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2610B1 -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610B1
KR101352610B1 KR1020120008447A KR20120008447A KR101352610B1 KR 101352610 B1 KR101352610 B1 KR 101352610B1 KR 1020120008447 A KR1020120008447 A KR 1020120008447A KR 20120008447 A KR20120008447 A KR 20120008447A KR 101352610 B1 KR101352610 B1 KR 10135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levator
service tool
control panel
conn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254A (ko
Inventor
전종백
이원기
임병철
Original Assignee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2000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6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6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실의 제어반과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승강장에 설치되는 접속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접속 커넥터에 연결하는 서비스 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승강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과의 원격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카 및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에 대한 점검 및 보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지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툴을 이용하여 제어 메인보드에 홀딩(holding)되어 있는 에러(error)에 대해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하거나, 동작중인 안전 스위치를 바이-패스(By-Pass)시켜 최단 시간에 엘리베이터 카를 재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 및 관련 설비 등에 대한 보수 점검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고, 운행 중지된 엘리베이터 카를 최단 시간내에 다시 기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 및 승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들을 서로 연결하는 서비스 툴 제어 시스템망(이하, '통신망'이라 약칭함)을 구축하여,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에 대한 보수나 점검 등의 작업을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원하는 한 곳 이상의 장소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종적 교통운반 수단으로서, 소규모 빌딩에서부터 수십 층의 초고층 건물에 이르기까지 건물의 용도에 따라 기능별로 설치 및 운행되며, 건물의 고층화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역할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에는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1)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3) 및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3)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계실(5)로 구성된다. 상기 기계실(5)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엘리베이터 카(3)를 움직이는 권상기, 엘리베이터 카(3)의 이상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 동력전원의 수전반, 엘리베이터 카(3)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반(전기제어시스템)이 설치된다. 미 설명 부호 7은 평형추 9는 로프이다.
한편, 상기 제어반은 마이크로 컴퓨터가 함께 장착되어 있고, 승강로(1) 및 기계실(5)에서 이루어지는 결선상태, 엘리베이터 카(3)의 에러검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치/보수 및 각종 입/출력 신호상태 등을 감시하고,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3)가 설치되는 빌딩의 정보에 맞는 사양 변경 및 기계적인 시스템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3)에 적용되는 데이터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엘리베이터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한 사양 변경 및 조정, 그리고 점검이나 각종 고장으로 인한 보수 행위가 상기의 제어반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작업자가 일련의 행위를 위해서는 반드시 제어반이 있는 기계실(5)에 접근해야함을 말한다. 현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점검하고 보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기계실(5)에 있는 제어반에 노트북이나 콘솔과 같은 서비스 툴(tool)을 직렬 또는 병렬 통신방식으로 연결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점검하고 보수하는 행위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다.
먼저, 작업자는 기계실(5)의 내부에서만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기계실(5) 외부에서 일어나는 각종 상황을 제대로 알 수 없다. 즉, 엘리베이터 카(2) 내부에서만 발견되는 진동, 출발시 충격, 이상 소음 등의 문제를 알 수 없고, 승장표시기 이상동작, 홀 부름 작동 이상문제, 엘리베이터 카(3)의 상부에서 확인이 가능한 장치 들에 대한 동작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을 하면서 조정할 수 없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3)가 멈춘 경우, 작업자는 기계실(5)까지 직접 가서 점검 및 보수를 해야만 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3)의 내부에 승객이 있는 경우라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엘리베이터를 정상 운행시켜 승객들을 안심시켜야 하지만, 현재의 보수 과정으로는 엘리베이터 카(3)를 재기동시키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잇다.
