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89B1 -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 Google Patents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8189B1 KR101348189B1 KR1020120106925A KR20120106925A KR101348189B1 KR 101348189 B1 KR101348189 B1 KR 101348189B1 KR 1020120106925 A KR1020120106925 A KR 1020120106925A KR 20120106925 A KR20120106925 A KR 20120106925A KR 101348189 B1 KR101348189 B1 KR 101348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terminal
- guide
- guide member
- proj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들의 결합과정에서 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하여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구되는 내부공간에 단자가 돌출 형성된 제1커넥터(100)와;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저면에 단자가 관통되는 단자홀이 형성되어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200); 및 가이드부재(2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제1커넥터의 단자에 접속하는 제2커넥터(300)를 포함하되, 가이드부재(200)는 제2커넥터(300)와 체결되게 측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탄성돌기(260)가 형성되고, 제2 커넥터(300)는 탄성돌기(260)에 대응하는 외측면에 고정홈(360)이 형성되며, 제1커넥터(100)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탄성돌기(260)가 위치하는 상부 내측면에 탄성돌기가 탄성변형 되도록 유격홈(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that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terminal by preventing the wrong insertion of the connector in the mating process of the connect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100 having a terminal protruding in the inner space opened to one side; A guide member 200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having a terminal hole through the terminal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or 300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200, wherein the guide member 200 is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or 300 from side to top. A protruding elastic protrusion 260 is formed, the second connector 300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360 on the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protrusion 260, the first connector 100 is the elasticity of the guide member The clearance groove 160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at which the protrusion 260 is positioned such that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de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들의 결합과정에서 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하여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that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terminal by preventing the wrong insertion of the connector in the mating process of the connector.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전자제어장치는 물론 여러 장치들의 작동과 제어를 위한 전원과 신호가 흐르는 와이어를 배선하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는 통상, 커넥터와 같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서로 결합된다. In general,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used in the vehicle, as well as the wiring for the power supply and signal flow for the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various devices, these wires are usual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connector.
즉,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장치로부터 와이어를 매개로 인출되어 삽입홀을 형성하면서 단자를 구비한 제2커넥터에 제어대상에 대해 생성된 측정 신호가 흐르는 제1커넥터를 결합시켜 제어기인 메인 장치와 제어 대상간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unit and the main unit, which is a controller, are coupled to a second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hile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for the control object flows to a second connector having a terminal, drawn out through a wire from the main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forming an insertion hole. Communication between targets will be performed.
여기서, 제1커넥터는 통상 제2커넥터의 삽입홀을 형성한 단자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다수의 단자를 매개로 결합시켜 전기적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Here, the first connector is not only electrically connect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terminals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forming the insertion hole of the second connector, but also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는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의 결합시 오삽입에 의해 단자가 휘어지면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의 변형에 의해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 간의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not only has a problem that the terminal is bent due to misinsertion when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are coupled, but also a poor contact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such as occurr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자가 형성된 제1커넥터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를 형성하여 제1커넥터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하면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guide member located in the first connector terminal is formed having a terminal guide that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terminal while preventing the wrong inse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To provide a connector.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2커넥터가 분리될때까지 가이드부재가 함께 움직이면서 커넥터 분리시에 단자의 변형을 재차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that allows the guide member to move together until the second connector is separat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econd connector from the first connector, thereby again protecting the deformation of the terminal upon disconnection of the connector. To provide.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를 분리하는 경우 제2커넥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초기상태로 위치시켜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that can be easily reused by locating th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second connector to the initial state without being completely detached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have.
