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991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 via Multi-Touch in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 via Multi-Touch in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4991B1 KR101354991B1 KR1020090072076A KR20090072076A KR101354991B1 KR 101354991 B1 KR101354991 B1 KR 101354991B1 KR 1020090072076 A KR1020090072076 A KR 1020090072076A KR 20090072076 A KR20090072076 A KR 20090072076A KR 101354991 B1 KR101354991 B1 KR 1013549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screen
- objects
- object selected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것의 멀티 터치에 의한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ulti-touch edi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의하면, 오브젝트들을 화면 표시하고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한 오브젝트 중에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정하고, 이동 지시를 위한 제2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이외의 나머지 오브젝트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objects and sensing a touch; A process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mong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moving some or all of the remaining objects other tha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 for the movement instruction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스츄어 기반의 멀티 터치에 의한 상호 작용을 통해 편집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멀티 터치에 의해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고속으로 편집케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editing procedure through gesture-based multi-touch intera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allowing the user to easily edit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by multi-touch at high speed.
이동통신단말기, 터치스크린, 편집 Mobile terminal, touch screen, edi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멀티 터치에 의해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object)를 용이하게 고속으로 편집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것의 멀티 터치를 통한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a touch screen so that a user can easily edit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by multi-touch at high speed and its It relates to an editing method through multi-touch.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술적 진보에 기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토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technological progr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user interface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allow the user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conveniently.
그 노력의 일환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작용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되기에 이르렀다.As part of the effort,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touch scree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cting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through the touch screen has been applied.
이와 같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이동통신단말에서는 사용자가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에 대한 순서를 수정하거나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를 이동하는 처리는 수행하는 경우에 여러 단계를 거쳐야 완료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로 되어 있어서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를 편집하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the conventional touch screen, a user interface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d through several steps when the user modifies the order of the displayed objects or moves the displayed objects is performed. The problem is that editing the displayed object is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스츄어 기반의 멀티 터치에 의한 상호 작용을 통해 편집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멀티 터치에 의해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고속으로 편집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것의 멀티 터치를 통한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o edit the process through the interaction based on the gesture-based multi-touch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editing through the multi-touch thereof, which allow the user to easily edit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multi-touch easily.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오브젝트들을 화면 표시하고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한 오브젝트 중에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정하고, 이동 지시를 위한 제2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이외의 나머지 오브젝트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objects and sensing a touch; A process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mong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moving some or all of the remaining objects other tha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 for the movement instruc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이외의 다른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다른 오브젝트들과 구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moves an object other tha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different objects Characterized in that distinguished fro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이외의 다른 오브젝트를 이동시 킨 후,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제3 터치를 감지하면 해당 제3 터치 위치에 인접하게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oves the object other tha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 and then move the position selected by the first touch When the third touch is detected,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moved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third touch posi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이외의 다른 오브젝트를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스와프(swap) 하기 위한 제3 터치를 감지하면 해당 제3 터치 위치의 오브젝트를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서로 위치 바꾸어서 스와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oves an object other tha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 and then swaps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with a swap. When the third touch is detected, the object of the third touch position is swapped with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nd swapp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 터치에 의한 편집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가 터치스크린에 표시한 오브젝트 중에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위치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이동 지시를 위한 제2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이외의 나머지 오브젝트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touch edi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sition