌형 교대의 하강대비 고임재를 제거하여 2차 하강시켜 도입되는 압축력으로 상쇄시킨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Integral shift where no bridge device is installed, bridge bridge, bridge bridge where the bridge device is installed, external point temporary provision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ridge bridge, bridge device provided in the bridge, and bridge bridge Two precast girders installed on the lower fall contrast slab provided on the bridge device, on the outer point temporary construction material and the lower fall contrast rock stack on the bridge device, and precast on the bridge device. Two-stage continuous free including a rising holding solid material provided to maintain the raised state of the girder, slab concrete placed on the precast girder, and alternating connecting concrete integrating the integral shift, precast girder and slab concrete; In cast girder bridge,
The parent moment generated at the inner side of the pier is connected to the two precast girders abutting on the bridge device of the pier, and the slab concrete is maintained while the precast girder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elevated by installing a rising retaining material. After raising, the raised precast girder is first lowered and offset by the compression force introduced,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the integral shift is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offset by the compressive force introduced by the second lower after removing the high stiffness compared to the lower of the bridge shift after the first lower.
상기 제1교각과 제2교각 내측지점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상기 제1교각의 교좌장치 위 및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 위에서 맞닿은 두 개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연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승유지 고임재를 설치하여 상승시킨 상태에서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유지시킨 후,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켜 도입되는 압축력으로 상쇄시키고,
상기 일체형 교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는 1차 하강 후 상기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를 제거하여 2차 하강시켜 도입되는 압축력으로 상쇄시킨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Integral shifts without a bridge device, first and second bridges, cross bridges where the bridge device is installed, external point temporary provis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ridge, and the first bridge and the second bridge bridge The outer point provision material and the bridge to be in contact with the bridge device provided in the, and the lower fall-bearing material provided on the bridge device of the second pier, and the lower fall-bearing material of the first pier bridge device and the second piers. Three precast girders installed on the left shift bridge device, and a rising holding stub provided to maintain the precast girder on the bridge device of the first pier and above the descent stack of the second bridge. 3, including slab concrete that is cast on the precast girder, and alternating concrete that integrates the integrated shift with the precast girder and the slab concrete. In continuous precast girder between,
The parent moments generated at the inner points of the first pier and the second pier connect two precast girders contacted with each other on the pier device of the first pier an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er, and the precast girders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 the slab concrete is poured and maintained in the state of installing and maintaining the rising retaining material, the precast girders are first lowered and offset by the compressive force introduced.
The parent moment generated in the integral shift is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canceled by the compressive force introduced by the second lower after removing the high retaining material of the second piers after the first lower.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는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기 교각의 교좌장치 위에서 상승유지 고임재를 이용하여 상승시킨 후 타설되고,
상기 교대 연결 콘크리트는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킨 후 타설되는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lab concrete is poured after raising the precast girder by using the lifting retaining material on the bridge device of the piers,
The alternating-connected concrete is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which is poured after the precast girder is first lowered
상기 제1교각의 상승량 및 1차 하강량은 상기 제2교각의 상승량 및 1차 하강량보다 큰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ising amount and the first falling amount of the first piers is greater than the rising amount and the first falling amount of the second piers girder bridge.
경간별로 독립되어 제작되는 단위 프리캐스트 거더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프리플렉스 거더, 강박스 거더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nit precast girder, which is manufactured independently by span, is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including one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preflex girder and steel box girder.
상기 일체형 교대와 교좌형 교대의 교좌장치 상단에 각각 외측지점 가설재와 하강대비 고임재를 설치하는 단계;
경간별로 독립되어 제작된 단위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기 외측지점 가설재와 교각의 교좌장치 사이와, 교각의 교좌장치와 하강대비 고임재 사이에 거치시키는 단계;
거치된 각각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교각의 교좌장치 위에서 서로 맞닿게 연결시키는 단계;
연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교각에서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일체형 교대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는 교대 연결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및
1차 하강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교좌형 교대에서 2차 하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wo-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including an integral shift without a bridge device, a bridge with a bridge device, and a bridge bridge with a bridge device,
Installing an outer point temporary construction material and a lowering contrasting material on top of the integrated device of the integrated shift and the bridge type shift;
Mounting unit precast girders independently produced by the span between the outer point temporary member and the bridge device of the bridge, and between the bridge device of the bridg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lab;
Connecting each of the mounted precast girder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a bridge device;
Lifting the connected precast girder at the pier;
Placing and curing slab concrete on the precast girder;
Firstly lowering the raised precast girder;
Placing and curing alternating connecting concrete integrating the integral shift with precast girder and slab concrete; And
Constructing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상기 일체형 교대의 상단에는 외측지점 가설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2교각의 교좌장치 상단에는 하강대비 고임재를 설치하는 단계;
경간별로 독립되어 제작된 단위 프리캐스트 거더를 상기 외측지점 가설재와 제1교각의 교좌장치의 사이와, 상기 제1교각의 교좌장치와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 사이와, 제2교각 하강대비 고임재와 상기 교좌형 교대의 교좌장치 사이에 거치시키는 단계;
거치된 각각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제1교각의 교좌장치 및 제2교각의 하강대비 고임재 위에서 서로 맞닿게 연결시키는 단계;
연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제1교각 및 제2교각에서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상승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1차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일체형 교대와 프리캐스트 거더 및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는 교대 연결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하강시킨 프리캐스트 거더를 제2교각에서 2차 하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hree-span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including an integral shift without a bridge device, a first bridge and a second bridge with a bridge device, and a bridge bridge with a bridge device,
Installing an outer point temporary construction material on an upper end of the integrated shift, and installing a high contrast material on the upper end of the bridge device of the second pier;
The unit precast girders independently manufactured by the span are placed between the outer point temporary member and the bridge device of the first pier, between the bridge device of the first bridge and the descent to the second bridge, and the second bridge pier Mounting between the solid material and the device of the alternating bridge;
Connecting each of the mounted precast girder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bridge device of the first pi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er;
Raising the connected precast girder at the first and second piers;
Placing and curing slab concrete on the precast girder;
Firstly lowering the raised precast girder;
Placing and curing alternating connecting concrete integrating the integral shift with precast girder and slab concrete; And
Constructing a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comprising the steps of: firstly lowering the precast girder that is first lowered at a second piers.