본 발명의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는, 일측으로 개구되는 내부공간에 단자가 돌출 형성된 제1커넥터(100)와; 제1커넥터에 삽입되면서 단자에 접속하는 제2커넥터(300); 및 상기 제1, 2커넥터(100,200) 결합전에 상기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준위치를 유지하며, 제1, 제2커넥터(100,200) 체결시 제2커넥터(300)에 체결되어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제1커넥터(100)의 저면에 고정되고, 제2커넥터의 분리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가이드부재(200);를 포함하되, 가이드부재(200)는 제2커넥터(300)와 체결되게 측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탄성돌기(260)가 형성되고, 제2 커넥터(300)는 탄성돌기(260)에 대응하는 외측면에 고정홈(360)이 형성되며, 제1커넥터(100)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탄성돌기(260)가 위치하는 상부 내측면에 탄성돌기가 탄성변형 되도록 유격홈(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는, 단자를 가이드하면서 제2커넥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에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로 제1커넥터에 결합되어 제2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하면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second connector while guiding the terminal to prevent the misinse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while deforming the terminal. Can be prevented.
또한,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2커넥터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가이드부재가 제2커넥터가 분리될때까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커넥터 분리시에 단자의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separat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econd connector from the first connector, the guide member moves together until the second connector is separated, thereby preventing bending of the terminal when the connector is separated.
또한, 가이드부재가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를 분리하는 경우 제2커넥터를 따라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제1커넥터에서 초기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uide member separates the second connector from the first connector, the guide member may be reused simply because the guide member is positioned in an initial state in the first connector without being completely separated along the second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의 내부를 보인 횡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히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process combined in FIG.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는 커넥터들의 결합과정에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으로 개구되는 내부공간에 단자(101)가 돌출 형성된 제1커넥터(100)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단자(10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200) 및 가이드부재(200)에 결합된 상태로 제1커넥터(100)의 단자(10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커넥터(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a terminal during a coupling process of connectors. The
제1커넥터(100)는 제2커넥터(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의 저면에 단자(101)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커넥터(100)는 내부공간의 양측면에서 회전안내돌기(110)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안내돌기(110)는 가이드부재(2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50)에 삽입되어 가이드부재(200)의 승강을 안내하면서 후술되는 레버(350)의 착탈홈(351)이 끼워져서 걸린다. The
이때, 제1커넥터(100)는 내부공간의 저면에서 상부로 수형돌기(120)가 돌출될 수 있다. 수형돌기(120)는 후술되는 가이드부재(200)의 관통홀(212)과 제2커넥터(300)의 삽입홈(320)에 순차적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된다. 즉, 수형돌기(120)가 관통홀(212)과 삽입홈(320)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관통홀(212)과 삽입홈(320)의 내주면이 수형돌기(120)의 외주면에 지지되므로,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서 가이드부재(200)가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상하로 바르게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제1커넥터(100)는 내부공간에서 양측면에 마주되게 상부지지턱(130)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에서 다른 양측면에 마주되게 하부지지턱(1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지지턱(130)은 가이드부재(200)의 상부걸림턱(230)에 대응되고 하부지지턱(140)은 가이드부재(200)의 하부걸림턱(240)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부지지턱(130)과 하부지지턱(140)은 후술되는 상부걸림턱(230)과 하부걸림턱(240)에 각각 걸린 상태에서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 부드럽게 넘어서 지나도록 각각의 끝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한편, 제1커넥터(100)는 내부공간에서 다른 양측면에서 입구측에 유격홈(160)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격홈(160)은 후술되는 가이드부재(200)의 탄성돌기(260)가 탄성변형 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즉, 탄성돌기(260)는 유격홈(160)에서 용이하게 탄성변형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가이드부재(200)는 제1, 2커넥터(100,200) 결합전에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준위치를 유지하며, 제1, 제2커넥터(100,200) 체결시 제2커넥터(300)에 