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2893B1 -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893B1
KR101352893B1 KR1020130031583A KR20130031583A KR101352893B1 KR 101352893 B1 KR101352893 B1 KR 101352893B1 KR 1020130031583 A KR1020130031583 A KR 1020130031583A KR 20130031583 A KR20130031583 A KR 20130031583A KR 101352893 B1 KR101352893 B1 KR 10135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expansion joint
bridge
sla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원
Original Assignee
삼우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기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8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이 20∼50mm의 좁은 경우에도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신축이음부의 배수판이 강판으로 구성되어 수명이 영구적이며, 폭우시에도 유간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 상에 각각 배치되는 차수대와; 상기 차수대의 가운데로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시공방법은 일측의 슬래브와 타측의 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 상에 각각 배치되는 차수대와; 상기 차수대의 가운데로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로 구성된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일측의 슬래브와 타측의 슬래브를 일정부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S 1); 상기 절개부에 배근된 철근에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지지대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단계(S 2); 상기 지지대와 절개부 간에 무수축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S 3); 상기 지지대 상에 배수판을 설치하는 단계(S 4); 상기 배수판 상에 차수대에 고정대를 삽입한 상태로 하여 상기 차수대를 지지대에 설치하는 단계(S 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Bridge expansion joints are leak-proof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유입되는 우수를 슬래브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신축이음부 누수 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래브 신축이음부 유간은 온도변화, 건조수축, 크리프(creep) 등으로 인한 슬래브의 신축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슬래브 유간으로의 누수를 방지하여 구조물을 내구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나, 대부분의 구조물에서 누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구조물의 내구성 손상으로 인한 복구에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현재의 신축이음의 누수 경로는 도로교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 콘크리트와 후타 콘크리트의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신축이음과 후타 콘크리트와의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여, 이 균열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철도교의 경우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 봉함재가 시간이 지나면서 콘크리트와 봉함재의 사이에 접착력이 약해져서 누수가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신설시 신축이음 본체에 철판을 용접하여 철판과 방수 신축부재를 볼트로 고정했으나 볼트 고정 지점의 신축부재 파단과 노후화에 의한 누수 발생시, 하부구조물 및 유간의 협소로 상부 신축이음장치의 철거 없이 방수재만 별도 교체가 불가하여, 많은 예산이 소요되고, 적기에 보수를 하지 못하여 구조물에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20-0366052 유도상 궤도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구조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유도상 궤도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상부 구조물(40, 40')들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신축이음구조로서, 상기 상부 구조물(40, 40')들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사이의 개방부를 밀봉하는 봉함재(5)가 구비되고, 상기 봉함재(5)가 설치된 상부 구조물(40, 40')들의 단부 사이의 개방부 상부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패드(4)가 덮여지고, 상기 탄성패드(4)의 상부에는 강재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덮개판(1)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패드(4)와 상기 덮개판(1)의 일측에는 각각 통공(14, 33)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4, 33)이 형성된 일측이 볼트부재(2)에 의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4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그 타측은 상기 상부 구조물(40')의 타측 단부의 상부에서 자유로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볼트부재(2)는 그 하단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쐐기부(9)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9)의 상부에는 소정 개수의 철편이 상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하단부는 서로 구속되지 않은 채로 이루어지는 철편(7)이 볼트부재(2) 둘레에 감겨있으며, 상부에는 소정 부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부재(2)를 너트(3)와 체결하여 상기 탄성패드(4)와 덮개판(1)을 상기 일측의 교량 상부 구조물(40)에 고정할 때, 상기 너트(3)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볼트부재(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상기 쐐기부(9)가 상방향으
