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828B1 - Structure for prefabricated wood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prefabricated wood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3828B1 KR101353828B1 KR1020130064171A KR20130064171A KR101353828B1 KR 101353828 B1 KR101353828 B1 KR 101353828B1 KR 1020130064171 A KR1020130064171 A KR 1020130064171A KR 20130064171 A KR20130064171 A KR 20130064171A KR 101353828 B1 KR101353828 B1 KR 1013538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ixed
- groove
- wooden building
-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22 external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조 건축물을 구성하는 벽체를 공장에서 모듈형으로 생산하여 현장 조립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하고, 기초바닥면 상에 목조벽체의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며, 배관시공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된 다수 기둥의 상부측에 수평고정되는 안착구 상에 바닥틀이 수평되게 안착 고정되며, 바닥틀의 상부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강성을 지닌 레일이 바닥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바닥기초체와, 상기 바닥기초체의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부면에 삽입홈을 갖는 이동틀이 구비되고, 이동틀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 각각 요홈이 형성되며 인접한 복수의 요홈 사이로 결합돌부가 삽입 고정되는 전방틀 및 후방틀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틀과 전방틀 및 후방틀 사이에 배치되는 보온재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모듈형 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a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wall structure constituting the wooden building is produced in a modular fashion at the factory, thereby great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grea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In order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wall, and to facilitate the piping construction, the bottom frame is horizontally seated and fixed on the seating hole is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pillars fixed to the ground,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The bottom base body is formed and the rail having rigidity to the groove is fixed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bottom frame, and the moving frame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rail of the bottom foundation body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 Vertically fix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frame, each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coupling stones between a plurality of adjacent grooves That is provided with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that is inserted secured, it comprises a modular wall being provided with a closure member for covering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ulation disposed between the moving frame and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조 건축물을 구성하는 벽체를 공장에서 모듈형으로 생산하여 현장 조립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하고, 기초바닥면 상에 목조벽체의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며, 배관시공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a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to produce a wall in a factory modular structure in the factory to greatly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while making easy on-site assembly construction, wooden on the base fl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a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wall and to facilitate the pipe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건물 시공은 콘크리트와 벽돌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벽체를 일일이 시공하게 되므로 시간과 경비의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의 보완을 위해 근래에는 조립식 건물을 시공하고 있다.In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walls in the field by using concrete and bricks,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onsumes a lot of time and money. Recently, prefabricated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조립식 건물은 터파기공사와 함께 구조체를 형성하는 H빔 등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판넬형 벽체를 연결 조립하는 형태로 지어지고 있지만, 일반적인 조립식 건물에 사용되는 판넬은 철판 또는 함석판이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단열재가 형성된 샌드위치 판넬로서, 이러한 샌드위치 판넬을 이용한 조립식 건물은 시공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으나, 단열과 방음상의 문제가 있었다.Prefabricated buildings are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H-beams, etc., which form a structure are formed together with the trench construction, and panel-walls are connected between them, but panels used in general prefabricated buildings have iron or tin plates located outside. As a sandwich panel with an insulation formed there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using such a sandwich panel has a short construction period, but there are problems of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한편,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인체에 무해한 재료인 목재를 이용한 건축물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3908호에서는 H빔을 종횡으로 용접 또는 고정부재로 고정시킨 기초골조와, 기초골조의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과 도리 사이에 수직 설치되는 기둥과, 기둥과 기둥, 창틀, 문틀 사이에 단위패널 형태로 설치되는 벽체와, 벽체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지붕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목조 건출물이 공지되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due to the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buildings using wood, which is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have been spotlighted.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3908, H-beams are fixed by welding or fixing members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It consists of a frame, a pillar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bracket and purlin fixed to the edge of the foundation frame, a wall installed in the unit panel form between the pillar, the pillar, the window frame and the door frame, and a roof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s are known.
