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105B1 - A water tap immovable different kinds have water supply - Google Patents
A water tap immovable different kinds have water supp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4105B1 KR101354105B1 KR1020120076695A KR20120076695A KR101354105B1 KR 101354105 B1 KR101354105 B1 KR 101354105B1 KR 1020120076695 A KR1020120076695 A KR 1020120076695A KR 20120076695 A KR20120076695 A KR 20120076695A KR 101354105 B1 KR101354105 B1 KR 1013541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supply
- valve body
- valve
- flo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aps Or Cock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며 동파방지 기능을 구비한 부동급수전에 구비하는 급수구를 원주방향으로 복수개로 하고, 급수구를 선택 또는 동시 급수할 수 있도록 하여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제조를 간편히 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 노출되는 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부동급수전에서 부동급수전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몸통에 복수개의 급수구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부동급수전에서 급수구가 여러개가 되므로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용수를 사용할 수 있고 밸브 몸통에 급수구는 제조시에 선택하여 제조하므로 구조와 제조가 간편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feeder having a plurality of water inlets, and the plurality of water inlets provided in the floating feeder having a freeze protection fun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water supply can be selected or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onveniently And for the purpose of simplifying the produ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inlets in the valve body provided inside the floating water supply faucet in the floating water supply faucet to prevent freezing of the water pipe exposed to the grou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umber of the water supply port in the floating water supply faucet can be used or water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several directions, and the water supply port in the valve body is selected and manufactur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의 수도관과 연결되어 지상으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급수전에 동파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부동급수전에 급수구를 복수개로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제조를 간편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water supply faucet having a plurality of water supply opening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nvenient to use a plurality of water supply openings having a floating water supply function having a freeze protection function before being connected to the ground water pipe and exposed to the ground. It is easy to manufacture.
부동급수전이라 함은 상수원으로부터 수용가로 공급되는 수도관로는 지중(地中)에 매립시공되고 지중에 설치된 수도관로에는 수용가의 가정에서 수도미터기에 연결되고, 수도미터기를 거친 관로는 수용가의 사용지점으로 연결되고, 실외에 설치되는 수도관은 지상으로 노출되어 수도꼭지가 연결된다.Floating water supply faucet is a water pipe that is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to a consumer. The underground water pipe is connected to a water meter in the customer's home. The water pipe, which is installed outdoors, is exposed to the ground and the faucet is connected.
상기에서 실외에서 노출되는 수도관은 기온이 강하하는 동절기에는 노출된 수도관은 결빙된다.In the outdoor water pipe exposed in the winter, the exposed water pipe freezes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drops.
상기와 같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수도관이 결빙되지 않도록 수도관 외곽에 보온재를 구비하고, 개폐하는 밸브를 지중에 설치하여 지상으로 노출된 급수전 핸들을 잠그면 지중에 설치된 밸브가 잠겨지면서 밸브 상부측 관로에 구비된 퇴수공이 열려서 지중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결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동급수전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pipes exposed to the ground from freezing as described above,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pipes,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is installed in the ground to lock the hydrant handle exposed to the ground. Floating water faucets are used, which are designed to prevent the freezing by opening the drain hole to the ground.
상기의 부동급수전은 지중의 밸브에서 지상으로 노출되는 관로에 채워진 물은 퇴수공을 통하여 지중으로 배출되므로 물의 낭비가 많고, 또 지중의 밸브와 지상의 핸들간에는 길이가 긴 축으로 연결되어 핸들의 작동과정에서 밸브가 고장 나거나 파손될 경우에는 땅 속에 묻혀진 부동급수전을 파내어서 교체하여야 하고, 또 상기 부동급수전으로 급수를 사용한 다음 땅 속에 묻힌 부동급수전 밸브를 잠그면 퇴수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순간 수압 변동으로 인하여 퇴수공 외부의 토사가 수도관체내로 유입되어 퇴수공을 막거나 반복 동작으로 토사가 밸브의 오링과 마찰되어 오링 수명이 단축되고, 누수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In the above-mentioned floating water hydrant, the water filled in the pipeline exposed to the ground from the ground valve is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drainage hole, which wastes a lot of water, and the handle of the ground is connected by the long axis between the ground valve and the ground handle. If the valve breaks down or breaks in the process, the floating water hydrant buried in the ground must be dug out and replaced.If the water is used as the floating water hydrant, then the floating water hydrant valve is locked. Due to the sediment outside the sewer hole flows into the water pipe body to block the sewage hole or the soil is rubbed with the O-ring of the valve in a repeated operation to shorten the O-ring life, causing leakage and the like.
