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540B1 -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9540B1 KR101349540B1 KR1020120017916A KR20120017916A KR101349540B1 KR 101349540 B1 KR101349540 B1 KR 101349540B1 KR 1020120017916 A KR1020120017916 A KR 1020120017916A KR 20120017916 A KR20120017916 A KR 20120017916A KR 101349540 B1 KR101349540 B1 KR 101349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me network
- situation
- network device
- servic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6—Creation of semantic tools, e.g. ontology or thesauri
- G06F16/367—Ontolog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황인지 관리 서버 동작에 관한 흐름도.
도 5는 실제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할당한 상태를 표현한 모델들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내 온톨로지 모델들을 온톨로지의 클래스로 지정하고, 기기별 속성(property)을 기설정된 항목별 인디비주얼로 분류하여 지정한 트리.
156: 운전모드 제어부 158: 부하 산출부
Claims (12)
-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네트워크 기기와,
홈 네트워크 내에 무작위로 분산되어 오브젝트의 명령, 상태 및 주변 환경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 노드와,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 및 다수의 센서 노드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별 특성 온톨로지(Ontology) 모델과 상황 추론 규칙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하기의 상황인지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와,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Algorithm)을 통해 추론 및 해석하여 각 오브젝트에 대한 서비스 실행 및 주변 환경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황인지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인지 관리 서버는,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홈 네트워크 기기별 온톨로지 모델과 상황 추론 규칙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상황 정보관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상황 정보관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홈 네트워크 기기별 운용정보, 온톨로지 모델, 상황 추론 규칙 및 유저별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상황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 관리부와,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추론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추론에 필요한 상황 요소를 추출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별 특정 시간, 특정 공간 및 유저별 행동 기반 패턴에 해당하는 특성 동작이 항목별로 매핑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과 대조하는 인디비주얼(individual) 매핑부와,
상기 인디비주얼 매핑부로부터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정형화하여 현재 상황을 추론 엔진을 통해 추론하는 상황인지 추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 분석부는,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별 상황인지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오브젝트와 관계로 정의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내 오브젝트를 온톨로지의 클래스로 지정하고, 기기별 속성(property)을 기설정된 항목별 인디비주얼로 분류하여 지정하고,
상기 센서 노드의 임계정보 값과 현재 센싱된 센서 노드의 센싱값을 비교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인디비주얼 매핑부의 룩-업 테이블를 이용하여 추론된 현재 상황을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생된 이벤트 타입에 따라 각 홈 네트워크 기기에 현재 상황 전송을 차등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인지 관리 서버는,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 다수의 센서 노드 및 홈 네트워크 서버가 해당 홈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연동되어 상황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상황 정보 수집 API(Applicaton Programming Interface), 상황 룰 관리 API, 서비스 등록 및 해제 API를 포함하는 다수의 API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내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 노드를 통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센서 노드와 무선으로 연결된 홈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이벤트가 발생된 홈 네트워크 영역에 위치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과,
기 등록된 홈 네트워크 기기별 특성 온톨로지(Ontology) 모델과 상황 추론 규칙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홈 네트워크 영역에 위치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추론 데이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Algorithm)을 통해 추론 및 해석하여 각 오브젝트에 대한 서비스 실행 및 주변 환경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별 운용정보, 온톨로지 모델, 상황 추론 규칙 및 유저별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추론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추론에 필요한 상황 요소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상황 요소를 홈 네트워크 기기별 특정 시간, 특정 공간 및 유저별 행동 기반 패턴에 해당하는 특성 동작이 항목별로 매핑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과 대조하는 과정과,
상기 대조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정형화하여 현재 상황을 추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별 상황인지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오브젝트와 관계로 정의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내 오브젝트를 온톨로지의 클래스로 지정하고, 기기별 속성(property)을 기설정된 항목별 인디비주얼로 분류하여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생된 이벤트 타입에 따라 각 홈 네트워크 기기에 현재 상황 전송을 차등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은,
상기 센서 노드의 임계정보 값과 현재 센싱된 센서 노드의 센싱값을 비교하여 검색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방법.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를 이용하여 추론된 현재 상황을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7916A KR101349540B1 (ko) | 2012-02-22 | 2012-02-22 |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7916A KR101349540B1 (ko) | 2012-02-22 | 2012-02-22 |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455A KR20130096455A (ko) | 2013-08-30 |
KR101349540B1 true KR101349540B1 (ko) | 2014-01-08 |
Family