of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of th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xed position Making a step;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moving some or all of the remaining objects other tha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 for the movement instruction sensed through the touch scree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 터치에 의한 편집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제3 터치를 감지하면 해당 제3 터치 위치에 인접하게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위치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multi-touch edi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ler detects a third touch for moving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the touch is adjacent to the third touch position. And moving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 터치에 의한 편집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스와프(swap) 하기 위 한 제3 터치를 감지하면 해당 제3 터치 위치의 오브젝트를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서로 위치 바꾸어서 스와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ulti-touch edi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rol unit detects a third touch to swap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of the corresponding third touch position And swapping the object with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 터치에 의한 편집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이외의 나머지 오브젝트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다른 오브젝트들과 구분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multi-touch edi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moves a part or all of the remaining objects other tha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n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스츄어 기반의 멀티 터치에 의한 상호 작용을 통해 편집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멀티 터치에 의해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고속으로 편집케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a touch screen simplifies the editing procedure through interaction based on gesture-based multi-touch, thereby allowing a user to easily edit an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by multi-touch at high speed. do.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 제어부(12), 터치스크린(13), 음성입출력부(14), 저장부(15) 및 카메라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통신부(11)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 통신을 가능케 하는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가동되어서 기지국에 대한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 로써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케 한다.The
그리고, 음성입출력부(14)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음성 통화시에 입출력되는 음성을 처리하거나 미디어 재생시에 발생되는 음성을 처리하여 출력한다.The voice input /
또한, 터치스크린(13)은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나 제스처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 정보를 제어부(12)에 인가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카메라부(16)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가동되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한다.Then, the
저장부(15)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여서 해당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제어부(12)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12)로하여금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반 동작을 제어케 한다. 또한, 저장부(15)는 카메라부(16)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거나 MP3 음악 파일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한다.The
제어부(12)는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되, 터치스크린(13)에 오브젝트들을 표시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3)을 통한 제스츄어 기반의 멀티 터치에 따라 작용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편집 처리를 수행한다.The
멀티 터치에 의한 오브젝트 편집 처리를 좀더 구제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3) 화면에 오브젝트들을 표시한 상태에서 해당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제1 터치에 의해 하나의 오브젝트를 지정하면 해당 제1 터치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해당 화면상에 고정시키고, 해당 화면상에서 플릭(flick) 또는 스크롤(scroll)과 같은 이동 지시를 위한 제2 터치를 감지하면 제1 터치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 이외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제2 터치에 따라 화면상에서 이동시킨다.The object editing process by multi tou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hen th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3) 화면상에서 제1 터치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제2 터치에 의해 그외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플릭 또는 스크롤시켜 이동시킨 후에, 제1 터치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를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 이동 처리를 수행하거나, 제1 터치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와 제3 터치에 의해 지정되는 다른 오브젝트를 바꾸어 위치시키기 위한 스와프(swap) 처리를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오브젝트들을 표시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3)을 통한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해, 해당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를 지정하여 위치 이동시키는 위치 이동 처리를 수행하거나 해당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들을 지정하여 서로 위치를 바꾸는 스와프(swap)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스크린(13)의 화면상에서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고속으로 편집케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오브젝트들을 표시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3)을 통한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해, 해당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를 지정하여 위치 이동시키는 위치 이동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3) 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1 터치되는 오브젝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터치스크린(13) 화 면상에서 사용자의 제2 터치에 의한 플릭 또는 스크롤과 같은 이동 지시를 감지하면 화면상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켜서 원하는 위치의 부근까지 이동시킨 후에,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위치가 사용자의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되면,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1 오브젝트를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되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위치의 바로 윗단이나 바로 아랫단으로 이동시킨다.In the state where objec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지정하여 위치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한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13) 화면의 제1 터치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이용한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시켜 화면상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킨 후 제3 터치에 의해 이동시킬 위치를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3 터치에 의해 이동시킬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제1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하여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킨 후에 제2 터치의 손가락을 잠시 터치 업(touch up)(손가락을 