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5132B1 -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 - Google Patents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132B1
KR101355132B1 KR1020120015617A KR20120015617A KR101355132B1 KR 101355132 B1 KR101355132 B1 KR 101355132B1 KR 1020120015617 A KR1020120015617 A KR 1020120015617A KR 20120015617 A KR20120015617 A KR 20120015617A KR 101355132 B1 KR101355132 B1 KR 10135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ction bucket
vertical correction
bucket foundation
found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410A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2001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1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1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2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78Suction piles, suction c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션 버켓 타입(suction bucket type)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션 버켓 기초를 해저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석션 버켓 기초의 좌굴을 방지하고, 석션 버켓 기초의 수직도를 보정하며, 석션 버켓 기초가 해저에 고정되면 쇄굴현상을 방지하고, 석션 버켓 기초의 수평으로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하는 석션 버켓 타입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석션 버켓 기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유체 또는 외부의 유체가 출입되도록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직 보정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되, 각각의 분리 공간에 상기 수직 보정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게 하는 수직 보정칸막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Suction Bucket Foundation}
본 발명은 석션 버켓 타입(Suction Bucket Type)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션 버켓 기초를 해저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석션 버켓 기초의 좌굴을 방지하고, 석션 버켓 기초의 수직도를 보정하며, 석션 버켓 기초를 해저에 시공 후 쇄굴현상을 방지하고, 석션 버켓 기초의 수평으로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하는 석션 버켓 타입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에 관한 것이다.
해상풍력발전의 경우 육상에 비해 동일 풍속 대비 낮은 고도에서 양질의 바람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에 국제적으로 해상풍력발전의 건설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관련기술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해상풍력 건설을 위해서는 국내여건을 고려한 '강관말뚝기초'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필수적인데, 국내의 상황은 해상풍력발전을 위한 설비개발에만 매진했고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구조물 및 해상환경에 대한 연구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실정이다.
해상풍력기초로는 수심에 따라 가장 많이 시공되는 기초형식은 모노파일(Monopile)이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트라이포드 파일(Tripod pile), 재킷 파일(Jacket pile), 석션 버켓 파일(Suction Bucket pile) 등을 적용할 수 있고, 현재 부유식 해상풍력 구조물도 개발 중에 있다.
이 중 석션 버켓 파일(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션 압력(Suction pressure)을 이용한 버켓(Bucket)형식 기초로서, 석션 압력을 이용하여 시공하고, 압력 작용 정도에 따라 상이한 거동 특성을 발현한다.
이러한 석션 버켓 파일의 적용 수심은 대략 30m 이하 정도이고, 자중과 석션 압력을 이용하여 설치(직경(D):12 ~ 16m)하되, 해저에 착지 후 압력을 이용하여 설정깊이(L)로 관입하는 등 설치가 간단하여 중장비가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그러나 해저에 착지 후 압력을 이용하여 관입시 해저의 장애물(암석 등)에 쉽게 그 형상이 일그러지고, 수직도를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 후에도 해류 등에 의한 쇄굴 현상으로 기초 주위의 토사가 유출되어 지지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44753호(2011.06.27.)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8346호(2003.08.21.)