또 상기 부동급수전은 급수구의 방향 변경이 필요하면 방향의 이동이 어렵고, 또 본원이 발명한 특허출원제2011-11859호, 특허출원제2012-1900호, 특허출원제2012-1924호는 노출되는 수도관 외곽에 보온케이스를 구비하고 그 내측에는 보온단열재를 충진시켜서 일체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과, 부동급수전의 신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급수구 방향조절을 간편하게 하는 등에 특징은 있으나 부동급수전에 여러개의 급수구를 구비할 수가 없어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loating water supply is difficult to move the direction if the direction of the water inlet is required, and Patent Application No. 2011-11859, Patent Application No. 2012-1900, Patent Application No. 2012-192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water pipe Insulation case is provided on the outside, and inside it is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it is characterized by one-piece floating water supply faucet, and to adjust the elongation of the floating water supply faucet or to easil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hole.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not convenient to use it.
본 발명은 상기 지적의 종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부동급수전에 복수개의 급수구를 구비하여서 급수구를 선택 또는 동시 개폐시켜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부동급수전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rawback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orts before floating water supply to facilitate the use by selecting 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ort,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floating water supply so as to simplify the manufacture. The purpose is to.
본 발명은 도1 및 도2와 같이 수도관(1)의 하방 결속구(1a) 상부에 하부 보온케이스(2a)를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 보온케이스(2a) 위에는 상부 보온케이스(2)를 씌워서 수도관(1) 상부에 구비하는 밸브 지지관(3)의 수나사(3a)에 결속 너트(4)로 결속하고, 노출되는 밸브축(5) 선단에는 핸들(6)을 구비하고, 상기 수도관(1) 상부 선단의 밸브 몸통에 구비한 급수구에 급수관(12)을 상부 보온케이스(2) 외부로 노출되게 연결 구성한 부동급수전에 있어서 상부 보온케이스(2)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관(12)을 상부 보온케이스(2)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를 구비하여서 복수개의 급수관을 동시 또는 선택 급수할 수 있게 구성된다.1 and 2, the lower
상기 본 발명의 부동급수전에서 복수개의 급수구(7)(7a)에 개폐볼을 이용한 동시 급수방식은 도3과 같이 수도관(1) 선단에 연결되는 밸브 몸통(10)에는 도4 내지 도7과 같이 원주방향으로 제1 및 제2급수구(7)(7a)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몸통(10)의 밸브 시이트(10a)에 수납되는 개폐볼(11)은 도3과 같이 상기 수도관(1)과 연결되는 수직공(11a)과 직각되는 횡방향으로 도4 내지 도7과 같이 제1통수공(11b)과 상기 제1통수공(11b)의 횡방향으로 90°지점에 제2통수공(11c)을 구비하고, 도3과 같이 상기 밸브 몸통(10)의 밸브 시이트(10a)에 상기 개폐볼(11)의 수직공(11a)에 위치되게 수납시키고, 개폐볼(11) 상부는 밸브축(5)과 연결되고, 상기 밸브 몸통(10)의 급수구(7)(7a)에는 나팔형 수도꼭지 보온케이스(22)와 보온재(23)를 끼운 급수관(12)으로 상부 보온케이스(2) 외측에서 결합하여서 구성된다.Simultaneous water supply system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in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orts (7) (7a) in the floating wat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 3 to the valve body (10) connected to the tip of the water pipe (1)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opening and
상기 본 발명의 부동급수전에서 복수개의 급수구에 원판형 밸브를 이용한 개별 급수방식은 도8 및 도9와 같이 수도관(1) 선단에 연결되는 밸브 몸통(10)에는 원주방향으로 제1, 제2, 제3, 제4의 급수구(7)(7a)(7b)(7c)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몸통(10)의 밸브 시이트(10a)에 원판형 밸브(20)를 수납하여 밸브축(5)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의 급수구(7)(7a)(7b)(7c)에는 나팔형 수도꼭지 보온케이스(22)와 보온재(23)를 끼우고, 중앙에는 수도꼭지(21)를 위치시켜서 나팔형 수도꼭지 보온케이스(22)는 부동급수전의 급수구(7)(7a)(7b)(7c) 외측에 위치한 상부 보온케이스(2)에 지지시킨 선단은 수도꼭지(21)에 지지고정되게 결합하여서 구성된다.In the floating wat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vidual water supply method using disc valves in a plurality of water inlets is circumferentially connected to the