화면으로부터 떼고)하고서 선택된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하는 위치에 제3 터치의 손가락을 터치함으로써,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하는 위치를 선택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bject is moved by designating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그리고,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오브젝트들을 표시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3)을 통한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해, 해당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들을 지정하여 서로 위치를 바꾸는 스와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3)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제1 터치에 의해 지정되는 제1 오브젝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터치스크린(13)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제2 터치에 의한 플릭 또는 스크롤과 같은 이동 지시를 감지함에 따라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켜서 원하는 제2 오브젝트의 부근까지 이동시킨 후에, 제1 오브젝트와 위치 바꿀 제2 오브젝트가 사용자의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되면, 제1 터치에 의해 지정된 제1 오브젝트와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2 오브젝트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준다.In the case where objec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들을 지정하여 서로 위치를 바꾸는 스와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한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13) 화면의 제1 터치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제2 터치함으로써 플릭 또는 스크롤시켜 화면상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킨 후 제3 터치에 의해 바꿀 위치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제3 터치에 의해 바꿀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제1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하여 화면상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켜 위치 이동한 후에 제2 터치의 손가락을 잠시 터치 업(touch up)(손가락을 화면으로부터 떼고)하고서 원하는 바꿀 위치에 제3 터치의 손가락을 다운 및 홀드(down & hold)(즉, 손가락을 대고 있는 상태를 잠시 유지)함으로써, 원하는 바꿀 위치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바꿀 위치를 선택함에 따라, 제1 터치에 의해 지정된 제1 오브젝트와 해당 선택된 바꿀 위치의 제2 오브젝트를 서로 바꾸어 위치시킴으로써 스와프 처리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performing swap swapping by designating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는 터치스크린(13)을 통한 멀티 터치에 따라 편집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한다.The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오브젝 트들을 표시하여 놓은 상태에서(S10),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13)의 화면을 터치 다운(touch down) 함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제1 터치에 의한 오브젝트 선택을 감지한다(S12).First, in a state where objec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13 (S10), the user touches down the screen of the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3) 화면상에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원하는 경우에(S14),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위치가 현재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6).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on the screen of the
이때,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위치가 현재 터치스크린(12)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12)는 사용자가 제1 터치에 의해 선택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위치에 제2 터치함을 감지하면(S26),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2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의 바로 윗단에 이동시킨다(S28).In this case, when a position to move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그리고, 상술한 S16에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위치가 현재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가 해당 터치스크린(13) 화면상의 제1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원하는 위치 선정을 위하여 다른 손가락을 사용한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과 같은 이동 지시를 하면,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3)을 통해 해당 제2 터치에 의한 플릭 또는 스크롤과 같은 이동 지시를 감지하여서, 터치스크린(13) 화면상에 표시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이외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킨다(S18).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to move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 S16 described above is not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제어부(12)는 이와 같이 제2 터치가 동작됨과 동시에 터치스크린(13) 화면에 표시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는 위치 고정된 것으로 표시하되 다른 오브젝트들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위치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한다(S20).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제어부(12)는 사용자가 제2 터치에 의해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위치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S22), 터치스크린(13)을 통해 제2 터치한 손가락이 터치 업됨을 감지하고(S24), 사용자가 제1 터치에 의해 선택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위치에 제3 터치함을 감지하면(S26),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되 해당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바로 윗단 또는 아랫단에 해당하는 인접 위치에 이동시킨다(S28).In addition, the
한편, 상술한 S14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3) 화면상에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원하지 않고, 해당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다른 위치에 있는 오브젝트와 스와프 처리하기를 원하는 경우에(S30),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스와프할 오브젝트 위치가 현재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32).Meanwhile, in S14 described above, the user does not want to move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on the screen of the
이때,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스와프할 오브젝트 위치가 현재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12)는 사용자가 제1 터치에 의해 선택한 오브젝트를 스와프할 위치에 제2 터치에 의해 터치 다운 및 홀드함을 감지하면(S42),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2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스와프 처리한다(S44).In this case, whe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nd the object position to be swapped ar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그리고, 상술한 S32에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스와프할 오브 젝트 위치가 현재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가 해당 터치스크린(13) 화면상의 제1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스와프시킬 원하는 위치 선정을 위하여 다른 손가락을 사용한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과 같은 이동 지시를 하면,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3)을 통해 해당 플릭 또는 스크롤과 같은 이동 지시를 감지하여서, 터치스크린(13) 화면상에 표시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이외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킨다(S34).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32,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nd the object position to be swapped are not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제어부(12)는 이와 같이 제2 터치가 동작됨과 동시에 터치스크린(13) 화면에 표시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는 위치 고정된 것으로 표시하되 다른 오브젝트들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위치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한다(S36).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제어부(12)는 사용자가 제2 터치에 의해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스와프시킬 위치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S38), 터치스크린(13)을 통해 제2 터치한 손가락이 터치 업됨을 감지하고(S40), 사용자가 제1 터치에 의해 선택한 오브젝트를 스와프할 위치에 제3 터치에 의해 터치 다운 및 홀드함을 감지하면(S42),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스와프 처리한다(S44).In addition, the