본 발명의 목적은 석션 버켓 기초를 해저에 시공함에 있어, 좌굴 방지, 수직도 보정 및 쇄굴 현상 방지 등에 효과가 있는 석션 버켓 타입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유체 또는 외부의 유체가 출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직 보정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되, 각각의 분리 공간에 상기 수직 보정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게 하는 수직 보정칸막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버켓 타입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 버켓 타입(suction bucket type)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에 의하면, 특히, 석션 버켓 기초를 해저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석션 버켓 기초의 좌굴을 방지하고, 석션 버켓 기초의 수직도를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션 버켓 기초가 해저에 고정되면 쇄굴현상이 방지되고, 석션 버켓 기초의 수평으로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하여 수직도 유지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해상풍력발전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해상풍력발전기의 기초가 되는 석션 버켓의 설치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션 버켓 기초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석션 버켓 기초의 수직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석션 버켓 기초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석션 버켓 타입(suction bucket type)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션 버켓 기초를 해저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석션 버켓 기초의 좌굴을 방지하고 석션 버켓 기초의 수직도를 보정할 수 있으며, 석션 버켓 기초가 해저에 고정되면 쇄굴 현상을 방지하고 석션 버켓 기초의 수평으로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하여 해상풍력발전기의 수직도를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석션 버켓 기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석션 버켓 타입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유체 또는 외부의 유체가 출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직 보정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되 각각의 분리 공간에 상기 수직 보정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게 하는 수직 보정칸막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석션 버켓 기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는 본체의 수평으로의 유동 저항을 보강하는 제1 저항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표면은 본체의 수평으로의 유동 저항을 보강 및 쇄굴현상을 방지하는 제2 저항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본체의 형상 유지 보강용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석션 압력(Suction pressure)을 이용한 버켓(Bucket)형식 기초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보정홀(20)이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여러 개로 나누는 수직 보정칸막이(10)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의 1실시 예에 따른 석션 버켓 기초는 도 3의 TYPE-1과 같이 본체(100)와, 수직 보정칸막이(10)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본체(100)의 내부는 빈공간이고 상부는 막혀 있으며, 하부는 개방된 원통형이다.
여기서, 본체(100)의 형상은 설치 지역의 환경 특성(예, 해저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수직 보정홀(20)은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상부에 다수개 구비되고, 개폐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수직 보정홀(20)에 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수직 보정칸막이(10)는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2분할, 3분할, 4분할, …, n분할 가능하며, 특히 전체적으로 분할할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상부측 일부분만을 분할하고, 본체(100)의 내주면 측의 수직 보정칸막이(10)의 하부는 도 3과 같이 본체(100)의 내주면 하부를 따라 본체(100)의 하부 끝단까지 연장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수직 보정칸막이(10)는 본체(100)의 내부 공간 중 상부를 분할하되, 분할된 각각의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보정홀(20)이 포함되고, 해저에 본체(100)가 관입되면 수직 보정칸막이(10)의 바닥이 해저면에 닿게 되어 본체(100)의 내부 공간이 여러 공간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본체(100)가 해저에 관입되는 과정에서 기울어지더라도 각각의 내부 공간이 분할되고, 각각의 수직 보정홀(20)의 개폐에 따라 본체(100)의 수직도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보정칸막이(10)는 본체(100)의 수직 보정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체(100)의 내주면측의 수직 보정칸막이(10)의 하부는 도 3과 같이 본체(100)의 내주면 하부를 따라 본체(100)의 하부 끝단까지 연장되었으므로 이를 통해 본체(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석션 버켓 기초는 도 3의 TYPE-2와 같이 본체(100)와, 수직 보정칸막이(10)와, 보강부(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1실시 예에 따른 석션 버켓 기초의 구성에 보강부(30)가 더 포함된 것이 특징인데, 이러한 보강부(30)는 본체(100)의 형상 유지 보강을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100)의 강성을 보강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본체(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도 3의 TYPE-2에서는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 표현되었다.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석션 버켓 기초는 도 3의 TYPE-3과 같이 본체(100)와, 수직 보정칸막이(10)와, 제1 저항부(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1실시예에 따른 선셕 버켓 기초의 구성에 제1 저항부(40)가 더 포함된 것이 특징인데, 이러한 제1 저항부(40)는 본체(100)의 수평으로의 유동 저항을 보강하는 구성이다.
구체적 구성 및 설치 위치는 바람직하게도 본체(100)의 내주면에 도 3의 TYPE-3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해저 관입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부측은 폭이 좁고, 상부측은 폭이 넓은 형태로 설치된다(도 5참조).
이와 같은 제1 저항부(40)는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외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양측 모두 설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석션 버켓 기초는 도 3의 TYPE-4와 같이 본체(100)와, 수직 보정칸막이(10)와, 보강부(30)와, 제1 저항부(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1,2,3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어서, 구체적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기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5실시예에 따른 석션 버켓 기초는 도 4의 TYPE-5와 같이 본체(100)와, 수직 보정칸막이(10)와, 보강부(30)와, 제1 저항부(40)와, 제2 저항부(50)를 포함한다.