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볼트부재(2) 주위의 철편(7)의 하단부가 벌어지면서 상기 볼트부재(2)가 삽입된 체결공(41)의 벽면과 강하게 마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특허 10-0529735 에바조트 조인트공법으로 시공되는 철도교량의 앵커볼트구조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에바조트 조인트공법으로 시공되는 철도교량의 앵커볼트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교량과 교량의 연결에 채택되는 에바조트 조인트공법에 사용되는 완충용 고무패드와 커버 플레이트를 구체 콘크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11)의 상부로 나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피스홈(12)이 형성되며 그 형상이 접시머리형상을 갖는 접시머리볼트(13)와, 상기 접시머리볼트(13)의 하부에 위치하며 나사부(11)에 게재되는 부시(14)와, 상기 부시(14)의 하부에 궤도차량통과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나사부(11)에 게재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충격흡수링(15)과, 상기 충격흡수링(15)의 하부에 위치하며 나사부(11)에 게재되고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다수의 척(16a)이 형성된 테이퍼(16)와, 상기 테이퍼(16)의 척(16a)의 내경과 맞닿아 접시머리볼트(13)의 회전시 척(16a)의 기울어진 내경을 따라 척(16a)을 외향으로 벌리는 너트(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방수형 탄성 봉합제로서 접착제 기능 저하시 탈락에 의한 누수 발생과 열차 운행중 교체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신축이음 누수방지부재가 고무계 재질인데 이는 시간경과에 따른 노화 밀 일광에 의한 열화 발생으로 수명이 짧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체를 필요로 해서 유지보수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936970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폭을 중심으로 양측 상부면이 일정한 구배를 이루는 슬래브(100)와 슬래브(100)의 사이 공간인 유간(110)에 설치되는 누수방지장치에 있어서, 중공형으로 프레임 몸체(210) 내부에 삽입공간(220)이 형성되고, 프레임 몸체(210)의
일측 상부에는 프레임 몸체(2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슬래브(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상부돌출판(230)이 형성되며, 프레임 몸체(210)의 일측 하부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슬래브(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하부돌출판(24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출판(230)과 하부돌출판(240) 사이에 프레임 몸체(210)의 내부 삽입공간(220)과 연통되도록 삽입통로(250)가 형성되어 상기 교량의 슬래브(100) 양측면에 삽입통로(250)가 대칭되도록 각각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매립프레임(200)과; 제1배수판 본체(311)의 양측 상단에 외측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경사면(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312)의 상단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연장되어 매립프레임(200)의 삽입통로(220)를 통해 프레임 몸체(210)의 삽입공간(220)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삽입공간(220)의 프레임 몸체(210) 내측 하부에 지지되어 제1배수판 본체(311)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판(3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판(313)과 매립프레임(200)의 하부돌출판(240)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제1지지판(313)의 하단부에서 제1배수판 본체(311)의 내측 방향으로 제1간격유지돌기(314)가 돌출형성된 제1배수판(310)이 구비되고, 제2배수판 본체(321)의 양측 상단에 외측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경사면(3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322)의 상단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연장되어 매립프레임(200)의 삽입통로(220)를 통해 프레임 몸체(210)의 내부 삽입공간(220)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삽입공간(220)의 프레임 몸체(210) 내측 하부에 지지되어 제2배수판 본체(321)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2지지판(3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판(323)과 매립프레임(200)의 하부돌출판(240)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제2지지판(320)의 하단부에서 제2배수판 본체(321)의 내측 방향으로 제2간격유지돌기(324)가 돌출형성되고, 제2배수판 본체(321) 양측 상부의 제2지지판(323) 전단부 일부를 절단하여 제2지지판(323) 전방 상부 양측에 걸림턱(330)이 형성된 제2배수판(320)이 구비되어, 상기 제2배수판(320) 전단부가 제1배수판(310) 후단부 내측에 삽입되고, 걸림턱(330)이 제1배수판(310)의 제1지지판(313) 후단부에 걸리면서 제1배수판(310) 후단부와 제2배수판(320) 전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배수판(310)과 제2배수판(320)은 스테인리스 판, 동판,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상기 한 쌍의 매립프레임(200)에 제1배수판(310)과 제2배수판(320)의 양측 제1지지판(313)과 제2지지판(323)이 결합되는 배수판(300)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는 슬래브 유간이 20∼50㎜인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슬래브와 슬래브의 유간이 20∼50㎜임으로 배수판이 작아질 수밖에 없는데 이것을 U자 형상으로 절곡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고, 더욱이 슬래브 유간이 좁기 때문에 슬래브 상부에서 유간 사이로 배수판을 설치 및 해체가 불가능하다.
또한, 프레임 몸체를 시공할 슬래브 길이가 6∼15m임으로 프레임 몸체 각 부분에서 단차 및 편차가 필수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프레임 몸체와 배수판 사이에 틈새가 발생된다.
