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963B1 - A depth with leveling device for grand piano key - Google Patents
A depth with leveling device for grand piano ke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2963B1 KR101352963B1 KR1020130081189A KR20130081189A KR101352963B1 KR 101352963 B1 KR101352963 B1 KR 101352963B1 KR 1020130081189 A KR1020130081189 A KR 1020130081189A KR 20130081189 A KR20130081189 A KR 20130081189A KR 101352963 B1 KR101352963 B1 KR 1013529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key
- vertical
- support members
- key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4—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of grand piano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22—Actions specially adapted for grand piano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65—Key design details;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keys of a keyboard; Key-like musical input devices, e.g. finger sensors, pedals, potentiometers, se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에서 건반들의 수평과 깊이를 고르는 조정 작업을 하기 위해, 키프레임 (key frame)를 피아노 몸체로부터 분리한 후 해머 액션을 키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한 경우, 그 해머 액션이 상기 건반들을 누르고 있던 힘을 대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반 조정 장치로서, 상기 키프레임이 놓여지는 평평한 작업테이블에 상호 이격되도록 놓여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중 하나의 지지부재의 그 일단부가 지지되고,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에 그 타단부가 지지되는 수평봉부재; 상기 수평봉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수직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가압봉 지지부재; 및 상기 다수의 가압봉지지부재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수직 관통공에 삽입되어, 그 아래에 놓여지는 건반의 후방을 눌려주는 다수의 가압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djust the level and depth of the keys in the grand piano, when the hammer action is removed from the key frame after the key frame is separated from the piano body, the hammer action is pressed against the keys. A key adjusting device used to replace a force present, comprising: a pair of support member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flat work table on which the key frame is placed; A horizontal bar member whose one end of one of the support members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is supported, and whos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other support member; A plurality of pressurizing rod support members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bar member and having vertical through hole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essure rods inserted into the vertical through-hole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rod support members to press the rear of the keyboard placed thereun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랜드피아노 건반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 건반의 수평이나 깊이에 문제가 있을 때 이의 수리를 위해, 해머 액션(hammer action)을 키프레임(key frame)에서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주저앉은 건반들을 연주할 때와 같은 위치로 만들어, 건반의 수평 및 깊이를 쉽게 조정하도록 돕는 것이 가능한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즉,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를 오랜 시간 사용 후 건반틀 밑에 있는 여러 재료들이 마모되거나 눌려서 건반의 수평 높, 낮이가 고르지 않고 울퉁불퉁하거나 건반을 눌렀을 경우, 밑바닥 또한 고르지 않을 경우 연주자들이 고르고 안정된 연주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정상적인 기능으로 돌려놓기 위한 작업에 필요한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and piano is used for a long time, various materials under the keyboard frame are worn or pressed, so that when the horizontal height and day of the keyboard are uneven, bumpy or pressed, the bottom is also uneven, the players perform even and stable performance. It relates to a piano keyboard control that is necessary for the work to return what cannot be done to normal function.
피아노는, 현이 달린 건반 악기이다. 내부에 피아노 현을 설치하여, 연주자가 건반을 타건하게 되면, 그 건반에 연결된 해머 헤드가 해당하는 피아노 현을 때려 소리를 발생시키는 악기이다.The piano i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a string. When a piano string is installed inside, and a player strikes a key, a hammer head connected to the key strikes the corresponding piano string to generate a sound.
