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6801B1 -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801B1
KR101356801B1 KR1020120019923A KR20120019923A KR101356801B1 KR 101356801 B1 KR101356801 B1 KR 101356801B1 KR 1020120019923 A KR1020120019923 A KR 1020120019923A KR 20120019923 A KR20120019923 A KR 20120019923A KR 101356801 B1 KR101356801 B1 KR 101356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plate
wind control
pivot
balan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087A (ko
Inventor
윤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Priority to KR102012001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8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8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을 집적시켜 주는 집적판을 강한 맞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바람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회동축에 교차 설치된 다수 개의 제2회동축에 연결되어 태양광을 집적하는 집적판; 상기 집적판을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맞바람에 대해 바람막이판이 부착된 쪽으로 회동제어시켜 주기 위한 바람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제어부는 제2회동축 양측으로 제1밸런스부재와 제2밸런스부재를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시켜 주되, 상기 제1밸런스부재는 제1회동축에 구비된 제1지지부와 바디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 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밸런스부재는 제1회동축에 구비된 제2지지부와 바디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 간에 설치된 것; 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SOLAR ENERGY}
본 발명은 태양광 에너지를 집적시켜 주는 솔라셀(Solar Cell)이 구비된 집적판 또는 솔라패널(Solar Panel)(이하 "집적판"이라고 한다.)을 강한 맞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집적판을 제1회동축에 교차 설치된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맞바람에 대해 바람막이판이 부착된 쪽 또는 상기 집적판의 어느 한쪽을 후면 방향으로 회동제어시켜 줌으로써, 상기 집적판이 맞바람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류가 한정된 전기 및 가스, 석유 자원에만 의존해 온 탓으로 인해 원유가가 급등하고 있는 반면에 대부분 석유 에너지(Energy)의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 등으로 환경오염 문제가 매우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해가 발생되지 않고 친환경적인 차원에서 무한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이나 태양열을 비롯하여 풍력, 조력 등 자연을 이용한 대체 에너지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태양광이나 태양열을 이용하여 가정, 산업체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의 생산은 물론 온수, 난방 등에 필요한 열원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태양광 에너지를 집적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단으로는 넓은 장소에 태양광을 받으면 전류가 생성되는 광전효과(光電效果) 특성을 이용한 솔라셀(Solar Cell)이 구비된 집적판을 태양광 에너지를 많이 받는 방향(예를 들면; 남쪽방향)으로 설치하여 그에 따른 태양광 에너지를 집적시켜 주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09년 3월 11일 특허출원 제10-2009-0020526호로 출원된 '태양광 집적장치'(이를 '문헌1'이라 함.)가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문헌1에 대해 살펴보면, 태양광을 집적시켜 주기 위해 제1샤프트(Shaft) 및 제2샤프트(Shaft)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집적판과 상기 집적판을 동서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링크(Link)부재와 링크로드(Link Road)를 통해 상기 제1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체 및 상기 집적판을 남북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제1지지대를 통해 상기 제2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태양광 에너지를 집적시켜 주는 집적판이 대부분 남쪽방향을 향해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전면에서 불어오는 태풍이나 강한 맞바람이 상기 집적판에 맞닿게 되면, 이때 고가(高價)로 설치된 집적판이 손상되거나 아니면 상기 집적판을 지지하는 지주 등이 파손되어 결국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 해지는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집적판을 제1회동축에 교차 설치된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맞바람에 대해 바람막이판이 부착된 쪽 또는 상기 집적판의 어느 한쪽을 후면 방향으로 회동제어시켜 줌으로써, 상기 집적판이 맞바람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는 제1회동축에 교차 설치된 다수 개의 제2회동축에 연결되어 태양광을 집적하는 집적판과 상기 집적판을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맞바람에 대해 바람막이판이 부착된 쪽으로 회동제어시켜 주기 위한 바람제어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람제어부는 제2회동축 양측으로 제1밸런스부재와 제2밸런스부재를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시켜 주되, 상기 제1밸런스부재는 제1회동축에 구비된 제1지지부와 바디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 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밸런스부재는 제1회동축에 구비된 제2지지부와 바디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 간에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수단으로는 제1회동축에 교차 설치된 다수 개의 제2회동축에 연결되어 태양광을 집적하는 집적판과 상기 집적판을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으로 