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4906B1 -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906B1
KR101354906B1 KR1020070050335A KR20070050335A KR101354906B1 KR 101354906 B1 KR101354906 B1 KR 101354906B1 KR 1020070050335 A KR1020070050335 A KR 1020070050335A KR 20070050335 A KR20070050335 A KR 20070050335A KR 101354906 B1 KR101354906 B1 KR 101354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keyboard
main body
key
input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3261A (ko
Inventor
박범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906B1/ko
Priority to US11/938,925 priority patent/US8563881B2/en
Priority to CN201210394303.7A priority patent/CN103076847B/zh
Priority to CN2008100923393A priority patent/CN101398703B/zh
Publication of KR2008010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9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4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24Profile on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있어서, 표시개구와, 상기 표시개구의 둘레에 마련된 전방패널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표시개구에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방패널면 일영역에 배치되며, 가압수단이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수단과 이격 가능하게 마련된 비접촉부를 갖는 다수의 키로 구성된 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오동작 방지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INPUT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 정면도,
도 2는 도 1를 포함하는 일실예인 휴대용 컴퓨터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좌패널면과 우패널면의 배치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Ⅴa-Ⅴa 및 Ⅴb-Ⅴ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는 도 4의 가로자판군을 확대한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좌패널면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Ⅷ-Ⅷ선을 따른 단면도,
도 9은 도 1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컴퓨터 105 : 입력장치
110 : 본체 111 : 표시개구
113 : 전방패널면 114 : 우패널면
115 : 좌패널면 117 : 절곡면
120 : 디스플레이부 121 : 기준면
121a : 기준선 121b : 연장선
130 : 자판입력부 131, 141 : 좌, 우자판군
133, 143 : 좌, 우문자입력키 135, 145 : 좌, 우가로자판군
137, 147 : 좌, 우특수문자입력키 139 : 자판
150 : 부가입력부 150a : 카메라
150b : 정보인식기 150c : 마이크
160 : 기능입력부 160a : 홀마우스
160b : 마우스기능키 160c : 기능설정키
170 : 스피커 180 : 제어부
181 : 중앙처리부 183 : 출력처리부
187 : 저장부 191 : 입력부
193 : 출력부 195 : 전원부
211 : 접촉부 213 : 비접촉부
P : 가압수단
본 발명은,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부의 구조를 개선한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장치는 각종 전자장치에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편의상 휴대용 정보처리장치를 본 발명의 일례로 설명한다.
휴대용 정보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각종 정보를 처리하여 일상생활에 편리하게 이용되며 그 예로서 휴대용 컴퓨터,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전자액자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들 수 있다.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일종으로 소형이고 휴대 가능하며 다양한 기능을 갖춘 휴대용 컴퓨터의 일종인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UMPC: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는 정보처리장치의 일종으로 노트북, 타블렛 PC, 네비게이션, 휴대형 저장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간편하고 대체로 무게가 가벼우며, 크기가 크지 않고, 휴대가 용이하다.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는 사용자가 어디에서든지, 언제든지 정보 등을 입력 내지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는 사용자가 휴대시 용이하게 정보, 자료 등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오동작 방지 및 편리성을 향상시킨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입력장치 및 이 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가압수단이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수단과 이격 가능하게 마련된 비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키로 구성된 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키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비접촉부는 인접한 상기 다른 키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비접촉부와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본체의 행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는 돌출된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부는 함몰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어느 하나의 키의 상기 접촉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수단이 접촉된 상기 접촉부와 가깝게 배치된 상기 다른 키의 비접촉부와 이격 가능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자판군을 갖는 자판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판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기준선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선과 상기 가로자판군의 각 키의 동일한 지점을 가로질러 연장한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했다가 감소하거나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중 휴대용컴퓨터의 하나인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UMPC :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용 컴퓨터에 대해 설명을 하지만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각종 휴대용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105)는 본체(110)와 접촉부(211) 및 비접촉부(213)를 갖는 자판(139)을 포함한다. 휴대용 컴퓨터(100)는, 입력장치(105)와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한다. 휴대용컴퓨터(100)는 부가입력부(150)와 기능입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100)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100)는 필요에 따라 외부의 키보드(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판(139)은 키(139)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고 복수의 키(139)를 포함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여 참조번호를 구별하지 않고 "139"로 통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의 참조번호를 별도의 첨자없이 사용하여 통칭하기도 하고 필요시 첨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자판(139)을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 참조번호는 "139a" 내지 "139e" 를 사용하고, 자판(139)을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139" 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110)는 휴대용 컴퓨터(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부(120)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개구(111)를 중앙에 갖는다. 본체(110)는 전방에 전방패널면(113)을 갖는다. 본체(110)는 본체(110)를 책상과 같은 설치면에 지지하는 경우에 설치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도록 후방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브래킷(119)을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는 양 손으로 지지브래킷(119)을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터(100)를 간편하게 잡을 수 있다.