이는 폭우 시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가득 찬 우수가 배수판의 절곡부의 프레임 몸체의 틈새로 누수되기 때문에 배수판에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366052 등록특허 10-0529735 등록특허 10-0936970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이 20∼50mm의 좁은 경우에도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신축이음부의 배수판이 강판으로 구성되어 수명이 영구적이며, 폭우 시에도 유간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 상에 각각 배치되는 차수대와; 상기 차수대의 가운데로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시공방법은 일측의 슬래브와 타측의 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 상에 각각 배치되는 차수대와; 상기 차수대의 가운데로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로 구성된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일측의 슬래브와 타측의 슬래브를 일정부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S 1); 상기 절개부에 배근된 철근에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지지대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단계(S 2); 상기 지지대와 절개부 간에 무수축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S 3); 상기 지지대 상에 배수판을 설치하는 단계(S 4); 상기 배수판 상에 차수대에 고정대를 삽입한 상태로 하여 상기 차수대를 지지대에 설치하는 단계(S 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20∼50mm)이 좁은 경우에도 배수판을 U자형으로 절곡하지 않지 않은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고무 탄성재의 접착제 저하로 인한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배수판이 평판 형상이기 때문에 교량 슬래브의 신축작용에 의해 배수판이 반복적으로 굽힘 운동을 하지 않고, 단순히 지지대 사이의 공간(신축량)에서 지지대만 신축작용을 하므로 신축이음부의 배수판은 수명이 영구적인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고정대에 설치된 차수대가 압축스프링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배수판을 압착하고 있으므로, 완전한 방수가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지지대, 배수판, 차수대 등 주요 부재가 강재로 구성되므로 수명이 영구적인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지지대를 설치한 후 배수판을 지지대 경사면 공간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 넣고, 차수대가 삽입된 고정대를 상부에서 볼트 조립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배수판 설치시 내부공간이 넓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배수판이 평판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래브 유간 상부에 고무재를 사용한 신축이음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슬래브 유간에 내부 봉함재를 사용한 신축이음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유도상 궤도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에바조트 조인트공법으로 시공되는 철도교량의 앵커볼트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를 분해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9a, 9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배수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a 및 10b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차수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고정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가 유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a 내지 13f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를 유간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를 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A)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 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수판(200)과; 상기 배수판(200) 상에 각각 배치되는 차수대(300)와; 상기 차수대(300)의 가운데로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4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 배수판(200), 차수대(300) 및 고정대(4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110)를 절곡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상기 강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형성되는 요홈(120)과; 상기 요홈(120)으로부터 직상부로 올라가면서, 상부가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130)과; 상기 경사면(130)의 상단에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 형성되는 체결공(140)과; 상기 체결공(14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결합홈(150)과; 상기 요홈(120)의 단부에서 직상단으로 일정높이가 절곡 형성되는 돌출부(160)와; 상기 돌출부(16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부분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170)로 구성되고, 상기 요홈(120)의 외면에 요철(12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50)의 표면에 고정돌기(152)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돌출부(160)은 신축이음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더는 외부로 누수되지 않고, 요홈(120) 내에 집수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판(200)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두께 및 너비를 갖는 강판(210)과; 상기 강판(210)의 양단부가 직각으로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20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두께 및 너비를 갖는 강판(210)과; 상기 강판의 양단부가 직각으로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20)와; 상기 강판의 가운데 부분이 하향으로 돌출되는 오목부(2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수대(30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로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판(310)과; 상기 수직판(310)의 하단부에서 수직판(310) 간을 상호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판(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310)은 상단부가 외측으로 일정한 곡률를 갖는 곡면부(312)가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삽입홈(31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14)에 고무패킹(316)이 설치되며, 상기 차수대(300)의 내측에 스프링가이드핀(3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핀(330) 상에 압축스프링(340)이 설치된 구조이다.
