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367B1 - Alarming switch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Alarming switch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0367B1 KR101350367B1 KR1020120112541A KR20120112541A KR101350367B1 KR 101350367 B1 KR101350367 B1 KR 101350367B1 KR 1020120112541 A KR1020120112541 A KR 1020120112541A KR 20120112541 A KR20120112541 A KR 20120112541A KR 101350367 B1 KR101350367 B1 KR 101350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mit switch
- circuit breaker
- push lever
- alarm
-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000581533 Homo sapiens Methylcrotonoyl-CoA carboxylase beta chain, mitochondria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7320 Methylcrotonoyl-CoA carboxylase beta chain, mitochondrial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28—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having provisions for interchangeable or replaceable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63—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plunger type arma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6—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having means for operating auxiliary contacts additional to the main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전류 및 단락 등의 이상상태를 사전 경보(警報, Alarm)하는 경보스위치의 주요부품 분해조립을 수월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상태의 사전 경보를 위해, 액추에이터에 의한 다수 단자의 개로 및 폐로가 가능케 된 리미트스위치;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하측에 배치된 채로, 상기 배선용차단기의 접점차단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ON/OFF시키게 된 푸시레버;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배선용차단기의 몰드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하우징; 및, 상기 푸시레버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푸시레버를 내장한 채로 상기 메인하우징 하부에 조립되는 베이스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an alarm for a circuit breaker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main parts of an alarm switch that alarm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overcurrent and short circuit. It is about a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dvance warning of the abnormal state, the limit switch is made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terminals by the actuator; A push lever which is disposed below the limit switch and turns the limit switch ON / OFF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tact breaker of the circuit breaker; A main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mold case of the circuit breaker with the limit switch embedded therein; And a base housing assembled under the main housing while the push lever is built in such that the push lever is disposed under the limit switch.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전류 및 단락 등의 이상상태를 사전 경보(警報, Alarm)하는 경보스위치의 주요부품 분해조립을 수월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an alarm for a circuit breaker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main parts of an alarm switch that alarm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overcurrent and short circuit. It is about a switch.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라 하면, 보통의 상태에서는 수동으로 회로를 개폐할 수 있고 과전류 유입 및 회로 단락 등의 이상상태에서는 회로를 자동 차단토록 설계된 배선용차단기(配線用遮斷器,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MCCB)를 일컫는다.Generally, a circuit breaker is a circuit breaker designed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a circuit in a normal state, and to automatically cut off a circuit in an abnormal state such as overcurrent inflow and short circuit. case circuit breaker (MCCB).
이러한 배선용차단기는, 개폐기구와 회피장치 등을 절연물 용기(몰드케이스) 내에 일체로 조립하고 통상 사용상태의 전로를 수동 또는 전기조작으로 자동 개폐하여 전류를 차단하며, 교류 600V, 직류 500V 이하의 저압 옥내 전로의 보호에 주로 사용한다.Such a circuit breaker assembles a switchgear and a avoiding device into an insulated container (molded case) integrally, and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current in a normal use state by manual or electric operation to cut off the current, and a low voltage of 600 V AC or 500 V DC or less. Mainly used for the protection of indoor converters.
한편, 최근의 무정전 전원장치(無停電電源裝置,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UPS)나 사무자동화(Office Automation : OA) 도입에 의해, 단락사고가 있다면 순시에 차단하여 전로를 보호하는 차단기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과도전류(過渡電流, Transient current) 또는 단락전류(短絡電流, Short-circuit current)의 감지(발생)시 사전 경보 기능을 하는 차단기를 필요로 한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recent introduction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or Office Automation (OA),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that protects the converter by shutting off instantaneously if there is a short circuit accident. In addition, a circuit breaker with a preliminary alarm is required for the detection of transient current or short-circuit current.