본체(110)는 본체(110)를 설치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대해 회동되고, 본체(110)의 후방에 수용될 수 있는 지지스탠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패널면(113)은 본체(1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패널면(113)에는 다양한 입력부(191)와 출력부(193)가 배치된다.
우패널면(115)은 전방패널면(113) 중 표시개구(111)의 우측 부분이며, 우패널면(115)에는 우자판군(141)과 기능입력부(160)의 일부가 배치된다.
좌패널면(114)은 전방패널면(113) 중 표시개구(111)의 좌측 부분이며, 좌패널면(114)에는 좌자판군(131)과 기능입력부(160)의 일부와 정보인식기(150b)가 배치된다.
좌패널면(114) 및 우패널면(1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기준면(121)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좌패널면(114) 및 우패널면(115)은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각 판면과 기준면(121)이 이루는 경사각도가 점점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좌패널면(114)과 우패널면(115)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전방패널면(113)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판(139)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절곡면(117)은 전방패널면(113)의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에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절곡 연장된다. 절곡면(117)에는 스피커(170)가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절곡면(117)에 각각 배치된 스피커(170)에서 발생되는 음향은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70)의 배치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전방패널면(113)의 공간 효율을 증대시키며, 설계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표시개구(111)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각종 입력부(191)를 통해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중앙처리부(181)에서 연산, 판단 등을 거쳐 출력처리부(183)에서 소정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가 펜 등을 이용하여 입력을 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전방패널면(113)의 중앙에 배치되며,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일실시예로 7인치의 크기인 것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판면에 기준면(121)을 형성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20)의 판면에 7인치 화면의 가로축선(도 1 및 도 2의 'X' 축선 참조)방향과 세로축선(도 1 및 도 2의 'Y' 축선 참조)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이 기준면(121)으로 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면(121)의 X 축선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준선(121a)을 포함한다.
자판입력부(130)는 표시개구(111)를 사이에 두고 전방패널면(113)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좌자판군(131)과 우자판군(141)을 포함한다. 자판입력부(130)는 입력부(191)의 하나로 문자나 특수기능을 갖는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본체(110)를 손에 잡고 간편하게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좌자판군(131)은 좌패널면(114)에 배치되며, 좌문자입력키(133)와 좌특수문자입력키(137)를 포함한다.
우자판군(141)은 우패널면(115)에 배치되며, 우문자입력키(143)와 우특수문자입력키(147)를 포함한다.