상기 제1교각의 상승량 및 1차 하강량은 상기 제2교각의 상승량 및 1차 하강량보다 큰 연속 프리캐스트 거더교의 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rise and the first descending amount of the first pi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4482A KR101358176B1 (en) | 2011-12-14 | 2011-12-14 |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4482A KR101358176B1 (en) | 2011-12-14 | 2011-12-14 |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7680A KR20130067680A (en) | 2013-06-25 |
KR101358176B1 true KR101358176B1 (en) | 2014-02-07 |
Family
ID=4886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4482A Active KR101358176B1 (en) | 2011-12-14 | 2011-12-14 |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817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06500B (en) * | 2020-02-27 | 2025-02-18 | 清华大学 | A structur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crack resistance of bridge deck of a simply supported and then continuous bridge |
KR102602548B1 (en) * | 2022-01-20 | 2023-11-15 | 구민세 | Rahmen structure integrating abutment and superstructure to improve seismic resiste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4500A (en) * | 2000-06-08 | 2000-09-05 | 구민세 | Construction method that introduces compressive stress to bottom plate concrete and bottom moment flange of parent section by using and adjusting the descending and rising process of end point in short span and multi span composite structures |
KR101042674B1 (en) | 2010-11-18 | 2011-06-20 | 박영희 | Continuous Composite Ramen Bridge Using Precast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2011
- 2011-12-14 KR KR1020110134482A patent/KR1013581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4500A (en) * | 2000-06-08 | 2000-09-05 | 구민세 | Construction method that introduces compressive stress to bottom plate concrete and bottom moment flange of parent section by using and adjusting the descending and rising process of end point in short span and multi span composite structures |
KR101042674B1 (en) | 2010-11-18 | 2011-06-20 | 박영희 | Continuous Composite Ramen Bridge Using Precast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7680A (en) | 2013-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2674B1 (en) | Continuous Composite Ramen Bridge Using Precast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95801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 |
KR101283535B1 (en) | Fully-precast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s and construction method of such bridges | |
KR101101209B1 (en) | Cantilevered part of bridge slab using precast permanent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 |
JP3588325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ingle span and multi span composite girder bridges | |
KR101208231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PSC beam | |
CN107034791A (en) | A kind of assembling method of Cantilever Casting Construction Hanging Basket | |
KR20180049518A (en) | Construction methods inducing compressive stress in slab of negative moment area for type of rahmen bridge using precast girder | |
KR100974305B1 (en) | Continuous beam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for multi-span | |
KR101181232B1 (en) | Upper structure of bicycle and sidewalk brdige using cab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30090709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KR101358176B1 (en) | Continuous precast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3088939B (en) | Assembly interlocking prestressing force shear wal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50083446A (en) | Construction methods for bridges of rahmen types by using precast P.S girder and steel box girder | |
KR100712622B1 (en) | Continuous Preflex Girder Structure Using Prestress in Parent Section Using Expanded Concret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51475B1 (en) | Prestressed concrete beam with a continuous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flange. | |
KR20090072876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eams with additional prestress introduced by H-beam and steel plate | |
KR101228107B1 (en) | A integral abutment continuous composite bridge using precast gird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043710B1 (en) | How to form an angle portion on the Haro bridge and the Haro bridge | |
KR101008555B1 (en) | Underground girder composite girder | |
JP6889010B2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KR101169003B1 (en) | PS Girder Ra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72473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using anchorage with adjustable tension | |
KR101517889B1 (en) | Rh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of arch-shaped | |
CN111877127A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arch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