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1598B1 -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598B1
KR101351598B1 KR1020120088379A KR20120088379A KR101351598B1 KR 101351598 B1 KR101351598 B1 KR 101351598B1 KR 1020120088379 A KR1020120088379 A KR 1020120088379A KR 20120088379 A KR20120088379 A KR 20120088379A KR 101351598 B1 KR101351598 B1 KR 10135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eelmaking
ladle slag
slag
quickl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주)참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솔산업 filed Critical (주)참솔산업
Priority to KR102012008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5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6Use of slags or fluxes as tre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 C21C7/0645Agents used for 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강공정서 발생되는 래들슬래그의 활용가치를 높이며 융점이 낮고 탈류능력이 우수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는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래들슬래그 70 내지 90중량%, 생석회 5 내지 25중량%, 형석 0.5 내지 4.5중량%, 바인더 1 내지 5중량%로 조성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형성시킨다.

Description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desulfurizing agent for steelmaking using ladle sl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강공정서 발생되는 래들슬래그의 활용가치를 높이며 융점이 낮고 탈류능력이 우수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 강에 함유된 비금속(O, S, P 등)은 강의 성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산화물과 황화물은 강의 성질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전기로 또는 전로 등의 제강공정에서 이러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탈류제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탈류제로 산화칼슘(CaO)이 다량 함유된 생석회가 사용되고 있다. 생석회는 열역학적 탈류한계가 우수하고, 경제적이어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탈류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융점이 높아(약 2,570℃) 반응속도가 늦고 탈류처리시간이 증가하며, 슬래그 유동성을 위해 노(爐) 온도를 강의 융점(1,400℃)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에너지 투입 및 조업시간의 증가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는 공정에 따라 예비 처리 슬래그, 전로 슬래그 및 2차 정련 슬래그, 래들슬래그로 분류될 수가 있다. 이들은 각 공정의 정련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들로써, 여러 가지 고유의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각국은 폐기물로 분류되어 있는 이들 슬래그들의 매립을 최소화하고, 슬래그들이 갖는 각각의 특성을 이용하여 슬래그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고로 슬래그를 타분야, 즉 도로용, 토목용 골재 및 시멘트 원료 등으로 전량 재활용하고 있으며, 전로 슬래그의 경우도 조선소 선박의 녹 제거용 원료 등으로 일부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제강 슬래그의 일부분일 뿐이며 아직도 상당량은 매립에 의존하고 있다.
상술한 제강슬래그 중 래들슬래그를 이용하여 탈류제를 제조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전로와 전기로 등 1차 정련로에서 제조된 용강은 래들(Ladle)이라는 용강보관용기에 출탕되어 후속되는 공정에 적합하도록 처리되고 있는데, 작업 후 래들의 벽면이나 바닥에 응고된 래들슬래그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43121호에는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알루미늄 탈산용강 정련용 플럭스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는 래들슬래그 100중량부에 석회석 분말 20~4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펠렛(Pallet) 또는 단광(Briquette)으로 성형하는 알루미늄 탈산용강 정련용 플럭스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래들슬래그에 석회석 분말만을 혼합하여 탈류제로 사용하는 경우 제강공정에서 슬래그의 유동성과 탈류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성형시 펠렛 또는 단광의 강도가 약하여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제강공정에서 발생되어 대부분이 폐기되고 있는 래들슬래그에 생석회와 형석을 첨가하여 경제적이면서도 탈류능력과 유동성이 우수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는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래들슬래그 70 내지 90중량%, 생석회 5 내지 25중량%, 형석 0.5 내지 4.5중량%, 바인더 1 내지 5중량%로 조성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들슬래그는 산화칼슘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알루미늄 60 내지 70중량부, 산화마그네슘 10 내지 24중량부, 이산화규소 17 내지 30중량부, 철 10 내지 22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의 제조방법은 래들슬래그를 파쇄하는 파쇄단계와; 파쇄된 래들슬래그에 생석회, 형석, 바인더를 첨가한 후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덩어리로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덩어리를 경화시켜 단광을 얻는 경화단계와; 상기 단광을 선별하는 선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은 산화칼슘:불화칼슘이 1: 0.05~0.15의 중량비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강공정에서 발생되어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래들슬래그를 제강공정에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래들슬래그에 생석회와 형석을 첨가하여 고형화시킴으로써 탈류능력이 우수한 제강용 탈류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강용 탈류제는 통상적인 탈류제 사용량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어 원가절감 및 수입대체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강용 탈류제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강용 탈류제는 래들슬래그 70 내지 90중량%, 생석회 5 내지 25중량%, 형석 0.5 내지 4.5중량%, 바인더 1 내지 5중량%로 조성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형성시킨다.