하지만 상기 기술에 의한 목조 건축물은 통상적인 건축물을 구성하는 목조벽체의 조립 구성으로서 조립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긴 하나, 목조특성인 틀어짐 등에 의해 자체변형이 생기게 되면 누수문제 및 외부단열문제가 발생된다. 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목조 사이에 방풍지를 구비하고는 있으나 상기한 방풍지는 사용 중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건축 후 오랜 시간이 경과되면 단열 등이 다시 문제가 되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추가적인 공사 또는 별도의 보수공사를 해야하므로 시공기간 및 비용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que has the advantage of easy assembly as an assembly structure of the wooden wall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building, but if the self-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distortion of the wooden characteristics, leakage problems and external insulation problems occur. .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a windbreak is provided between the trees, but the above-described windbreaks cause problems such as tearing during use, so heat insulation and the like become a problem again after a long time after construction. In addition, to compensate for these disadvantages, additional construction or additional repair work was required, which increased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목조 건축물을 구성하는 벽체를 공장에서 모듈형으로 생산하여 현장 조립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하는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that significantly shortens the construction period while making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structure of the wooden building modular in the factory to facilitate construction and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used.
그리고, 건물 내부 바닥면 상에 레일을 설치하여 모듈형 벽체가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조립되게 함과 아울러 시공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상호간에 결합되는 목조의 틀어짐을 보상하여 누수방지 및 외부단열효과를 높이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d, by installing the rail on the floor inside the building to ensure that the modular wall is assembled while sliding on the rail, and to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s much a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istortion of the wooden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leakage and external insulation effect There is another purpose to increase it.
또한, 코너부분에 모서리결합체를 제공하여, 목조 건축물의 모서리 부분을 간단하게 끼워 맞추는 과정만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시공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시공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corner assembly in the corner portion, it can be assembled only by the process of simply fitt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wooden building has another purpos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된 다수 기둥의 상부측에 수평고정되는 안착구 상에 바닥틀이 수평되게 안착 고정되며, 바닥틀의 상부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강성을 지닌 레일이 바닥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바닥기초체; 상기 바닥기초체의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부면에 삽입홈을 갖는 이동틀이 구비되고, 이동틀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 각각 요홈이 형성되며 인접한 복수의 요홈 사이로 결합돌부가 삽입 고정되는 전방틀 및 후방틀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틀과 전방틀 및 후방틀 사이에 배치되는 보온재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모듈형 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를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ooden building structure is formed prefabricated, the bottom frame is horizontally seated fixed on the seating hole is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pillars fixed to the ground, the bottom of the frame A bottom foundation body having a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rigid rail protrud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frame; A moving frame having an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rail of the bottom foundation body and slides forward and backward, and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frame vertically, and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is inserted and fixed, the modular wall is provided with a closing member for covering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frame and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Characterized in a wooden building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에 있어서, 건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면에 바닥틀이 수평되게 설치되며, 바닥틀의 상부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강성을 지닌 레일이 바닥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바닥기초체; 상기 바닥기초체의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부면에 삽입홈을 갖는 이동틀이 구비되고, 이동틀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 각각 요홈이 형성되며 인접한 복수의 요홈 사이로 결합돌부가 삽입 고정되는 전방틀 및 후방틀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틀과 전방틀 및 후방틀 사이에 배치되는 보온재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온재의 내부에 배관통로가 형성되며, 배관통로에 배관틀이 삽입 구비되고, 배관틀과 마감부재에는 배관통로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모듈형 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를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oden building structure that is formed prefabricated, the bottom frame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forming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th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and the rail having rigidity in the groove A bottom base body fixed to protrude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frame; A moving frame having an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rail of the bottom foundation body and slides forward and backward, and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frame vertically, and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to which the additional insertion is fixed are provided, and finish members are provided to cover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frame and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nd a pipe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pe frame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the pipe frame and the closing member is a modular wall formed with a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pipe passag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는 목조 구조체의 틀어짐을 동일재질인 목재로서 방지함으로써 자체변형을 방지할 뿐 아니라 누수방지 및 외부단열의 효과가 우수한 목조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prevents the deformation of the wooden structure as the wood of the same material to prevent self-deformation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a wooden building excellent in the effects of leakage prevention and external insulation. There is.
