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9966B1 - 조립식 폰툰 - Google Patents

조립식 폰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966B1
KR101349966B1 KR1020130061089A KR20130061089A KR101349966B1 KR 101349966 B1 KR101349966 B1 KR 101349966B1 KR 1020130061089 A KR1020130061089 A KR 1020130061089A KR 20130061089 A KR20130061089 A KR 20130061089A KR 101349966 B1 KR101349966 B1 KR 10134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coupling grooves
prefabricated
coupling
ponto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동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산업(주) filed Critical 동신산업(주)
Priority to KR102013006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9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폰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테두리면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성형시 상기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의 내부에 위치된 복수개의 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개의 몸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각각의 하부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파이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폰툰{Assemblable Type Pontoon}
본 발명은 조립식 폰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트나 요트 등의 선박 계류장이나 접안시설로 사용되거나, 해수면에 부유하여 다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교를 비롯하여 다양한 해상 구조물을 간단히 조립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폰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폰툰은 보트나 요트 등의 선박 계류장이나 접안시설로 사용되거나, 해수면에 부유하여 다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교를 비롯하여 다양한 해상 구조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상 스포츠의 보급 확대와 다양한 용도의 해상 구조물의 필요성으로 인해 많은 관심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폰툰은 보트나 요트 등의 접안을 위해 종래에 판재 등의 목재로 이루어진 접안시설이 가지는 구조적 취약성을 해소하고,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접안시설이 가지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접근의 어려움 및 접안시설을 설치하는 노력과 비용의 증가를 해소하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조립식 폰툰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086호에 "테크가 장착된 조립식 폰툰"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내부에 공간부(14)가 밀폐 형성된 중공형태의 본체(12)로 외형을 구성하는 조립식 폰툰에 있어서, 본체(12)의 상면에는 거치홈(20)이 함몰 형성되고, 거치홈(20)에는 테크(22)가 얹혀지며, 테크(22)가 얹혀지는 본체의 상면에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외곽둘레면을 따라 플랜지(26)가 일체 연장 형성된 체결부재(24)가 인서트 블로우 몰딩 성형되며, 체결부재(24)로는 테크(22)를 관통하는 볼트(25)가 체결되도록 하여 본체(12)의 상면 둘레면에는 테두리부(32))가 돌출 형성되고, 테두리부(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34)가 관통 형성되며, 체결부재(24)가 삽입되는 본체(12) 상면의 삽입부 주변에는 테크(22)를 받쳐주는 단턱부(28)를 돌출 형성하여 테크(22)와 거치홈(20) 사이에 배수로(30)로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조립식 폰툰은 상하 방향 적층에 대해서만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뿐, 측방향 결합이 고리부(16)에 의해 거의 점접촉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의 수압이나 하중 등에 의해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결합방식에 인해 외부의 하중에 의해 폰툰들이 고리부에 의한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모멘트 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폰툰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부면이 요철을 이루게 되어 불안정한 상부면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몸체를 조인트를 통해 면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상호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수압이나 하중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고, 복수개의 몸체들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복수개의 몸체들이 이루는 상부면이 평면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폰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면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성형시 상기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의 내부에 위치된 복수개의 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개의 몸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각각의 하부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파이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개의 몸체의 각각의 내부에는 보조몸체가 상기 복수개의 몸체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복수개의 몸체와 상기 복수개의 보조몸체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또는 발포폴리스티렌(EPS)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보조몸체는 상기 복수개의 몸체보다 밀도가 낮게 발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각각의 하부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파이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의 내부에는 강도보강용 브라켓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몸체를 조인트를 통해 면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상호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수압이나 