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2095B1 -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 Google Patents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95B1
KR101352095B1 KR1020120053148A KR20120053148A KR101352095B1 KR 101352095 B1 KR101352095 B1 KR 101352095B1 KR 1020120053148 A KR1020120053148 A KR 1020120053148A KR 20120053148 A KR20120053148 A KR 20120053148A KR 101352095 B1 KR101352095 B1 KR 10135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le
suction
tower
substructure
float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929A (ko
Inventor
이종구
황민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시설물이 탑재되는 타워; 상기 타워를 지지하도록 상기 타워의 하부에 설치되며, 해저 지반에 관입되는 석션파일; 및 상기 석션파일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파일을 부유시키는 부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은 석션파일의 상부에 부유체를 설치하여 자체 부유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대형 바지선이 필요없이 예인선만 있으면 석션파일을 해상에서 운반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석션파일 하부구조물{SUCTION PILE SUB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풍력발전기 등과 같은 해상시설물을 해저 지반에 고정하는 하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체 부유가 가능한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규제와 화석연료의 수급불안 등의 문제점이 대두됨으로써 신재생 에너지 생산시스템으로서의 풍력발전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주로 육상에 설치되어 왔으나, 점차적으로 해상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풍력발전을 위해 해상은 육상에 비해 바람의 질이 대체로 좋은 편이며, 날개 소음 문제에 있어서도 보다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경제성 확보를 위해서는 대규모의 단지 확보가 요망되는데 육상에는 이러한 단지를 구비하기 어려워, 연안이나 근해의 해상이 대단위 해상풍력단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해상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풍력발전기를 해저 지반에 고정하는 하부구조물이 필요하다.
종래의 해상풍력발전기 고정용 하부구조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부(11)가 탑재되는 타워(13)의 하부에 석션파일(15)이 결합되며, 석션파일(15)을 침수시켜 해저 지반(1)에 관입한다.
이러한 종래의 하부구조물(10)은 자체 부유 기능이 없기 때문에 바지선(미도시)에 실어서 설치 위치까지 운반한 후 해상 크레인(미도시)으로 바지선에서 들어 올린 후 설치 위치에 가라 앉혀서 해저 지반(1)에 고정시킨다. 최근 해상풍력터빈이 대용량화됨에 따라 하부구조물(10)도 대용량화되어 중량이 무거워지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해상에서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대용량 바지선이나 크레인이 필요하다.
또한, 석션파일(15)은 침수시켜 지반(1)에 관입된 후에는 해상풍력 터빈에 의하여 전달되는 수평력 및 모멘트에 저항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석션파일(15)과 타워(13)의 연결부에는 리브 보강재(16)를 부착하여 보강하므로 공사비가 상승하며 공정이 복잡하여 공기가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체 부유 기능을 부여하여 해상 운반과정에서 부유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션파일의 지지력 보강 및 해상풍력 터빈에 의하여 전달되는 수평력 및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해상시설물이 탑재되는 타워; 상기 타워를 지지하도록 상기 타워의 하부에 설치되며, 해저 지반에 관입되는 석션파일; 및 상기 석션파일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파일을 부유시키는 부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석션파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는 하중물을 충진하여 상재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하중물 충진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는 상기 하중물 충진공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격벽의 양단부는 상기 타워의 외측과 상기 부유체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석션파일은 한 개로 구성되는 모노 석션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석션파일은 복수 개로 구성되는 멀티 석션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는 복수 개의 상기 석션파일들을 연결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워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파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타워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파일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관; 및 상기 타워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석션파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배출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은 석션파일의 상부에 부유체를 설치하여 자체 부유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대형 바지선이 필요없이 예인선만 있으면 석션파일을 해상에서 운반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은 부유체를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콘크리트나 사석 등과 같은 하중물을 부유체의 상부 개방면을 통해 내부에 충진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속도가 빠르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3) 본 발명은 석션파일을 해저 지반에 관입시킨 후 부유체의 격벽 사이에 콘크리트나 사석 등과 같은 하중물을 충진하여 상재하중을 가하게 됨으로써, 석션파일의 지지력을 보강함과 아울러 하중물의 중력으로서 해상풍력 터빈에 의하여 전달되는 수평력 및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효율적인 지지 구조를 갖는다.