회동제어시켜 주기 위한 바람제어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람제어부는 제2회동축 양측으로 제1밸런스부재와 제2밸런스부재를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시켜 주되, 상기 제1밸런스부재는 제1회동축에 구비된 제1지지부와 바디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 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밸런스부재는 제1회동축에 구비된 제2지지부와 바디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 간에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구성수단 및 과정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을 집적시켜 주는 집적판을 강한 맞바람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줌으로써,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씨에도 태양광의 집적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바람으로부터 고가(高價)로 설치된 집적판이나 상기 집적판을 지지하여 주는 지주 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그에 따른 유지 및 수리비용을 줄여주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사례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사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태양광 집적판을 바람으로부터 제어시켜 주기 위한 바람제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태양광 집적판을 바람으로부터 제어시켜 주기 위한 바람제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A-A선 절단부위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태양광 집적판이 지주에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태양광 집적판이 지주에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동작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고,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솔라셀(Solar Cell)(120)이 구비된 집적판(100)을 강한 맞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집적판(100)을 제1회동축(200)에 교차 설치된 제2회동축(420)을 중심으로 바람막이판(130)이 부착된 쪽 또는 상기 집적판(100)의 어느 한쪽을 후면방향으로 회동제어시켜 줌으로써, 이때 강한 맞바람이 집적판(100)을 비켜나가도록 유도시켜 상기 집적판(100)이나 집적판을 지지하여 주는 지주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른 태양광 에너지를 집적시켜 주기 위한 집적판(100)은 건물 등의 옥상이나 지면(830)에 견고하게 설치된 지주(8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도시 생략함.)를 통해서 상기 집적판(100)을 태양광이 위치한 방향 예컨데, 동쪽, 남쪽, 서쪽방향으로 회동시켜 태양광 에너지를 집적시켜 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일반적으로 제1구동부(도시 생략함.)와 제2구동부(도시 생략함.)로 이루어지며, 이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Motor)나 감속기 등을 구비한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적판(100)은 앞에서 언급된 제1구동부에 의해 제1회동축(200)을 예컨데, 제1방향(P1) 또는 제2방향(P2)으로 회동시켜 주고, 또한 앞에서 언급된 제2구동부에 의해 제1회동축(200)을 예컨데, 제3방향(P3) 또는 제4방향(P4)으로 회동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적판(100)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제1방향(P1) 또는 제2방향(P2)은 태양광이 위치한 동쪽방향 또는 서쪽방향이 될 수 있고, 아니면 남쪽방향 또는 북쪽방향이 될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제3방향(P3) 또는 제4방향(P4) 역시 태양광이 위치한 동쪽방향 또는 서쪽방향이 될 수 있고, 아니면 남쪽방향 또는 북쪽방향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집적판(100)을 앞에서 언급한 구동부를 통해서 제1방향(P1) 또는 제2방향(P2) 그리고, 제3방향(P3) 또는 제4방향(P4)으로 회동시켜 줌에 있어서, 상기 지주(800)에는 상기 구동부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1회동부재(810) 및 제2회동부재(820)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집적판(100)은 제1회동축(200)에 연결된 지지부(210)를 통해서 지주(800)에 연결된 제1회동부재(810) 및 제2회동부재(820)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적판(100)을 태양광이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1방향(P1)이나 제2방향(P2) 또는 제3방향(P3)이나 제4방향(P4) 중에서 어느 한쪽 방향으로 제한하여 회동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에 포함된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 중에서 어느 하나만 구성시켜 주면 가능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실시사례 구성수단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회동축(200)에 교차 설치된 다수 개의 제2회동축(420)에 연결되어 태양광을 집적하는 집적판(100)과 상기 집적판(100)을 제2회동축(420)을 중심으로 맞바람에 대해 바람막이판(130)이 부착된 쪽으로 회동제어시켜 주기 위한 바람제어부(4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람막이판(130)은 바람이 불지 않는 날씨에서 제2회동축(420) 좌우로의 치우침 없는 밸런스(Balance)를 고려하여 집적판(100)의 한 개 면적 대비 10% 내지 20%범위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람막이판(130)의 면적을 증가시켜 주면 집적판(100)으로 하여금 후면방향으로 회동제어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결국 강한 맞바람이 집적판(100)을 쉽게 비켜나가도록 유도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나, 집적판(100) 양쪽으로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상기 언급된 면적 범위로 제한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바람막이판(130)은 제2회동축(420)과 평행시켜 집적판(100)의 외측 어느 한쪽 부분을 선택하여 프레임(Frame)(110)에 부착 설치시켜 줌으로써, 상기 집적판(100)에 닿는 맞바람에 대해 바람막이판(130)이 부착된 