또한, 상술한 S30에서 사용자가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다른 위치에 있는 오브젝트와 스와프 처리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터치 업 함에 기인하여, 제어부(12)가 터치스크린(13)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업을 감지하면(S46),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실행하거나 플레이(paly)한다(S50).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swap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with an object at another position in S30 described above, the
이동통신단말기(10)는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이동 처리와 스와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들의 배열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예를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되는 MP3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할 MP3 음악 파일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대하여 위치 이동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를 살펴본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3, a case of performing position movement processing on an object existing in a list of MP3 music files to be played by the MP3 playe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먼저,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①로 제1 터치를 유지하여 하나의 MP3 음악 파일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②으로 제2 터치하여서 그외의 다른 MP3 음악 파일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들을 플릭 또는 스크롤시키면, 도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MP3 음악 파일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는 위치 고정된 것으로 표시하되 제2 터치에 의해 이동되는 다른 오브젝트들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위치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하고 그외의 다른 MP3 음악 파일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들은 위치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한다.First, as shown in FIG. 3 (b), while the user holds the first touch with his finger ① and selects an object corresponding to one MP3 music file, the user touches the second finger with another
그리고, 사용자가 제2 터치에 의해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위치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제2 터치한 손가락을 터치 업한 후, 도3의 (d)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터치에 의해 선택한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위치에 손가락②로 제3 터치하면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인접하게 이동시킨다. 도3의 (d)에서는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의 바로 윗단에 이동시킨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스템 설정에 따라서 해당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의 바로 아랫단에 이동시킬 수도 있다.Then, after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ed finger in a state where the user moves the other object by the second touch to the position point to which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moved, the user as shown in FIG. When the third touch is performed with the
예를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복수열로 표시되는 사진 리스트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대하여 스와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를 살펴본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a case of performing a swap process on an object existing in a photo list displayed in a plurality of columns on a screen of the
먼저,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①로 제1 터치를 유지하여 좌측으로부터 두번째 열의 한 사진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도4의 (b)와 같이 다른 손가락②으로 제2 터치하여서 좌측으로부터 세번째 열의 사진들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들을 플릭 또는 스크롤시키면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사진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는 위치 고정된 것으로 표시하되 제2 터치에 의해 이동되거나 이동되지 않는 다른 오브젝트들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하고 좌측으로부터 세번째 열의 사진들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들은 위치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한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4, while the user selects an object corresponding to one photo in the second column from the left by holding the first touch with his finger ①, the
그리고, 사용자가 제2 터치에 의해 좌측으로부터 세번째 열의 사진들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스와프시킬 위치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제2 터치한 손가락을 터치 업한 후, 도4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터치에 의해 선택한 오브젝트를 스와프시킬 위치에 손가락②으로 제3 터치하여 터치 다운 및 홀드하면, 도4의 (d)와 같이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스와프 처리한다.Then, after the user touches the second touched finger in a state where the user moves to the position point where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to be swiped by moving the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photos of the third column from the left by the second touch, FIG. As shown in (c) of FIG. 4, when the user touches and holds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with a third finger by touching the
위의 설명에서는 도3의 (a)와 같이 오브젝트가 단일의 열로 배열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위치 이동 처리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3의 (a)와 같이 오브젝트가 단일의 열로 배열되어 표시된 상태에 대하여 오브젝트 스와프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는,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위치 고정된 상태로 하고,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되면 해당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외한 나머지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킨 후, 스와프하고자 하는 위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제3 터치에 의해 터치 다운 및 홀드하면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와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위치의 오브젝트를 서로 위치 바꾸어서 스와프 처리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bject is moved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objects are arranged in a single column as shown in (a) of FIG. 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bject swap processing may also be performed on the arranged and displayed states. In this case,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fixed in position, and if the object is flicked or scrolled by the second touch, other objects except for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re moved, and then the object of the position to be swapped is moved. When the display is touched down and held by the third touch,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nd the object at the position selected by the third touch are swapped by swapping positions.
