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1385B1 -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385B1
KR101351385B1 KR1020120002316A KR20120002316A KR101351385B1 KR 101351385 B1 KR101351385 B1 KR 101351385B1 KR 1020120002316 A KR1020120002316 A KR 1020120002316A KR 20120002316 A KR20120002316 A KR 20120002316A KR 101351385 B1 KR101351385 B1 KR 10135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ailway vehicle
support pipe
leg frame
wall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385A (ko
Inventor
서우성
이태경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3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3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트의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스텐션폴이나 보강대를 사용하거나 레그 프레임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시트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하부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는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에 설치된 레그 프레임; 및 상기 레그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착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되, 일측면이 볼트에 의하여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에 추가적으로 결속되는 시트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Seat assembly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착석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램과 같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철도차량에서 내부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시트의 장착 구조를 간소화시킨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램(tram)은 도로상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전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노면 전차로도 불리고 있다.
한편 트램의 경우, 초기 시설비가 적게 들고, 일반 차량과 동시에 주행이 가능하며, 대량 수송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어 국내 도입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램은 도로면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일반 차량들과 함께 주행하게 되므로, 일반 차량들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고 교통신호에 맞추어 신속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일반 철도차량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트램의 내부에는 일반 철도차량과 마찬가지로 탑승자의 착석을 위한 시트가 마련되어 있으나, 일반 철도차량에 비하여 협소한 내부공간을 갖는 점을 고려하여 시트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취부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철도차량의 시트는 차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레그 프레임상에 설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트의 경우, 시트와 차체 바닥의 사이공간이 막혀 뒷자석의 탑승자가 앞좌석의 시트 하부로 다리를 뻗을 수 없으므로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트 간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해야만 하는 문제점과, 시트 하부의 청소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트램과 같이 차체가 협소한 철도차량의 경우, 차체의 측벽에 레그 프레임을 설치하여 시트를 취부함으로써, 시트의 하부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차체의 벽면에 레그 프레임을 취부하여 시트를 고정시킨 구조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77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7718호에서와 같이 레그 프레임을 차체의 벽면에 설치한 경우, 레그 프레임은 외팔보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외팔보는 주지된 바와 같이 끝단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취약한 구조를 갖는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승객용 스텐션폴을 이용하여 레그 프레임의 끝단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차체의 벽면으로부터 대각방향으로 연장되어 레그 프레임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별도의 보강대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레그 프레임 자체로 충분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레그 프레임의 사이즈를 증대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텐션폴을 레그 프레임과 연결시킨 경우 차량의 내부가 번잡해지고 레그 프레임으로 연장된 스텐션폴에 의해 탑승자의 이동 및 행동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보강대를 추가하거나 레그 프레임의 사이즈를 증대시킨 경우에는 무게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트 하부의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20-0327718호(2003.09.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의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스텐션폴이나 보강대를 사용하거나 레그 프레임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시트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하부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는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에 설치된 레그 프레임; 및 상기 레그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착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되, 일측면이 볼트에 의하여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에 추가적으로 결속되는 시트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는, 레그 프레임과 결합되고, 안장 및 등받이가 설치되며, 상기 볼트의 관통을 위한 홀이 측면에 형성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되는 메인 판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으로 연장되도록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홀에 일단이 고정되게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을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시트가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서포트 파이프와 벽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서포트 파이프 보다 큰 면적으로 벽면에 밀착되어 서포트 파이프로부터 벽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서포트 파이프와 나사결합되어 서포트 파이프와 벽면의 사이 간격에 따라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레그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된 시트의 측면 상단부가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시트가 벽면과 레그 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대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스텐션폴이나 보강대를 사용하거나 레그 프레임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안정적인 시트 어셈블리의 구성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트 하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가 철도차량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도 3의 'A'부 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가 서포트 