즉, 1 내지 4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제2 저항부(50)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제2 저항부(50)는 도 4와 같이 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끝단은 설정 각도로 꺾여 있으며, 하부에는 방사형으로 보강플레이트(60)가 다수개 장착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제2 저항부(50)는 본체(100)의 수평으로의 유동 저항을 보강하고, 쇄굴현상(주위의 흙, 모래 등이 쓸려가면서 파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은 5실시예에 따른 석션 버켓 기초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설명하면 본체(100)는 자중 및 수압에 의해 해저에 관입되는데 이때 도 6과 같이 기울어져 관입되는 것이 보통이다.
즉, 본체(100)의 수직 보정홀(20)과, 이 수직 보정홀(20)과 연결된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수압으로 본체(100)를 해저에 관입하는 것인데, 보통의 경우 도 6과 같이 본체(100)가 기울어진다.
따라서, 수직도를 보정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직 보정칸막이(10)와, 수직 보정홀(20)을 통해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보정칸막이(10)의 하단과 해저가 만나면 본체(100)의 내부 공간은 독립적인 다수개의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해당 수직 보정홀(20) 개방을 조절하면서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면 해당 공간의 압력이 낮아져 해당 공간이 수압에 의해 눌려지면서 본체(100)의 수직도가 보정된다.
보정이 이루어지면 수직 보정홀(20)을 모두 개방하여, 본체(100)를 해저에 관입한다. 또는 보정과 동시에 본체(100)를 해저에 관입할 수도 있음이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0: 수직 보정칸막이
20: 수직 보정홀 30: 보강부
40: 제1 저항부 50: 제2 저항부

Claims (5)

  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유체 또는 외부의 유체가 출입되도록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직 보정홀(20)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되, 각각의 분리 공간에 상기 수직 보정홀(2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게 하는 수직 보정칸막이(1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는 본체(100)의 수평으로의 유동 저항을 보강하도록 본체(100)의 내측 둘레로부터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저항부(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되되,
    상기 제1 저항부(40)의 상단은 수평이고, 하단은 본체(100)의 둘레에서 돌출된 선단에 이르기까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표면은 본체(100)의 수평으로의 유동 저항을 보강 및 쇄굴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외측 둘레로부터 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저항부(5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 저항부(50)는 선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방사형으로 보강플레이트(60)가 다수개 장착되며,
    상기 본체(100)의 형상 유지 보강을 위해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본체(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보강부(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15617A 2012-02-16 2012-02-16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 Active KR10135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17A KR101355132B1 (ko) 2012-02-16 2012-02-16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17A KR101355132B1 (ko) 2012-02-16 2012-02-16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410A KR20130094410A (ko) 2013-08-26
KR101355132B1 true KR101355132B1 (ko) 2014-01-27

Family

ID=4921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617A Active KR101355132B1 (ko) 2012-02-16 2012-02-16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60A (ko) 2016-12-05 2018-06-14 현대건설주식회사 해상구조물용 석션 버켓 기초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0677B (zh) * 2013-09-03 2014-12-31 上海交通大学 带吸力式沉箱的单桩固定式垂直轴风电机
KR101693665B1 (ko) 2014-11-13 2017-01-0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기초의 세굴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KR101646493B1 (ko) * 2015-08-20 2016-08-12 (주)젠텍엔지니어링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자켓형 하부구조물의 설치 방법