래들슬래그(ladle slag)는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로서, 용강의 정련과정 중 용강이 보관되는 래들(Ladle)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의미한다. 래들슬래그는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이산화규소 등과 같은 산화물과 철을 주요성분으로 한다. 그 외에 미량의 산화망간이나 황 등이 함유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래들슬래그는 산화칼슘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알루미늄 60 내지 70중량부, 산화마그네슘 10 내지 24중량부, 이산화규소 17 내지 30중량부, 철 10 내지 22중량부를 함유한다.
산화칼슘(CaO)은 용강에 함유되어 강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황과 같은 비금속 물질을 제거하는 탈류작용을 갖는다. 그리고 산화알루미늄(Al2O3)은 산화칼슘, 이산화규소(SiO2)와 반응하여 슬래그의 융점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산화마그네슘(MgO)은 용강의 유동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래들슬래그의 주요 화학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CaO Al2O3 MgO Fe SiO2
함량(중량%) 35 23 6 16 8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들슬래그는 주요성분으로 35중량%의 산화칼슘을 함유하고, 그 외에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철 등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강용 탈류제에서 래들슬래그의 함량은 70 내지 90중량%일 수 있다. 래들슬래그의 함량이 70중량% 미만이면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낮아져 탈류능력이 저하되고, 90중량%를 초과하면 산화칼슘의 함량을 보정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생석회는 래들슬래그에 함유된 산화칼슘을 보충하는 물질로 이용된다. 래들슬래그의 산화칼슘의 함량은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35중량%로 낮아서 그 자체만으로 탈류능력이 낮다. 따라서 첨가되는 생석회는 본 발명의 탈류제의 산화칼슘 함량을 높여 탈류능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생석회를 대체하는 물질로 제강공정에서 발생회는 석회슬러지나 제선공정에서 발생되는 탈황석고를 이용할 수 있다. 석회슬러지는 CaO성분이 70중량% 이상이고, 탈황석고는 CaO성분이 50중량%이상이어서 생석회를 대체할 수 있다. 석회슬러지와 탈황석고는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강용 탈류제에서 생석회의 함량은 5 내지 25중량%가 바람직하다. 생석회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탈류능력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그만큼 형석이 추가로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경제성이 저하된다.
형석(fluorite)은 등축정계에 속하는 비금속 광물로, 화학성분은 불화칼슘(CaF2)이다. 이러한 형성은 본 발명에서 불화칼슘을 제공한다. 불화칼슘은 생석회와 반응하여 생석회의 높은 융점(약 2,570℃)을 강의 융점(1,400℃) 이하의 온도(약 1300℃)로 저하시켜 유동성을 증대시키고 탈류처리시간을 단축시킨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강용 탈류제에서 형석의 함량은 0.5 내지 4.5중량%이다. 형석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생석회의 융점 저하 효과가 낮아 탈류능력이 저하되고, 4.5중량%를 초과하면 초과량에 비해 탈류능력 향상이 거의 없고, 작업 중 불화수소의 발생과 불소성분이 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바인더는 제강용 탈류제의 재료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밀, 액상 규산소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강용 탈류제에서 바인더의 적절한 함량은 1 내지 5중량%이다. 바인더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성형성이 저하되어 단광의 강도가 약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탈류능력이 저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래들슬래그, 생석회, 형석, 바인더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형성시킨 제강용 탈류제는 주요 화학성분으로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철, 불화칼슘, 이산화규소를 함유한다. 이 외에도 래들슬래그에 함유된 미량의 불순물들과 바인더 성분이 함유된다.