파이프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가 철도차량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 4는 도 3의 'A'부 상세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가 서포트 파이프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는 시트(120)의 측면에 고정포인트를 추가하여 시트(120)가 철도차량의 벽면(W)과 레그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보강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보강대의 사용이나 스텐션폴과의 연결 없이 그리고 레그 프레임(110)의 사이즈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레그 프레임(110)이 시트(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레그 프레임(110)과 시트(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그 프레임(110)은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에 설치되어 시트(120)를 지지하는 것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시트 안착부(111)와, 상기 시트 안착부(111)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에 고정되는 고정부(11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레그 프레임(110)은 ㄱ-자로 가공된 한 쌍의 파이프(113)에 의하여 시트 안착부(111)와 고정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두 파이프(113)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연결부재(114)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 레그 프레임(11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14)에는 시트(120) 및 벽면(W)과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공(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레그 프레임(11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이즈 및 무게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시트(120)의 측면에 고정포인트를 추가하여 레그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120)는 레그 프레임(110)상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트(120)는 메인 프레임(121)과, 메인 판넬(122)과, 안장(123)과, 등받이(124)와, 서포트 파이프(125)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21)은 시트(12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ㄴ-자형으로 가공된 한 쌍의 파이프(1211)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두 파이프(1211)가 다수 개의 연결부재(1212)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212)에는 레그 프레임(110) 그리고 메인 판넬(122)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공(12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21)의 일측에는 시트(120) 측면에 고정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볼트(B)가 관통하는 홀(1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판넬(122)은 메인 프레임(121)의 저면과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시트(120)의 외형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판넬(122)에는 메인 프레임(121)에 설치되는 서포트 파이프(125)가 관통하는 홀(1221)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장(123)과 등받이(124)는 메인 프레임(121)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 파이프(125)는 시트(120)의 일측에서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메인 프레임(121)의 일측에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프레임(121)에 형성된 홀(1214)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B)가 서포트 파이프(125)를 관통하여 벽면(W)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홀(1214)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의 서포트 파이프(125)는 볼트(B)의 노출을 방지하고, 끝단부가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에 밀착되어 시트(120)와 벽면(W)의 사이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메인 프레임(121)에 설치되며 메인 판넬(122)의 홀(1221)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서포트 파이프(125)의 직경은 메인 프레임(121)이나 메인 판넬(122)의 두께를 초과할 수 없으므로, 서포트 파이프(125)의 직경에 제한이 따른다. 그러나 서포트 파이프(125)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에 끝단이 밀착되어 시트(120)를 지지하게 되므로, 서포트 파이프(125)가 충분한 면적으로 벽면(W)에 접촉하지 못할 경우, 서포트 파이프(125)와 벽면(W)의 접촉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벽면(W)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시트 어셈블리는 서포트 파이프(125)와 벽면(W) 사이에 충분한 접촉면적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12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스페이서(126)는 서포트 파이프(125)를 통해 돌출된 볼트(B)가 관통하는 홀(1261)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은 서포트 파이프(125)의 단부에 밀착되고, 타측면은 벽면(W)에 밀착된다. 물론 이러한 스페이서(126)는 서포트 파이프(125)의 면적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포트 파이프(125)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보다 넓은 면적을 통해 벽면(W)에 분산시킴으로써 서포트 파이프(125)에 의한 벽면(W)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126)는 시트(120)와 벽면(W)의 사이 간격에 따라 적절한 두께의 스페이서(126)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스페이서(126)를 서포트 파이프(125)에 결합시키되, 스페이서(126)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126)의 위치 조절을 위해서 서포트 파이프(125)의 끝단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암나사를 스페이서(126)에 마련된 홀(1261)에 형성하여 스페이서(126)가 서포트 파이프(125)에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126)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트 어셈블리는 메인 프레임(121)에 메인 판넬(122)을 조립하고, 레그 프레임(110)을 메인 프레임(121)에 조립한 뒤, 메인 프레임(121)에 안장(123)을 조립한 상태에서 장착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의 장착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레그 프레임(110)의 고정부(112)에 마련된 체결공(115)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에 체결함으로써 레그 프레임(11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레그 프레임(11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고정부(112)에 마련된 연결부재(114)의 양단에 체결공(115)이 각각 형성되며, 연결부재(114)의 양단에 형성된 두 체결공(115)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벽면(W)에 체결시킴으로써 레그 프레임(110)이 2개의 고정포인트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메인 프레임(121)의 일측을 벽면(W)에 추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121)에 마련된 홀(1214)에 설치된 서포트 파이프(125)를 관통하도록 볼트(B)를 삽입하고, 서포트 파이프(125)를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B)의 끝단을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에 체결시킴으로써, 시트(120)의 일측에 추가적인 고정포인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 어셈블리의 하부를 구성하는 레그 프레임(110)에 2개의 고정포인트를 구성하고, 시트 어셈블리의 상부를 구성하는 시트(120)에 1개의 고정포인트를 구성하여 시트 어셈블리가 3개의 