문자입력키(133,143)는 좌자판군(131)과 우자판군(141)에 각각 배치되며 외 측에서 표시개구(111) 측연부를 향하여 가판(139)이 배치된 가로자판군(135,145)을 포함한다. 문자입력키(133,143)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자판군(135,145)을 포함한다. 문자입력키(133,143)는 좌문자입력키(133)와, 우문자입력키(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문자입력키(133,143)는 일실시예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자음과 모음 및 영어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자판(139)을 포함한다. 문자입력키(133,143)는 국가에 따라 그 국가의 국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로컬라이징(localizing)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입력키(133,143)는 사용자가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비교적 엄지손가락의 활동이 자유롭고 동선이 넓게 형성되도록 우패널면(115) 및 좌패널면(114)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문자입력키(133,143)는 일실시예의 한글은 2벌식이며 영어는 "QWERTY" 자판을 포함하나, 다른 실시예로 한글은 3벌식 등을, 영어는 "DVORAK" 자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자판군(135,145)은 좌문자입력키(133) 및 우문자입력키(143)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된다. 가로자판군(135,145)은 복수의 자판(139)을 포함한다. 가로자판군(135,145)은 일실시예로 5 개의 자판(139)을 포함하나, 가로자판군(135,145)의 자판(139)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로자판군(135,145)은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가로자판군(135,145)은 일실시예로 4 개 행으로 배치되나, 필요에 따라 5개 행, 6개 행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판(139)의 상단부를 연결한 연장선(121b)과 기준면(121)이 이루는 각도는 전방패널면(113)의 상측에서 하측을 따라 점점 증가하거나, 점점 감소하거나,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등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연장선(121b)은 직선을 포함한다. 그러나, 연장선(121b)은 어느 구간이 곡선이거나 전체가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판(139)의 배열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편의상 좌자판군(131)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우자판군(141)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패널면(113)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로자판군(135a 내지 135d)이 배열된다. 여기서, 가장 상측의 가로자판군(135a)에서 가장 하측의 가로가판군(135d)까지의 각 자판(139)들의 연장선(121b1 내지 121b4)과 기준선(121a)이 이루는 각도를 각각 θ1 내지 θ4 라고 정한다.
연장선(121b)과 기준선(121a)이 이루는 각도가 점점 감소하도록 자판(139)을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θ1 〉θ2 〉θ3 〉θ4 이다.
또한, 연장선(121b)과 기준선(121a)이 이루는 각도가 점점 증가하도록 자판(139)을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θ1〈 θ2〈 θ3〈 θ4 이다.
한편, 연장선(121b)과 기준선(121a)이 이루는 각도가 점점 증가하다가 감소하도록 자판(139)을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θ1〈 θ2〈 θ3 〉 θ4 또는, θ1〈 θ2 = θ3 〉 θ4 이다.
이에, 사용자가 본체(110)를 잡고 양 손으로 문자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엄지손가락을 포함하는 가압수단(P)의 동선에 따라 자판(139)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등의 입력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압수단(P)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거나 가압수단(P)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압수단(P)과 자판(139)의 간섭을 최소화시켜 오동작을 예방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판(139)의 배치에 의해 전방패널면(113)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판(139)은 전방패널면(113)의 일영역인 좌우측에 배치되며, 접촉부(211)와, 비접촉부(213)를 포함한다. 자판(139)은 필요에 따라 상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자판(139)은 일실시예로 다소 둥근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수문자입력키(137,147)는 문자입력키(133,143)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자판(139)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수문자입력키(137,147)는 일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가로자판군(135,145)을 각각 좌패널면(114) 및 우패널면(115)에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좌특수문자입력키(137)는 좌패널면(114)의 외측에서 표시개구(111)로 향하여 시프트(Shift) 키, 뉴메릭 로크(Num Lock) 키, '~' 키, '@' 키, '-' 키를 포함한다. 우특수문자입력키(147)는 우패널면(115)의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스페이스(Space) 키, 변환(Alt) 키, '?' 키, 시프트(Shift) 키를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우특수문자입력키(14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패널면(115)의 우문자입력키(143)의 가로자판군(135,145)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 키, 엔터(Enter) 키 등이 그 예이다.
특수문자입력키(137,147)는 필요에 따라 좌패널면(114) 및 우패널면(115) 중 어느 하나에 있거나, 복수의 가로자판군(135, 145)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특수문자입력키(137,147)의 크기는 사용자의 사용빈도, 배치된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10)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손으로 잡고 문자나 데이터를 간편하게 키보드와 같이 입력할 수 있다.
부가입력부(150)는 전방패널면(113)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며, 부가입력수단(150a,150b,150c)을 포함한다.
