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2198B1 -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198B1
KR101352198B1 KR1020110143879A KR20110143879A KR101352198B1 KR 101352198 B1 KR101352198 B1 KR 101352198B1 KR 1020110143879 A KR1020110143879 A KR 1020110143879A KR 20110143879 A KR20110143879 A KR 20110143879A KR 101352198 B1 KR101352198 B1 KR 101352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ant supply
supply gas
heat exchanger
oxidant
h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492A (ko
Inventor
김민기
조인정
이상훈
Original Assignee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198B1/ko
Priority to PCT/KR2012/011217 priority patent/WO2013100490A1/ko
Priority to CN201280065268.2A priority patent/CN104170139B/zh
Priority to US14/368,855 priority patent/US9435230B2/en
Priority to JP2014549975A priority patent/JP2015503830A/ja
Priority to EP12863106.6A priority patent/EP2800186B1/en
Publication of KR2013007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1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7/00Plants for converting heat or fluid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7/02Plants modified to use their waste heat, other than that of exhaust, e.g. engine-friction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1/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t gases or unheated pressurised gases, as the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1/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t gases or unheated pressurised gases, as the working fluid
    • F02C1/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t gases or unheated pressurised gases, as the working fluid the working fluid being heated indirect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8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using the waste heat of gas-turbine plants outside the plants themselves, e.g. gas-turbine power heat p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01M8/04022Heating by combus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1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using a compressor turbine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공기를 포함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압축하는 압축수단, 및 산화제 공급가스를 팽창시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팽창수단을 구비하는 열기관, 연료가스를 공급받는 연료극, 산화제 공급가스를 공급받는 공기극, 및 연료극으로부터 배기되는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미반응 연료가스를 연소시켜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하는 촉매연소기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압축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와 공기극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극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 및 제1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와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제2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는 팽창수단을 거쳐 촉매연소기로 공급되고,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는 제2 열교환기를 거쳐 공기극으로 공급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FUEL CELL HYBRID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연료전지를 열기관과 연계시켜, 또는 연료전지를 열기관뿐만 아니라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와도 연계시켜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킨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탄화수소 연료에 저장된 화학 에너지를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장치이다. 즉, 연료전지는 연료극에서의 수소 산화반응과 공기극에서의 산소 환원반응에 의해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반응을 위해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극에는 연료가스(수소)를 공급하여야 하고,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극에는 공기(산소)를 공급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은 크게 연료전지 스택(Stack),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 EBOP(Electrical Balance of Plant)로 구성된다. 연료전지 스택은 전기화학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구성이고, MBOP는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구성이며, EBOP는 연료전지 스택으로터의 직류전기를 인버터(inverter) 등을 통해 교류전기로 변환하여 필요한 곳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한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와 같은 고온형 연료전지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전기를 생산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보다 상술하면, 천연가스(Natural Gas)와 같은 연료가스는 통상 황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황은 후술할 개질기(20)의 개질 촉매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연료가스는 우선 탈황기(미도시)를 통해 탈황되어야 한다. 그리고 후술할 개질기(20)에서 일어나는 개질반응은 물을 필요로 하는데, 액상의 물은 개질 촉매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개질기(20)에는 연료가스와 함께 기상의 물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연료가스는 가습 열교환기(10)를 거치면서 가습(加濕)된다. 가습 열교환기(10)는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극(44)으로부터 배기되는 고온의 공기극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액상의 물을 기화시킨다. 이렇게 탈황되고 가습된 연료가스는 전개질기(20, Pre-Reformer)에서 수소로 개질된다. 이러한 수소는 열교환기(30)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필요한 온도로 가열된다. 