체결되어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제1커넥터(100)의 저면에 고정되고, 제2커넥터의 분리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00)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 저면에 지지되고 단자(101)가 관통되어 단자(101)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단자홀(211)이 형성되는 베이스판(210)과 베이스판(210)의 외측단에 기립되는 외벽(220)으로 구성되어 캡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커넥터(300)는 가이드부재(200)의 내부로 수용되어 외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판(210)에는 제1커넥터(100)의 내부에 수형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형돌기(12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212)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그리고, 가이드부재(200)는 외벽(220)의 상부외측에 제1커넥터(100)의 상부지지턱(130)이 걸리도록 상부걸림턱(230)이 형성되고, 외벽(220)의 하부외측에 제1커넥터(100)의 하부지지턱(140)이 걸리도록 하부걸림턱(240)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걸림턱(230)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상부걸림턱(230)은 제1커넥터(100)의 상부지지턱(130)을 따라 상단과 하단을 이동하며, 하부걸림턱(240)은 제1커넥터(100)의 하부지지턱(130)의 하단에서 바닥면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즉, 제2커넥터가 체결되지 전의 초기상태인 경우 상부걸림턱(230)은 상부지지턱(130)의 상단에 위치하고, 하부걸림턱(240)은 하부지지턱(13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제2커넥터(300)가 체결되면 상부걸림턱(230)은 상부지지턱(13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커넥터(300)가 분리되는 경우 상부걸림턱(230)은 상부지지턱(130)의 상단으로 이동하지만, 하부걸림턱(240)은 하부지지턱(130)의 하단에 지지되어 초기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The
또한, 가이드부재(200)는 제1커넥터(100)의 회전안내돌기(110)에 대응되는 제1커넥터(100)의 외벽(220)에 회전안내돌기(110)가 삽입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홀(250)이 관통 형성되고, 제1커넥터(100)의 유격홈(160)에 대응되는 외벽(220)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된 탄성돌기(260)가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돌기(260)는 제1커넥터(100)의 유격홈(116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제2커넥터(300)의 고정홈(360)에 고정되거나 분리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제2커넥터(300)는 가이드부재(200)에 결합된 상태로 제1커넥터(100)의 단자(10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부재(200)의 단자홀(211)에 관통된 제1커넥터(100)의 단자(101)가 접속되는 접속홀(310)이 형성된다. 이때, 제1커넥터(100)에 수형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형돌기(120)가 삽입되는 삽입홈(32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제2커넥터(300)는 외부의 양측면에 탄성돌기(26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3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커넥터(300)가 가이드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돌기(260)가 유격홈(160)에서 탄성변형 되어서 벌려졌다가 오므려지면서 고정홈(360)에 체결되어 가이드부재(200)에 고정된 상태로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제2커넥터(300)는 외측면에 회전돌기(330)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회전돌기(330)에 레버(35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레버(350)는 양측면에 회전안내돌기(110)에 걸리도록 아크형태의 착탈홈(3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커넥터(300)의 레버(350)를 회전시키면, 착탈홈(351)이 회전안내돌기(110)에 안내되므로 제2커넥터(300)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가이드부재(200)를 제1커넥터(100)의 입구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커넥터(100)의 상부지지턱(130)의 상부에 가이드부재(200)의 상부걸림턱(230)이 걸쳐지도록 하면서 하부걸림턱(240)이 하부지지턱(140)을 넘어서 하부걸림턱(240)의 하부에 걸리게 되도록 가이드부재(200)를 약간 가압한다. 이때, 가이드부재(200)의 베이스판(210)에 형성된 단자홀(211)에 제1커넥터(100)의 단자(101) 끝부분이 약간 삽입되고, 가이드부재(200)의 관통홀(212)에 제1커넥터(100)의 수형돌기(120) 끝부분이 약간 삽입된 상태이다.First, the
이어서, 제2커넥터(300)를 가이드부재(200)에 삽입시키면 제2커넥터(300)의 회전돌기(330)가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홀(250)에 삽입되고, 제2커넥터(300)의 고정홈(360)에 가이드부재(200)의 탄성돌기(260)가 삽입되면서 제2커넥터(300)의 하부면이 가이드부재(200)의 베이스판(210)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재(200)의 탄성돌기(260)는 제2커넥터(300)가 삽입될 때 제1커넥터(100)의 유격홈(160)을 따라 후방으로 벌어진 후에 제2커넥터(300)의 고정홈(360)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제2커넥터(300)의 고정홈(360)에 가이드부재의 탄성돌기(260)가 체결될 때까지 상부걸림턱(230)은 상부지지턱(130)의 상단에 위치하여 가이드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계속해서, 제2커넥터(300)와 가이드부재(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레버(350)를 회전시키면 아크형태의 착탈홈(351)이 회전안내돌기(110)를 따라 안내되면서 제2커넥터(300)의 회전돌기(330)가 가이드홀(250)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커넥터(300)가 제1커넥터(100)에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레버(350)가 회전되는 경우 탄성돌기(260)와 고정홈(360)의 고정된 제2커넥터(300)와 가이드부재(200)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으로 함께 삽입되므로, 상부걸림턱(230)이 상부지지턱(130)을 넘어서 지나게 된다. 