(4) 본 발명은 타워에 설치되는 펌프 및 배출관을 이용하여 석션파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석션파일의 압력 재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석션파일을 지반에 용이하게 관입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대용량 펌프를 활용하므로 석션파일을 지반에 관입시킨 후 석션파일을 회수하는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5) 본 발명은 해상에서는 대형장비의 임대료가 매우 높은데 이와 같이 자체 부유 기능이 있으면 대형 바지선이나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해저 지반에 신속히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해상 설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해상풍력발전기 고정용 하부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에 배출부가 추가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의 시공 작업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은 해상풍력발전기를 해저 지반에 고정하는 하부구조물에 적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해상풍력발전기뿐만 아니라 해상시설물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일 하부구조물(100)은 타워(110), 석션파일(120) 및 부유체(130)를 포함한다.
타워(110)는 원기둥 형태로 제작되며, 상단부에 해상시설물, 예를 들어 해상풍력발전부(11, 도 1 참조)가 탑재된다. 여기서, 풍력발전부(11)는 타워(110)에 플랜지(미도시) 등으로 연결되는 상부타워, 로터 및 상부타워에 결합되어 로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셀(nacelle) 등을 포함한다. 또한, 풍력발전부(11)는 발전장치나 축전장치 또는 송전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부(11)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석션파일(Suction Pile)(120)은 타워(110)를 지지하도록 타워(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침수되어 해저 지반(1, 도 9 참조)에 관입된다. 석션파일(120)은 상면이 밀폐되고 하면이 개방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석션파일(12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석션파일(120)이 한 개로 구성되는 모노 석션파일을 예시하였다.
또한, 석션파일(120)은 강재 또는 콘크리트로 제작할 수 있으나, 석션파일(120)을 부유시켜 해상 운반 시 중량 감소를 위하여 강재나 강합성 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체(130)는 석션파일(120)을 부유시킬 수 있도록 석션파일(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부유체(130)는 석션파일(120)을 먼저 제작한 후 석션파일(120)의 상부에 용접하거나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부유체(130)를 석션파일(120)에 볼트로 체결하는 경우에는 석션파일(120)와 부유체(130)의 연결부에는 고무패킹 등과 같은 실링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유체(130)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부유체(130)는 상면이 개방된 구조이므로 후술할 하중물(3, 도 9 참조)을 부유체(130)의 상부 개방면을 통해 내부에 충진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속도가 빠르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유체(130)는 석션파일(120)과 동일한 단면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된 석션파일(120)과 동일한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부유체(130)를 원통형으로 제작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석션파일(120)을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으로 제작할 경우 부유체(130)를 다각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체를 석션파일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유체를 석션파일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부유체(130)는 석션파일(120)을 침수시켜 해저 지반(1)에 관입한 후에 콘크리트나 사석과 같은 하중물(3, 도 9 참조)을 충진하여 상재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하중물 충진공간(131)이 마련된다.
또한, 부유체(130)는 하중물 충진공간(131) 내에 적어도 하나의 격벽(133)이 구비된다. 격벽(133)은 하중물 충진공간(131) 내에서 격벽(133)의 양단부가 부유체(130)의 내측면과 타워(110)의 외측면에 각각 용접하여 결합되어 타워(110)에 대한 석션파일(12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체(130)의 하중물 충진공간(131)에 4개의 격벽(133)이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격벽 또는 2개, 3개, 5개 등 복수 개의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에 배출부가 추가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션파일 하부구조물(100)은 석션파일(120)의 압력 재하를 위해 석션파일(12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140)는 배출관(141) 및 펌프(143)로 구성된다.
배출관(141)은 타워(1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배출관(141)의 하단부가 석션파일(120)의 상단면과 연통되고, 상단부가 타워(110)의 상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석션파일(120)의 내부는 배출관(141)을 통해 외부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관(141)이 타워(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관(141)이 타워(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펌프(143)는 타워(141)에 설치되며, 배출관(141)을 통해 석션파일(12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배출관(141)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석션파일(120)의 하부가 해저면에 착저되면 배출관(141) 및 펌프(143)를 이용하여 석션파일(120)의 내부에서 물을 외부로 뽑아내면서 발생하는 (-)수압, 즉 음압을 이용하여 석션파일(120)을 지반(1)에 관입시킨다. 또한, 하나의 대용량 펌프(143)를 활용하므로 석션파일(120)을 지반(1)에 관입시킨 후 석션파일(120)을 회수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일 하부구조물(200)은 타워(210), 석션파일(220) 및 부유체(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일 실시예의 모노 석션파일과 달리 석션파일을 복수 개로 구성하는 멀티 석션파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석션파일(220)을 세 개(221, 222, 223)로 구성하고, 석션파일들(221, 222, 223)이 타워(210)를 중심으로 삼각형으로 배치되는 트라이 석션파일을 예시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타워(210) 및 석션파일(220)의 구성 및 작동 등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부유체(2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부유체(230)는 석션파일(220)을 부유시킬 수 있도록 석션파일(2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부유체(230)는 통형상으로 이루이지고, 세 개의 석션파일(221, 222, 223)을 연결하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또한, 부유체(230)는 석션파일(220)을 침수시켜 해저 지반(1)에 관입한 후에 콘크리트나 사석과 같은 하중물(3)을 충진하여 상재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하중물 충진공간(231)이 마련된다.