그러나, 과부하 및 단락을 자동 차단하여 전로를 보호하는 기능적 특성을 갖는 종래의 배선용차단기는, 과부하가 되더라도 그에 접속된 부하기기가 정상적으로 운전할 경우에도 역시 어떠한 경고도 없이 단락될 수밖에 없어 막대한 손해를 불러일으켜 왔다.However,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having a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automatically protecting overload and short-circuit to protect the converter, even if the overload is overloaded, even if the load connected to it operates normally, it can be shorted without any warning. come.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0958988호 등을 통해, 공간절약과 생력화(省力化, Laborsaving) 요구에 부응하도록 몰드케이스 내부에 경보스위치가 내장된 배선용차단기가 개시되고 있다.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uch a problem, a domestic circuit breaker having an alarm switch inside a mold case is disclosed through a Korean Patent No. 10-0958988 to satisfy a space saving and laborsaving demand.
종래의 배선용차단기에 따르면,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은 과전류 및 단락 보호기능과 더불어 전로의 누전을 순시하는 한편, 만일의 누전발생시 전로를 차단하지 않고 사전 경보에 따라 그 이상상태에 대하여 즉시 대응이 가능토록 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in addition to the overcurrent and short-circuit protection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stantaneously short-circuit the current, and to immediately respond to the abnormal condition according to a pre-alarm without interrupting the current in case of a short circuit. do.
하지만, 이상상태의 사전 경보에 필요한 경보스위치의 하우징이 단일 구조체로 이루어진 관계로 인해, 그 내부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칭을 위한 푸시레버 그리고 상기 푸시레버의 복원작용을 위한 탄성스프링을 동시에 연계시키는 조립공정은 물론이거니와 차후 리미트스위치 등과 같은 주요부품의 교환작업에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어 왔다.
However, due to the relationship that the housing of the alarm switch required for the advance warning of the abnormal state is composed of a single structure, the limit switch and the push lever for switching the limit switch and the elastic spring for restoring action of the push lever are provided therein. In addition to the assembly process of simultaneously connecting the part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ifficulties in the replacement of major parts such as limit switche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미트스위치 내장용 메인하우징 및 푸시레버 내장용 베이스하우징으로 경보스위치의 하우징을 분리 구성하여, 주요부품의 분해조립을 수월히 하면서도 베이스하우징의 단순 교체만으로도 각종 배선용차단기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separating the housing of the alarm switch in the main housing for the limit switch built-in and the base housing for the built-in push lever,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main parts while the base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arm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various circuit breakers with only a simple replace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상상태의 사전 경보를 위해, 액추에이터에 의한 다수 단자의 개로 및 폐로가 가능케 된 리미트스위치;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하측에 배치된 채로, 상기 배선용차단기의 접점차단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ON/OFF시키게 된 푸시레버;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배선용차단기의 몰드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하우징; 및, 상기 푸시레버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푸시레버를 내장한 채로 상기 메인하우징 하부에 조립되는 베이스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mit switch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plurality of terminals by the actuator for the advance warning of the abnormal state; A push lever which is disposed below the limit switch and turns the limit switch ON / OFF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tact breaker of the circuit breaker; A main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mold case of the circuit breaker with the limit switch embedded therein; And a base housing assembled under the main housing while the push lever is built in such that the push lever is disposed under the limit switch.
또한, 상기 푸시레버는, 단부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공이 중앙부에 관통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상기 액추에이터 푸싱을 위해 회동작용케 된 누름편부 및 상기 접점차단장치 작동시의 마찰간섭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편부를 회동시키는 마찰편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점차단장치 작동 외력의 소멸시, 상기 누름편부를 밀어올리는 상기 액추에이터 가압의 지속을 통해 상기 경보장치의 전로가 개로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sh lever has a shaft hole, which is a center of end rotation, penetrates a central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push hole have frictional interference during operation of the push piece and the contact blocking device that are rotated for pushing the actuator. Friction pieces for rotating the pressing piece portion are formed, respectively, and when the external force of the contact blocking device is extinguished, the converter of the alarm device to maintain the open state through the continuation of the actuator pressure to push up the pressing piece.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spring for.