부가입력수단(150a,150b,150c)은 카메라(150a)와, 정보인식기(150b)와, 마이크(15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50a)는 전방패널면(113)의 전방 중앙에 배치되어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50a)는 전방패널면(113)뿐만 아니라 본체(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카메라(150a)의 배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정보인식기(150b)는 전방패널면(113)의 좌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정보인식기(150b)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인식기를 포함하며, 홍채, 망막 인식기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50c)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입력시킬 수 있다. 마이크(150c1,150c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전방패널면(113)의 하측에 상호 이격 배치된다. 마이크(150c)는 어레이 마이크(Array microphone)를 포함한다. 이에, 입력되는 음향의 잡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기능입력부(160)는 전방패널면(113)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기능입력부(160)는 홀마우스(160a)와, 마우스기능키(160b)와, 기능설정키(160c)를 포함한다. 기능입력부(160)는 일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기능을 갖는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마우스(160a)는 전방패널면(113)의 좌측에 배치되며, 마우스 기능과 다방향 키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홀마우스(160a)는 중앙에 디스플레이부(120)에 형성된 아이콘이나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홀이동부재(160a1)와, 홀이동부재(160a1)의 둘레에 원형으로 마련되어 홀이동부재(160a1)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홀선택부재(160a2)를 포함한다. 홀마우스(160a)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좌패널면(114)의 중앙에 배치된다. 홀마우스(160a)는 일실시예와 달리 전방패널면(113)의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마우스기능키(160b)는 홀마우스(160a)에서 마우스기능을 선택한 경우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전방패널면(113)의 우측에 마련된다. 마우스기능키(160b)는 좌마우스기능키(160b1)와 우마우스기능키(160b2)를 포함한다.
좌마우스기능키(160b1)는 홀마우스(160a)에 의해 포인터 등이 이동된 위치에서 클릭(click)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우마우스기능키(160b2)는 홀마우스(160a)와 연동되어 포인터 등이 이동된 위치에서 소정 기능들을 팝업(pop up)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홀마우스(160a)에 의해 이동된 위치에서 우마우스기능키(160b2)를 누르면'복사하기', '붙여넣기', '단락' 등과 같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블록이 팝업되게 하여 사용자 는 팝업된 블록에서 소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마우스기능키(160b)는 일실시예와 달리 전방패널면(113)의 좌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능설정키(160c)는 전방패널면(113)의 우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기능설정키(160c)는 중앙에 마련된 엔터(enter) 키(160c1)와 엔터 키(160c1)의 둘레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마련된 기능설정부재(160c2)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실시예로 기능설정부재(160c2)는 네 가지 기능(도 4의 F1 내지 F4)을 설정할 수 있다.
기능설정키(160c)는 사용자가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동선을 고려하여 우패널면(115)의 중앙에 배치된다. 기능설정키(160c)는 일실시예와 달리 전방패널면(113)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홀마우스(160a)와 마우스기능키(160b)와 기능설정키(160c)의 크기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크기, 좌패널면(114) 및 우패널면(115)의 크기 등으로 고려하여 선정된다.
이에, 전방패널면(113)에 효율적으로 배치된 기능입력부(160)에 의해 사용자는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비교적 간편하게 휴대용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91)에서 입력된 정도,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이를 인식, 연산, 판단 등을 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181)와, 중앙처리부(181)에서 처리된 정보 등을 출력부(193)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출력처리부(183)를 포함한다.