그런 다음 수소는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극(4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극(44)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공기(산소)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연료전지는 통상적으로 대기와 같은 산화제 공급원(Air Source)으로부터 산화제 공급가스를 공기극(44)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산화제 공급가스는 공기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공기극 배기가스 중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공기와 혼합시킨 가스일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산화제 공급가스는 공기극(44)으로 공급되기 위해 적당한 온도로 가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열을 위해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미반응 연료가스를 연소시켜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하는 촉매연소기(50)를 사용한다. 이렇게 가열된 산화제 공급가스는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극(44)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전기뿐만 아니라 열도 생산하기 때문에,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와 같은 고온형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열을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시스템 전체의 효율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열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현재 다양하게 강구되고 있다. 일례로 이러한 열을 난방 열원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열을 난방 열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난방 열원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연료전지 시스템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러한 열을 열기관(예를 들어, 가스터빈)이나 유기 랭킨 사이클(Organic Rankine Cycle, ORC) 장치에서 활용하는 방법들이 강구되기도 한다. 여기서 열기관은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말하고,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는 중저온의 폐열을 동력으로 회수하여 터빈을 돌리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에서도 연료전지와 열기관을 연계시키는 과정에서, 또는 연료전지와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를 연계시키는 과정에서 연료전지로부터 생산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연료전지를 열기관과 연계시키거나, 또는 연료전지를 열기관뿐만 아니라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와 연계시키면서도 연료전지로부터 생산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공기를 포함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압축하는 압축수단, 및 산화제 공급가스를 팽창시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팽창수단을 구비하는 열기관, 연료가스를 공급받는 연료극, 산화제 공급가스를 공급받는 공기극, 및 연료극으로부터 배기되는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미반응 연료가스를 연소시켜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하는 촉매연소기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압축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와 공기극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극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 및 제1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와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는 팽창수단을 거쳐 촉매연소기로 공급되고,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는 제2 열교환기를 거쳐 공기극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공기극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극 배기가스가 가지는 열뿐만 아니라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가 가지는 열도 열기관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열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로부터의 열을 낭비 없이 활용할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기관으로 전달하고 남은 열까지도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로 전달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
도 3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연료전지(100)와 열기관(200)을 모두 포함한다. 우선 열기관(200)에 대해 상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기관(200)은 압축수단(210)과 팽창수단(220)을 구비한다. 압축수단(210)은 대기와 같은 산화제 공급원(Air Source)으로부터 산화제 공급가스를 공급받아 압축시키는 구성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수단(210)은 기체를 압축하는 통상의 압축기(compressor)일 수 있다.
이렇게 압축된 산화제 공급가스는 제1 열교환기(510)를 통해 가열된다. 이를 위해 제1 열교환기(510)는 압축수단(210)으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와 공기극(144)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극 배기가스를 열교환시켜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한다. 공기극 배기가스는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하기에 충분하다. 그런데 이러한 제1 열교환기(510)는 제1 내부 열교환기(512)와 제1 외부 열교환기(5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부 열교환기(512)는 연료전지(100)를 구성하는 스택 모듈(Stack Module)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이고, 제1 외부 열교환기(514)는 스택 모듈의 외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이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를 스택 모듈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구비하면 스택 모듈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1 열교환기(510)를 통해 가열된 산화제 공급가스는 제2 열교환기(520)를 통해 더욱 가열된다. 이러한 제2 열교환기(520)는 제1 열교환기(510)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와 촉매연소기(150)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열교환시켜 제1 열교환기(510)를 거친 산화제 공급가스를 더욱 가열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촉매연소기(150)는 연료극(142)으로부터 배기되는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미반응 연료가스를 연소시켜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하기 때문에, 촉매연소기(150)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도 제1 열교환기(510)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하기에 충분한 온도를 가진다.