ID=4921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79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9540B1 (ko) | 2012-02-22 | 2012-02-22 |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954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706A (ko) | 2017-06-19 | 2018-12-28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 무선 센서 자동 감지 기반의 홈자동화 제어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4600B1 (ko) * | 2014-03-27 | 2016-01-19 | (주)코콤 | 주변환경 연계형 복합센서 사물인터넷시스템 |
KR101698184B1 (ko) * | 2014-08-08 | 2017-01-19 |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 홈 네트워크 가상화 장치 및 그 방법 |
KR101684423B1 (ko) * | 2015-06-05 | 2016-12-08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계층적 업무 네트워크 계획에 기반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566607B1 (ko) * | 2015-07-08 | 2023-08-16 | 주식회사 케이티 | 온톨로지 지식 구조를 이용한 지능형 스마트 홈 시스템 및 방법 |
JP6494466B2 (ja) * | 2015-08-06 | 2019-04-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及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
KR102485645B1 (ko) * | 2016-04-06 | 2023-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마트 오브젝트의 태스크 기반 협업을 위한 분산 설계 온톨로지에 기반한 분산 사물인터넷 시스템 |
WO2018105784A1 (ko) * | 2016-12-08 | 2018-06-14 | (주)온테스트 |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
KR102273367B1 (ko) * | 2018-12-28 | 2021-07-05 |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 복합적인 IoT로 구성된 Super Things에서의 각 IoT의 기능을 새롭게 융합하고 복합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기법 |
KR102312612B1 (ko) * | 2021-04-13 | 2021-10-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통신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55173A (ko) * | 2008-11-17 | 2010-05-26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상황인식 컴퓨팅을 위한 상황인식 모델링 시스템 및 상황인식 모델링 방법 |
-
2012
- 2012-02-22 KR KR1020120017916A patent/KR10134954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55173A (ko) * | 2008-11-17 | 2010-05-26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상황인식 컴퓨팅을 위한 상황인식 모델링 시스템 및 상황인식 모델링 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Enabling Context-aware Smart Home with Semantic Web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ssistive Robotics and Mechatronics, Vol.6 No.4 (2005)* |
'Enabling Context-aware Smart Home with Semantic Web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ssistive Robotics and Mechatronics, Vol.6 No.4 (2005)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706A (ko) | 2017-06-19 | 2018-12-28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 무선 센서 자동 감지 기반의 홈자동화 제어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455A (ko) | 2013-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9540B1 (ko) |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CN108983625B (zh) | 一种智能家居系统及服务生成方法 | |
De Paola et al. |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s for energy efficiency in buildings: A survey | |
US20200167834A1 (en) | Intelligent identification and provisioning of devices and services for a smart home environment | |
US11353218B2 (en) |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kitchen environ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
US11483172B2 (en) | Integrated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home applia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
Badica et al. | An Overview of Smart Home Environments: Architectures,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 |
Cristea et al. | Context-aware environments for the internet of things | |
CN101782768A (zh) | 一种基于上下文感知的智能家居系统 | |
KR101126524B1 (ko) | 사용자 중심의 상황 인지 시스템, 이에 적합한 상황 정보 변환 방법 및 사례 기반 추론 방법 | |
Lee et al. | Context-aware inference in ubiquitous residential environments | |
Moreno et al. | The role of smart homes in intelligent homecare and healthcare environments | |
KR20200087313A (ko) | 복합적인 IoT로 구성된 Super Things에서의 각 IoT의 기능을 새롭게 융합하고 복합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기법 | |
Taiwo et al. | Smart home automation: taxonomy, composition,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 | |
Ming et al. | Automating smart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 modern homes using context‐based fuzzy logic | |
Szilagyi et al. | An intelligent system for smart buildings using machine learning and semantic technologies: A hybrid data-knowledge approach | |
Žáček et al. | SBOnto: Ontology of smart building | |
Fernández-Montes et al. | Software reference architecture for smart environments: Perception | |
Shahi et al. | Naive Bayesian decision model for the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systems in an intelligent building environment | |
Raj et al. | Real time complex event processing and analytics for smart building | |
KR101767828B1 (ko) | 온톨로지를 이용한 맞춤형 홈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온톨로지를 이용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Ghayvat et al. | Wellness protocol for smart homes: an integrated framework for ambient assisted living | |
Cesta et al. | A semantic representation of sensor data to promote proactivity in home assistive robotics | |
Che-Bin et al. | Research Article A Review on Smart Home based on Ambient Intelligence, Contextual Awareness and Internet of Things (IoT) in Constructing Thermally Comfortable and Energy Aware House | |
Bouznad et al. | Context-aware monitoring agents for ambient assisted living applica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