KR101692049B1 (ko) * 2016-08-08 2017-01-03 (주)대우건설 단일 석션 기초를 구비한 해상 풍력 발전 시설물의 수직도 보정방법
CN106759430B (zh) * 2016-11-15 2019-01-22 天津大学 一种三个筒型基础与混凝土支撑结构的风电整机施工方法
CN106522263B (zh) * 2016-11-15 2019-03-05 天津大学 一种四个筒型基础与混凝土支撑结构的风电整机施工方法
CN106638662B (zh) * 2016-11-15 2019-04-23 天津大学 一种混凝土支撑结构的三个筒型基础组合式基础结构体系
CN106638661B (zh) * 2016-11-15 2019-02-19 天津大学 一种混凝土支撑结构的四个筒型基础组合式基础结构体系
EP3444403A1 (en) 2017-08-17 2019-02-20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Segmented suction bucket
US10988909B1 (en) 2018-08-29 2021-04-27 RCAM Technologies, Inc. Additive manufacturing of support structures
CN109469095B (zh) * 2018-10-15 2019-10-29 天津大学 一种智能承载吸力桶基础结构
WO2020176262A2 (en) * 2019-02-13 2020-09-03 Jason Cotrell Suction anchor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CN110093943A (zh) * 2019-02-27 2019-08-06 重庆大学 一种适用于深海的新型吸力筒式组合结构风电塔筒基础
KR102247425B1 (ko) 2019-04-09 2021-05-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 공급 기능을 갖는 석션파일 기초 및 그 석션파일 기초의 기울기 조정방법
KR102247426B1 (ko) 2019-04-09 2021-05-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인가부를 갖는 석션파일 기초 및 그 석션파일 기초의 기울기 조정방법
CN110172998B (zh) * 2019-05-29 2021-01-08 浙江大学 一种采用注浆螺旋锚加固的组合式吸力锚
KR102348069B1 (ko) * 2020-10-21 2022-01-10 (주)대우건설 단일 경로 방식에 의한 단일 석션 기초를 구비한 해상 풍력 발전 시설물의 수직도 보정방법
US11897585B1 (en) 2022-08-24 2024-02-13 RCAM Technologies, Inc. Anchoring floating structures to an underwater fl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072Y1 (ko) * 2002-02-15 2002-05-01 (주)대우건설 플랜지가 구비된 석션파일
KR20030068346A (ko) * 2002-02-15 2003-08-21 방상철 석션파일 앵커
US20060127187A1 (en) * 2003-03-04 2006-06-15 Raines Richard D Anchor installation system
KR101044753B1 (ko) * 2011-04-04 2011-06-27 (주)대우건설 내부격실을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 시설물 기울기 보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072Y1 (ko) * 2002-02-15 2002-05-01 (주)대우건설 플랜지가 구비된 석션파일
KR20030068346A (ko) * 2002-02-15 2003-08-21 방상철 석션파일 앵커
US20060127187A1 (en) * 2003-03-04 2006-06-15 Raines Richard D Anchor installation system
KR101044753B1 (ko) * 2011-04-04 2011-06-27 (주)대우건설 내부격실을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 시설물 기울기 보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60A (ko) 2016-12-05 2018-06-14 현대건설주식회사 해상구조물용 석션 버켓 기초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410A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132B1 (ko) 고정식 해상풍력발전기의 석션 버켓 기초
CN103205980B (zh) 海上风机大直径单桩基础及其施工方法
CN102041813B (zh) 一种带稳定翼的海上风力发电机单桩基础结构
CN206090655U (zh) 注浆孔封堵结构
US20170167101A1 (en) Pile for an offshore monopile type foundation structure
EP3307954B1 (en) Monopile foundation for an offshore tower structure
CN106381881A (zh) 一种重力式单桩基础
US20120301227A1 (en) Foundation pil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CN103741711B (zh) 高低桶盖双壁吸力桶
CN113186966A (zh) 一种海上风电单桩复合带翼重力式基础及其施工方法
KR101205797B1 (ko) 부유식 석션 파일
CN110219317A (zh) 一种海上风电机组安装基础组件
CN201915419U (zh) 一种带稳定翼的海上风力发电机单桩基础结构
CN109403318B (zh) 一种海上风电植入型单桩基础及其施工方法
KR101584856B1 (ko) 내부지지대를 구비하는 석션파일
CN205688454U (zh) 输电塔抗拔沉井基础
CN201943084U (zh) 一种带稳定翼的海上风力发电机负压桶型基础结构
CN217537043U (zh) 一种海上风电大直径单桩筒型基础结构
CN203768911U (zh) 一种放坡式双排桩基坑支护结构
CN214738233U (zh) 一种海上单桩基础后安装加固装置
KR20130028312A (ko) 부력형성부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5053186U (zh) 一种海上风电单桩复合带翼重力式基础
CN104294838A (zh) 一种高压输电线路铁塔桩基结构
KR101624896B1 (ko) 스파이럴 파일
CN204551489U (zh) 一种用于疏浚淤泥质土地区基坑的可智能变形调节的斜抛撑支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