또한 보온재 내부에 마련되는 합성수지재 배관틀과 목재의 마감부재를 통해 배관에 필요한 통공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어 건물 완성 후에도 언제든지 추가적으로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배관보수나 추가 공사시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ynthetic resin pipe frame and wood finish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insulation material, through-holes required for piping can be easily formed at the user's desired position, so that additional through-holes can be formed at any tim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uilding.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또한 바닥기초체를 지면에서부터 설치된 지지체 상에 안착 고정되게함으로써 다수 모듈형 벽체에 의한 바닥기초체의 하중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며, 바닥기초체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모듈형 벽체 상호간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벽면을 구비함으로써 목조 구조체 간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제조공장 등에서 사이즈별로 제조하여 현장으로 이동시켜 바로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이로 인해 시공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loor foundation is fixed on the support installed from the ground to reduce the load burden of the floor foundation by the multiple modular wall, and the structure that is fitted between the modular wall while slidingly sliding on the floor foundation. By providing a wall surface having it is easy to assemble between the wooden structures, and can be manufactured by moving to the site by manufacturing by size in the manufacturing plant, etc. This has the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벽체와 모서리결합체와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벽체와 모서리결합체와의 결합 전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벽체와 모서리결합체와의 결합 후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변형예의 모듈형 벽체와 모서리결합체와의 결합 전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구조체와 모듈형 벽체와의 결합전,후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체의 변형예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modular wall and the cor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state b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modular wall and the cor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state after the coupling between the modular wall and the cor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state before coupling of the modular wall and the corner assembly of another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before and after coupling the floor structure and the modular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는 바닥틀(12)과 레일(15)로 형성된 바닥기초체(10)와, 바닥기초체(1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형 벽체(100)로 이루어진다.1 to 9, the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lide on the
상기 바닥기초체(10)는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건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면(4)에 바닥틀(12)이 수평되게 설치되며, 바닥틀(12)의 상부면에 요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3)에 강성을 지닌 레일(15)이 바닥틀(1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 구성된다.1 and 6, the
이때 레일(15)은 후술되는 모듈형 벽체(10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특성상 오랜 사용에도 마모되지 않아야 하므로 특히 강성을 지닌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바닥틀(12)과 동일한 목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바닥틀(12)의 상부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하여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지면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상호간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기둥(2)과, 바닥틀(12)을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시키기 위해 기둥(2)의 상부측에 수평 고정되는 안착구(3)로 이루어지는 지지체(5)가 구비된다. 이때 안착구(3)는 바닥틀(12)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안착구(3)의 상부면 상에 안착홈부(7)를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체(5)는 안착구(3) 없이 기둥(2) 만으로도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 the plurality of
또한 특히 도 6에서와 같이 바닥기초체(10)의 상부면을 건물내부의 바닥면(4)과 수평되게 일치시킴으로써 모듈형 벽체(100) 조립시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6,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바닥기초체(10)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듈형 벽체(100)는 이동틀(20)과, 이동틀(20)의 전후방 양단에 설치되는 전방틀(30) 및 후방틀(40)과, 전방틀(30)과 후방틀(40) 사이에 구비되는 보온재(60) 및 마감부재(50)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이동틀(20)은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바닥기초체(10)의 레일(15)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부면에 삽입홈(21)이 형성된다. 이때 레일(15)과 삽입홈(21)은 한쌍으로 형성되어 작동되는 것을 그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9에서와 같이 두쌍으로 형성되게 하여도 무방하고, 그 이상의 다수 쌍으로 형성되게 하여도 작동 기능만 동일한 구성이면 모두 만족한다.As shown in FIGS. 1 and 6, the
