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714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8714B1 KR101348714B1 KR1020060103676A KR20060103676A KR101348714B1 KR 101348714 B1 KR101348714 B1 KR 101348714B1 KR 1020060103676 A KR1020060103676 A KR 1020060103676A KR 20060103676 A KR20060103676 A KR 20060103676A KR 101348714 B1 KR101348714 B1 KR 101348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button
- slot
- portable terminal
- pressing
-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다수의 키버튼부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키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키버튼부를 탄성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되어, 키패드가 본체의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housing, a plurality of key button port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terminal housing and inputting information by a pressing operation, and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hous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switches to which a signal is input by pressing and an elastic support unit integrally formed in the terminal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key button unit, wherein the keypa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of the main body. do.
휴대 단말기, 키패드 Handset, keypad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I-I선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부의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상부케이스의 배면도.7 is a rear view of the upper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B부의 확대도.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7;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단말기 하우징 130 : 인쇄회로기판100: terminal housing 130: printed circuit board
131 : 발광소자 200 : 키버튼부131: light emitting device 200: key button portion
210 : 누름돌기 300 : 스위치210: push protrusion 300: switch
400 : 탄성지지부 410 : 제1슬롯400: elastic support 410: first slot
420 : 제2슬롯 500 : 코팅필름420: second slot 500: coating film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패드가 본체의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keypad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ase of a main bod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11)가 장착되고, 인쇄회로기판(12)이 내장되는 제1바디(10)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1)가 장착되는 제2바디(20)로 구성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equipped with a
상기 제1바디(10)는 상면에 상기 키패드(11)가 돌출되도록 키버튼홀(13)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4)와, 하부에 배터리(15)가 장착되는 하부케이스(16)로 구성된다.The
상기 키패드(11)의 상면에는 상기 키버튼홀(1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누름동작에 의해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키버튼(17)이 장착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키패드(11)의 하면에는 상기 키버튼(17)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키버튼(17)에 누름동작에 의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2)에 장착되는 돔스위치(18)에 전달하는 누름돌기(미도시)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는 단말기의 케이스와 별개로 제작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keypa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and assembled separately from the case of the terminal,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또한, 키패드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 에 키패드의 두께로 인해 단말기의 슬림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keypad must be manufactured in order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keypad, it is difficult to slim th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키버튼부를 형성하여 케이스와 키패드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by forming a key button unit on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integrally manufacture the case and the keypad. There is.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케이스에 키버튼부를 형성하여 키패드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음으로써, 슬림화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made slim by forming a key button portion in a case of the terminal and not separately mounting a keypad.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다수의 키버튼부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키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단말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키버튼부를 탄성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terminal housing, a plurality of key button unit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rminal housing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a pressing operation, and printing disposed in the terminal housing And a plurality of switche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a circuit board to receive signals by pressing the key button unit, and an elastic support unit integrally formed on the terminal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key button unit. .
상기 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돔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me switch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키버튼부의 하면에는 상기 키버튼을 누르면 하강하면서 상기 돔스위치를 눌러주는 누름돌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ing button for pressing the dome switch while lowering the key button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key butt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키버튼부의 주변이 원형으로 절개됨에 따라 형성되는 키버튼부의 외주면과 단말기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ib is connec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ey button portion and the terminal housing is formed as the periphery of the key button portion is cut in a circular shape.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키버튼의 주변에 일측이 개구된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제1슬롯과, 상기 제1슬롯의 반대방향에 상기 제1슬롯보다 큰 직경을 갖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제2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rib may include a first slot formed in a circular band shape having one side opened around the key button, and a circular band having one sid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slo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lo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by the second slot formed in the form.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상면에 적층되고, 숫자 또는 문자 등의 기호가 인쇄되는 코팅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terminal is further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ating film is printed symbols, such as numbers or lett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선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상부케이스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부의 확대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line II of FIG. 3,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5, 7 is a rear view of an upper ca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7.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20)가 장착되고 인쇄회로기판(130)이 내장되는 단말기 하우징(100)과, 상기 단말기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키버튼부(2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키버튼부(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스위치(300)와, 상기 단말기 하우징(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키버튼부를 탄성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부(400)와, 상기 단말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적층되고, 숫자 또는 문자 등의 기호가 인쇄되는 코팅필름(500)으로 구성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는 사용자가 숫자 또는 문자 등의 기호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상기 코팅필름(500)에 인쇄되는 기호를 조명하는 다수의 발광소자(131)가 장착된다.The printed