이러한 압축과 가열의 과정을 거친 고온 고압의 산화제 공급가스는 팽창수단(220)에서 팽창되며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팽창수단(220)은 고압 고압의 가스가 팽창되며 터빈을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팽창터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창수단(220)에서 발생한 기계적 에너지는 압축수단(210)에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기(230, generator)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팽창수단(220)에서 발생한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230)를 구동시키면 연료전지(100)에서뿐만 아니라 열기관(200)에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연료전지(100)에서 생산된 열이 열기관(200)에서 활용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공기극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극 배기가스가 가지는 열(제1 열교환기 참조)뿐만 아니라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가 가지는 열(제2 열교환기 참조)도 열기관(200)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열기관(200)에서 필요로 하는 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100)로부터의 열을 낭비 없이 활용할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팽창수단(220)으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는 전술한 촉매연소기(150)로 공급된다. 그런데 열기관(200)을 거친 산화제 공급가스만을 촉매연소기(150)로 공급하다 보면 공기극(144)에 충분한 양의 산화제 공급가스를 공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열기관(200)에서 기계적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양과 연료전지(100)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양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산화제 공급가스를 압축수단(210)뿐만 아니라 촉매연소기(150)로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산화제 공급가스가 열기관(200)을 거쳐 촉매연소기(150)로 공급되는 것에 더해서, 선택적으로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산화제 공급가스가 촉매연소기(15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촉매연소기(150)로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조절 밸브(5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촉매연소기(150)로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버너(5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료전지(100)가 가동을 시작할 때나, 또는 연료전지(100)에 걸리는 부하가 50% 이하일 때에는 연료전지(100)에서 충분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연료전지(100)가 작동에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필요한 열을 별도로 공급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전술한 버너(535)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버너(535)를 통해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한 다음에 촉매연소기(150)로 공급하면, 연료전지(100)만으로는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산화제 공급가스가 가지는 열로부터 연료전지(100)를 필요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산화제 공급가스를 압축수단(210)뿐만 아니라 촉매연소기(150)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로도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산화제 공급가스는 촉매연소기(150)를 거치면서 가열되기 때문에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보다 온도가 높다. 이에 따라 촉매연소기(150)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에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의 산화제 공급가스를 공급하면 촉매연소기(150)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양을 조절하면 촉매연소기(150)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부하로 인해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양을 증가시켜 공기극(144)으로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즉,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온도를 낮추면,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도 낮아질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이러한 온도 조절을 위해, 즉 촉매연소기(150)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로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2 조절 밸브(5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조절 밸브(531)와 제2 조절 밸브(532)에 더해서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압축수단(210)으로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3 조절 밸브(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조절 밸브(533)는 결과적으로 팽창수단(220)으로 유입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열기관(200)에서 생산되는 기계적 에너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술한 3개의 밸브(531, 532, 533)를 통해 열기관(200)에서 필요로 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양, 연료전지(100)에서 필요로 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양, 그리고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양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산화제 공급가스를 연료전지(100)나 열기관(200)으로 공급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송풍기(540, air blow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기극(144)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극 배기가스는 전술한 열기관(200)에 열을 제공한 이후에도 어느 정도 고온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열을 더 활용할 수 있다면 시스템 전체의 효율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중저온의 폐열을 동력으로 회수하여 터빈을 돌리는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300)는, 제1 열교환기(5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극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작동 유체를 가열하는 제3 열교환기(310), 제3 열교환기(310)를 통해 가열된 작동 유체를 팽창시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팽창터빈(320), 팽창터빈(320)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를 응측시키는 응축기(330), 및 응축기(330)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를 압송(壓送)하는 펌프(340)를 구비한다.
팽창터빈(320)은 전술한 팽창수단(220)과 유사하게 발생한 기계적 에너지로 발전기(360)를 구동시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응축기(330)는 작동 유체를 응축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찬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300)는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펌프(340)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와 팽창터빈(320)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를 열교환시키는 제4 열교환기(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300)는 작동 유체로 물보다 비등점이 낮고 증기압이 높은 유기 매체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연료전지(100)뿐만 아니라, 열기관(200),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300)를 통해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열기관(200)과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300)에서 필요로 하는 열은 연료전지(10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설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시스템(도 2 참조)은 연료전지(100)로부터의 폐열을 열기관(200)뿐만 아니라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300)에서도 활용하기 때문에, 아래 표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종래의 연료전지만을 포함하는 시스템(도 3 참조)에 비해 향상된 효율을 가질 수 있다(아래 표는 정격 출력 시에 얻어지는 데이터이다).