상기 본 발명에서 부동급수전의 수도관(1) 상부 선단의 밸브 몸통(10)에 구비하는 개폐볼(11)과 원판형 밸브(20)는 밸브축(5)과 일체형으로 하더라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실외에서 지상으로 노출되는 지점에 설치하는 부동급수전에는 급수구가 여러개가 되므로 위치에 따라 급수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loating water supply faucet installed in the point that is exposed to the ground in the outdoors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 structure is easy to manufacture.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4는 도3의 A-A´선단면도(제1, 제2급수구가 열린 상태)
도5는 본 발명에서 제1급수구는 열리고, 제2급수구는 닫힌 상태의 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서 제1급수구는 닫히고, 제2급수구는 열린 상태의 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서 제1, 제2급수구 모두 닫힌 상태의 횡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변형 예시도
도9는 도8의 B-B´선단면 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3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openings ope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ater supply opening is open, the second water supply opening is 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ater supply port is closed, the second water supply port is ope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 in the present invention closed state
Figure 8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8;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도1 및 도2와 같이 수도관(1) 하방의 결속구(1a) 상부에 하부 보온케이스(2a)를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 보온케이스(2a) 위에는 상부 보온케이스(2)를 씌우고 수도관(1) 상부에 구비하는 밸브 지지관(3)의 수나사(3a)에 결속 너트(4)로 결속하고, 노출되는 밸브축(5) 선단에는 핸들(6)을 구비하고, 상기 수도관(1) 상부 선단의 밸브 몸통에 구비한 급수구(7)에 급수관(12)을 상부 보온케이스(2) 외부로 노출되게 연결 구성한 부동급수전에서 상부 보온케이스(2)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관(12)을 상부 보온케이스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를 구비하고 핸들(6)을 돌려서 수도관(1)의 용수를 복수개의 급수구(7)(7a)를 동시 또는 선택 급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and 2, the lower
상기 본 발명의 부동급수전에서 복수개의 급수구(7)(7a)에 개폐볼을 이용한 동시 급수방식은 도3과 같이 수도관(1) 선단에 연결되는 밸브 몸통(10)에는 도4 내지 도7과 같이 원주방향으로 제1 및 제2급수구(7)(7a)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몸통(10)의 밸브 시이트(10a)에 수납하는 개폐볼(11)은 도3과 같이 상기 수도관(1)과 연결되는 수직공(11a)과 직각되는 횡방향으로 제1통수공(11b)과 상기 제1통수공(11b)의 횡방향으로 90°지점에 제2통수공(11c)을 구비하고, 도3과 같이 상기 밸브 몸통(10)의 밸브 시이트(10a)에 상기 개폐볼(11)의 수직공(11a)이 위치되도록 수납시키고, 개폐볼(11) 상부에는 밸브축(5)과 연결구성하고, 상기 밸브축(5) 선단에 결합된 핸들(6)을 돌려서 도4와 같이 개폐볼(11)의 제1, 제2통수공(11b)(11c)을 밸브 몸통(10)의 제1급수구(7)와 제2급수구(7a)에 연결시키게 되면 수도관(1)의 용수는 개폐볼(11)의 수직공(11a)과 제1, 제2통수공(11b)(11c) 및 제1 및 제2급수구(7)(7a)를 거쳐서 급수관(12)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Simultaneous water supply system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in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orts (7) (7a) in the floating wat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 3 to the valve body (10) connected to the tip of the water pipe (1)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opening and
상기 본 발명에서 밸브 몸통(10)의 제2급수구(7a)만 선택하여 용수를 급수할 때에는 도5와 같이 개폐볼(11)의 제1통수공(11b)이 제2급수구(7a)에 연결시키면 수도관(1)의 용수는 개폐볼(11)의 수직공(11a)과, 제1통수공(11b)과, 제2급수구(7a)가 연결되어 제2급수구(7a)에만 급수가 이루어지고, 제2통수공(11c)은 밸브 몸통(10)의 내벽에 위치되어 제1급수구(7)는 차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the second