상기 키버튼부(200)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상면에 평평하게 위치된다.The
상기 키버튼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코팅필름(500)이 각각의 키버튼부(200)에 상기 코팅필름(500)에 인쇄되는 각각의 기호가 대응되게 접착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키버튼부(200)의 하면에는 상기 키버튼부(200)를 누르면 하강하면서 상기 스위치(300)를 눌러주는 누름돌기(210)가 장착된다.In addition, a
상기 스위치(300)는 상기 누름돌기(210)가 하강하여 상기 스위치(300)를 누르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돔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키버튼부(200)의 주변에는 'C' 형태로 절개되는 제1슬롯(410) 및 제2슬롯(420)이 형성된다.The
상기 제1슬롯(410)은 상기 키버튼부(200)를 둘러싸고 일측이 개구된 원형의 띠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롯(420)은 상기 키버튼부(200)를 둘러싸면서 위치하되, 상기 키버튼부(200)를 중심으로 상기 제1슬롯(410)의 반대방향에 상기 제1슬롯(4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의 띠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직경이 서로 다른 상기 제1슬롯(410)과 제2슬롯(4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키버튼부(200)의 외주면과 단말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지지리브이다.The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상기 키버튼(200)에 누름동작으로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누름돌기(210)가 탄성적으로 하강하여 상기 스위치(300)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상기 제1슬롯(410) 및 제2슬롯(420)은 절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슬롯을 메우고 상기 탄성지지부(400)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질의 물질로 채울 수도 있다. Since the
상기 코팅필름(500)은 PC(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적층된다.The
즉, 상기 코팅필름(500)은 양면테이프의 상면에 투명 PC 시트를 적층하고, 상기 PC 시트의 상면에 문자 또는 숫자 등의 기호를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코팅처리를 하여 형성된다.That is, the
여기에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투명 PC 시트의 상면에 기호를 제외한 부분을 불투명하게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발광소자(131)의 빛이 상기 제1슬롯(410) 및 제2슬롯(420)을 통과하여 투명하게 형성되는 기호부분을 조명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문자 또는 숫자 등의 기호를 식별할 수 있다.Here, the printing layer may be formed by opaque printing a portion except for the symbo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C sheet. Then, the light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130)에 장착되는 발광소자(131)는 단말기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제1슬롯(410) 및 제2슬롯(420)를 통해 상기 단말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적층되는 코팅필름(500)에 인쇄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의 기 호를 조명한다.The
사용자가 상기 기호를 식별하여 누르면, 상기 단말기 하우징(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키버튼부(200)는 탄성지지부(400)에 의해 탄성적으로 하강하고, 상기 키버튼부(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누름돌기(2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장착되는 스위치(300)를 눌러서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When the user identifies and presses the symbol,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케이스에 키버튼부를 형성하여 케이스와 키패드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by forming a key button unit in the case and integrally manufacturing the case and the keypad.
또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키버튼부를 형성하여 키패드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음으로써, 단말기의 슬림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erminal can be made slim by forming a key button part in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not separately mounting the keypa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3676A KR101348714B1 (en) | 2006-10-24 | 2006-10-24 |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3676A KR101348714B1 (en) | 2006-10-24 | 2006-10-24 |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6866A KR20080036866A (en) | 2008-04-29 |
KR101348714B1 true KR101348714B1 (en) | 2014-01-08 |
Family
ID=3957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36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8714B1 (en) | 2006-10-24 | 2006-10-24 |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871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3042A (en) * | 2004-03-11 | 2006-05-15 | (주)지엔씨 | Front case of personal mobile device with integrated buttons and personal mobile device with same |
-
2006
- 2006-10-24 KR KR1020060103676A patent/KR1013487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3042A (en) * | 2004-03-11 | 2006-05-15 | (주)지엔씨 | Front case of personal mobile device with integrated buttons and personal mobile device with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6866A (en) | 2008-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63325B2 (en) | Keypad assembly | |
KR101228452B1 (en) | Keypad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 |
JP4716956B2 (en) | Touch key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9239591B2 (en) | Case for a hand held device | |
US6180895B1 (en) | Keypad | |
KR100464975B1 (en) | A metal dome sheet and keypad for a mobile phone | |
EP1918954B1 (en) | Keypad Assembly | |
EP1028445B1 (en) |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 |
US7705256B2 (en) | Thin key sheet | |
KR20060025556A (en) | Film layers, assemblies and methods f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mobile stations | |
MXPA00009452A (en) | Lighting system of data input device. | |
KR101348714B1 (en) | Portable terminal | |
US7679015B2 (en) | Keypad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 |
CN100440898C (en) | mobile phone | |
KR200377204Y1 (en) | One body style acrylic keypad | |
KR100779066B1 (en) | Key pad manufacturing method and key pad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 |
KR100799315B1 (en) | Keypa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CN102208297A (en) | Key panel | |
KR200364826Y1 (en) | A dome switch assembly | |
KR101150305B1 (en) | Single type reverse dome sheet | |
KR200370005Y1 (en) | a side key-pad for emitting light | |
JP2005149903A (en) | Cover member for push-button switch | |
KR101150306B1 (en) | Twin type reverse dome sheet | |
JP4647452B2 (en) | Electronics | |
KR20060025616A (en) | Light emitting device on the side key of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0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