입력부(191)는 본체(110)에 마련되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정보, 자료, 데이터를 본체(110)의 제어부(180) 내지 저장부(187)로 전달한다. 입력부(191)는 일실시예와 같이 자판입력부(130)와, 부가입력부(150)와, 기능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91)는 일실시예와 달리 필요에 따라 공지된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93)는 입력부(191)를 통해 입력된 정보 등을 제어부(180)에서 처리하여 출력한다. 출력부(193)는 일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와, 스피커(170a,170b)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출력하는 수단의 하나인 프린트 등과 연결되어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93)는 디스플레이부(120)만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전원의 온 상태 등을 나타내는 소형 표시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87)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되거나 입력부(191)에서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87)에 저장된 정보 등은 필요에 따라 제어부(180)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전원부(195)는 휴대용 컴퓨터(100)에서 전기를 공급하도록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스피커(170), 제어부(180) 등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접촉부(211)는 자판(139)에서 가압수단(P)이 접촉되는 영역이다. 접촉부(211)는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접촉부(211)는 일실시예와 달리 상부로 돌출된 다각형 단면 등과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비접촉부(213)는 자판(139)에서 접촉부(211)로부터 연장된다, 비접촉부(213)는 어느 하나의 자판(139)을 가압수단(P)이 가압한 상태에서 인접된 자판(139)의 접촉부(211)와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비접촉부(213)는 가압수단(P)이 어느 하나의 자판(139)의 접촉부(211)를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수단(P)이 접촉된 자판(139)과 가까운 다른 자판(139)의 비접촉부(213)와 이격 가능한 높이를 갖는다. 비접촉부(213)는 하부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비접촉부(213)는 일실시예와 달리 하부로 함몰된 다각형 단면 등과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211) 또는 비접촉부(213)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패널면(113)의 외측에서 표시개구(111) 측연부를 향하여 지그재그로 배치(Alternating sequence or arrangement)된다. 즉, "Q" 자판(139)의 상부는 비접촉부(213)이고 "Q" 자판(139)의 하부는 접촉부(211)이며, "Q" 자판(139) 우측에 배치된 "W" 자판(139)의 상부는 접촉부(211)이고 "W"자판(139)의 하부는 비접촉부(213)이다. 이러한 접촉부(211) 및 비접촉부(213)의 배열은 일실시예와 달리 반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접촉부(211) 및 비접촉부(213)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었다는 의미는 도 3과 같이 자판(139) 하나씩 순차적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뿐만 아니라, 두 개의 자판(139)이 순차적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 등 다양하게 배치된 것을 포함한다. 도 4 도시된 바와 같은 자판(139)을 예를 들면, "Q" 및 "W" 자판(139)의 비접촉부(213)가 자판(139)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다음의 "E" 및 "R" 자판(139)의 비접촉부(213)가 자판(139)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T" 자판(139)의 비접촉 부(213)가 자판(139)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자판(139)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Q" 자판(139)의 비접촉부(213)가 자판(139)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음의 "W" 및 "E" 자판(139)의 비접촉부(213)가 자판(139)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R" 및 "T" 자판(139)의 비접촉부(213)가 자판(139)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자판(139)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211) 또는 비접촉부(213)는 전방패널면(113)의 열 방향 또는 행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촉부(211) 또는 비접촉부(213)는 전방패널면(113)의 외측에서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향하는 행 방향(도 2의 "X" 축선 방향 참조)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또한, 접촉부(211) 또는 비접촉부(213)는 전방패널면(113)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열 방향(도 2의 "Y" 축선 방향 참조)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가로자판군(135, 145)에서 비접촉부(213) 및 접촉부(211)의 배치는 전방패널면(113)의 외측에서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로 향하면서 같은 형상의 지그재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로자판군인 135a 내지 135e 가 전방패널면(113)의 외측에서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로 향하면서 제일 좌측 자판(139)에는 상측에 비접촉부(213)가 오도록 제일 우측 자판(139)에 비접촉부(213)가 오도록 배치한다. 도 5a 및 도 5b은 도 4에서 전방패널면(113)의 상부에서 하부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이러한 배치를 나타낸다. 즉, "Q" 자판(139)의 상부는 비접촉부(213)이고 "Q" 자판(139)의 하부는 접촉부(211)이며, "Q" 자판(139) 바로 아래에 배치된 "A" 자판(139)의 상부도 비접촉부(213)이고 "A" 자판(139)의 하부도 접촉부(211)이다. 이러한 배치는 일실시예와 달리 반대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을 갖는 자판(139)은 피치가 향상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자판(139) 사이의 피치가 늘어난 효과를 얻는다. 이에, 공간활용도를 향상시켜 제품의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인치의 디스플레이부(120)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10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자판군(135, 145)에서 자판(139) 사이의 피치("P1" 참조)는 5mm 이나, "Q" 자판(139)의 접촉부(211)의 중심("O1" 참조)과 "W" 자판(139)의 접촉부(211)의 중심("O1" 참조) 사이 피치("P2" 참조)는 6.2mm로 된다. 자판(139)의 피치(P1)보다 접촉부(211)의 피치(P2)가 약 24% 늘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사용자는 돌출된 접촉부(211) 및 함몰된 비접촉부(213)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자판(139)의 위치를 쉽게 감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가압수단(P)이 어느 하나의 자판(139)의 접촉부(211)를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된 자판(139)과 상하 또는 좌우로 가까이 배열된 다른 자판(139)을 가압하지 않는다. 이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동작을 예방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다.