도 4에는, 그랜드 피아노의 건반(100)들과 해머 액션(110)의 사진이 예시되어 있다. 건반은 모두88개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해머 액션(110)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건하게 되면 그 동작에 따라 해머 헤드(hammer head)가 피아노 현을 타격하도록 동작하는 구성이다. 건반들을 담고 있는 틀을 키프레임(key frame)이라 하고 그 건반 위에 현을 치는 해머 액션이 설치되어 있다.In FIG. 4, photographs of the
그런데, 피아노를 오랜 시간 사용함에 따라, 여러가지 이유로, 건반(100)들의 높낮이가 서로 달라지게 되어 건반들의 수평이 안 맞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반의 수평이라 하면, 건반들의 상면이 하나의 평면상에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Key leveling). 즉, 건반들 중 적어도 하나의 건반의 상면이 다른 건반들의 상면이 이루는 평면에 있지 않게 되면, 수평이 맞지 않았다라고 표현한다. 건반의 높낮이가 들쑥 날쑥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However, as the piano is used for a long time, the heights of the
또한, 각 건반을 누를 때 건반이 눌리는 깊이가 다른 건반과 달라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각 건반이 눌리는 깊이를 건반 깊이 (key Depth) 라고 정의한다. 연주자는 더욱 미묘하게 이러한 변화를 느끼고 불편해 한다. 따라서, 이러한 건반들 사이에, 수평이 맞도록 조정해야 하고, 각 건반의 누르는 깊이도 의도된 깊이가 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In addition, when a key is pressed, the depth at which the key is pressed may be different from other keys. The depth at which each key is pressed is defined as the key depth. The player feels this change more subtly and uncomfortable. Therefore, between these key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vel so as to be horizontal, and the pressing depth of each key must also be adjusted to be the intended depth.
도 5를 참조하면, 그랜드 피아노 건반틀(key frame)에서 하나의 건반을 빼내면 앞쪽에 front pin(101)과 중간에 balance pin(103)이 있으며 front pin 밑에는 동그란 형상의 cloth punching(102)이 있으며 그 밑에는 두께가 각기 다른 paper punching이 있고 중간의 balance pin(103) 밑에도 앞쪽과 같은 형상이나 크기가 더 작은 형상의 cloth punching(104)과 paper punching이 있다. 연주자가 오랜 시간 사용시 많이 치는 부분과 적게 치는 부분의 건반 punching 재료(102, 104)들이 각기 다르게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건반의 수평 및 깊이가 서로 다르게 불규칙적 깊이와 높, 낮이의 현상이 발생된다. 이 현상을 고르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해머 액션을 제거해야 하지만 건반을 빼내서 punching 부재를 가감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해머 액션이 누르는 힘과 같은(약 200g) 봉부재로 건반 뒤쪽을 누르게 하고 건반을 빼내가며 조정을 용이하게 돕기 위한 장치이다. Referring to FIG. 5, when a key is removed from a grand piano key frame, there is a
또한 빼낸 건반 전체 길이의 약 1/3 앞쪽은 흰 플라스틱이 붙어 있고(100, 백건) 조금 짧은 길이의 건반 앞쪽은 위로 돌출된 검은 플라스틱(흑건)이 붙어 있다. 이 건반을 뒤집어 밑면을 보면, 앞서 얘기한 front pin이 끼워지는 홀(hole)과 balance pin이 끼워지는 홀(hole)이 앞뒤로 있어 front pin과 balance pin에 건반이 끼워져 시소(see saw) 운동같이 중심축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In addition, about one-third of the length of the pulled-out key is attached to the white plastic (100, white) and a slightly shorter front of the key is attached to the black plastic (black) protruding upwards. If you turn this key upside down, you will see a hole where the front pin is inserted and a hole where the balance pin is inserted. It is an important part to hold the axis.