하중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고, 복수개의 몸체들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복수개의 몸체들이 이루는 상부면이 평면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을 이용하여 보트나 요트 등의 선박 접안시설로 설치된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을 이용하여 해양구조물로 활용한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을 이용하여 보트나 요트 등의 선박 접안시설로 설치된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을 이용하여 해양구조물로 활용한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100)은 복수개의 몸체(110), 복수개의 파이프(120), 복수개의 조인트(130)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몸체(110)의 테두리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12)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몸체(110)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몸체(110)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돌기(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몸체(110)의 상부면을 밟았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한, 복수개의 몸체(110)의 각각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몸체(110)의 부력을 향상시키고 중량을 감소시키는 보조몸체(116)가 복수개의 몸체(11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몸체(110)와 보조몸체(116)는 수면에서 부력을 가질 수 있는 경량체인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또는 발포폴리스티렌(EPS)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의 보조몸체(116)는 복수개의 몸체(110)보다 밀도가 낮게 발포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개의 몸체(110)를 복수개의 보조몸체(116)보다 밀도가 낮게 발포 성형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복수개의 몸체(110)가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향상되고, 복수개의 보조몸체(116)를 복수개의 몸체(110)보다 밀도가 낮게 발포 성형함으로써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이프(120)는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복수개의 결합홈(112)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결합홈(112)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몸체(110)의 성형시 몸체(110)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파이프(120)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조인트(130)는 복수개의 몸체(110)를 상호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일단이 복수개의 몸체(1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홈(112)에 삽입되고, 타단이 복수개의 몸체(1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결합홈(112)에 삽입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조인트(13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복수개의 조인트(130)에 의해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몸체(110)의 결합부위에 파도와 같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조인트(130)는 연결부(132)와, 연결부(13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개의 몸체(110)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112)에 삽입되는 삽입부(134)로 이루어진다.
또한, 삽입부(134)의 각각의 하부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절개부(136)가 형성되는데, 이 절개부(136)는 삽입부(134)가 결합홈(112)에 삽입될 때 결합홈(112)의 내부에 위치된 파이프(120)에 삽입된다.
아울러, 복수개의 조인트(130)의 내부에는 조인트(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브라켓(138)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조립식 폰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복수개의 조인트(130)를 이용해 복수개의 몸체(110)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112)에 삽입하여 복수개의 몸체(110)를 상호 결합시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하는 용도의 해양구조물을 설치한다.
이때, 복수개의 결합홈(112)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조인트(130)의 삽입부(134)는 하부면에 절개부(13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개부(136)가 파이프(120)에 삽입됨으로써 복수개의 몸체(110)의 결합은 더욱 견고하게 된다.
아울러, 복수개의 몸체(110)가 복수개의 조인트(130)에 의해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복수개의 몸체(110)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112)에는 엔드조인트(140)를 각각 삽입하여 마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엔드조인트(140)의 하부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42)가 형성되고, 절개부(142)가 파이프(120)에 삽입됨으로써 엔드조인트(140)의 결합이 견고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엔드조인트(14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144)에 지지바(146)를 각각 설치하고, 체결홈(144)에 설치된 지지바(146)를 와이어 또는 로프(148) 등으로 상호 연결하여 난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폰툰은 복수개의 몸체를 조인트를 통해 면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상호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수압이나 하중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고, 복수개의 몸체들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복수개의 몸체들이 이루는 상부면이 평면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폰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몸체
112: 결합홈
114: 돌기
116: 보조몸체
120: 파이프
130: 조인트
132: 연결부
134: 삽입부
136: 절개부
138: 브라켓
140: 엔드조인트
142: 절개부
144: 체결홈
146: 지지바