이러한 고무패킹(316)은 차수대(300)와 고정대(400) 간에 물의 침투를 막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차수대(30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중공부(350)와; 상기 중공부(350)의 상단 양측에 일정 높이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360)와; 상기 중공부(350)의 하부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7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대(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로 이루어지면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410)와; 상기 수직부(410)의 상단이 일정부분 요입 형성된 삽입홈(420)과; 상기 삽입홈(420)에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 형성되는 체결공(430)과; 상기 삽입홈(420)의 상단에 상향으로 일정부분 요입 형성되는 걸림홈(4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400)는 차수대(3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압축스프링(340)이 자유장에 있을 때, 지지대(100)에 고정대(400) 설치용 공간(18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400)의 수직부(410) 간에는 차수대(300)이 부착된 스프링가이드핀(3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A)는 교량의 슬래브(S)와 슬래브(S) 사이의 유간(G)이 20∼50mm로 좁은 경우에도 배수판(200)을 U자형으로 절곡하지 않지 않은 평판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고무 탄성재의 접착제 저하로 인한 누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배수판(200)이 평판 형상이기 때문에 교량 슬래브(S)의 신축작용에 의해 배수판(200)이 반복적인 굽힘 운동을 하지 않고, 단순히 지지대(100) 사이의 공간(신축량)에서 지지대(100)만 신축작용을 하므로 배수판(200)의 수명은 영구적이며, 고정대(400)에 설치된 차수대(300)가 압축스프링(340)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배수판(200)을 압착하고 있으므로, 완전한 방수가 이루어지며, 지지대(100), 배수판(200), 차수대(300) 및 고정대(400) 등 주요 부재가 강재로 구성되므로 수명이 영구적이며, 지지대(100)를 설치한 후, 배수판(200)을 지지대 경사면(130)의 공간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 넣고, 차수대(300)가 삽입된 고정대(400)를 상부에서 볼트 조립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단하며, 배수판(200) 설치시 내부공간이 넓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배수판(200)이 평판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가 유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a 내지 13f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를 유간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시공방법은 일측의 슬래브(S)와 타측의 슬래브(S) 사이의 유간(G)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 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수판(200)과; 상기 배수판(200) 상에 각각 배치되는 차수대(300)와; 상기 차수대(300)의 가운데로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400)로 구성된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A)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일측의 슬래브(S)와 타측의 슬래브(S)를 일정부분 절개하여 절개부(C)를 형성하는 단계(S 1); 상기 절개부(C)에 배근된 철근(R)에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A)의 지지대(100)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단계(S 2); 상기 지지대(100)와 절개부(C) 간에 무수축모르타르(M)를 타설하는 단계(S 3); 상기 지지대(100) 상에 배수판(200)을 설치하는 단계(S 4); 상기 배수판(200) 상에 차수대(300)에 고정대(400)를 삽입한 상태로 하여 상기 차수대(300)를 지지대(100)에 설치하는 단계(S 5)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A) 시공방법은 절개부(C) 형성단계(S 1); 지지대(100) 설치단계(S 2); 무수축모르타르(M) 타설단계(S 3); 상기 배수판 설치단계(S 4); 고정대(400) 설치단계(S 5)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 방지 장치(A)를 교량 신축이음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C) 형성단계(S 1)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간(G)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슬래브를 일정부분 절개하여 절개부(C)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슬래브(S)에 배근된 철근(R)이 노출될 때까지 절개한다.
이어서, 상기 지지대(100) 설치단계(S 2)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C)의 철근(R)에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A)의 지지대(100)를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무수축모르타르(M) 타설단계(S 3)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와 절개부(C) 간에 무수축모르타르(M)를 타설 및 양생한다.
이어서, 상기 배수판 설치단계(S 4)는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대(100) 상에 배수판(200)을 설치하는 것으로, 지지대(100) 간의 유간(G)을 통해 배수판을 기울인 상태로 삽입하고, 지지대의 돌출부 상에서는 물을 집수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는 배수판의 길이가 유간(G)의 간격보다 더 길기 때문에 반듯하게는 삽입이 안되므로 기울인 상태에서 삽입하고, 최종적으로 반듯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고정대(400) 설치단계(S 5)는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대(300)에 고정대(400)가 내장된 상태로 하여 고정대를 지지대의 걸림홈에 설치한다.