가령, 제강용 탈류제는 주요 화학성분으로 산화칼슘 40 내지 60중량%, 산화알루미늄 10 내지 20중량%, 산화마그네슘 4 내지 10중량%, 철 10 내지 20중량%, 불화칼슘 3 내지 6중량%, 이산화규소 5 내지 15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산화칼슘과 불화칼슘 성분은 산화칼슘:불화칼슘이 1: 0.05~0.15의 중량비로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칼슘에 대한 불화칼슘의 중량비율이 0.05미만이면 산화칼슘의 융점을 저하시키지 못해 탈류능력이 저하되고, 중량비율이 0.15를 초과하면 탈류능력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고 불화수소의 발생과 불소성분이 용출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강용 탈류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준비된 래들슬래그를 파쇄하는 파쇄단계를 수행한다. 1차로 래들슬래그를 죠크러셔와 같은 파쇄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50mm의 크기로 거칠게 분쇄한 후 밀(mill)을 이용하여 2차로 미세하게 분쇄한다. 분쇄된 래들슬래그는 선별기를 이용하여 8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mm 입도 크기의 입자들만 선별하여 제강용 탈류제의 재료로 이용한다.
다음으로 파쇄된 래들슬래그에 생석회, 형석, 바인더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수행한다. 혼합단계는 믹서기에 각 재료들을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생석회 및 형석은 분쇄하여 입도가 1mm이하, 바람직하게 0.1 내지 1mm인 것을 사용한다.
혼합단계에서 각 재료들을 혼합한 혼합물은 래들슬래그 70 내지 90중량%, 생석회 5 내지 25중량%, 형석 0.5 내지 4.5중량%, 바인더 1 내지 5중량%로 조성된다. 특히, 산화칼슘:불화칼슘이 1: 0.05~0.15의 중량비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덩어리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수행한다. 성형단계는 통상적인 브리케트(briquette) 압축성형기를 이용하여 덩어리로 압축성형한다. 압축성형 후 약 60kgf의 강도를 갖고, 이때 성형된 덩어리는 35~75mm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 후 덩어리를 경화시켜 단광을 얻는 경화단계를 수행한다. 경화과정은 통상적인 자연 양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경화된 단광은 바인더에 의해 각 재료들이 상호 결합되어 굳어져 약 100kgf의 강도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경화된 단광을 선별하는 선별단계를 수행한다. 선별단계에서 선별기를 이용하여 35~75mm크기의 단광만을 선별한다. 선별된 단광은 제강용 탈류제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강용 탈류제는 제강공정에서 발생되어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래들슬래그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래들슬래그에 생석회와 형석을 첨가하여 고형화시킴으로써 탈류능력이 우수하다. 이러한 제강용 탈류제는 통상적인 탈류제 사용량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래들슬래그 70 내지 90중량%, 생석회 5 내지 25중량%, 형석 0.5 내지 4.5중량%, 바인더 1 내지 5중량%로 조성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슬래그는 산화칼슘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알루미늄 60 내지 70중량부, 산화마그네슘 10 내지 24중량부, 이산화규소 17 내지 30중량부, 철 10 내지 22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88379A 2012-08-13 2012-08-13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135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379A KR101351598B1 (ko) 2012-08-13 2012-08-13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379A KR101351598B1 (ko) 2012-08-13 2012-08-13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598B1 true KR101351598B1 (ko) 2014-01-23

Family

ID=5014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379A Active KR101351598B1 (ko) 2012-08-13 2012-08-13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5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525B1 (ko) * 2020-11-27 2021-07-02 김홍균 열원 보상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전로용 함철 단광,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취련 공법
KR102271526B1 (ko) * 2021-01-08 2021-07-02 김홍균 폐 중조를 포함하는 전로용 슬래그 진정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진정 방법