또한, 부유체(230)는 하중물 충진공간(231) 내에 적어도 하나의 격벽(233)이 구비된다. 격벽(233)은 하중물 충진공간(231) 내에서 격벽(233)의 양단부가 부유체(230)의 내측면과 타워(210)의 외측면에 각각 용접하여 결합되어 타워(210)에 대한 석션파일(22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석션파일(220)이 세 개(221, 222, 223)로 구성되는 트라이 석션파일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석션파일(220)이 두 개, 네 개, 다섯 개 등 복수 개로 구성되는 멀티 석션파일을 포함하고, 부유체(230)가 복수 개의 석션파일들을 연결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의 시공 작업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일 하부구조물(100)의 시공 작업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일 하부구조물(200)의 시공 작업도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도크(미도시)에서 제작된 석션파일 하부구조물(100)을 해상에 진수시킨다. 이때, 석션파일(120)의 상부에 설치된 부유체(130)를 이용하여 석션파일(120)을 해상에 띄운다. 이를 통해 석션파일(120)에 자체 부유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대형 바지선(미도시)이 필요없이 예인선(미도시)만 있으면 석션파일(120)을 해상에서 운반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파일(120)을 해상에 부유시켜 원하는 위치까지 운반한 후 부유체(130)에 물을 주입하여 석션파일(120)을 침수시켜 해저 지반(1)에 관입시킨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파일(120)의 지반 관입이 완료되면 부유체(130)의 하중물 충진공간(131)에 콘크리트나 사석 등과 같은 하중물(3)을 채워 넣어 상재하중을 가한다. 이를 통해, 석션파일(120)의 지지력을 보강함과 아울러 하중물(3)의 중력으로서 해상풍력 터빈에 의하여 전달되는 수평력 및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효율적인 지지 구조를 갖게 된다.
마지막으로, 하부구조물(100)의 타워(110)에 플랜지(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풍력발전부(11, 도 1 참조)의 상부타워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석션파일 하부구조물(100, 200)에 따르면, 석션파일(120, 220)의 상부에 부유체(130, 230)를 설치하여 자체 부유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대형 바지선이 필요없이 예인선만 있으면 석션파일(120, 220)을 해상에서 운반이 가능하다. 또한, 석션파일(120, 220)을 해저 지반(1)에 관입시킨 후 부유체(130, 230)의 격벽(133, 233) 사이에 콘크리트나 사석 등과 같은 하중물(3)을 충진하여 상재하중을 가하게 됨으로써, 석션파일(120, 220)의 지지력을 보강함과 아울러 하중물(3)의 중력으로서 해상풍력 터빈에 의하여 전달되는 수평력 및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효율적인 지지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해상에서는 대형장비의 임대료가 매우 높은데 이와 같이 자체 부유 기능이 있으면 대형 바지선이나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해저 지반(1)에 신속히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해상 설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110, 210 : 타워
120, 220 : 석션파일
130, 230 : 부유체
131, 231 : 하중물 충진공간
133, 233 : 격벽
140 : 배출부
141 : 배출관
143 : 펌프

Claims (11)

  1. 해상시설물이 탑재되는 타워;
    상기 타워를 지지하도록 상기 타워의 하부에 설치되며, 해저 지반에 관입되는 석션파일; 및
    상기 석션파일의 상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석션파일을 부유시키는 부유체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체는 하중물을 충진하여 상재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하중물 충진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하중물 충진공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양단부는 상기 타워의 외측과 상기 부유체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파일은 한 개로 구성되는 모노 석션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파일은 복수 개로 구성되는 멀티 석션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복수 개의 상기 석션파일들을 연결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파일 하부구조물은,
    상기 타워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파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타워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파일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관; 및
    상기 타워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석션파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배출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KR1020120053148A 2012-05-18 2012-05-18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35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148A KR101352095B1 (ko) 2012-05-18 2012-05-18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148A KR101352095B1 (ko) 2012-05-18 2012-05-18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29A KR20130128929A (ko) 2013-11-27
KR101352095B1 true KR101352095B1 (ko) 2014-01-15

Family

ID=4985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1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2095B1 (ko) 2012-05-18 2012-05-18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693A (ko) * 2014-09-29 2016-04-06 한국전력공사 부유이송 해상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59570A (ko) 2014-11-18 2016-05-27 현대건설주식회사 해수저항 감소 및 수직도 조절을 위한 석션기초, 그 설치방법 및 인양방법
WO2025048392A1 (ko) * 2023-08-30 2025-03-06 (주) 에드벡트 초기 관입수단을 갖는 석션파일앵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552B1 (ko) * 2020-06-29 2022-01-07 한국전력공사 해상 풍력 발전 장치의 버킷과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 발전 장치 및 해상 풍력 발전 장치의 설치 방법.