Claims (5)

  1. 테두리면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성형시 상기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의 내부에 위치된 복수개의 파이프; 및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개의 몸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각각의 하부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파이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몸체의 각각의 내부에는 보조몸체가 상기 복수개의 몸체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복수개의 몸체와 상기 복수개의 보조몸체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또는 발포폴리스티렌(EPS)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조몸체는 상기 복수개의 몸체보다 밀도가 낮게 발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내부에는 강도보강용 브라켓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폰툰.
KR1020130061089A 2013-05-29 2013-05-29 조립식 폰툰 Active KR10134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089A KR101349966B1 (ko) 2013-05-29 2013-05-29 조립식 폰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089A KR101349966B1 (ko) 2013-05-29 2013-05-29 조립식 폰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966B1 true KR101349966B1 (ko) 2014-02-17

Family

ID=5026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089A Active KR101349966B1 (ko) 2013-05-29 2013-05-29 조립식 폰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9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255B1 (ko) * 2014-02-10 2015-10-16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KR101691185B1 (ko) * 2015-07-14 2016-12-30 동신산업(주) 폰툰용 인서트 프레임 조립체
KR101818097B1 (ko) 2016-09-27 2018-01-12 동신산업(주)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KR101852991B1 (ko) 2018-03-16 2018-04-27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현장조립식 기초 플랫폼 시공 방법 및 현장조립식 기초 플랫폼
FR3117555A1 (fr) * 2020-12-11 2022-06-17 Lmp Dispositif de fixation utilisé pour le montage de structures aquatiques flottantes
KR102460710B1 (ko) * 2022-01-13 2022-10-28 이성일 선박 계류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065A (ja) * 1993-12-27 1995-07-25 Sekisui Plastics Co Ltd 浮体構造物用浮力体
JP2006160109A (ja) 2004-12-08 2006-06-22 Cre:Kk 浮体および浮体構造物ならびにその組立方法
KR20090002683U (ko) * 2007-09-13 2009-03-18 양홍모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KR200464027Y1 (ko) * 2012-05-24 2012-12-06 (주)건국 태양광 발전장치용 수상부유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065A (ja) * 1993-12-27 1995-07-25 Sekisui Plastics Co Ltd 浮体構造物用浮力体
JP2006160109A (ja) 2004-12-08 2006-06-22 Cre:Kk 浮体および浮体構造物ならびにその組立方法
KR20090002683U (ko) * 2007-09-13 2009-03-18 양홍모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KR200464027Y1 (ko) * 2012-05-24 2012-12-06 (주)건국 태양광 발전장치용 수상부유구조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255B1 (ko) * 2014-02-10 2015-10-16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KR101691185B1 (ko) * 2015-07-14 2016-12-30 동신산업(주) 폰툰용 인서트 프레임 조립체
KR101818097B1 (ko) 2016-09-27 2018-01-12 동신산업(주)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KR101852991B1 (ko) 2018-03-16 2018-04-27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현장조립식 기초 플랫폼 시공 방법 및 현장조립식 기초 플랫폼
FR3117555A1 (fr) * 2020-12-11 2022-06-17 Lmp Dispositif de fixation utilisé pour le montage de structures aquatiques flottantes
KR102460710B1 (ko) * 2022-01-13 2022-10-28 이성일 선박 계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966B1 (ko) 조립식 폰툰
US7640881B1 (en) Dock system
JP6279147B2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KR101009264B1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US20160332704A1 (en) Prefabricated pontoon
US6205945B1 (en) Floating dock including buoyant wharf modules and method of making such modules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2014812B1 (ko) 해상 구조물용 부력체
KR101311221B1 (ko) 콘크리트 부유체 고정구 및 콘크리트 부유체
KR101818097B1 (ko)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RU62578U1 (ru) Пла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KR100947584B1 (ko) 바지선의 확장 구조 및 그 방법
KR101143949B1 (ko) 금속제 프레임이 구비된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물
KR102055413B1 (ko) 보조 부력체 유닛의 설치를 통해 부분적인 부력보강이 가능한 수상 부유 구조물
KR101312920B1 (ko) 보강부재가 형성된 폰툰, 폰툰조립체 및 폰툰조립체 제조방법
KR101369799B1 (ko) 해상에서 선박을 접합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연결블록
KR102777687B1 (ko) 내구성이 강화된 콘크리트 단위부체와 이를 이용한 맞춤형 복합 웨일러 마리나 시스템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AU2014204501A1 (en) Pontoon
KR20170029142A (ko) 조립식 부력체
KR20180025369A (ko) 부구 연결용 브라켓을 이용한 친환경 수상 구조물
KR102136876B1 (ko) 플로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9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