쪽을 우선적으로 하여 후면 방향으로 회동제어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람제어부(400)는 제2회동축(420) 양측으로 제1밸런스(Balance)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Balance)부재(442-1 내지 442-3)를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이때, 상기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는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1지지부(451-1)와 바디(Body)(410-1, 410-2)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412-1) 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는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2지지부(451-2)와 바디(Body)(410-1, 410-2)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412-2) 간에 설치시켜 주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실시사례 구성수단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회동축(200)에 교차 설치된 다수 개의 제2회동축(420)에 연결되어 태양광을 집적하는 집적판(100)과 상기 집적판(100)을 제2회동축(420)을 중심으로 맞바람에 대해 어느 한쪽으로 회동제어시켜 주기 위한 바람제어부(4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람제어부(40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2회동축(420) 양측으로 제1밸런스(Balance)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Balance)부재(442-1 내지 442-3)를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물론, 상기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는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1지지부(451-1)와 바디(Body)(410-1, 410-2)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412-1) 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는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2지지부(451-2)와 바디(Body)(410-1, 410-2)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412-2) 간에 설치시켜 주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실시사례에 있어서 상기 바람제어부(400)는 제1회동축(200)을 사이에 두고 그 양쪽으로 원형상, 타원형상, 사각형상 등으로 바디(410-1, 410-2)를 구성시켜 주되, 이때 양쪽 바디(410-1, 410-2)를 서로 결합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상측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고정부재(411)를 사용하여 고정시켜 주고, 하측으로는 상기 고정부재(411)와 동일한 종류의 고정부재(412) 및 상기 고정부재(412)의 양측으로 제1고정부재(412-1)와 제2고정부재(412-2)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412-1)와 제2고정부재(412-2)에는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가 각각 체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집적판(100)을 제2회동축(420)을 중심으로 하여 0˚(도) 내지 90˚(도) 범위의 회동각(K1)으로 회동제어시켜 주기 위한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가 지닌 탄성력, 압축력, 팽창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동일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집적판(100)으로 하여금 제2회동축(420) 좌우로의 밸런스 유지에 유리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람제어부(400)에 구비된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는 제1회동축(200)에 다수 부위에 걸쳐 직각으로 교차 설치된 제2회동축(4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설치시킨 구성으로 된다.
이때, 제2회동축(420)을 기준으로 하여 바디(410-1, 410-2)의 일측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412-1)의 간격(D1-a)과 이에 대응하여 바디(410-1, 410-2)의 또 다른 일측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412-2)의 간격(D2-a)은 서로 동일(D1-a=D2-a)하고, 또한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를 설치시켜 주기 위한 제1고정부재(412-1)와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1지지부(451-1) 간의 간격(D1-b)과 이에 대응하여 제2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를 설치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부재(412-2)와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2지지부(451-2) 간의 간격(D2-b)은 서로 동일(D1-b=D2-b)하게 구성시켜 줌으로써, 마찬가지로 집적판(100)으로 하여금 제2회동축(420) 좌우로의 밸런스(Balance) 유지에 유리한 작용을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람제어부(400)에 구비된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는 집적판(100)의 크기를 비롯하여 태양광 집적장치가 설치된 지역 예컨데, 바람의 세기가 다른 바닷가 또는 산간지역, 분지 등에 따라 회동각(K1)에 대한 가변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하거나, 또는 맞바람에 의한 집적판(100)의 회동에 따른 복귀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쇼크업소버(Shock Absorbr), 코일스프링(Coil Spring),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우레탄고무(Rrethane Rubb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병렬 조합 설치가 가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쇼크업소버(Shock Absorbr)의 경우 코일스프링을 단독으로 내장시켜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거나, 그 외에 스프링과 가스(Gas) 또는 스프링과 오일(Oil) 등을 혼합 내장시켜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예컨데, 가스 쇼크업소버 또는 오일 쇼크업소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람제어부(400)는 다수 부위에 걸쳐 제2회동축(420)을 제1회동축(200)에 직각으로 교차 설치시켜 주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축고정부(430-1 내지 4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이때 상기 축고정부(430-1 내지 430-2) 역시 집적판(100)의 크기 또는 바람의 세기가 다른 태양광 집적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따라 고정부재(431)를 통해서 가감 설치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축고정부(430-1 내지 430-2)는 고정부재(431)를 통해서 제1회동축(200) 윗면에 고정 설치시켜 주거나, 또는 바람제어부(400)에 일체로 구비되어 제1회동축(200) 윗면에 위치하도록 별도로 구비된 고정판(도시 생략함.)