고정포인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시트(120)가 레그 프레임(110)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보강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스텐션폴을 레그 프레임(110)에 연결하거나 또는 보강대를 이용하여 레그 프레임(110)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레그 프레임(110) 자체로 충분한 지지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레그 프레임(110)의 사이즈를 증대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레그 프레임(110)의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시트(120) 하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레그 프레임(110)의 무게 감소를 통해 시트 어셈블리를 경량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서포트 파이프(125)를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B)를 벽면(W)에 체결함에 있어서, 스페이서(126)를 서포트 파이프(125)와 벽면(W)의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볼트(B)를 체결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장착구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126)는 서포트 파이프(125)와 벽면(W)의 사이 간격을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의 스페이서(126)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성의 향상을 위하여 스페이서(126)를 서포트 파이프(125)에 나사결합시킨 경우, 스페이서(126)를 회전시켜 스페이서(126)가 서포트 파이프(125)의 끝단으로부터 적정거리 돌출되도록 이동시킨 상태에서 볼트(B)의 체결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스페이서(126)는 작은 직경을 갖는 서포트 파이프(125)가 벽면(W)에 직접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서포트 파이프(125)를 통해 전해지는 하중을 벽면(W)으로 분산시켜 벽면(W)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레그 프레임 (120) : 시트
(121) : 메인 프레임 (1214) : 홀
(122) : 메인 판넬 (123) : 안장
(124) : 등받이 (125) : 서포트 파이프
(126) : 스페이서

Claims (4)

  1. 삭제
  2.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에 설치된 레그 프레임(110); 및
    상기 레그 프레임(110)상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착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되, 일측면이 볼트(B)에 의하여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에 추가적으로 결속되는 시트(120)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120)는,
    상기 레그 프레임(110)과 결합되고, 안장(123) 및 등받이(124)가 설치되며, 상기 볼트(B)의 관통을 위한 홀(1214)이 측면에 형성된 메인 프레임(121);
    상기 메인 프레임(121)과 결합되는 메인 판넬(122); 및
    상기 메인 프레임(121)으로부터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으로 연장되도록 메인 프레임(121)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홀(1214)에 일단이 고정되게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121)을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B)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시트(120)가 철도차량의 내부 벽면(W)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메인 프레임(121)을 지지하는 서포트 파이프(1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파이프(125)와 벽면(W)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서포트 파이프(125) 보다 큰 면적으로 벽면(W)에 밀착되어 서포트 파이프(125)로부터 벽면(W)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스페이서(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126)는 서포트 파이프(125)와 나사결합되어 서포트 파이프(125)와 벽면(W)의 사이 간격에 따라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KR1020120002316A 2012-01-09 2012-01-09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Active KR10135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16A KR101351385B1 (ko) 2012-01-09 2012-01-09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16A KR101351385B1 (ko) 2012-01-09 2012-01-09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385A KR20130081385A (ko) 2013-07-17
KR101351385B1 true KR101351385B1 (ko) 2014-01-15

Family

ID=4899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316A Active KR101351385B1 (ko) 2012-01-09 2012-01-09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591A (ko) 2019-05-28 2020-12-08 대원강업주식회사 전동차 플라스틱 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961U (ja) * 1993-01-21 1994-09-27 西日本鉄道株式会社 車両の座席構造
US5464273A (en) 1991-07-15 1995-11-07 Kotobuki Seating Co. Ltd. Seat construction
JP3833058B2 (ja) * 2000-09-19 2006-10-1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ロングシート
KR20090008295U (ko) * 2008-02-14 2009-08-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4273A (en) 1991-07-15 1995-11-07 Kotobuki Seating Co. Ltd. Seat construction
JPH0668961U (ja) * 1993-01-21 1994-09-27 西日本鉄道株式会社 車両の座席構造
JP3833058B2 (ja) * 2000-09-19 2006-10-1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ロングシート
KR20090008295U (ko) * 2008-02-14 2009-08-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591A (ko) 2019-05-28 2020-12-08 대원강업주식회사 전동차 플라스틱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385A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57557B (zh) 具有前部垫子模块的座椅组件
JP6297472B2 (ja) 乗物用シート
FI62494B (fi) Vid en fordonskonstruktion fastsaettbart baerstativ foer aotminstone en sitshaollare i fordonet
JP2014034226A (ja) 車両用シート
CN106627264B (zh) 一种可折叠翻转的座椅及汽车
CN205033983U (zh) 一种汽车座椅的靠背
USRE29271E (en) Cantilevered seat for motorcoach vehicles or the like
KR101351385B1 (ko)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CN203592917U (zh) 一种汽车三人座座椅骨架
JP2017024692A (ja) 車両
CN209467023U (zh) 一种汽车座椅靠背固定结构
JP6519389B2 (ja) 乗物用シートフレーム
EP2578441B1 (en) Seat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and passenger transport vehicle comprising such a seat
CN209921317U (zh) 背靠背座椅骨架、车辆构架及车辆
CN105564279A (zh) 折叠座椅
JP2010149756A (ja) シート取付構造
RU100462U1 (ru) Средств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водителя и пассажиров в кабине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KR101228563B1 (ko) 매트 지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매트 설치 구조
JP4489785B2 (ja) 分割型リア・シート
EP4497651A1 (en) Cantilever seat structure
CN209921316U (zh) 背靠背座椅骨架、车辆构架及车辆
JP2014113981A (ja) 不等分割式の車両用シート構造
CN102844224B (zh) 车辆座椅的座椅组件
JP2012076541A (ja) 車両用シート
CN202080154U (zh) 房车座椅及安全带装置布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