그런데, 이러한 작업수행시, 키프레임으로부터 건반들의 뒷 부분을 누르고 있던 해머 액션(110)을 제거하게 되면, 건반은 모두 주저앉게 된다. 이로 인해 건반들의 수평과 깊이를 조정하는 작업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By the way, when performing this operation, if the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공개된 장치는 없고 수치와, 작업자들 각자의 숙련을 통해 수평, 깊이를 조정하는 작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이 분야에 공개된 기술로는 건반이나 액션의 자체에 관한 것들은 있어도, 건반의 수평 및 깊이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공개된 장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건반들의 수평과 깊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However, in order to solve this difficulty, there is no device disclosed in the prior art, and the work of adjusting the level and depth through the numerical value and the skill of each worker has been performed. Although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field is related to the keyboard or the action itself, there is no published device used to adjust the horizontal and depth of the keyboar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that solves these difficulties and makes it easy and accurate to adjust the horizontal and depth of keys.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의 건반들의 수평과 깊이를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ano keyboard adjusting apparatus which makes it easy and accurate to adjust the horizontal and depth of keys of a grand pian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그랜드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는, Grand 피아노에서 건반들의 수평과 깊이를 고르는 조정 작업을 하기 위해, 키프레임을 피아노 몸체로부터 분리한 후 해머 액션을 키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한 경우, 그 해머 액션이 상기 건반들을 누르고 있던 힘을 대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반 조정 장치로서, 상기 키프레임이 놓여지는 평평한 작업테이블에 상호 이격되도록 놓여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중 하나의 지지부재의 그 일단부가 지지되고,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에 그 타단부가 지지되는 수평봉부재; 상기 수평봉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수직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가압봉 지지부재; 및 상기 다수의 가압봉지지부재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수직 관통공에 삽입되어, 그 아래에 놓여지는 건반의 후방을 눌려주는 다수의 가압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rand piano keyboard adjus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djust the horizontal and depth of the keys in the grand piano, after separating the key frame from the piano body, the hammer action from the key frame A key adjusting device, wherein when removed, the hammer action is used to replace the force that held the keys, comprising: a pair of support member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flat worktable on which the keyframe is placed; A horizontal bar member whose one end of one of the support members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is supported, and whos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other support member; A plurality of pressurizing rod support members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bar member and having vertical through hole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essure rods inserted into the vertical through-hole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rod support members to press the rear of the keyboard placed thereunder.
한편, 상기 수평봉부재는 2개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가압봉 지지부재의 각각은, 상부와 하부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수평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의 수평 관통공과 하부의 수평 관통공 각각에는 상기 수평봉부재가 각각 하나씩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bar member is provided with tw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bar support member, the horizontal through-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the horizontal through-hole and the lower horizontal through-hole of the upp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rod member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each one.
한편, 상기 각 가압봉 지지부재는, 그 상부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와 그 하부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의 각각에는 상기 수직 관통공이 일직선 상에 오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pressure bar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n upper protrus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protrus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vertical through hole is in a straight line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수직관통공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가압봉은 원기둥형상으로서, 그 직경은 상기 수직관통공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through hole is circular, and the pressurizing ro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whi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through hole.
그리고, 상기 다수의 가압봉 중 각각은, 그 아래에 놓여진 건반을 눌려주되 그 건반에 장착되어 있던 해머 액션의 무게에 대응하는 무게인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izing rods is preferably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a hammer action mounted on the key while pressing a key placed thereunder.
본 발명의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에 의하면, 건반들의 수평과 깊이를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iano key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adjusting the horizontal and the depth of the keys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압봉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압봉이 건반의 뒷면을 가압하여 해머 액션이 올라와 있는 상태와 같게 건반 앞면을 올린 상태와 가압봉으로 눌르지 않아 바닥으로 쳐진 상태 비교 사진,
도 4는 도 3의 키프레임에서 해머 액션이 제거되기전 연주를 할 수 있는 상태의 사진,
도 5는 도 1의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를 설치하였을 때 실제로 건반의 높, 낮이와 깊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건반을 뺄 수 있는 상태, 해머 액션이 올라 앉아 있으면 각개의 건반을 빼낼 수 없음을 보여주는 사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ano keyboar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rod support member of Figure 1,
Figure 3 is a pressure r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press the back of the key, the hammer action is raised up the same state as the state of the front of the key and the pressure bar not pressed by the pressure bar, the comparison picture,
4 is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the player can play before the hammer action is removed from the keyframe of FIG. 3;
5 is a state in which the keyboard can be pulled out to actually adjust the height, the height and the depth of the keyboard when the piano key adjusting device of FIG. 1 is installed, and a picture showing that the keyboard cannot be removed if the hammer action is sitting up.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는, 그랜드 피아노에서 건반들의 수평 또는 깊이가 맞지 않아 조정이 필요한 경우,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The piano key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used to help the adjustment work easily and accurately made when the grand piano does not have the horizontal or the depth of the keys to be adjusted.