에 고정부재(431)를 통해서 고정 설치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집적판(100)은 첨부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바디(410-1, 410-2)에 각각 구비된 보조프레임(Frame)(470-1, 470-2)에 고정부재(471)를 통해서 고정된 프레임(Frame)(110)에 의해 바람제어부(400)에 부착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람제어부(400)는 첨부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고정부(430-1, 430-2)에 결합된 제2회동축(420)을 덮어주기 위해 바디(410-1, 410-2)에 고정부재(461)로 커버(Cover)(460)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바람제어부(400)에 대한 미관을 좋게 함과 동시에 축고정부(430-1, 430-2) 등을 빗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참고할 사항으로는 상기 집적판(100)을 태양광이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자동으로 추적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태양광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공급받아 앞에서 언급된 구동부에 공급시켜 주기 위한 별도의 위치추적수단(도시 생략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상기 언급된 감지수단 및 위치추적수단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사상이 아니기에 그에 따른 혼동을 피하고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0 : 집적판
110 : 프레임(Frame)
120 : 솔라셀(Solar Cell)
130 : 바람막이판
200 : 제1회동축
210 : 지지부
400 : 바람제어부
410-1, 410-2 : 바디(Body)
411 : 고정부재
412 : 고정부재
412-1 제1고정부재
412-2 제2고정부재
420 : 제2회동축
430-1, 430-2 : 축고정부
431 : 고정부재
441-1 내지 441-3 : 제1밸런스(Balance)부재
442-1 내지 442-3 : 제2밸런스(Balance)부재
451-1 : 제1지지부
451-2 : 제2지지부
460 : 커버(Cover)
461 : 고정부재
470-1, 470-2 : 보조프레임(Frame)
471 : 고정부재
800 : 지주
810 : 제1회동부재
820 : 제2회동부재
830 : 지면

Claims (10)

  1. 제1회동축(200)에 교차 설치된 다수 개의 제2회동축(420)에 연결되어 태양광을 집적하는 집적판(100);
    상기 집적판(100)을 제2회동축(420)을 중심으로 맞바람에 대해 바람막이판(130)이 부착된 쪽으로 회동제어시켜 주기 위한 바람제어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제어부(400)는 제2회동축(420) 양측으로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를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시켜 주되, 상기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는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1지지부(451-1)와 바디(410-1, 410-2)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412-1) 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는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2지지부(451-2)와 바디(410-1, 410-2)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412-2) 간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판(130)은 집적판(100)의 한 개 면적 대비 10% 내지 20% 범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판(130)은 제2회동축(420)과 평행시켜 집적판(100)의 외측 어느 한쪽 부분을 선택하여 프레임(110)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4. 제1회동축(200)에 교차 설치된 다수 개의 제2회동축(420)에 연결되어 태양광을 집적하는 집적판(100); 을 포함하고,
    상기 집적판(100)을 제2회동축(420)을 중심으로 맞바람에 대해 어느 한쪽으로 회동제어시켜 주기 위한 바람제어부(400);
    상기 바람제어부(400)는 제2회동축(420) 양측으로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를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시켜 주되, 상기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는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1지지부(451-1)와 바디(410-1, 410-2)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412-1) 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는 제1회동축(200)에 구비된 제2지지부(451-2)와 바디(410-1, 410-2)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412-2) 간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판(100)을 제2회동축(420)을 중심으로 하여 0˚(도) 내지 90˚(도) 범위의 회동각(K1)으로 회동제어시켜 주기 위한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의 탄성력, 압축력, 팽창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동일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제어부(400)에 구비된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는 제1회동축(200)에 직각으로 교차 설치된 제2회동축(4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서로 대칭으로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제어부(400)에 구비된 제1밸런스부재(441-1 내지 441-3)와 제2밸런스부재(442-1 내지 442-3)는 쇼크업소버, 코일스프링, 합성고무, 