더하여,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조립결합 및 경보장치 전로를 상기 단자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단이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전,후방 근접 외측부에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조립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housing, the upper and lower receiving spaces are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so as to connect the assembly of the limit switch and the alarm device converter to the terminal, the front and rear adjacent out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portion,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for assembling and coupling the base housing are form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에는, 상기 수용공간부를 종으로 구획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한 제1구획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벽의 양단부 상측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단차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housing has a first partition wall which divides the receiving space into a longitudinal section so as to be able to separate the limit switch, and is formed above both ends of the first partition wall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limit switch.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for protruding.
더하여,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푸시레버를 내재수용할 수 있는 상부 개방형 조립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체결공으로 삽입고정되는 제1결착편이 일측 선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푸시레버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된 제2구획벽이 상기 조립공간부를 종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고정되는 제2결착편이 상기 제2구획벽의 일측 끝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중심축이 상기 제2구획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대향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upper open assembly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ush lever therein, and a first binding piec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protrudes upward from one end portion, and the push lever is separated. The second compartment wall to accommodate the second compartment is formed so as to partition the assembly space into the longitudinal section, the second binding piece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protrudes up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mpartment wall, the shaft hole The central axis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e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제2체결공 각각의 하측 말단부에는, 돌출형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결착편의 각 선단부에는, 상기 단턱에 결착되는 외향형 절곡단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rotruding stepped jaw is formed at lower end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an outward-type bent end that is fastened to the stepped jaw is formed at each of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ieces. It is done.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는, 하우징의 분리구조 달성을 통해, 주요부품의 조립공정을 수월하게 함은 물론이거니와, 베이스하우징의 단순 교체만으로도 각종 규격의 배선용차단기마다 적용이 가능케 됨에 따른 호환성 증대의 효과를 가져다준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circuit breaker alarm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assembly process of the main parts by achieving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housing, and also, the circuit breaker of various standards by simply replacing the base housing. It can increase the compatibility as it can be applied every tim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의 구조적 변경을 통한 주요부품의 분해조립이 용이함에 따라, 차후 유지관리에 대한 효율성 증대 및 제품의 품질향상과 더불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지출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a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main parts through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hous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for future maintenance and product quality,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maintenance. Effect.