CN113930554A (zh) * 2021-09-26 2022-01-14 河北津西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钢渣的粉磨脱硫一体化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021A (ja) * 1999-08-31 2001-03-21 Nisshin Steel Co Ltd 金属精錬用フラ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13251A (ko) * 2004-08-06 2006-02-09 신희동 제강용 플럭스
KR100604549B1 (ko) 2005-02-23 2006-07-31 (주)영흥세라텍 제강용 플럭스
KR100782262B1 (ko) * 2006-12-20 2007-12-04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플럭스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제강용 플럭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021A (ja) * 1999-08-31 2001-03-21 Nisshin Steel Co Ltd 金属精錬用フラ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13251A (ko) * 2004-08-06 2006-02-09 신희동 제강용 플럭스
KR100604549B1 (ko) 2005-02-23 2006-07-31 (주)영흥세라텍 제강용 플럭스
KR100782262B1 (ko) * 2006-12-20 2007-12-04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플럭스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제강용 플럭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525B1 (ko) * 2020-11-27 2021-07-02 김홍균 열원 보상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전로용 함철 단광,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취련 공법
KR102271526B1 (ko) * 2021-01-08 2021-07-02 김홍균 폐 중조를 포함하는 전로용 슬래그 진정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진정 방법
CN113930554A (zh) * 2021-09-26 2022-01-14 河北津西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钢渣的粉磨脱硫一体化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232186B1 (pl) Topnik do aglomeracji, sposób wytwarzania topnika do aglomeracji i zastosowanie żużli z metalurgii wtórnej
KR101351598B1 (ko) 래들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용 탈류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7701A (ko) 용선 예비 처리 방법
KR101444071B1 (ko) 제강 부산물을 이용한 직접환원철 단광 제조용 결합재 및 그 제조방법
RU2241771C1 (ru) Брикет для выплавки чугуна
KR20160051680A (ko) 스틸 슬래그 및 유압식 광물 바인더 처리 방법
KR101465753B1 (ko) 환원슬래그를 이용한 칼슘알루미네이트계 클링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1427B1 (ko) 저융점 슬래그 조재재 및 그의 제조방법
RU2710622C1 (ru) Брикет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5477170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KR100566595B1 (ko) 제강용 플럭스
KR100875449B1 (ko) 수재슬래그를 이용한 제강정련용 저온형 용제 조성물
KR101320083B1 (ko) 전기로 환원 슬래그를 이용한 함철 브리켓 제조용 바인더 및 이의 제조방법
Pal et al. Utilisation of LD slag–An overview
EP1919839B1 (en) A process for conversion of basic oxygen furnace slag into construction materials
CN106498124A (zh) 钢水复合精炼渣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1590992B1 (ko) 부산물을 이용한 성형체 제조방법, 그 성형체 및 결합재
KR101558932B1 (ko) 고비중 및 저팽창성 제강슬래그 골재의 제조방법
KR101591288B1 (ko) 전기로 산화 슬래그 및 환원 슬래그를 함유한 고로 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KR100687251B1 (ko) 제강 슬래그를 포함하는 분정광 브리케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59375B1 (ko) 전기로 조업 방법
KR20230085451A (ko) 슬래그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강 정련방법 및 그 슬래그 자원의 이용방법
KR101153514B1 (ko) 소다회 단광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로 정련방법
KR20130002493A (ko) 용강용 탈황제 및 이를 이용한 용강 탈황 방법
KR100627673B1 (ko) 미니밀 정련슬래그로 조성된 플럭스 대체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