또한, 위의 설명에서는 도4의 (a)와 같이 오브젝트가 복수 열로 배열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스와프 처리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4의 (a)와 같이 오브젝트가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표시된 상태에 대하여 오브젝트 위치 이동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는,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임의 열의 한 오브젝트를 위치 고정된 상태로 하고, 다른 열의 오브젝트들이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되면 해당 다른 열의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킨 후, 위치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제3 터치에 의해 터치하면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의 바로 윗단 또는 아랫단에 해당하는 인접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처리를 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bject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swapped as shown in FIG. 4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bjec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lumns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object position movement processing on the arranged and displayed states. In this case, one object in a column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fixed in position, and when objects in another column are flicked or scrolled by the second touch, objects in the other column are moved, and then the object of the position to be moved is moved. If the touch is selected by the third touch,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moved to an adjacent position corresponding to immediately above or below the object selected by the third touc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들의 다양한 배열 형태에 대하여 오브젝트 위치 이동 처리 및 오브젝트 스와프 처 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3과 같이 단일의 열에 배열되어 표시되는 오브젝트들에 대하여 오브젝트 위치 이동 처리 및 오브젝트 스와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오브젝트를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하면, 해당 위치 고정한 오브젝트를 제외한 나머지 오브젝트들을 제2 터치에 따라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사용자의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위치 이동하는 처리를 수행하거나,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위치의 오브젝트와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서로 바꾸는 스와프 처리를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object position movement processing and object swap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various arrangement forms of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오브젝트들에 대하여 오브젝트 위치 이동 처리 및 오브젝트 스와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열의 오브젝트를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제2 터치에 의해 다른 열의 오브젝트를 플릭 또는 스크롤하면, 해당 위치 고정한 오브젝트를 제외한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된 다른 열의 오브젝트들을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사용자의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위치 이동하는 처리를 수행하거나, 제3 터치에 의해 선택된 위치의 오브젝트와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서로 바꾸는 스와프 처리를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object position shifting process and the object swapping process on the objects arranged and display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s shown in FIG. 4, in the state where the object of the row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fixed When flicking or scrolling an object in another column by touch, the object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y moving the object in another column that is flicked or scrolled by the second touch except for the object fix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n by the third touch of the user. A process of shifting an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djacent to the selected position is performed, or a swap process of swapping an object at a position selected by the third touch and an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아울러, 도4와 같이 오브젝트들을 복수의 열로 배치하여 표시한 경우에 대하여 오브젝트 위치 이동 처리 및 오브젝트 스와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제1 터치에 의해 오브젝트를 선택한 열과 다른 열의 오브젝트를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 는 스크롤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터치에 의해 오브젝트를 선택한 열과 동일한 열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제2 터치에 의해 플릭 또는 스크롤하여 이동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동일 열에 배열되어 표시된 오브젝트 중에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제2 터치에 의해 동일 열의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키면 된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object position movement processing and object swap processing for the case where objects are arranged and display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s shown in FIG. 4, an object in a column different from the column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s touched by a second touch. Although described as moving by flicking or scroll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in the same column as the column where the object is selected by the first touch may be flicked or scrolled by the second touch.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mong the objects may be fixed and the other objects in the same column may be moved by the second touch.