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 달성을 통하여, 인간활동(人間活動, Human activity)의 근간이 되는 통신, 전력 및 교통망 등 선(Line) 형태의 사회기반시설을 통칭하는 라이프라인(Lifeline) 구축에 필요한 각종 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effects, the Lifeline, which is the collective name for social infrastructure in the form of lines such as communication, power and transportation networks, which are the basis of human activitie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various industrial developments requi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의 장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alarm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and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switch for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alarm switch for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use stat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relationship of the alarm switch for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의 장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alarm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n alarm switch for a wiring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relationship of the alarm switch for a wiring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A)는, 경보장치(도시하지 않음) 전로의 개로(Open circuit, OFF) 및 폐로(Closed circuit, ON)를 위한 리미트스위치(1)와, 상기 리미트스위치(1)의 하단부에 연계배치된 채로 배선용차단기의 접점차단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리미트스위치(1)를 ON/OFF시키게 된 푸시레버(2)와, 상기 리미트스위치(1)를 내장한 상태로 배선용차단기의 몰드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하우징(3)과, 상기 푸시레버(2)가 리미트스위치(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한 푸시레버(2)를 내장한 채 상기 메인하우징(3) 하부에 조립되는 베이스하우징(4)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ircuit breaker alarm switch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circuit (OFF) and closed circuit (ON) of the circuit of the alarm device (not shown) A
리미트스위치(1)는, 과전류 유입 또는 회로 단락으로 인한 배선용차단기의 접점차단장치 작동시의 사전 경보 전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하우징(3)에 의해 배선용차단기(B)에 내장되고, 이상상태를 알리는 경보장치의 전로를 개폐할 수 있는 다수의 단자(11) 및 상기 단자(11)들 간 스위칭을 통한 전로의 개폐를 위한 액추에이터(12)가 구비되는 한편, 차단기의 ON/OFF 상태와 Trip(자동 차단) 상태를 구분하여 보조접점(Auxiliary Switch : AX)과 경보접점(Alarm Switch : AL)의 용도로 복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푸시레버(2)는, 배선용차단기(B)의 접점차단장치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리미트스위치(1)의 액추에이터(12)를 푸싱(pushing)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공(2a)이 중앙부에 관통되고, 상기 축공(2a)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상기 액추에이터(12) 푸싱을 위해 회동작용케 된 누름편부(2-1) 및 배선용차단기(B)의 접점차단장치 작동시의 마찰간섭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편부(2-1)를 회동시키는 마찰편부(2-2)가 각각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배선용차단기(B)의 접점차단장치 작동 외력의 소멸시, 상기 누름편부(2-1)를 밀어올리는 액추에이터(12) 가압의 지속을 통해 경보장치의 전로가 평시 개로(OFF)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1)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act breaker operation external force of the circuit breaker B is extinguished, the path of the alarm device is normally open (OFF) by continuing the pressurization of the
메인하우징(3)은, 배선용차단기(B)의 몰드케이스(B-1)에 내장되는 리미트스위치(1)의 지지고정을 위한 것으로, 상기 리미트스위치(1)의 조립결합 및 경보장치의 전로를 단자(11)에 연결하기 위해, 상,하단이 개구된 수용공간부(3a)가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4)의 조립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3b)과 제2체결공(3c)이 상기 수용공간부(3a)의 전,후방 근접 외측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제1,2체결공(3b)(3c) 각각의 하측 말단부에는, 차후 후술될 상기 베이스하우징(4)의 제1,2결착편의 조립상태 유지고정을 위한 단턱(3b-1)(3c-1)이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그리고, 메인하우징(3)의 수용공간부(3a)를 종으로 구획하여 리미트스위치(1)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한 제1구획벽(31)이 형성되되, 상기 제1구획벽(31)의 양단부 상측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가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단차(311)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도하여, 상기 메인하우징(1)의 외단부 일측에는, 배선용차단기(B)에 내장되는 상기 메인하우징(1)의 조립상태 유지를 위한 "U"자형 체결편(32)이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U” shaped
베이스하우징(4)은, 리미트스위치(1)의 액추에이터(12) 푸싱작용을 위한 상기 푸시레버(2)가 상기 리미트스위치(1)의 그 하단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3)과의 분리형 조립구조 달성을 위한 것으로, 상기 푸시레버(2)를 내재수용할 수 있는 상부 개방형 조립공간부(4a)가 내부에 마련된다.The
또한, 상기 메인하우징(3)의 제1체결공(3b)에 삽입고정되는 제1결착편(41)이 일측 선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푸시레버(2)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된 제2구획벽(42)이 상기 조립공간부(4a)를 종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공(3b)에 삽입고정되는 제2결착편(43)이 상기 제2구획벽(42)의 일측 끝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상기 푸시레버(2)의 축공(2a)에 삽입되어 상기 푸시레버(2)가 축결합하도록 되는 중심축(44)이 상기 제2구획벽(42)의 양단으로부터 외부로 각각 대향 돌출된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protru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이로써, 상기 베이스하우징(4)의 조립공간부(4a)에 상기 푸시레버(2)가 내재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44)을 기준으로 상기 누름편부(2-1)와 마찰편부(2-2)의 회동작용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Thus, in the state in which the