최종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를 통해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A)를 유간(G)에 설치한 후, 상기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상부에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를 매개로 하여 슬래브 유간 덮개판을 설치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기본예에 비하여 배수판이 형상이 달라진 것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기본예에 비하여 차수대와 배수판이 형상이 달라진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기본예에 비하여 배수판이 형상이 달라진 것이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 지지대 110: 강재
120: 요홈 122: 요철
130: 경사면 140: 체결공
150: 결합홈 152: 고정돌기
160: 돌출부 170: 지지부
180: 고정대 설치공간 200: 배수판
210: 강판 220: 절곡부
230: 오목부 300: 차수대
310: 수직판 312: 곡면부
314: 삽입홈 316: 고무패킹
320: 연결판 330: 스프링가이드핀
340: 압축스프링 350: 중공부
360: 날개부 370: 돌기부
400: 고정대 410: 수직부
420: 삽입홈 430: 체결공
440: 걸림홈 500: 슬래브 유간 덮개판
510: 앵커볼트 A: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B: 앵커볼트 C: 절개부
G: 유간 M: 무수축모르타르
R: 철근 S: 슬래브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 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수판(200)과; 상기 배수판(200) 상에 각각 배치되는 차수대(300)와; 상기 차수대(300)의 가운데로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400)로 구성되고,
    상기 차수대(300)는 강재로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판(310)과; 상기 수직판(310)의 하단부에서 수직판(310)간을 상호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판(3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310)은 상단부가 외측으로 일정한 곡률를 갖는 곡면부(312)가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삽입홈(3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314)에 고무패킹(316)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대(300)의 내측에 스프링가이드핀(3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핀(330) 상에 압축스프링(34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11.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 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수판(200)과; 상기 배수판(200) 상에 각각 배치되는 차수대(300)와; 상기 차수대(300)의 가운데로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400)로 구성되고,
    상기 차수대(300)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중공부(350)와; 상기 중공부(350)의 상단 양측에 일정 높이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360)와; 상기 중공부(350)의 하부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031583A 2013-03-25 2013-03-25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ctive KR101352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83A KR101352893B1 (ko) 2013-03-25 2013-03-25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83A KR101352893B1 (ko) 2013-03-25 2013-03-25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893B1 true KR101352893B1 (ko) 2014-02-18

Family

ID=5026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583A Active KR101352893B1 (ko) 2013-03-25 2013-03-25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8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77B1 (ko) 2014-05-15 2015-02-06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각 슬래브 유간용 물받이의 누수방지 실링 조립체,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및 보수공법
KR20150102195A (ko) * 2014-02-28 2015-09-07 삼우기연 주식회사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의 시공방법
KR101679841B1 (ko) * 2016-05-31 2016-11-25 유상배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KR102572873B1 (ko) * 2023-03-07 2023-08-30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강재 드레인플레이트를 구비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56Y1 (ko) 2005-12-23 2006-03-07 박민철 누수방지 교체형 신축 이음 장치
KR100829006B1 (ko) 2007-05-30 2008-05-14 (주)엠피기술산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20110279A (ko) * 2011-03-29 2012-10-10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1235246B1 (ko) * 2012-07-05 2013-02-20 안태환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56Y1 (ko) 2005-12-23 2006-03-07 박민철 누수방지 교체형 신축 이음 장치
KR100829006B1 (ko) 2007-05-30 2008-05-14 (주)엠피기술산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20110279A (ko) * 2011-03-29 2012-10-10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1235246B1 (ko) * 2012-07-05 2013-02-20 안태환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195A (ko) * 2014-02-28 2015-09-07 삼우기연 주식회사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의 시공방법
KR101664230B1 (ko) * 2014-02-28 2016-10-10 삼우기연 주식회사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의 시공방법
KR101489877B1 (ko) 2014-05-15 2015-02-06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각 슬래브 유간용 물받이의 누수방지 실링 조립체,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및 보수공법
KR101679841B1 (ko) * 2016-05-31 2016-11-25 유상배 배수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기능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KR102572873B1 (ko) * 2023-03-07 2023-08-30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강재 드레인플레이트를 구비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599B1 (ko)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KR101352893B1 (ko) 교량 신축이음부 누수방지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RU2238361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или трамвайный рельс и система его закрепления
KR101630633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30095093A (ko) 모노셀형 교량 신축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이음부의 보수방법
KR101229001B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CN209854544U (zh) 一种铁路桥梁中等伸缩量伸缩缝装置
CN202830755U (zh) 一种便于维修的预应力锚固式桥梁伸缩装置
CN203049449U (zh) 一种套箱型横向模数式桥梁伸缩装置
KR101599823B1 (ko)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KR100707484B1 (ko)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
KR200411577Y1 (ko)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
CN108867352B (zh) 一种市政桥梁用的伸缩缝覆盖装置
WO2007021078A1 (en) Replaceable drainage device of expansion joint
KR101789676B1 (ko) 수직지지플레이트를 이용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교체방법
KR200453460Y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 방지기능을 갖는 매립 레일형 신축이음 장치
US11352753B2 (en) Modular panel for protecting parapet structures
KR101862998B1 (ko) 이탈방지용 핑거 조인트
KR101784717B1 (ko) 슬래브 단부 시공 후 누수방지용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CN110952414B (zh) 公路伸缩缝密封防护方法
CN212270662U (zh) 一种桥梁伸缩缝加固装置
KR101570953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KR101633854B1 (ko) 철도 교량용 신축 이음 누수 보수장치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