상기 이동틀(20)의 양단에는 수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 각각 요홈(31,41)이 형성되어 인접한 복수의 요홈(31,41) 사이로 결합돌부(33)가 삽입 고정되는 전방틀(30) 및 후방틀(40)이 구비된다.The
전방틀(30)은 그 전방면 상에 요홈(31)이 전방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요홈(31)에 결합돌부(33)가 돌출 고정된다. 이때 결합돌부(33)는 상술된 레일(15)과 유사한 형태이나, 레일(15)은 슬라이딩을 목적으로 구비된 반면, 결합돌부(33)는 마주하는 측과 결합을 목적으로 구비된 것이다.The
상기 전방틀(30)의 설치측 반대편에 구비되는 후방틀(40)은 그 후방면 상에 요홈(41)이 후방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요홈(41)에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마주하는 모듈형 벽체(100)에 형성된 전방틀(30)의 결합돌부(33)가 끼움삽입되어 조립된다. 이때 전방틀(30)의 요홈(31)에 구비되는 결합돌부(33)는 반드시 전방틀(30)에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조건에 따라 후방틀(40)의 요홈(41)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인접한 복수의 요홈(31,41) 사이에 하나의 결합돌부(33)만 구비되면 만족하는 것이다.The
상기 전방틀(30)과 후방틀(40)과 같은 상호 결합되는 목조들의 특성상 수축작용이 발생되어 상호간에 미세한 틈이 발생된다. 그 틈으로 인해 벽체의 갈라짐, 틀어짐이나 파손이 생길 우려가 있으며, 외부의 습기가 유입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돌부(33)는 목재로 형성되게 한 다음, 기밀유지성을 갖는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켜 누수방지, 외부단열효과, 기밀유지 및 파손 등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목적에 따라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게 하여도 무방하다.Shrinkage occurs due to the nature of the wooden frames, such as the
상기한 이동틀(20)과 전방틀(30) 및 후방틀(40)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52)에는 보온재(60)가 배치되고,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보온재(60)의 양측면을 커버하면서 전방틀(30) 및 후방틀(40)이 이어지도록 양측에 각각 마감부재(50)를 고정 구비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모듈형 벽체(100)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양측 마감부재(50)가 모두 내벽인 경우에는 마감부재(50)를 나무판 등으로 마감하거나, 나무판 상에 벽지로 마감하여 사용하게 되며, 도 8에서와 같이 일측 마감부재(50')가 내벽이고, 타측 마감부재(50")가 외벽으로 사용될 경우 외벽에는 나무판이나 석고보드 등으로 마감처리하여 사용하게 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모듈형 벽체(100)는 현장에서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조공장 등에서 치수에 맞게 미리 제작되어 사용되며, 그 치수(벽체의 너비)는 통상 500∼1200㎜ 정도로 제조하여 사용되나, 그 치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온재(60)의 내부에는 배관통로(63)가 형성되며, 배관통로(63)에 배관틀(65)이 삽입 구비되고, 배관틀(65)과 마감부재(60)에는 배관통로(63)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공(67)을 형성하여, 배관통로(63)와 통공(67)을 통해 전기배관 및 필요한 배관 설치를 하게 된다.A
이때 배관틀(65)은 얇은 합성수지재 관형태이고, 건물내부측을 향하는 마감부재(60)는 목재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필요한 위치에 간편하게 통공(67)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건물 완성 후에도 언제든지 통공(67)을 형성할 수 있어 배관보수나 추가 공사시에도 유리하다.At this time, the piping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결합돌부(33)가 구비되는 모듈형 벽체(100)로 구성되는 목조 건축물의 벽면 연결부분에는 모서리결합체(200)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wall connection portion of the wooden structure consisting of a
상기 모서리결합체(200)는 연결되는 모듈형 벽체(100)의 결합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각각 요홈(71,81)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돌부(33)가 대응 삽입되도록 요홈(71)이 형성되는 벽체결합틀(70)과, 모듈형 벽체(100)의 직각방향 외측으로 요홈(81)이 형성되는 측벽결합틀(80)로 구성된다. 이때 측벽결합틀(80)은 작업조건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벽체결합틀(70)의 양측에 각각 대칭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벽체결합틀(70)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The
상술된 바닥기초체(10), 모듈형 벽체(100) 및 모서리결합체(200)를 통해 목조 벽체에 의한 벽면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wall surface by the wooden wall through the above-described
상기 구조에 의해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 설명은 하기와 같다.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formed by the above structure is as follows.
제1단계(S1) - 지면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상호간에 이격되게 다수의 기둥(2)을 설치하고, 기둥(2)의 상부측에 안착구(3)를 수평 고정되게 설치한다.
First step (S1)-Install a plurality of
제2단계(S2) - 상기 안착구(3)의 상부측에 안착 고정되는 바닥틀(12)의 상부에 요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3) 상에 바닥틀(12)의 상부로 수직 돌출되는 강성을 지닌 레일(15)로 구성되는 바닥기초체(10)를 설치하여, 상기 바닥틀(12)의 상부면과 수평되게 건물내부 바닥면(4)을 시공한다.
Second step (S2)-forming a
제3단계(S3) - 상기 바닥기초체(10)의 레일(15)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부면에 삽입홈(21)을 갖는 이동틀(20)이 구비되고, 이동틀(20)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외측면에 각각 요홈(31)(41)이 형성되며 인접한 복수의 요홈(31)(41) 사이로 결합돌부(33)가 삽입 고정되는 전방틀(30) 및 후방틀(40)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틀(20)과 전방틀(30) 및 후방틀(40) 사이에 배치되는 보온재(60)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마감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보온재(60)의 내부에 배관통로(63)가 형성되며, 배관통로(63)에 배관틀(65)이 삽입 구비되고, 배관틀(65)과 마감부재(60)에는 배관통로(63)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공(67)이 형성되는 모듈형 벽체(100)를 상호간에 끼움 조립되도록 하여 벽면을 완성한다.