본 실시예의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1)는, 좌, 우 거리를 맞춰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10), 수평봉부재(20, 22), 다수의 가압봉 지지부재(30) 및 다수의 가압봉(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iano key adjusting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0)는, 키프레임이 놓여지는 평평한 작업테이블에 상호 이격되도록 놓여지는 부재이다. 지지부재(10)의 이격 폭은 키프레임의 폭 보다 넓게 되어 있어서, 해머 액션 제거 후 키프레임에 손상없이 키프레임의 양측에 놓여질 수 있다. The pair of
지지부재(10)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소재, 예컨대 주철 등으로 만들어져서, 작업테이블에 올려놓는 것만으로 별도의 지지 수단 없이 놓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지부재(10)의 하부에 관통공 등을 구비하여, 작업테이블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The
상기 수평봉부재(20, 22)는 본 실시예의 경우 2개가 구비된다. 2개의 수평봉부재(20, 2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Two
각 수평봉부재(20, 22)의 일단부는 하나의 지지부재(10)에 의해 지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10)에 지지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One end of each of the
상기 가압봉 지지부재(30)는, 본 실시예의 경우 88개로 구비된다. 각 가압봉 지지부재(30)는 수평봉부재(20, 22)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좌, 우 이동 가능하다. The pressurizing
본 실시예의 경우, 각 가압봉 지지부재(3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수평 관통공(33, 34)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 관통공(33)과 하부의 수평 관통공(34) 각각에는 수평봉부재(20, 22)가 각각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horizontal through
상부와 하부의 수평 관통공(33, 34) 각각은 원형이고, 수평봉부재(20, 22)의 원기둥형상이다. 상부와 하부의 수평 관통공(33, 34)의 지름은 수평봉부재(20, 22)의 단면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어서, 가압봉 지지부재(30)는, 원하는 수평방향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Each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through
본 실시예의 경우 각 가압봉 지지부재(30)는, 그 상부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35)와 그 하부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3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돌출부(35)와 하부돌출부(36)의 각각에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수직 관통공(37, 38)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 관통공(37, 38)은 상하방향의 일직선 상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pressure
수직관통공(37, 38)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원기둥 형상의 가압봉(40)의 횡방향 단면의 직경은, 수직관통공(37, 38)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어서, 가압봉(40)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으며, 자중에 의해 해당하는 건반의 후방을 눌러준다.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through-
상기 가압봉(40)은, 가압봉 지지부재(30)의 수만큼 88개로 구비된다. 각 가압봉(40)은, 수직 관통공(37, 38)에 삽입되어, 그 아래에 놓여지는 건반의 후방을 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각 가압봉(40)은, 해당 건반을 누르고 있던 해머 액션의 무게에 대응하는 무게로 되어 있다. The
한편 실시예에 따서는, 저음 쪽에 배치된 건반을 눌러주는 해당하는 해머 액션은, 고음 쪽에 배치된 건반을 눌러주는 해당 해머 액션보다 무겁게 되어 있으므로, 가압봉 중에 저음쪽에 배치된 건반의 후방을 눌러주는 가압봉은, 고음쪽에 배치된 건반의 후방을 눌러주는 가압봉 보다 무겁게 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rresponding hammer action to press the key disposed on the bass side is heavier than the corresponding hammer action to press the key disposed on the treble side, so that the back of the key disposed on the bass side in the pressure rod The pressure rod may be heavier than the pressure rod that presses the back of the keyboard disposed on the treble side.
즉, 가압봉은 해당하는 건반을 눌러주는 해머액션의 무게와 동일하다. 다만 필요에 따라, 각각의 건반을 눌러주는 해머 액션의 무게가 미세하게 변화가 있다고 하여도, 가압봉은 해머 액션의 무게를 3 또는 4 개로 분류하여 그에 대응하는 무게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ressure bar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hammer action to press the corresponding key. However, if necessary, even if the weight of the hammer action that presses each key is slightly changed, the pressure bar can be divided into three or four weights of the hammer action to be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weight.
해머 액션에서 눌러 주는 여러 가지 힘을 계산한 최대치의 가압봉을 제작하여 일관되게 눌러주도록 할 수 있다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 pressurized rod with the maximum value calculated from the various forces pressed in the hammer action and to press it consistently.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iano keyboard adjustment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를 참조하면, 키프레임은 건반(100; key)들과 해머 액션(110; hammer actio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반(100)들이 눌리게 되면, 해머 액션(110)은 해머 헤드가 피아노 현을 타격시키도록 동작한다. Referring to FIG. 4, a keyframe includes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그랜드 피아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함에 따라 여러가지 이유로 건반의 수평과 깊이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건반의 수평과 깊이가 맞도록 조정하는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 조정작업을 돕는 장치가 상술한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1)인 것이다. In the grand piano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horizontal and the depth of the keyboard may be changed due to various reasons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n operation to adjust the horizontal and the depth of the keyboard is performed, the apparatus for assisting the adjustment operation is the above-described piano keyboard adjustment device (1).