또한, 상기 베이스하우징(4)의 바닥단부에는, 상기 누름편부(2-1)를 탄발력으로 밀어올리게 된 탄성스프링(21)의 수용을 위한 안착홈(4b)이 더 형성된다. 이는, 상기 누름편부(2-1)가 액추에이터(12)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미트스위치(1)가 평시 개로(OFF)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함이다.Further, at the bottom end of the
더하여, 상기 제1,2결착편(41)(43)의 각 선단부에는, 상기 단턱(3b-1)(3c-1)에 걸림될 수 있는 외향형 절곡단(411)(431)이 더 형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3) 및 베이스하우징(4) 상호 간의 조립결합상태 유지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In addition, outwardly bent ends 411 and 431 that may be caught on the stepped
미설명부호, (B-1a)은 배선용차단기의 몰드케이스 상부에 마련된 설치공간부이고, (B-1b)는 메인하우징 외부 일측에 형성된 체결편의 결속을 위한 착탈공이며, (B-2)는 접점 개폐용 크로스바이고, (B-3)은 과전류 유입시 트립작용하는 트립장치이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B-1a) is an installation spac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case of the circuit breaker, (B-1b) is a detachable hole for binding the fastening pieces formed on one side outside the main housing, (B-2) is Cross-baigo for contact opening and closing, (B-3) is a trip device that trips when overcurrent flows.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alarm switch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우선, 통상의 상기 배선용차단기(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링크(Toggle link) 구조를 이용한 접점 개폐용 크로스바(B-2), 과전류 유입시 작동하는 트립장치(B-3), 차단작용시의 아크 에너지를 신속히 흡수하는 소호(Arc extinguish)장치를 포함하며, 이들이 상기 몰드케이스(B-1) 내부에 일체로 연계장착된다.First,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B includes a contact opening and closing crossbar B-2 using a toggle link structure as shown in FIG. 4, and a trip device B-3 that operates when an overcurrent is introduced. ), An arc extinguish device for quickly absorbing the arc energy during the blocking action, and these are integrally mounted in the mold case B-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경보스위치(A)는, 상기 몰드케이스(B-1)의 설치공간부(B-1b)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크로스바(B-2) 또는 트립장치(B-3) 작동에 따라 연동하는 푸시레버(2)를 이용하여 리미트스위치(1)의 단자(11)를 스위칭시켜 경보장치의 전로를 개폐하는 것으로써 버저 신호음 발생 혹은 램프 점등을 통해 이상상태를 사전에 경보한다.On the other hand, the alarm switch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in the installation space (B-1b) of the mold case (B-1), the crossbar (B-2) or trip device (B-3) By switching the
이를 위해, 상기 메인하우징(3)의 수용공간부(3a)마다 리미트스위치(1)를 각각 내재수용시키되, 상기 수용공간부(3a)의 하측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밀어넣어 상기 리미트스위치(1)의 상단면이 제1구획벽(31)의 단차(311)에 밀착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이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4)의 조립공간부(4a)마다 푸시레버(2)를 각각 내재수용시키되, 상기 푸시레버(2)의 축공(2a) 안으로 상기 제2구획벽(42) 양단에 돌출된 중심축(44)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한 푸시레버(2)가 상기 조립공간(4a)에 내재된 상태로 누름편부(2-1)와 마찰편부(2-2)의 회동작용이 가능토록 한다.Subsequently, each of the assembly levers 4a of the
더하여, 상기 누름편부(2-1)의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하우징(4)의 바닥단부 사이에 탄성스프링(21)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스프링(21) 탄발력을 이용한 누름편부(2-1)의 상향 회동작용을 지속시켜 상기 액추에이터(12) 가압에 의한 상기 리미트스위치(1)의 개로(OFF) 상태가 항시 유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an
계속해서, 상기 푸시레버(2)가 장착된 베이스하우징(4)을 상기한 메인하우징(3)의 하부에 연계조립하는바, 상기 베이스하우징(4)의 제1,2결착편(41)(43)이 상기 제1,2체결공(3b)(3c) 안으로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2결착편(41)(43)의 절곡단(411)(431)과 상기 제1,2체결공(3b)(3c)의 단턱(3b-1)이 상호 밀착됨으로써, 메인하우징(3)과 베이스하우징(4) 양자 간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base housing (4) on which the push lever (2) is mounted is assembled in a lower part of the main housing (3),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ieces (41) of the base housing (4) ( 43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결국, 상기 메인하우징(3) 내부에는 리미트스위치(1)를 내장시키고 상기 베이스하우징(4) 내부에는 푸시레버(2)를 각각 내장시킨 이후의 과정으로 메인하우징(3)과 베이스하우징(4)을 상호 간 연계시켜 조립결합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의 경보스위치(A)를 구성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베이스하우징(4)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각종 배선용차단기에 호환이 가능함과 같은 사용성 극대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main housing (3) and the base housing (4) in the process after the built-in limit switch (1) inside the main housing (3) and the push lever (2) inside the base housing (4),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alarm switch (A)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assembling and associating with each other, as well as maximizing usability, such as being compatible with various wiring breakers only by replacing the base housing (4). It will be effective.