구분 도 2에 따른 시스템 도 3에 따른 시스템
천연가스의 공급량 [1b/hr] 961 961
연료전지 DC [kW] 3017 3017
AC [kW] 2896 2896
Inverter loss (4%) [kW] 121 121
MBOP loss [kW] 19 99
열기관 압축기(효율 82.7%)
소비 전력 [kW]
771
팽창터빈(효율 93%)
발생 전력 [kW]
1279
ORC 장치
(15%)
발생 전력 [kW] 145
시스템 전체 출력[kW] 3533 2800
총 전기 효율[%] 대략 59 대략 4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연료전지 142: 연료극
144: 공기극 200: 열기관
210: 압축수단 220: 팽창수단
230: 발전기 300: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
310: 제3 열교환기 320: 팽창터빈
330: 응축기 340: 펌프
350: 제4 열교환기 360: 발전기
510: 제1 열교환기 512: 제1 내부 열교환기
514: 제1 외부 열교환기 520: 제2 열교환기
531: 제1 조절 밸브 532: 제2 조절 밸브
533: 제3 조절 밸브 535: 버너
540: 송풍기

Claims (10)

  1. 공기를 포함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압축하는 압축수단, 및 상기 산화제 공급가스를 팽창시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팽창수단을 구비하는 열기관;
    연료가스를 공급받는 연료극, 상기 산화제 공급가스를 공급받는 공기극, 및 상기 연료극으로부터 배기되는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미반응 연료가스를 연소시켜 상기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하는 촉매연소기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상기 압축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와 상기 공기극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극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 및
    상기 제1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와 상기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는 상기 팽창수단을 거쳐 상기 촉매연소기로 공급되고, 상기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공기극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상기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스택 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내부 열교환기, 및 상기 스택 모듈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 외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공급가스를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산화제 공급가스를 상기 압축수단과 함께 상기 촉매연소기로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촉매연소기로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촉매연소기로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를 가열하는 버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공급가스를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산화제 공급가스를 상기 압축수단과 함께 상기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로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촉매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산화제 공급가스로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8.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압축수단으로 공급되는 산화제 공급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3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극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작동 유체를 가열하는 제3 열교환기,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된 작동 유체를 팽창시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팽창터빈, 상기 팽창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를 응측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를 압송(壓送)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유기 랭킨 사이클(organic rankine cycle)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기 랭킨 사이클 장치는 상기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와 상기 팽창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를 열교환시키는 제4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0110143879A 2011-12-27 2011-12-27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352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79A KR101352198B1 (ko) 2011-12-27 2011-12-27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PCT/KR2012/011217 WO2013100490A1 (ko) 2011-12-27 2012-12-21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CN201280065268.2A CN104170139B (zh) 2011-12-27 2012-12-21 燃料电池混合动力系统
US14/368,855 US9435230B2 (en) 2011-12-27 2012-12-21 Fuel cell hybrid system
JP2014549975A JP2015503830A (ja) 2011-12-27 2012-12-21 燃料電池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EP12863106.6A EP2800186B1 (en) 2011-12-27 2012-12-21 Fuel cell hybri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79A KR101352198B1 (ko) 2011-12-27 2011-12-27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492A KR20130075492A (ko) 2013-07-05
KR101352198B1 true KR101352198B1 (ko) 2014-01-16

Family

ID=4869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8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2198B1 (ko) 2011-12-27 2011-12-27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35230B2 (ko)
EP (1) EP2800186B1 (ko)
JP (1) JP2015503830A (ko)
KR (1) KR101352198B1 (ko)
CN (1) CN104170139B (ko)
WO (1) WO20131004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905A (ko) * 2014-04-22 2015-10-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체산화물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3665A1 (de) * 2012-03-08 2013-09-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turbinenbeheizte Hochtemperatur-Batterie
DE112014003274T5 (de) 2013-07-15 2016-04-07 Ormat Technologies Inc. Erzeugung von Energie aus Abwärme von Brennstoffzellen
KR101596721B1 (ko) * 2013-07-23 2016-02-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 이를 포함한 복합발전시스템 및 복합발전방법
WO2015099417A1 (ko) * 2013-12-23 2015-07-02 김영선 전기자동차 발전시스템
CN104612771B (zh) * 2015-01-27 2016-06-29 沈天昱 一种orc制取压缩空气的装置及方法
US11309563B2 (en) * 2016-04-21 2022-04-19 Fuelcell Energy, Inc. High efficiency fuel cell system with hydrogen and syngas export