가압수단(P)은 접촉부(211)를 가압하여 자판(139)을 작동시켜 가압되는 자판(139)에 부여된 기능 통해 각종 정보를 입력시킨다. 가압수단(P)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포함하며, 펜과 같은 공지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00)의 작동과정을 도 8a, 도 8b 및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소형인 휴대용 컴퓨터(100)의 본체(110)를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잡는다. 즉, 사용자는 오른손 및 왼손의 손바닥이 전방패널면(113)의 좌우측의 하단부를 각각 접촉하고,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은 본체(110)의 후방을 잡는다. 이 때,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은 본체(110) 후방의 지지브래킷(119)을 잡으면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자판(139)의 접촉부(211)에 가압수단(P)의 하나인 엄지손가락을 접촉시킨다.
다음, 사용자가 가압수단(P)으로 자판(139b)의 접촉부(211)를 가압하면 자판(139b)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거리("d" 참조)를 이동하여 소정 정보를 제어부(180)에 입력한다. 이 때, 접촉부(211)는 이웃한 자판(139a, 139c)의 비접촉부(213)와 이격("GAP" 참조)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자판(139)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가압수단(P)이 가압하는 자판(139a)과 다른 자판(139b, 139c)을 가압 또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 접촉부(211)을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이러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자판입력부(130)와 부가입력부(150) 및 기능입력부(160)에서 입력된 정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부(181)에서 인식, 판단, 비교 등의 처리작업을 거쳐 저장부(187)에 저장되거나 출력처리부(183)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20)에서 화상으로 형성되거나, 스피커(170a, 170b)와 같은 출력부(193)를 통해 음향으로 바뀌어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오동작 방지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하는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슬림화를 달성하는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입력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가압수단이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수단과 이격 가능하게 마련된 비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키로 구성된 자판과;
    상기 본체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자판군을 갖는 자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판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기준선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선과 상기 가로자판군의 각 키의 동일한 지점을 가로질러 연장한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키와 인접한 상기 복수의 키 중 다른 하나의 키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비접촉부와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본체의 행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돌출된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부는 함몰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의 상기 접촉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수단이 접촉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키와 가깝게 배치된 상기 복수의 키 중 다른 하나의 키의 비접촉부와 이격 가능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했다가 감소하거나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070050335A 2007-05-23 2007-05-23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54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335A KR101354906B1 (ko) 2007-05-23 2007-05-23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US11/938,925 US8563881B2 (en) 2007-05-23 2007-11-13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210394303.7A CN103076847B (zh) 2007-05-23 2008-04-22 输入装置和包括所述输入装置的电子设备
CN2008100923393A CN101398703B (zh) 2007-05-23 2008-04-22 输入装置和包括所述输入装置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335A KR101354906B1 (ko) 2007-05-23 2007-05-23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261A KR20080103261A (ko) 2008-11-27
KR101354906B1 true KR101354906B1 (ko) 2014-01-22

Family

ID=4007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3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4906B1 (ko) 2007-05-23 2007-05-23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63881B2 (ko)
KR (1) KR101354906B1 (ko)
CN (2) CN1030768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4688B (en) * 2008-04-25 2012-05-21 High Tech Comp Corp Key adapted for an input device
US9086851B2 (en) * 2011-10-07 2015-07-21 T-Mobile Usa, Inc. Curved key input form factors of handheld devices