이때, 수형돌기(120)가 관통홀(212)에 관통된 상태에서 베이스판(210)이 이동하므로 관통홀(212)의 내주면이 수형돌기(120)의 외주면에 지지되면서 수형돌기(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관통홀(212)을 관통한 수형돌기(120)가 삽입홈(320)에 연이어서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제2커넥터(300)에 일측이 면접촉된 상태로 베이스판(210)이 이동되므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으로 바르게 삽입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이와 반대로, 레버(350)를 역회전시키면 착탈홈(351)이 회전안내돌기(110)를 따라 역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제2커넥터(300)와 함께 가이드부재(200)가 제1커넥터(100)에서 상부향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걸림턱(230)이 상부지지턱(13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더라도 하부걸림턱(240)에 하부지지턱(140)이 걸리게 되므로, 가이드부재(200)가 제1커넥터(100)의 내부공간에 남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계속해서, 제2커넥터(300)를 상부방향으로 당기면 가이드부재(200)의 탄성돌기(260)가 제1커넥터(100)의 유격홈(160)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고정홈(360)에서 탈리되므로, 제2커넥터(300)를 가이드부재(200)에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제2커넥터(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200)의 하부걸림턱(240)에 하부지지턱(140)이 걸리게 되면서 상부지지턱(130)의 상부에 상부걸림턱(230)이 걸쳐지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00)는 제1커넥터(100)의 입구측에 위치되어 제2커넥터(300)가 결합되기 전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1커넥터 101 : 단자
110 : 회전안내돌기 120 : 수형돌기
130 : 상부지지턱 140 : 하부지지턱
160 : 유격홈
200 : 가이드부재 210 : 베이스판
211 : 단자홀 212 : 관통홀
220 : 외벽 230 : 상부걸림턱
240 : 하부걸림턱 250 : 가이드홈
260 : 탄성돌기
300 : 제2커넥터 310 : 접속홀
320 : 삽입홈 340 : 걸림홈
350 : 레버 351 : 착탈홈
360 : 고정홈100: first connector 101: terminal
110: rotation guide projection 120: male projection
130: upper support jaw 140: lower support jaw
160: play groove
200: guide member 210: base plate
211: terminal hole 212: through hole
220: outer wall 230: upper locking jaw
240: lower locking jaw 250: guide groove
260: elastic projection
300: second connector 310: connection hole
320: insertion groove 340: locking groove
350: lever 351: removable groove
360: fixing groove
Claims (8)
제1커넥터에 삽입되면서 단자에 접속하는 제2커넥터; 및
상기 제1, 2커넥터 결합전에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서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준위치를 유지하며, 제1, 제2커넥터 체결시 제2커넥터에 체결되어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제1커넥터의 저면에 고정되고, 제2커넥터의 분리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되게 측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탄성돌기에 대응하는 외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탄성돌기가 위치하는 상부 내측면에 탄성돌기가 탄성변형 되도록 유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A first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rotruding in an inner space opened to one side;
A second connector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Maintain a reference positio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terminal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befor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coupled,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fastened to penetrate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member for returning to the reference position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separated,
The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ide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the second connector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on the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protrusion, the first connector is the guide The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ranc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elastic projection is elastically de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where the elastic projection of the member is located.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외측면에 제1커넥터의 상부지지턱이 걸리도록 상부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걸림턱은 상부지지턱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on the upper support jaw to face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The guide member has an upper locking jaw is formed to take the upper support jaw of the first connector on the upper outer surface,
The upper locking jaw is a lever-type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characterized in that mov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jaw.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부외측면에 제1커넥터의 하부지지턱이 걸리도록 하부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걸림턱은 하부지지턱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with a lower support jaw to face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The guide member has a lower locking jaw is formed to take the lower support jaw of the first connector on the lower outer surface,
The lower locking jaw is a lever-type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jaw.