다시 말해, 이상상태의 사전 경보 전로를 개폐하는데 사용하는 리미트스위치(1)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1)의 스위칭 작용을 위한 푸시레버(2)의 조립성 증대와 더불어, 서로 다른 형태로 된 각종의 배선용차단기 본 발명에 따른 경보스위치(A)를 간단히 적용시킬 수 있음과 같은 사용성 증대의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 : 경보스위치, 1 : 리미트스위치, 2 : 푸시레버
2a : 축공, 2-1 : 누름편부, 2-2 : 마찰편부
3 : 메인하우징, 3a : 수용공간부, 3b : 제1체결공
3b-1, 3c-1 : 단턱, 3c : 제2체결공, 4 : 베이스하우징
4a : 조립공간부, 4b : 안착홈, 21 : 탄성스프링
31 : 제1구획벽, 32 : 체결편, 41 : 제1결착편
42 : 제2구획벽, 43 : 제2결착편, 44 : 중심축
311 : 단차, 411, 431 : 절곡단A: alarm switch, 1: limit switch, 2: push lever
2a: shaft hole, 2-1: push piece, 2-2: friction piece
3: main housing, 3a: accommodating space part, 3b: first fastening work
3b-1, 3c-1: stepped, 3c: second fastening hole, 4: base housing
4a: assembly space part, 4b: seating groove, 21: elastic spring
31: first partition wall, 32: fastener, 41: first fastener
42: second compartment wall, 43: second binding piece, 44: central axis
311 step, 411, 431 bend
Claims (6)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하측에 배치된 채로, 배선용차단기의 접점차단장치 작동에 연계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ON/OFF시키게 된 푸시레버;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배선용차단기의 몰드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하우징; 및,
상기 푸시레버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푸시레버를 내장한 채로 상기 메인하우징 하부에 조립되는 베이스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
A limit switch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of multiple terminals by an actuator for pre-alarm of an abnormal state;
A push lever which is disposed under the limit switch and turns the limit switch ON / OFF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tact breaker of the circuit breaker;
A main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mold case of the circuit breaker with the limit switch embedded therein; And
And a base housing assembled under the main housing with the push lever embedded so that the push lever is disposed below the limit switch.
상기 푸시레버는, 단부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공이 중앙부에 관통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상기 액추에이터 푸싱(pushing)을 위해 회동작용케 된 누름편부 및 상기 접점차단장치 작동시의 마찰간섭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편부를 회동시키는 마찰편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점차단장치 작동 외력의 소멸시, 상기 누름편부를 밀어올리는 상기 액추에이터 가압의 지속을 통해 경보장치의 전로가 개로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ush lever has a shaft hole, which is the center of end rotation, penetrates the central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shaft hole, a pressing piece that is rotated for pushing the actuator and a friction piece that rotates the pressing piece by using frictional interference during operation of the contact blocking device are formed, respectively.
When the contact breaker operation external force is extinguished, the alarm switch for the circuit breaker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spring for maintaining the open state of the alarm device through the continuation of the actuator pressure to push up the pressing piece. .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조립결합 및 경보장치 전로를 상기 단자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단이 개구된 수용공간부가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전,후방 근접 외측부에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조립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housing, the upper and lower accommodating spaces are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so as to connect the assembly of the limit switch and the alarm device converter to the terminal,
The front and rear adjacent out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portion,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for th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astening hole for the assembly coupling of the base housing.
상기 메인하우징에는, 상기 수용공간부를 종으로 구획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한 제1구획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벽의 양단부 상측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단차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main housing, a first partition wall is formed so as to divide the accommodation space into a longitudinal section so as to separately receive the limit switch.