CA3117964C (en) 2016-04-21 2023-10-17 Fuelcell Energy, Inc. Molten carbonate fuel cell anode exhaust post-processing for carbon dioxide capture
CN116435559A (zh) 2016-04-29 2023-07-14 燃料电池能有限公司 甲烷化阳极废气以提高二氧化碳捕获
US10541433B2 (en) 2017-03-03 2020-01-21 Fuelcell Energy, Inc. Fuel cell-fuel cell hybrid system for energy storage
US10573907B2 (en) 2017-03-10 2020-02-25 Fuelcell Energy, Inc. Load-following fuel cell system with energy storage
US10978723B2 (en) * 2018-09-05 2021-04-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uel cell secondary power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s
JP7286769B2 (ja) 2018-11-30 2023-06-05 エクソンモービル・テクノロジー・アンド・エンジニアリング・カンパニー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のカソード集電体構造
JP7258144B2 (ja) 2018-11-30 2023-04-14 フュエルセル エナ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o2利用率を向上させて動作させる燃料電池のための改質触媒パターン
KR102243330B1 (ko) * 2019-10-30 2021-04-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4중 결합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KR102243329B1 (ko) * 2019-10-30 2021-04-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4중 결합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KR102243328B1 (ko) * 2019-10-30 2021-04-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4중 결합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WO2021107933A1 (en) 2019-11-26 2021-06-0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module assembly and systems using same
US12334607B2 (en) 2019-11-26 2025-06-17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assembly with external manifold for parallel flow
KR20230011914A (ko) 2020-03-11 2023-01-25 퓨얼셀 에너지, 인크 탄소 포집을 위한 증기 메탄 개질 유닛
US12123353B2 (en) 2021-05-04 2024-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fuel cell and engine combustor assembly
US12202616B2 (en) 2021-11-04 2025-01-21 General Electric Company Relight of a propulsion system with a fuel cell
US11794912B2 (en) 2022-01-04 2023-10-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emissions with a fuel cell
US11719441B2 (en) 2022-01-04 2023-08-0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utput products to a combustion chamber of a gas turbine engine
US12123361B2 (en) 2022-01-04 2024-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utput products to a combustion chamber of a gas turbine engine
US11933216B2 (en) 2022-01-04 2024-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utput products to a combustion chamber of a gas turbine engine
US12037952B2 (en) 2022-01-04 2024-07-1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utput products to a combustion chamber of a gas turbine engine
US11970282B2 (en) 2022-01-05 2024-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Aircraft thrust management with a fuel cell
US12034298B2 (en) 2022-01-10 2024-07-09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source for an aircraft
US12351329B2 (en) 2022-01-21 2025-07-0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 of operating a fuel cell assembly
US11804607B2 (en) 2022-01-21 2023-10-31 General Electric Company Cooling of a fuel cell assembly
US12074350B2 (en) 2022-01-21 2024-08-27 General Electric Company Solid oxide fuel cell assembly
US12037124B2 (en) 2022-01-21 2024-07-1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 of operating a fuel cell assembly
US12129789B2 (en) 2022-02-21 2024-10-2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 of operating a fuel cell assembly, a gas turbine engine, or both
US12170390B2 (en) 2022-02-21 2024-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 of operating a fuel cell assembly, a gas turbine engine, or both
US11967743B2 (en) 2022-02-21 2024-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fuel cell assembly
CN114976154B (zh) * 2022-02-22 2024-05-10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基于燃料电池和内燃机的混合动力系统和调控方法
US12025061B2 (en) 2022-04-04 2024-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engine with fuel cell assembly
US12043406B2 (en) * 2022-05-27 2024-07-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operating a fuel cell assembly for an aircraft
US11817700B1 (en) 2022-07-20 2023-11-14 General Electric Company Decentralized electrical power allocation system
US12301002B2 (en) 2022-08-26 2025-05-13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dispatch control system for multiple power generation sources
US11859820B1 (en) 2022-11-10 2024-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combustion section having an integrated fuel cell assembly
US11923586B1 (en) 2022-11-10 2024-03-05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combustion section having an integrated fuel cell assembly
US12078350B2 (en) 2022-11-10 2024-09-03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combustion section having an integrated fuel cell assembly
US12240613B2 (en) 2022-11-10 2025-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combustion section having an integrated fuel cell assembly
CN118532266A (zh) * 2023-02-23 2024-08-23 通用电气公司 燃气涡轮发动机和燃料电池组件
CN118532265A (zh) 2023-02-23 2024-08-23 通用电气公司 燃气涡轮发动机和燃料电池组件
CN118532263A (zh) 2023-02-23 2024-08-23 通用电气公司 燃气涡轮发动机和燃料电池组件