뿐만 아니라, 현재는 엘리베이터 카(3)가 멈춘 경우, 엘리베이터 카(3) 내부에 설치된 인터폰을 통해 관리자와 통화를 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관리자는 엘리베이터 카(3)의 고장 점검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없어, 승객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객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또 갑자기 엘리베이터 카가 다시 기동할 경우 승객들이 놀라거나 다칠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위한 조정, 보수 및 점검 행위 등을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관련설비가 연결된 어느 장소에서라도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다중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조정, 보수 및 점검 등의 행위를 작업자가 해당 개소에서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으로 인해 정지 상태인 엘리베이터 카를 원격 제어하여 최단 시간내에 엘리베이터 카를 재기동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점검 상태를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객들이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기계실의 제어반과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승강장에 각각 설치되는 접속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접속 커넥터에 연결하는 서비스 툴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승강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과의 원격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에 대한 점검 및 보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반의 제어 메인보드에 홀딩(holding) 되어 있는 에러(error)에 대해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가 안전 스위치 동작으로 운행 중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안전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안전 스위치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상 속도보다 느린 속도 이하로 운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툴을 통해 단계별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조정,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툴이 상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면,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진행 상태 정보를 통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먼저, 엘리베이터의 점검, 조정, 보수 동작을 종래 기계실로 한정하지 않고 작업자는 작업할 현장에서 직접 엘리베이터 카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으로 운행 중지된 경우에도 작업자는 서비스 툴을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장소에서 고장 에러에 대한 리셋 동작을 수행하거나 동작된 안전스위치를 바이 패스 시켜 엘리베이터 카를 최단 시간에 다시 운행시킬 수 있어 카 내부의 승객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 툴에 의한 각종 작업 내용을 카 내부의 승객들이 확인할 수 있어 승객들의 초조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의 재 기동시 승객들이 사전 준비를 할 수 있어 2차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보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다중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다중 제어장치를 위한 통신망이 구축된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점검, 보수 등의 제어동작을 위하여 여러 장소에서 서비스 툴을 사용하는 것을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다중 제어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다중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구축된 통신망을 연장하여 기계실의 제어반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승강장까지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반(100), 엘리베이터 카(110) 내부에 설치된 내부 조작반(112) 및 LCD(114), 각 층의 승강대에 설치되는 승강대 조작반(승장버튼)(120),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 설치된 접속박스(130)을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 구성한다. 상기 접속박스(130)는 통신망을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이다. 물론,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 직접 통신 라인을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 기 설치된 경우라면 상기의 접속박스(130)의 구성은 필요하지 않다.
상기 접속 박스(130) 및 상술한 제어반(100), 내부조작반(112), 승강대 조작반(120)에는 보수/점검/조정/사양변경 등을 할 수 있는 서비스 툴(노트북이나 콘솔 장비 등)(200)이 접속되도록 접속 커넥터(150)가 더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접속 커넥터(150)는 하나 이상의 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서비스 툴(200)에 형성된 다양한 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이에 맞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특정 케이블에 국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접속 커넥터(150)는 외부와 단절되게 기계적인 잠금장치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어반(100)은 상기 서비스 툴(200)의 원격 제어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반(1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비스 툴(200)에서 엘리베이터의 재 기동 요청이나 정지 상태인 엘리베이터 카를 일정 속도 이하로 기동하도록 하는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반은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하거나 동작중인 안전 스위치를 우회하는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제어반(100)은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기능의 하드웨어 장치가 장착되어어져 있고, 해당 기능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100)은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과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물론, 상기 제어반(100)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운행정보나 고장정보 등을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툴(200)로부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반(100)은 상기 서비스 툴(200)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비스 툴(200)은 상기 LCD(114)로 현재 작업자가 수행하고 있는 진행 사항이나 기타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는 고장으로 멈춘 엘리베이터 카(110) 내부의 승객들에게 초조함을 최소화하도록 보수 작업이 수행되고 있는 사실이나 엘리베이터 카(110)가 재 기동시 승객들이 사전 준비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장치를 위한 통신망이 구축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 중 도 3은 승강로 및 기계실에 통신망이 구축된 예이고 도 4는 엘리베이터 카에서의 통신망이 구축된 예이다.
도 3을 보면, 기계실의 제어반(100)에서 통신라인이 승강로(A)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통신라인(300)은 건물의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다양한 장치 등과 연결된다. 즉 홀 부름 버튼, 수직형 표시장치, 수평형 표시장치 등을 말할 수 있다. 이들 장치에는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는 접속 커넥터(150)가 형성된다. 이때 통신라인(300)을 연장하기 위하여 통신라인(300) 사이에 결합 브라켓과 같은 인터페이스 수단(310)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인터페이스 수단(310)은 승강로(A)의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도 4를 보면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서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점검, 조정, 보수 등을 행할 수 있도록 접속 박스(130)가 설치된다. 상기 접속 박스(130)에도 접속 커넥터(15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제어 대상에 따라 2가지 방식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사양변경 및 조정 제어
이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정보에 맞게 사양 변경 및 기계적인 시스템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기동하기 필요한 데이터 값으로 조정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종래에는 작업자는 반드시 기계실에서만 제어반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데이터 값을 조정하거나 변경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작업자는 기계실에 접근할 필요없이 엘리베이터 카(110)의 내부 및 외부, 승강장 등 작업자가 작업하기 쉬운 위치에서 바로 접속 커넥터에 서비스 툴(200)을 접속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점검 및 보수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점검은 어느 특정 부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카(110)의 운행과 관련하여 엘리베이터 카(110)의 내부나 상부, 또한 승강장에서 점검 요인은 발생한다.