An alarm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a step for protruding separation of the limit switch is protruded above both ends of the first partition wall.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푸시레버를 내재수용할 수 있는 상부 개방형 조립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체결공으로 삽입고정되는 제1결착편이 일측 선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푸시레버의 분리수용이 가능토록 된 제2구획벽이 상기 조립공간부를 종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고정되는 제2결착편이 상기 제2구획벽의 일측 끝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푸시레버가 축결합되는 중심축이 상기 제2구획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대향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se housing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open assembly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push lever,
The first fastening piec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protrudes upward from one end portion,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formed so that the separation of the push lever can be partitioned into the assembly space section,
The second fastening piece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protrudes up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mpartment wall,
And a central shaft to which the push lever is axially coupled protrudes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respectively.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제2체결공 각각의 하측 말단부에는, 돌출형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결착편의 각 선단부에는, 상기 단턱에 결착되는 외향형 절곡단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6. The method of claim 5,
At the lower end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a protruding stepped jaw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pieces, an outward-type bending end which is fastened to the step is further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541A KR101350367B1 (en) | 2012-10-10 | 2012-10-10 | Alarming switch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541A KR101350367B1 (en) | 2012-10-10 | 2012-10-10 | Alarming switch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0367B1 true KR101350367B1 (en) | 2014-01-14 |
Family
ID=5014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2541A Active KR101350367B1 (en) | 2012-10-10 | 2012-10-10 | Alarming switch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036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76893A (en) * | 2020-08-17 | 2022-02-22 |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 A circuit breaker and its circuit board power taking and closing device |
CN114242523A (en) * | 2021-12-28 | 2022-03-25 | 山东齐电电子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sensing device for plastic shel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5002U (en) * | 1998-08-20 | 2000-03-15 | 이종수 | Wiring connection structure of auxiliary switch for alarm of wiring breaker |
KR200382140Y1 (en) * | 2005-01-29 | 2005-04-1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The device for alarm switch of circuit breaker |
KR200430939Y1 (en) * | 2006-08-25 | 2006-11-1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Alarm device for wiring breaker |
-
2012
- 2012-10-10 KR KR1020120112541A patent/KR1013503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5002U (en) * | 1998-08-20 | 2000-03-15 | 이종수 | Wiring connection structure of auxiliary switch for alarm of wiring breaker |
KR200382140Y1 (en) * | 2005-01-29 | 2005-04-1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The device for alarm switch of circuit breaker |
KR200430939Y1 (en) * | 2006-08-25 | 2006-11-1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Alarm device for wiring break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76893A (en) * | 2020-08-17 | 2022-02-22 |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 A circuit breaker and its circuit board power taking and closing device |
CN114242523A (en) * | 2021-12-28 | 2022-03-25 | 山东齐电电子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sensing device for plastic shell |
CN114242523B (en) * | 2021-12-28 | 2024-03-15 | 山东齐电电子科技有限公司 | Plastic case intelligent sens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01313B2 (en) | Case for circuit breaker with monolithic door | |
CN101361148A (en) |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 |
EP3364435B1 (en) | Molded-case circuit breaker for dc | |
KR20070066828A (en) | Circuit breaker | |
ES2592697T3 (en) | Modules and disconnector switch devices with fuse with in-line current detection | |
KR101350368B1 (e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KR101350367B1 (en) | Alarming switch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EP3382731B1 (e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RU101863U1 (en) | ELECTRIC SWITCHING DEVICE FOR LOW VOLTAGE CHAINS | |
KR100919208B1 (en) | Mold cased circuit breaker | |
US9053888B2 (en) | Tie bar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assembly | |
CN207834216U (en) | A kind of breaker being easily installed | |
CN112885657B (en) | Compact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intelligent control function | |
KR100938705B1 (en) | Miniature breaker with separate power and load terminals | |
CN203055819U (en) | AC-DC circuit breaker | |
CN215955213U (en) | Circuit breaker | |
CN102983025B (en) | Device for locking a cover of an electrical switch | |
CA2934037C (en) |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housing assembly therefor | |
JP6245673B1 (en) | Power line connection device | |
KR101810472B1 (en) | Coupling Structure of Mechanism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JP3035548U (en) | Arc-extinguishing room of switch | |
KR100557495B1 (en) | Gas pressure trip device of circuit breaker | |
CN208385330U (en) | A kind of novel breaker handle arrangement | |
KR100867095B1 (en) | Multiphase circuit breaker with sealing member on the front cover | |
CN216054533U (en) | Circuit br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