US12084993B1 (en) 2023-03-30 2024-09-10 Fca Us Llc Thermal accumulator assembly
US12158097B2 (en) 2023-03-30 2024-12-03 Fca Us Llc Thermal accumulator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70B1 (ko) * 2006-05-30 2006-11-30 한국기계연구원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장치
JP2008008224A (ja) * 2006-06-29 2008-01-17 Denso Corp 廃熱利用装置
KR20110032532A (ko) * 2009-09-23 2011-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법을 이용한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210A (en) * 1976-08-30 1977-08-0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Pressurized high temperature fuel cell power plant with bottoming cycle
US4522894A (en) * 1982-09-30 1985-06-11 Engelhard Corporation Fuel cell electric power production
US4865926A (en) * 1988-08-24 1989-09-12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Hydrogen fuel reforming in a fog cooled fuel cell power plant assembly
CA2253936C (en) * 1996-05-10 2006-01-31 Paques Bio Systems B.V.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gases containing hydrogen sulphide
JP3659276B2 (ja) * 1996-07-03 2005-06-15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装置
US6365290B1 (en) 1999-12-02 2002-04-02 Fuelcell Energy, Inc. High-efficiency fuel cell system
JP3750597B2 (ja) * 2001-12-18 2006-03-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触媒燃焼器
JP4022095B2 (ja) 2002-04-30 2007-12-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モジュール及び燃料電池モジュールの起動方法
JP3664150B2 (ja) 2002-05-14 2005-06-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7428816B2 (en) * 2004-07-16 2008-09-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orking fluids for thermal energy conversion of waste heat from fuel cells using Rankine cycle systems
US20060099469A1 (en) * 2004-11-05 2006-05-11 Meltser Mark A Control apparatus to improve start-up time in a PEM fuel cell power module
US20100104903A1 (en) * 2005-12-23 2010-04-29 Mallika Gummalla Power Plant With Membrane Water Gas Shift Reactor System
US8394552B2 (en) * 2006-09-19 2013-03-1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Jet fuel based high pressure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US7862938B2 (en) * 2007-02-05 2011-01-04 Fuelcell Energy, Inc. Integrated fuel cell and heat engine hybrid system for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JP2010071091A (ja) * 2008-09-16 2010-04-0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複合発電システム
EP2360764A4 (en) 2008-11-18 2014-03-12 Tokyo Gas Co Ltd MCF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EP2419621A4 (en) * 2009-04-17 2015-03-04 Echogen Power System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T PROBLEMS IN GAS TURBINE ENGINES
JP5529618B2 (ja) * 2010-04-21 2014-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70B1 (ko) * 2006-05-30 2006-11-30 한국기계연구원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장치
JP2008008224A (ja) * 2006-06-29 2008-01-17 Denso Corp 廃熱利用装置
KR20110032532A (ko) * 2009-09-23 2011-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법을 이용한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905A (ko) * 2014-04-22 2015-10-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체산화물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5933B1 (ko) 2014-04-22 2017-01-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체산화물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0186A4 (en) 2015-05-13
US20140352309A1 (en) 2014-12-04
WO2013100490A1 (ko) 2013-07-04
KR20130075492A (ko) 2013-07-05
US9435230B2 (en) 2016-09-06
EP2800186B1 (en) 2018-02-28
CN104170139B (zh) 2017-05-17
CN104170139A (zh) 2014-11-26
JP2015503830A (ja) 2015-02-02
EP2800186A1 (en)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198B1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0651270B1 (ko)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장치
CN111952642B (zh) 高效低振噪燃料电池发电系统
JP2008180131A (ja) 複合発電設備
CN212725394U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热电联供装置
US20120315562A1 (en) Complex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heated water thereof
JP200823499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4568486B2 (ja) ハイブリッド型燃料電池システム
KR20020031686A (ko)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효율 향상 장치 및 방법
JPH11238520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KR101596721B1 (ko) 연료전지, 이를 포함한 복합발전시스템 및 복합발전방법
CN115411297B (zh) 一种燃料电池发电系统
JP4192023B2 (ja) 熱電供給システム
JP2008078144A (ja) 燃料電池−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及び複合発電設備
JP4578787B2 (ja) ハイブリッド型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1015134A (ja) 燃料電池とガスタービンの複合発電装置
JP2000348749A (ja) 燃料電池発電プラントの起動方法
JP3072630B2 (ja) 燃料電池複合発電装置
KR101447335B1 (ko) 배열을 활용한 스팀터빈 연계 고효율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JP3897149B2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スターリングエンジンコンバインドシステム
JP3546234B2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内燃式スターリングエンジンコンバインドシステム
KR20140046837A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JP2001076750A (ja) 高温燃料電池設備
KR20140081081A (ko) 가열통합형 연료전지 모듈
JP2004111130A (ja) 燃料電池とマイクロガスタービンのコンバインド発電設備の熱電比変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