상기 가이드부재는 회전안내돌기가 삽입되어서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양측면으로 돌출된 회전돌기와, 양측면에 회전안내돌기에 걸리도록 아크형태의 착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돌기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The first connector is a rotation guide projec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The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guided by the rotation guid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The second connector is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projection protruding on both sides, and the arc-shaped detachable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guide projection and the lever is rotatably fixed to the rotating projection.
상기 가이드부재의 베이스판에는 제1커넥터의 수형돌기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수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3. The male connector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nector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The base plate of the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proj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The second connector is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gu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male proj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6925A KR101348189B1 (en) | 2012-09-26 | 2012-09-26 |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6925A KR101348189B1 (en) | 2012-09-26 | 2012-09-26 |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8189B1 true KR101348189B1 (en) | 2014-01-07 |
Family
ID=5014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6925A Active KR101348189B1 (en) | 2012-09-26 | 2012-09-26 |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818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20675B2 (en) | 2014-12-04 | 2016-12-13 | Hyundai Motor Company | Lever type connector |
WO2025063419A1 (en) * | 2023-09-18 | 2025-03-27 | 김홍식 | Terminal block comprising current-carrying switching bloc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5378A (en) * | 2008-08-27 | 2010-03-0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20110000709U (en) * | 2009-07-15 | 2011-01-2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Fastening apparatus for lever-type connector |
-
2012
- 2012-09-26 KR KR1020120106925A patent/KR1013481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5378A (en) * | 2008-08-27 | 2010-03-0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20110000709U (en) * | 2009-07-15 | 2011-01-2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Fastening apparatus for lever-type connecto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20675B2 (en) | 2014-12-04 | 2016-12-13 | Hyundai Motor Company | Lever type connector |
WO2025063419A1 (en) * | 2023-09-18 | 2025-03-27 | 김홍식 | Terminal block comprising current-carrying switching bl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0881B1 (en) |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 |
KR102178226B1 (en)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
TWI489697B (en) | Wire to board connector assembly and board connector thereof | |
CN104241951B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e member | |
US9543697B2 (en) |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fitting tube with guide walls with a lock arm inbettween | |
JP6254542B2 (en) | Connector device having a cable connector | |
KR101348186B1 (en) | Lever type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 |
US20120295493A1 (en) | Terminal fitting | |
US9461420B2 (en) | Connector holder | |
US20120190229A1 (en) | Connector | |
CN103715571B (en)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 |
JP2019212624A (en) | Connector and connector housing | |
KR101348189B1 (en) |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 |
CN108352656B (en) | connector device | |
US9673561B2 (en) | Connector and structure for fixing connector to wiring harness | |
EP1919038B1 (en) | A connector | |
KR100599313B1 (en) | Wire harness connector | |
JP4968793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101348191B1 (en) | Locked checkable connector | |
KR101626366B1 (en) |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 |
CN201708423U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13030381A (en) | Connector | |
KR200467964Y1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090073857A (en) | Connector assembly and joining method | |
CN204156191U (en) | Connector shell and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