즉, 엘리베이터 카(110)의 진동이나 출발시 충격, 소음 등은 엘리베이터 카(110)의 내부에서 점검하는 것이 좋다. 또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는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장치들의 동작 상태 등은 카(110) 상부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 승강장에서는 표시기 고장, 홀 부름 작동 이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장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들 점검 행위들에 대해서 종래에는 작업자는 기계실에 가서 제어반(10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점검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점검은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확인을 하면서 조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는 점검할 대상에 따라 작업자는 점검할 부분을 직접 확인하면서 점검 및 조사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점검할 대상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100)의 내부 또는 상부, 승강대에 각각 설치된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접속하고 제어반(100)과의 통신을 통해 점검을 수행함으로서 점검 항목을 직접 확인하면서 점검이 가능하다.
이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예컨대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기계실에 있는 제어반(10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작업자는 서비스 툴(200)과 제어반(100)을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 작업자가 승강장에서 제어동작을 할 경우이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승강장의 승강대 조작반(120)에 형성된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케이블로 연결한다.
또 다른 예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110) 내부에서 서비스 툴(2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110) 내부에 있는 내부 조작반(112)에 형성된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면 된다. 또한 상기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 있는 접속 박스(130)의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하여 그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부에서 직접 서비스 툴(2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접속 커넥터(150)에 연결된 서비스 툴(200)은 통신망을 통해 제어반(100)과 연결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제어반(100)을 원격 제어하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에는 엘리베이터 카(110)가 고장으로 인하여 운행이 멈춘 경우에 서비스 툴(200)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110)를 다시 운행시키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엘리베이터 카(110)가 운행 도중 멈추게 되면 최단 시간에 내부에 갇힌 승객을 구출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다시 운행되게 해야 하는데, 다음의 2가지 방안이 제안된다.
첫번 째, 엘리베이터 카(110)을 리셋(reset) 시키는 경우이다.
엘리베이터 카(110)가 운행 중 고장으로 인하여 승강로(A)의 소정 위치에서 멈추면 제어반(100)은 이를 감지하고 고장 발생 상태를 여러 채널을 통해 관리자나 작업자에게 통보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카(100)를 최단 시간에 다시 구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장소에 있는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연결한다. 이 예를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즉 작업자는 고장발생시 그 원인을 확인해야 하는데 이때 기계실에 올라가지 않고서도 서비스 툴(200)을 1층이나 기준층에서 승강대 조작반(120)의 접속 커넥터(150)에 연결하고 일련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반(100)은 현재의 고장 발생 원인 정보를 상기 서비스 툴(200)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의 고장 발생원인 정보는 상기 제어반(100)이 통신망을 통해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고장 발생 원인을 확인하면 엘리베이터 카(110)의 주 전원을 차단 및 복구하지 않고서도 서비스 툴(200)을 제어반(100)에 원격 접속하여 제어반(100)의 제어 메인 보드 상에 홀딩(Holding) 되어 있는 에러(errer)에 대해 리셋 동작을 수행하여 엘리베이터가 재 기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고장 원인 등에 정보는 제어반(100)이 임시적으로 저장한 상태이다.
이 처럼 리셋 동작만으로 엘리베이터를 재 기동할 수 있는 것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중 70% 이상이 주 전원을 차단하고 복구하는 것만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자는 고장 원인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원격 조작에 의한 리셋 동작으로 엘리베이터를 다시 운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두번 째, 고장으로 인해 정지 상태인 엘리베이터 카(110)를 일정 속도 이하로 운행시키는 경우이다.
엘리베이터 카(110)의 운행 중 고장이나 안전 사고 등으로 엘리베이터 카(110)의 운행이 중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대부분은 엘리베이터 카(110)의 구동과 관련된 안전 스위치가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카(110)가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을 접속한다. 접속된 서비스 툴(200)은 제어반(100)을 원격 제어할 수 있고, 이에 제어반(100)은 현재 동작된 안전 스위치가 어느 위치에 설치된 안전 스위치인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상기 서비스 툴(200)로 전송되고, 따라서 작업자는 동작된 안전 스위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어반(100)을 원격 제어하여 현재 동작된 안전 스위치를 바이 패스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엘리베이터 카(110)를 일정 속도 이하로만 운행을 시키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사용자 인증이나 기능 수행을 위한 단계별 인증 절차를 반드시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엘리베이터 카(110) 내의 승객 안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안전 스위치가 동작한 경우에 상술한 인증 절차를 거쳐 엘리베이터 카(110)가 일정 속도 이하로만 운행되도록 하는 기능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미리 설정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 속도라고 함은 엘리베이터 카(110)가 정상적으로 운행할 때의 속도 보다 느린 속도를 말하고 있는 것으로서, 정상 속도 대비 50%, 30%, 10% 등과 같이 초기 설정값에 의해 그 값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10)가 운행 중지된 경우라도 작업자는 서비스 툴(200)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110)를 정상적으로 운행시키기 이전이라도 임시적으로 엘리베이터 카(110)를 일정 속도 이하로 구동시킬 수 있어 카 내부의 승객을 빠른 시간에 외부로 빠져 나오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툴(200)은 엘리베이터 카(110)의 고장으로 인해 접속 커넥터(150)에 서비스 툴(200)이 연결된 시점부터 점검이나 고장을 수리하기 까지의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승객들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는 상기 서비스 툴(200)이 접속 커넥터(150)에 접속하기만 하면 일련의 프로그램된 데이터가 LCD(114)와 같은 출력수단을 통해 통보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 툴(200)의 접속 상태를 상기 제어반(100)이 인지하여 제어반(100)에 의해 LCD(114)에 관련 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장 수리가 완료되어 엘리베이터 카(110)가 재 기동시 승객들에게 수리가 완료되어 엘리베이터 카(110)가 재 기동됨을 통보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갑자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재 기동될 때의 충격 등에 승객들이 대비할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110) 및 관련 설비 등에 대한 점검, 조정, 보수 등의 동작을 기계실에 국한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 등에서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고장시 리셋 동작이나 회로의 바이 패스 기능을 이용하여 최단 시간에 엘리베이터 카를 재 기동되게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업자 1인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점검, 조정 및 보수 등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복수의 작업자가 각자 접속 커넥터에 서비스 툴을 연결하여 다중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제어반 110 : 엘리베이터 카