또한, 제1 터치에 의해 오브젝트를 선택하고서 제2 터치에 따라 다른 오브젝트들을 이동하는 경우에 터치스크린(13) 화면에 표시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는 다른 오브젝트들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위치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하는데, 예를들어 제1 터치에 선택된 오브젝트에 커서를 두거나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high light)로 밝게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그외의 다른 오브젝트들과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bject is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nd other objects are moved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통신단말기(10)가 터치스크린(13)의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들의 배열 형태에 따라서 오브젝트 위치 이동 처리 및 오브젝트 스와프 처리를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오브젝트들을 편집 처리함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스츄어 기반의 멀티 터 치에 의한 상호 작용을 통해 편집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멀티 터치에 의해 화면 표시된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고속으로 편집케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editing processing of objects through the touch screen scree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a touch screen simplifies the editing procedure through interaction based on gesture-based multi-touch, thereby allowing a user to easily edit an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by multi-touch at high speed. Make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 터치에 의한 편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touch edi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 터치에 의한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3 and 4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multi-touch edi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동통신단말기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통신부11; Communication section
12; 제어부12; The control unit
13; 터치스크린13; touch screen
14; 음성입력부14; Voice input section
15; 저장부15; The storage unit
16; 카메라부16; Camera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076A KR101354991B1 (en) | 2009-08-05 | 2009-08-05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 via Multi-Touch in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076A KR101354991B1 (en) | 2009-08-05 | 2009-08-05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 via Multi-Touch in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4422A KR20110014422A (en) | 2011-02-11 |
KR101354991B1 true KR101354991B1 (en) | 2014-01-23 |
Family
ID=4377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2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4991B1 (en) | 2009-08-05 | 2009-08-05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 via Multi-Touch in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49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7907B1 (en) * | 2011-11-22 | 2014-05-21 | 인크로스 주식회사 | System,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for recognizing multi-touch |
KR101710418B1 (en) * | 2011-12-19 | 2017-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touch interaction in portable device |
CN109032355B (en) * | 2018-07-27 | 2021-06-01 | 济南大学 | Flexible mapping interaction method for corresponding multiple gestures to same interaction comman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7368A (en) * | 2007-09-12 | 2009-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erminal and data gen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KR20090070491A (en) * | 2007-12-27 | 2009-07-01 | 엔에이치엔(주) |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
-
2009
- 2009-08-05 KR KR1020090072076A patent/KR1013549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7368A (en) * | 2007-09-12 | 2009-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erminal and data gen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KR20090070491A (en) * | 2007-12-27 | 2009-07-01 | 엔에이치엔(주) |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4422A (en) | 2011-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70580B (en) | Method,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navigating amo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in a browser | |
JP4577428B2 (en) |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CN103164157B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being used to provide multiple point touching interaction in portable terminal | |
JP6112905B2 (en) | Screen scrol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 |
CN110658972B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US2011005795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US20130036384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US20100259562A1 (en) |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EP2587357B1 (en)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content and program therefor | |
US2012027874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icon in touch screen terminal | |
KR20110041915A (en) | Data display method 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
JP2003330613A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information,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KR20130099186A (en) | Display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program | |
KR101586559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20130005300A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 |
US8947464B2 (en) |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WO2012160829A1 (en) | Touchscreen device, touch operation input method, and program | |
JP2015035092A (en) | Display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30084209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6575081B2 (en) |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 |
JP6758921B2 (en) |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control methods | |
JP2010287121A (en) | Information processor,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ler | |
JP5875262B2 (en) | Display control device | |
KR10135499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 via Multi-Touch in Thereof | |
JP5628991B2 (en) |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