또 밸브 몸통(10)의 제1급수구(7)만 선택하여 용수를 급수할 때에는 도6과 같이 개폐볼(11)의 제1통수공(11b)을 제1급수구(7)와 연결되도록 개폐볼(11)을 돌리면 수도관(1)의 용수는 개폐볼(11)의 수직공(11a)과, 제1통수공(11b)과, 제1급구숙(7)가 연결되어 제1급수구(7)에만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제2통수공(11c)은 밸브 몸통(10) 내벽에 위치되어 제2급수구(7a)는 차단된다.In addition, when water is supplied by selecting only the first
또 밸브 몸통(10)의 제1급수구(7)와 제2급수구(7a)를 모두 차단할 때에는 도7과 같이 개폐볼(11)을 돌려서 제1통수공(11b)과 제2통수공(11c)을 밸브 몸통(10) 내벽에 위치되어 제1 및 제2급수구(7)(7a)는 모두 차단된다.When the
상기의 밸브 몸통(10)의 급수구(7)(7a)와 개폐볼(11)의 제1, 제2통수공(11b)(11c)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여야 하고, 횡방향으로 각도는 90°각으로 하였으나 밸브 몸통(10)의 급수구(7)(7a)와 함께 각도는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The
또 상기 본 발명에서 도8 및 도9와 같이 밸브 몸통(10)의 밸브 시이트(10a) 위에 원판형 밸브(20)를 구비하게 되는 경우에는 밸브 몸통(1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급수구(7)(7a)(7b)(7c)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구(7)(7a)(7b)(7c)에는 수도꼭지(21)를 개별로 연결하여서 구성하고, 부동급수전의 핸들(6)을 열림방향으로 돌려서 수도관(1)의 용수를 통수시키면 급수구(7)(7a)(7b)(7c)에 동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각 급수구(7)(7a)(7b)(7c)에 연결된 수도꼭지(21)를 열어서 급수하고 잠궈서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선택하여 급수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k-shaped
상기에서 핸들(6)을 잠김 방향으로 돌리면 밸브축(5) 하단의 원판형 밸브(20)는 하강되는데 밸브 몸통(10)의 밸브 시이트(10a)에 상기 원판형 밸브(20)를 안착시켜서 폐쇄하면 밸브 몸통(10)에 구비한 급수구(7)(7a)(7b)(7c)로 통하는 수도관(1)의 용수가 차단되므로 밸브 몸통(10)에 구비된 급수구(7)(7a)(7b)(7c)는 모두 차단되어 용수의 급수가 중단된다.When the
상기 본 발명에서 원판형 밸브(20)는 상·하부 보온케이스(2)(2a) 내부 수도관(1)에 연결된 밸브 몸통(10)에 위치되어 노출된 핸들(6)을 열고 상부 보온케이스(2) 외부로 노출된 수도꼭지(21)를 선택하여서 열면 급수되고 잠그면 차단되는데, 결빙기에는 사용 후 원판형 밸브(20)를 잠그고 급수구(7)(7a)(7b)(7c)에 연결된 노출되는 수도꼭지(21)를 모두 열어두면 잔존 용수가 없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k-shaped
또 하절기에는 원판형 밸브(20)를 열림 상태로 두고 밸브 몸통(10)의 급수구(7)(7a)(7b)(7c)에 연결된 노출되는 수도꼭지(21)를 잠구어 두고 사용시에만 열어서 용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summer, the disk-shaped
또 상기 밸브 몸통(10)의 급수구(7)(7a)(7b)(7c)에 수도꼭지(21)를 상부 보온케이스(2) 외부에서 연결할 때 나팔형 수도꼭지 보온케이스(22)와 보온재(23)를 수도꼭지(21) 선단에 끼워서 수도꼭지(21) 선단을 급수구(7)(7a)(7b)(7c)와 각각 체결하게 되면 나팔형 수도꼭지 보온케이스(22)의 선단은 상부 보온케이스(2)에 지지 되고, 보온재(23)에 의해서 급수구(7)(7a)(7b)(7c)와 수도꼭지(21)의 선단 지점을 보온하여 동파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부동급수전을 구성하는 상·하부 보온케이스(2)(2a) 내부의 수도관(1) 상부에 구비되는 밸브 몸통(10)에 원주방향에 구비하는 급수구와 개폐볼(11)에 통수공의 수를 늘리거나 또는 개폐볼 대용으로 원판형 밸브(20)를 구비하고, 밸브 몸통(10)에 원주방향으로 구비하는 급수구의 수를 늘리고 수도꼭지(21)를 각각 연결하면 여러개의 급수구가 구비되는 부동급수전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부동급수전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편리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1 : 수도관 2 : 상부 보온케이스
2a : 하부 보온케이스 3 : 밸브 지지관
3a : 수나사 4 : 결속 너트
5 : 밸브축 6 : 핸들
7, 7a, 7b, 7c : 급수구 10 : 밸브 몸통
10a : 밸브 시이트 11 : 개폐볼
11a : 수직공 11b : 제1통수공
11c : 제2통수공 12 : 급수관
20 : 원판형 밸브 21 : 수도꼭지
22 : 나팔형 수도꼭지 보온케이스 23 : 보온재1: water pipe 2: upper insulation case
2a: lower insulation case 3: valve support tube
3a: external thread 4: binding nut
5: valve shaft 6: handle
7, 7a, 7b, 7c: water inlet 10: valve body
10a: valve seat 11: opening and closing ball
11a:
11c: second water hole 12: water supply pipe
20: disc valve 21: faucet