112 : 내부 조작반 120 : 승강대 조작반
130 : 접속 박스 150 : 접속 커넥터
200 : 서비스 툴(service tool)

Claims (4)

  1. 기계실의 제어반과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승강장에 설치되는 접속 커넥터와, 상기 접속 커넥터에 연결하는 서비스 툴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툴은 어느 하나의 접속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과의 원격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카 및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에 대한 점검 및 보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조정,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툴이 상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면,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진행 상태 정보를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툴은 상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반의 제어 메인보드에 홀딩(holding)되어 있는 에러(error)에 대해 리셋(reset)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안전 스위치 동작으로 운행 중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툴은 단계별 인증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안전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안전 스위치를 바이-패스(By-Pass)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상 속도보다 느린 속도 이하로 운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4. 삭제
KR1020120008447A 2012-01-27 2012-01-27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Active KR10135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447A KR101352610B1 (ko) 2012-01-27 2012-01-27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447A KR101352610B1 (ko) 2012-01-27 2012-01-27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254A KR20130087254A (ko) 2013-08-06
KR101352610B1 true KR101352610B1 (ko) 2014-01-22

Family

ID=4921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447A Active KR101352610B1 (ko) 2012-01-27 2012-01-27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018B1 (ko) 2021-10-29 2023-01-03 (주)엠투엠테크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승강기 고장부위 및 필요자재 예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374B2 (en) 2017-07-17 2019-03-26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tool proximity detection
US10669122B2 (en) 2017-07-17 2020-06-02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tool location-based function availability
KR101909654B1 (ko) 2017-07-24 2018-10-18 박재성 Maps 기반 승강 및 물류 설비 검측 시스템
ES2935621T3 (es) 2019-01-11 2023-03-08 Kone Corp Un sistema de monitorización a distancia y un procedimiento para monitorizar a distancia un sistema de asc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847A (ja) * 1995-12-13 1997-06-1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案内表示装置
JPH10316324A (ja) * 1997-05-15 1998-12-0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060093737A (ko) * 2002-04-12 2006-08-25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KR100711389B1 (ko) * 2005-10-24 2007-05-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 및 그 동작 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847A (ja) * 1995-12-13 1997-06-1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案内表示装置
JPH10316324A (ja) * 1997-05-15 1998-12-0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060093737A (ko) * 2002-04-12 2006-08-25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KR100711389B1 (ko) * 2005-10-24 2007-05-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 및 그 동작 시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018B1 (ko) 2021-10-29 2023-01-03 (주)엠투엠테크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승강기 고장부위 및 필요자재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62463A (ko) 2021-10-29 2023-05-09 (주)엠투엠테크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승강기 고장부위 및 필요자재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254A (ko)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9529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KR101352610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CN103204419B (zh) 电子安全电梯
CN110271926A (zh) 电梯系统中的自动救援操作
JP5599530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KR20160043642A (ko)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WO2015198459A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CN111453577A (zh) 一种电梯上行超速测试方法
JP6814126B2 (ja) 電力変換装置
JP473794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170116748A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KR102469078B1 (ko) 비상통화장치를 활용한 승객 구출 시스템
JP6987901B2 (ja) 遠隔監視支援装置
JP6251652B2 (ja) 制御基板
JP6193822B2 (ja) 制御基板
JP5599531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JP5611491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JP2012030916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救出運転装置
JP7192081B2 (ja) 遠隔監視支援装置
JP7475799B2 (ja) エレベーターの監視方法
JPH09249360A (ja) エレベーターのリミットスイッチ動作点検装置
WO2015004792A1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539976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130129156A (ko) 엘리베이터 상태 감시 시스템
JP5599532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