Third step (S3)-is coupled to the
상기한 시공방법을 통한 벽면 작업 중에 목조 건축물의 벽면 연결부분에는, 결합돌부(33)가 대응 삽입되도록 요홈(71)이 형성되는 벽체결합틀(70)과, 모듈형 벽체(100)의 직각방향 외측으로 요홈(81)이 형성되는 측벽결합틀(80)로 구성되는 모서리결합체(200)를 설치하여 모서리결합체(200)와 모듈형 벽체(100)가 상호간에 결합되게 한다.In the wall connection portion of the wooden building during the wall work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method, the
미설명부호 (300)은 본 발명의 모서리결합체(200)의 측벽결합틀(80) 상에 결합되는 모듈형 벽체(100) 방향에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모듈형 벽체이며, (303)은 그 모듈형 벽체(300) 상에 결합되는 결합돌부임.
2 : 기둥 3 : 안착구
5 : 지지체 4 : 바닥면
10 : 바닥기초체 12 : 바닥틀
13 : 요홈 15 : 레일
20 : 이동틀 21 : 삽입홈
30 : 전방틀 31 : 요홈
33 : 결합돌부 40 : 후방틀
41 : 요홈 50 : 마감부재
52 : 내부공간 60 : 보온재
63 : 배관통로 65 : 배관틀
67 : 통공 70 : 벽체결합틀
71 : 요홈 80 : 측벽결합틀
81 : 요홈 100 : 모듈형 벽체
200 : 모서리결합체2: pillar 3: seating
5: support 4: bottom
10: bottom foundation 12: floor frame
13: groove 15: rail
20: moving frame 21: insertion groove
30: front frame 31: groove
33: engaging protrusion 40: rear frame
41: groove 50: finishing member
52: internal space 60: insulation
63: pipe passage 65: piping frame
67: through hole 70: wall joining frame
71: groove 80: side wall coupling frame
81: groove 100: modular wall
200: corner assembly
Claims (5)
지면에 고정 설치된 다수 기둥(2)의 상부측에 수평고정되는 안착구(3) 상에 바닥틀(12)이 수평되게 안착 고정되며, 바닥틀(12)의 상부면에 요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3)에 강성을 지닌 레일(15)이 바닥틀(1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바닥기초체(10);
상기 바닥기초체(10)의 레일(15)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부면에 삽입홈(21)을 갖는 이동틀(20)이 구비되고, 이동틀(20)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 각각 요홈(31)(41)이 형성되며 인접한 복수의 요홈(31)(41) 사이로 결합돌부(33)가 삽입 고정되는 전방틀(30) 및 후방틀(40)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틀(20)과 전방틀(30) 및 후방틀(40) 사이에 배치되는 보온재(60)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마감부재(50)가 구비되는 모듈형 벽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
In the wooden building structure formed prefabricated,
The bottom frame 12 is horizontally seated and fixed on the seating hole 3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pillars 2 fixed to the ground, and the groove 13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frame 12. A bottom base body (10) fixed to the rail (15) having rigidity in the groove (13)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bottom frame (12);
It is coupled to the rail 15 of the bottom foundation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ving frame 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21 on the lower surface so as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and is fixed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moving frame 20 Grooves (31) and (4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front frame (30) and the rear frame (40)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3)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lurality of adjacent grooves (31) (41) are provided. And a modular wall (100) provided with finishing members (50) covering both sides of the insulation (60)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frame (20) and the front frame (30) and the rear frame (40).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건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면(4)에 바닥틀(12)이 수평되게 설치되며, 바닥틀(12)의 상부면에 요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3)에 강성을 지닌 레일(15)이 바닥틀(1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바닥기초체(10);
상기 바닥기초체(10)의 레일(15)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부면에 삽입홈(21)을 갖는 이동틀(20)이 구비되고, 이동틀(20)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 각각 요홈(31)(41)이 형성되며 인접한 복수의 요홈(31)(41) 사이로 결합돌부(33)가 삽입 고정되는 전방틀(30) 및 후방틀(40)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틀(20)과 전방틀(30) 및 후방틀(40) 사이에 배치되는 보온재(60)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마감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보온재(60)의 내부에 배관통로(63)가 형성되며, 배관통로(63)에 배관틀(65)이 삽입 구비되고, 배관틀(65)과 마감부재(60)에는 배관통로(63)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공(67)이 형성되는 모듈형 벽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
In the wooden building structure formed prefabricated,
The bottom frame 12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4 forming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the groove 1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12 and the rail having rigidity in the groove 13 ( A bottom foundation body 10 fixed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bottom frame 12;
It is coupled to the rail 15 of the bottom foundation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ving frame 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21 on the lower surface so as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and is fixed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moving frame 20 Grooves (31) and (4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front frame (30) and the rear frame (40)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3)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lurality of adjacent grooves (31) (41) are provided. Closing members 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frame 60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frame 20 and the front frame 30 and the rear frame 40, and a pipe passage (inside) of the insulating material 60 is provided. 63 is formed, the pipe frame 65 is inserted into the pipe passage 63, the pipe frame 65 and the finishing member 6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67 in communication with the pipe passage 63 and the outside.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dular wall (100).