22: trumpet faucet insulation case 23: insula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6695A KR101354105B1 (en) | 2012-07-13 | 2012-07-13 | A water tap immovable different kinds have water supp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6695A KR101354105B1 (en) | 2012-07-13 | 2012-07-13 | A water tap immovable different kinds have water supp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8931A KR20140008931A (en) | 2014-01-22 |
KR101354105B1 true KR101354105B1 (en) | 2014-01-24 |
Family
ID=5014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6695A Active KR101354105B1 (en) | 2012-07-13 | 2012-07-13 | A water tap immovable different kinds have water supp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410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09211B (en) * | 2016-04-19 | 2018-02-23 | 张化庆 | Test strobe defroster |
KR102169919B1 (en) * | 2019-07-15 | 2020-10-26 |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 A Fixed water supply device for prevention of freezing of multiple water pipes |
KR102260392B1 (en) * | 2019-10-11 | 2021-06-03 |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 Freeze delay blocking structure of hydra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6346Y1 (en) * | 2002-12-09 | 2003-03-04 | 김선용 | a vaccum antifreezing water supply system |
-
2012
- 2012-07-13 KR KR1020120076695A patent/KR1013541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6346Y1 (en) * | 2002-12-09 | 2003-03-04 | 김선용 | a vaccum antifreezing water supply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8931A (en) | 2014-0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8176B1 (en) | Floating Feeder with Replaceable Function | |
KR101354105B1 (en) | A water tap immovable different kinds have water supply | |
KR20210000431U (en) | Waterworks with easy maintenance method | |
US8413675B2 (en) | Yard hydrant made easy | |
KR102131865B1 (en) | A Prevention of backwater pollution and prevention of freezing and freezing of water | |
KR101255036B1 (en) | A water tap improvement stability | |
JP2010095873A (en) | Antifreezing method and antifreezing valve for water pipe | |
KR101181865B1 (en) | The nonfreezing a hydrant have change ability | |
KR101291089B1 (en) | The function stature control have a water tap stability | |
KR200462905Y1 (en) | Frozen to burst prevention device for water pipe | |
KR100836672B1 (en) | Water pressure shutoff valve | |
US20150376873A1 (en) | Water diverter fitting. | |
KR102260392B1 (en) | Freeze delay blocking structure of hydrant | |
KR102440380B1 (en) | A valv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allow water supply and discharge | |
KR102169919B1 (en) | A Fixed water supply device for prevention of freezing of multiple water pipes | |
KR200475898Y1 (en) | A nonfreezing waterworks for public water supply facilities | |
KR101165182B1 (en) | The water supply with nonfreezing valve | |
KR101806977B1 (en) | Nonfreezing valve | |
KR200440751Y1 (en) | Inlet valve of floating hydrant | |
JP4366649B2 (en) | Water sprinkler faucet device for cold districts | |
KR200465020Y1 (en) | Water conduit for anti―freezing prevention | |
JP3764571B2 (en) | Water faucet box | |
JP4337978B2 (en) | Water sprinkler faucet device for cold districts | |
KR100619591B1 (en) | Saddle Fountain Exhibition | |
KR200470145Y1 (en) | The nonfreezing a hydrant have change a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8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