건반의 수평, 깊이의 조정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키프레임(key frame)을 그랜드 피아노 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수평한 작업테이블에 올려놓은 후, 키프레임으로부터 해머 액션을 제거하고, 건반(100) 및 연장부재(115)의 아래에 구비된 제1,2 핀부재(101, 103)에 끼워진 제1,2조절부재(102, 104)를 빼거나 추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도 5 참조). In order to perform keyboard horizontal and depth adjustment, the key frame is separated from the grand piano body, placed on a horizontal work table, and then the hammer action is removed from the key frame. And removing or adding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이때, 상술한 구성의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1)가 해머 액션(110)이 상기 건반(100)들을 누르고 있던 힘을 대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At this time, the piano
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의 키프레임에서, 해머 액션(110)을 분리한 후,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머 액션이 있던 위치에 본 발명의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1)를 배치한다. That is, in the key frame in the state shown in FIG. 4, after separating the
각각의 건반(100)의 후방에 대응하는 가압봉 지지부재(30)가 오도록 한 후, 수직관통공(37, 38)에 해당하는 해머 액션의 무게를 가지는 가압봉(40)을 삽입하여, 건반의 후방을 누르도록 한다. After the pressing
도 3을 참조하면, 좌측의 건반들이, 해당하는 각각의 가압봉에 의해 눌려 해머 액션이 원래 누르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된 것을 알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과 깊이 조절이 필요한 건반에 대해 가압봉을 제거하고 그 건반의 아래에 있는 제 102, 104로 지시된 조절부재를 조절하여 수평과 깊이를 맞춘다.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keys on the left side are pressed by respective pressure bars corresponding to the same state that the hammer action is originally pressed. In this state, the pressure bar is removed for a key that requires horizontal and depth adjustment, and the horizontal and the depth are adjusted by adjusting the adjusting members indicated at the 102 and 104 under the key.
가압봉(40) 및 가압봉 지지부재(30)는 건반의 수만큼 구비될 수도 있고, 그 보다는 적은 수로 구비하여, 건반들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조정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본 발명의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1)에 의하면, 건반들의 높이와 깊이의 조정필요성을 해머 액션이 결합되어 있는 것과 같은 환경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높이와 깊이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해당 건방에 대한 조정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iano
즉, 가압봉이 자중에 의해 건반의 후방을 누르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간편하게 가압봉을 제거하고 해당 건반에 대한 조정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since the pressure bar presses the back of the key by its own weight, it is possible to simply remove the pressure bar and perform the adjustment operation on the key if necessar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 10 ... 지지부재
20,22 ... 수평봉부재 30 ... 가압봉 지지부재
40 ... 가압봉1 ...
20,22 ...
40 ... pressure bar
Claims (5)
상기 키프레임이 놓여지는 평평한 작업테이블에 상호 이격되도록 놓여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중 하나의 지지부재에 그 일단부가 지지되고,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에 그 타단부가 지지되는 수평봉부재;
상기 수평봉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수직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가압봉 지지부재; 및
상기 다수의 가압봉지지부재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수직 관통공에 삽입되어, 그 아래에 놓여지는 건반의 후방을 눌려주는 다수의 가압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 In order to adjust the level and depth of the keys on the grand piano, if you remove the key frame from the piano body and then remove the hammer action from the key frame, the hammer action replaces the force held by the keys. As a grand piano keyboard adjustment device used to
A pair of support members pl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flat worktable on which the keyframe is placed;
A horizontal bar member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one support member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and whos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other support member;
A plurality of pressurizing rod support members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bar member and having vertical through hole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plurality of pressure rods inserted into the vertical through-hole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rod support members to press a rear side of a key placed thereunder.