상기 인접한 전방틀(30) 및 후방틀(4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부(33)는 목조로 구성되는 전방틀(30) 및 후방틀(40) 간의 갈라짐, 틀어짐이나 파손 방지, 누수방지, 외부단열효과, 기밀유지를 위해 동일재질인 목재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upling protrusion 33 inserted between the adjacent front frame 30 and the rear frame 40 is fixed between the front frame 30 and the rear frame 40, which are made of wood, to prevent breakage or breakage, and to prevent leakage.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wood of the same material for external insulation, airtightness.
상기 목조 건축물의 벽면 연결부분에 모서리결합체(200)를 구비하되,
상기 모서리결합체(200)는 연결되는 모듈형 벽체(100)의 결합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각각 요홈(71)(8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provided with a corner combiner 200 on the wall connection portion of the wooden building,
The corner assembly 200 is a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grooves (71) (81) are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modular wall (100) to be connected.
지면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상호간에 이격되게 다수의 기둥(2)을 설치하고, 기둥(2)의 상부측에 안착구(3)를 수평 고정되게 설치하는 제1단계(S1);
상기 안착구(3)의 상부측에 안착 고정되는 바닥틀(12)의 상부에 요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3) 상에 바닥틀(12)의 상부로 수직 돌출되는 강성을 지닌 레일(15)로 구성되는 바닥기초체(10)를 설치하여, 상기 바닥틀(12)의 상부면과 수평되게 건물내부 바닥면(4)을 시공하는 제2단계(S2);
상기 바닥기초체(10)의 레일(15)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부면에 삽입홈(21)을 갖는 이동틀(20)이 구비되고, 이동틀(20)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외측면에 각각 요홈(31)(41)이 형성되며 인접한 복수의 요홈(31)(41) 사이로 결합돌부(33)가 삽입 고정되는 전방틀(30) 및 후방틀(40)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틀(20)과 전방틀(30) 및 후방틀(40) 사이에 배치되는 보온재(60)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마감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보온재(60)의 내부에 배관통로(63)가 형성되며, 배관통로(63)에 배관틀(65)이 삽입 구비되고, 배관틀(65)과 마감부재(60)에는 배관통로(63)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공(67)이 형성되는 모듈형 벽체(100)를 상호간에 끼움 조립되도록 하여 벽면을 완성하는 제3단계(S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방법.I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structure for a wooden building is formed prefabricated,
A first step (S1)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pillars 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ground to an upper side and horizontally fixing the seating hole 3 on the upper side of the pillar 2;
The groove 13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frame 12 fixedly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hole 3, and has rigidity projecting vertically onto the bottom frame 12 on the groove 13. A second step (S2) of installing a floor base body (10) consisting of rails (15) to construct a building interior floor surface (4)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frame (12);
It is coupled to the rail 15 of the bottom base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ving frame 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21 on the lower surface so as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and is fixed perpendicularly to both ends of the moving frame 20 Grooves (31) and (4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front frame (30) and the rear frame (40)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3)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lurality of adjacent grooves (31) (41) are provided. Closing members 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frame 60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frame 20 and the front frame 30 and the rear frame 40, and a pipe passage (inside) of the insulating material 60 is provided. 63 is formed, the pipe frame 65 is inserted into the pipe passage 63, the pipe frame 65 and the finishing member 6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67 in communication with the pipe passage 63 and the outside.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third step (S3) to complete the wall by fitting the modular wall 100 to be assembled between each other Law.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4171A KR101353828B1 (en) | 2013-06-04 | 2013-06-04 | Structure for prefabricated wood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4171A KR101353828B1 (en) | 2013-06-04 | 2013-06-04 | Structure for prefabricated wood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3828B1 true KR101353828B1 (en) | 2014-01-23 |