우레탄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병렬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제어부(400)는 다수 부위에 제2회동축(420)을 제1회동축(200)에 직각으로 교차 설치시켜 주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축고정부(430-1 내지 430-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판(100)은 양쪽 바디(410-1, 410-2)에 각각 구비된 보조프레임(470-1, 470-2)에 고정된 프레임(110)에 의해 바람제어부(400)에 부착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제어부(400)는 축고정부(430-1, 430-2)에 결합된 제2회동축(420)을 덮어주기 위해 바디(410-1, 410-2)에 고정시킨 커버(4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KR1020120019923A 2012-02-27 2012-02-27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5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923A KR101356801B1 (ko) 2012-02-27 2012-02-27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923A KR101356801B1 (ko) 2012-02-27 2012-02-27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087A KR20130098087A (ko) 2013-09-04
KR101356801B1 true KR101356801B1 (ko) 2014-02-11

Family

ID=4945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92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6801B1 (ko) 2012-02-27 2012-02-27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8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9899A4 (en) * 2017-03-02 2020-12-23 Array Technologies, Inc. SPRING COUNTERWEIGHT AND MIRROR-FACET ASSEMBLIES INCLUDING SPRING COUNTERWEIGHT ASSEMBLIES
KR102476021B1 (ko) * 2021-09-10 2022-12-08 이행우 광필터를 이용한 수직형 태양광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5704A1 (ja) * 2018-11-08 2020-05-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WO2020095680A1 (ja) * 2018-11-08 2020-05-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306Y1 (ko) * 2000-11-16 2001-04-16 김경태 절첩식 상품 진열대
KR20050080114A (ko) * 2005-07-13 2005-08-11 이상훈 태양광 추적장치 및 그를 이용한 태양광 추적방법
JP2010101462A (ja) 2008-10-27 2010-05-06 Mitaka Koki Co Ltd ヘリオスタットの駆動機構
KR20100070266A (ko) * 2008-12-17 2010-06-25 남건우 가변 바람막이 그물을 가지는 수직 풍력 터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306Y1 (ko) * 2000-11-16 2001-04-16 김경태 절첩식 상품 진열대
KR20050080114A (ko) * 2005-07-13 2005-08-11 이상훈 태양광 추적장치 및 그를 이용한 태양광 추적방법
JP2010101462A (ja) 2008-10-27 2010-05-06 Mitaka Koki Co Ltd ヘリオスタットの駆動機構
KR20100070266A (ko) * 2008-12-17 2010-06-25 남건우 가변 바람막이 그물을 가지는 수직 풍력 터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9899A4 (en) * 2017-03-02 2020-12-23 Array Technologies, Inc. SPRING COUNTERWEIGHT AND MIRROR-FACET ASSEMBLIES INCLUDING SPRING COUNTERWEIGHT ASSEMBLIES
US11533017B2 (en) 2017-03-02 2022-12-20 Array Technologies, Inc. Spring counter-balance assemblies and solar trackers incorporating spring counter-balance assemblies
US11799416B2 (en) 2017-03-02 2023-10-24 Array Technologies, Inc. Spring counter-balance assemblies and solar trackers incorporating springs to balance rotation
KR102476021B1 (ko) * 2021-09-10 2022-12-08 이행우 광필터를 이용한 수직형 태양광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087A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260B1 (ko) 모듈 프레임 구동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CN101626040B (zh) 智能型可调式太阳能电池装置
KR20090029587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56801B1 (ko)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KR10130331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WO2010129087A3 (en) Photovoltaic solar collection and tracking system
KR101175662B1 (ko) 태양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CN101093114A (zh) 改进型太阳光自动跟踪器
KR101770681B1 (ko) 태양광 추적센서유닛을 갖는 태양광 집열장치
KR101154787B1 (ko)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CN205195636U (zh) 一种可自动调节的太阳能电池板支架
KR10138378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0959952B1 (ko) 일축방식의 대면적 태양광발전 추적장치
CN207568012U (zh) 一种透光性强的太阳能光伏玻璃幕墙
CN211296651U (zh) 双层的太阳光设置结构
KR101036344B1 (ko) 태양열 집적판
KR20100018020A (ko) 태양광 발전장치
CN201421844Y (zh) 智能型可调式太阳能电池装置
KR10131598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17673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202395684U (zh) 一种太阳能线形聚光发电装置
KR20090113797A (ko) 일사량 변화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방법
KR100997869B1 (ko) 태양전지 모듈판 각도조절장치
KR200431864Y1 (ko) 태양 위치 추적식 에너지 발전 장치
CN203773363U (zh) 太阳能路灯的电池板跟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