CN112647529A (zh) * 2020-12-25 2021-04-13 浙江大学华南工业技术研究院 一种海洋风电基础平台及其负压筒
KR102435532B1 (ko) * 2021-12-27 2022-08-2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션파일을 이용한 조류 발전 장치의 시공 방법
GB2614902B (en) 2022-01-21 2024-09-25 Seaway 7 Eng B V Foundations for offshore wind turbin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030A (ja) 1999-06-14 2000-12-19 Port & Harbour Res Inst Ministry Of Transport 軽量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及びこれを用いた施工方法
KR100768823B1 (ko) 2006-05-09 2007-10-19 한국해양연구원 석션파일 관입장치
KR20090102472A (ko) * 2008-03-26 2009-09-30 한국해양연구원 석션파일을 이용한 부력식 구조물
KR101043606B1 (ko) * 2009-08-04 2011-06-22 주식회사 언딘 해상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연약지반용 단일 지지 파일의 네트형 서포트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030A (ja) 1999-06-14 2000-12-19 Port & Harbour Res Inst Ministry Of Transport 軽量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及びこれを用いた施工方法
KR100768823B1 (ko) 2006-05-09 2007-10-19 한국해양연구원 석션파일 관입장치
KR20090102472A (ko) * 2008-03-26 2009-09-30 한국해양연구원 석션파일을 이용한 부력식 구조물
KR101043606B1 (ko) * 2009-08-04 2011-06-22 주식회사 언딘 해상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연약지반용 단일 지지 파일의 네트형 서포트 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693A (ko) * 2014-09-29 2016-04-06 한국전력공사 부유이송 해상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8621B1 (ko) * 2014-09-29 2021-05-06 한국전력공사 부유이송 해상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59570A (ko) 2014-11-18 2016-05-27 현대건설주식회사 해수저항 감소 및 수직도 조절을 위한 석션기초, 그 설치방법 및 인양방법
WO2025048392A1 (ko) * 2023-08-30 2025-03-06 (주) 에드벡트 초기 관입수단을 갖는 석션파일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29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095B1 (ko)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KR101352096B1 (ko) 트라이포드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CN104040075B (zh) 一种用于安装海上塔的方法
CN105102317B (zh) 可漂浮运输和安装结构、相关方法和漂浮式风力涡轮机
EP392415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uction anchor
CN111469993A (zh) 一种桶形基础锚固的自安装式漂浮式风机基础及自安装方法
CN105129038A (zh) 一种基于浮塔和潜浮体组合成的轻型波浪能发电平台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792307B (zh) 一种便于安装的浮式风电塔
CN106687368A (zh) 用于风力涡轮机的浮动基础结构以及其安装方法
JP5738643B2 (ja) 洋上風力発電設備の施工方法
JP2010223114A (ja) 洋上風力発電設備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10010997A (ko) 윈드 터빈 및 윈드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CN104192272A (zh) 自航自升式风电运输安装船及风电机组的安装方法
CN101837929B (zh) 一种在滩涂区域驳船吊装风机的作业方法
CN108454799B (zh) 一种海上风电浮式基础浮运施工方法
US20180030962A1 (en) Offshore deployable floating wind turbine system and method
WO2014187977A1 (en) Deep-draft floating foundation for wind turbine with clustered hull and compartmented ballast section and self-erecting pivoting installation process thereof
CN114086592B (zh) 一种装配式海上风电浮动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US20240003110A1 (en) Auxiliary structure for floating and sinking a whole offshore wind turbine with suction bucket foundation(s)
CN114670976B (zh) 一种背压式海上风电整机运输安装船及方法
CN108407986B (zh) 一种可浮运的海上风电浮式基础及其施工方法
CN110155264A (zh) 海上风机复合筒基础拖航结构及拖航方法
US20180030961A1 (en) Offshore deployable wind turbine system and method with a gravity base
KR101665979B1 (ko) 콘크리트 베이스를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9185071B (zh) 一种海上风电深水一步式安装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