KR102440291B1 (ko) * 2017-11-15 2022-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어방법
JP6641530B1 (ja) * 2018-12-07 2020-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入力表示制御装置、入力表示制御方法及び入力表示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5708A (ja) 1999-10-26 2001-05-11 Toshihide Tsuji 長い爪でも操作性の良いキーボード装置
US20050156903A1 (en) 2003-10-30 2005-07-21 Pepper Computer, Inc. Pad computer
US20070030249A1 (en) 2005-08-08 2007-0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keyboard having three-direction key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9699B1 (en) * 1991-04-10 1998-12-16 Kinesis Corporation Ergonomic keyboard apparatus
US5329278A (en) * 1991-10-24 1994-07-12 Dombroski Michael L Pivoting electronic keyboard keys
US5360955A (en) * 1992-08-18 1994-11-01 Key Tronic Corporation Computer keyboard with cantilever switch design and improved PCB/switch membrane interface
JP3323693B2 (ja) * 1995-05-15 2002-09-09 株式会社リコー ペン入力情報機器
US7182533B1 (en) * 1997-10-21 2007-02-27 Prosper Street Technologies, Llc Keyboard contoured to the natural shape of the hand
US6278442B1 (en) * 1998-06-26 2001-08-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 keyboard optimized for use with the thumbs
BR0012527A (pt) * 1999-06-21 2002-04-02 Alberto B Sabato Uma tecla de posicionamento para um teclado ou um teclado compacto
US6580932B1 (en) * 2000-05-31 2003-06-1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Foldable keyboard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0511105C (zh) * 2004-03-04 2009-07-0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标准打字用键盘及其多功能按键
JP4155405B2 (ja) * 2004-03-24 2008-09-2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電話装置
US8031178B2 (en) * 2004-07-22 2011-10-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with chassis structure
CN2733450Y (zh) * 2004-09-16 2005-10-12 朱国万 附加于电子产品的多维坐标输入装置
JP4302024B2 (ja) * 2004-09-17 2009-07-2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ボタン構造、携帯型電子装置
US7087850B1 (en) * 2005-09-27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Cleanable key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5708A (ja) 1999-10-26 2001-05-11 Toshihide Tsuji 長い爪でも操作性の良いキーボード装置
US20050156903A1 (en) 2003-10-30 2005-07-21 Pepper Computer, Inc. Pad computer
US20070030249A1 (en) 2005-08-08 2007-0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keyboard having three-direction k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91058A1 (en) 2008-11-27
US8563881B2 (en) 2013-10-22
KR20080103261A (ko) 2008-11-27
CN101398703A (zh) 2009-04-01
CN103076847A (zh) 2013-05-01
CN103076847B (zh) 2017-03-01
CN101398703B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075B1 (ko)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US8164570B2 (en) Condense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KR101343896B1 (ko) 휴대용 컴퓨터
US8297861B2 (en) Keypad with larger key areas in central key group
Kölsch et al. Keyboards without keyboards: A survey of virtual keyboards
US851418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164592B2 (en) Keypad
US20060119582A1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US9268485B2 (en) Lattice keyboards with related devices
US2006020903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1996037A (zh) 将字符输入到具有触摸屏的便携终端的方法和装置
KR101354906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20080069874A (ko)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Dunlop et al. Pickup usability dominates: a brief history of mobile text entry research and adoption
JP461450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KR20160124754A (ko) 과부하 4행 유사쿼티 키패드 배열
KR20190091690A (ko) 휴대용 키보드
KR20060127290A (ko) 노트북 컴퓨터의 키보드
KR20180045743A (ko)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HK1192019A (en) Keypad
CN101315578A (zh) 键盘结构及应用该键盘结构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5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