Family
ID=5014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4171A Active KR101353828B1 (en) | 2013-06-04 | 2013-06-04 | Structure for prefabricated wood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382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9880B1 (en) | 2019-01-18 | 2019-12-30 | 휴센 주식회사 | A structure assembling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CN111173221A (en) * | 2020-01-08 | 2020-05-19 | 佛山市鹏宇整装卫浴科技有限公司 | Concealed connecting wall panel and its composed wall, decor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
CN114986818A (en) * | 2022-06-02 | 2022-09-02 | 秦鹏展 | Assembly type building mod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US11447944B2 (en) | 2017-12-12 | 2022-09-20 | Oikos Concept Inc. | Exterior wall panel and exterior wall panel assembl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6585A (en) | 2001-06-15 | 2003-06-24 | Deguchi Kensetsu:Kk | Wall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
KR20130005121A (en) * | 2011-07-05 | 2013-01-15 | 문근환 | A wall assembly structure for assembly type structur and manufacture method |
KR20130045987A (en) * | 2011-10-27 | 2013-05-07 | 문근환 | Wall panel structure and method for architectural modular unit |
-
2013
- 2013-06-04 KR KR1020130064171A patent/KR1013538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6585A (en) | 2001-06-15 | 2003-06-24 | Deguchi Kensetsu:Kk | Wall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
KR20130005121A (en) * | 2011-07-05 | 2013-01-15 | 문근환 | A wall assembly structure for assembly type structur and manufacture method |
KR20130045987A (en) * | 2011-10-27 | 2013-05-07 | 문근환 | Wall panel structure and method for architectural modular unit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47944B2 (en) | 2017-12-12 | 2022-09-20 | Oikos Concept Inc. | Exterior wall panel and exterior wall panel assembly |
KR102059880B1 (en) | 2019-01-18 | 2019-12-30 | 휴센 주식회사 | A structure assembling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CN111173221A (en) * | 2020-01-08 | 2020-05-19 | 佛山市鹏宇整装卫浴科技有限公司 | Concealed connecting wall panel and its composed wall, decor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
CN114986818A (en) * | 2022-06-02 | 2022-09-02 | 秦鹏展 | Assembly type building mod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N114986818B (en) * | 2022-06-02 | 2023-12-19 | 新疆大都建设工程有限公司 | Assembled building mod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3828B1 (en) | Structure for prefabricated wood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150072650A (en) | Apartment Remodeling Method Using Prefabricated Units | |
JP2015117525A (en) | Water stop structure of building outer wall | |
KR20130083100A (en) | Prefabricated construction using half slab | |
KR20210060416A (en) | Bathroom structure with adjustable holder position | |
JP2019520504A (en) | Connection installation structure of modularized window doors | |
CN103850374B (en) | Element type curtain wall system | |
JP5502402B2 (en) | building | |
KR20110001777A (en) | Curtain wall | |
JP2019065637A (en) | Column and beam structure of plate-like building | |
JP6609106B2 (en) | Waterproof structure of building unit | |
KR20130045987A (en) | Wall panel structure and method for architectural modular unit | |
JP5427426B2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round the opening | |
CN203846797U (en) | Steel frame solid wood decoration classic house or villa | |
KR102273039B1 (en) | Outer wall finish panel join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 | |
JP2020051182A (en) | Wall structure of temporary building | |
JP6702815B2 (en) | Water stop structure of outer wall joint and water stop treatment method | |
JP2008025096A (en) | Framework-furring strip integrated structure of steel-frame building | |
JP6474650B2 (en) | Building outer wall structure | |
KR101209945B1 (en) | The Prefabcated Hanok | |
JP4868420B2 (en) | Building with joinery | |
JP2016079734A (en) | building | |
JP3129499U (en) | Door frame unit structure | |
KR200441676Y1 (en) | Connecting member for prefab house | |
JP2019011559A (en) | Attaching structure of fitting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