상기 수평봉부재는 2개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가압봉 지지부재의 각각은, 상부와 하부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수평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의 수평 관통공과 하부의 수평 관통공 각각에는 상기 수평봉부재가 각각 하나씩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rod member is provided with tw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izing rod support members has a horizontal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horizontal bar members passes through each of the upper horizontal through holes and the lower horizontal through holes.
상기 각 가압봉 지지부재는, 그 상부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와 그 하부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의 각각에는 상기 수직 관통공이 일직선 상에 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ressing rod supporting members is provided with an upper protrus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protrus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each of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ower protrusion is formed such that the vertical through hole is in a straight line.
상기 수직관통공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가압봉은 원기둥형상으로서, 그 직경은 상기 수직관통공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through hole is circular,
The pressurizing ro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whi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through hole.
상기 다수의 가압봉 중 각각은, 그 아래에 놓여진 건반을 눌려주되 그 건반에 장착되어 있던 해머 액션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 건반 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izing rods, the grand piano keyboard adjus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hammer action attached to the key pressed under the ke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189A KR101352963B1 (en) | 2013-07-10 | 2013-07-10 | A depth with leveling device for grand piano ke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189A KR101352963B1 (en) | 2013-07-10 | 2013-07-10 | A depth with leveling device for grand piano ke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2963B1 true KR101352963B1 (en) | 2014-01-21 |
Family
ID=5014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1189A Active KR101352963B1 (en) | 2013-07-10 | 2013-07-10 | A depth with leveling device for grand piano ke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96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00336A (en) * | 2015-12-03 | 2016-02-03 | 广州珠江恺撒堡钢琴有限公司 | Piano key depth measuring instrument and piano key depth measuring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9280A (en) | 2000-09-22 | 2002-04-05 | Yamaha Corp | Keyboard instrument and method of regulating keyboard instrument |
-
2013
- 2013-07-10 KR KR1020130081189A patent/KR1013529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9280A (en) | 2000-09-22 | 2002-04-05 | Yamaha Corp | Keyboard instrument and method of regulating keyboard instrumen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00336A (en) * | 2015-12-03 | 2016-02-03 | 广州珠江恺撒堡钢琴有限公司 | Piano key depth measuring instrument and piano key depth measuring method |
CN105300336B (en) * | 2015-12-03 | 2017-11-24 | 广州珠江恺撒堡钢琴有限公司 | The sub- depth calibrator of piano key and the sub- depth measurement method of piano ke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02007000347A1 (en)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articularly, technology for producing suitable tone, has multiple keys, multiple hammers that are assigned to every keys in order to apply force, and contact mechanism | |
JP6857327B2 (en) | Keyboard devices and keyboard instruments | |
US20150269916A1 (en) | Keyboard apparatus and keyboard instrument | |
CN102201224B (en) | Upright piano type action | |
KR101352963B1 (en) | A depth with leveling device for grand piano key | |
US20240112651A1 (en) | Hammer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 |
DE10121334B4 (en) | Unit-mounted pedal mechanisms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therewith | |
DE60022121T2 (en) | Keyboard instrument with partially repairable switching device for changing the hammer catcher | |
US8664497B2 (en) | Double keyboard piano system | |
US20220101815A1 (en) | Flexible pitched sliding keyboard instrument and interface | |
DE19716177C2 (en) | Electrophonic keyboard instrument | |
US2153725A (en) | Musical instrument | |
JP5296584B2 (en) | Keyboar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 |
JP2012510640A (en) | Movable pivot bearing for changing the influence of a string keyboard instrument key | |
JP2008257107A (en) | Shift device of piano keyboard and method of adjusting shift device of piano keyboard | |
CN209591273U (en) | Soft tissue injury beating device | |
KR101217202B1 (en) | Yanggeum | |
JP6066368B2 (en) | Keyboard device and keyboard instrument | |
JP2006285102A (en) | Keyboard support device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 |
DE102019217276A1 (en) | Vibration unit and musical instrument | |
US427826A (en) | Transposing key-board for pianos | |
JP2003122342A (en) | String tensing device for piano | |
CN207319526U (en) | A kind of music teaching device | |
DE10360480A1 (en) | keyboard instrument | |
US6154A (en) | Punching-machine with a combination of adjustable ga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9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