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62B1 - An electric terminal - Google Patents
An electric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8162B1 KR101348162B1 KR1020120074467A KR20120074467A KR101348162B1 KR 101348162 B1 KR101348162 B1 KR 101348162B1 KR 1020120074467 A KR1020120074467 A KR 1020120074467A KR 20120074467 A KR20120074467 A KR 20120074467A KR 101348162 B1 KR101348162 B1 KR 1013481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terminal
- coupling member
- fastening
- sid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2—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 or nut, e.g. vibration-proof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와 접촉되는 기기접속부와, 상기 기기접속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단자부가 마련된 기기측단자결합부재 및; 상기 기기측단자결합부재의 일 단에 마련되며, 상기 단자부와 체결되는 체결단자와 상기 체결단자 일 단에 상기 체결단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선의 일단이 고정되는 전선고정부가 마련된 전선측단자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전선용단자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단자에 장착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의 형상을 일정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전선고정부에 장착되는 전선을 압착하는 압착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다수의 작업에도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having a device connecting portion in contact with a device, and a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device connecting portion; A wir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vic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and having a wire clamping portion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and a wire fix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astening terminal at one end of the fastening terminal and having one end of the wire fixed thereto. Disclosed is a wire terminal including;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hape of the wire fixing part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mounted on the terminal is formed in the same shape, thereby maintaining the crimping force for crimping the electric wire mounted on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with constant work efficiency even for many tasks. This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용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단자의 형태를 단순화하여 단자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는 전선용단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managed by simplifying the shape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기기 측에 장착되는 기기측단자결합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때, 형성된 각각의 기기측단자결합부재가 기기에 장착되기 전에 전선이 단자에 장착될 때 전선을 압착하는 압착력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가 실시된다. 여기서, 각각의 단자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테스트마다 다른 조건으로 전선을 압착하는 단자의 압착력 크기 정도를 시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다. In general,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to be mounted on the device side is formed in various forms, where the crimping force for crimping the wire when the wire is mounted on the terminal before each formed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is mounted on the device A test i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necessary. Here, since the shape of each terminal is different, the trouble of having to test the magnitude of the crimping force of the terminal for crimping the wire under different conditions for each test is generated.
즉, 단자에는 전선의 일 단이 고정되는 전선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선고정부는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단자마다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전선고정부에 장착되는 전선을 압착할 때마다 전선고정부의 형태에 따라 전선고정부를 압착하는 압착력의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선고정부의 형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전선을 압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In other words,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wire fixing part to which one end of the wire is fixed. The wire fixing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rminal, and is formed in a different shape for each terminal. This causes a change in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front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front fixing part every time the electric wire mounted on the front fixing part is crimped. Therefore, the worker has to press the wire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ype of wire fixing part.
이러한 단자는 고전압이 이용되는 다양한 장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단자를 이용하게 되면 각각의 단자에 따른 작업 형태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므로, 여러 형태의 단자들을 단순화하여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단자의 단순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Since these terminals are installed in various devices using high voltages, the use of various types of terminals is inconvenient to change the working type for each terminal, so the various types of terminals can be simplified and easily mounted on the device. Simplification of the terminal is required to be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선용단자 개발 시, 단자에 장착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가 전선을 압착하는 압착력의 설정 및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는 전선용단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when developing a wire terminal, provides a wire terminal that can facilitate the setting and management of the crimping force for crimping the wire by the wire fixing part for fixing the wire mounted on the terminal Has its purpose.
본 발명은 단자를 형성하는 부재가 나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부재 형상에 관계없이 부재 간 체결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단자 형성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전선용단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terminal for electric wire which can be formed more easily because the fastening between the members becomes easy regardless of the member shape as the member forming the terminal is screw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의 개발이 단순화될 수 있음으로써, 압착 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전선용단자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for wires that can reduce the crimping equipment,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terminal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기와 접촉되는 기기접속부와, 상기 기기접속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단자부가 마련된 기기측단자결합부재 및; 상기 기기측단자결합부재의 일 단에 마련되며, 상기 단자부와 체결되는 체결단자와 상기 체결단자 일 단에 상기 체결단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선의 일단이 고정되는 전선고정부가 마련된 전선측단자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전선용단자가 개시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vice side contact member having a device connec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evice, and a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device connecting portion; A wir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vic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and having a wire clamping portion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and a wire fix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astening terminal at one end of the fastening terminal and having one end of the wire fixed thereto. Disclosed is a wire terminal including;
상기 구성에 의하여 단자에 장착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의 형상을 일정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전선고정부에 장착되는 전선을 압착하는 압착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다수의 작업에도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hape of the wire fixing part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mounted on the terminal is formed in the same shape, thereby maintaining the crimping force for crimping the electric wire mounted on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with constant work efficiency even for many tasks. This can be improved.
상기 단자부에는 나사 형사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체결단자는 체결공에 삽입 체결되도록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부와 체결단자의 형상을 나사 및 볼트의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체결단자가 단자부에 체결될 때의 체결 접촉면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체결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A fastening hole of a screw detective is formed in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fastening terminal may be formed in a bolt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As described above, as the shape of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fastening terminal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crew and a bolt, a fastening contact surface when the fastening terminal is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fastening convenience can be improved.
한편, 전선측단자결합부재는 전선고정부와 일체로 마련되어 전선고정부에서 전선의 풀림을 방지하는 락킹부재가 더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wire fix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loosening of the wire in the wire fixing portion.
상기 락킹부재는 체결단자가 체결공에 삽입되면 체결단자를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기기측단자결합부재와 전선측단자결합부재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태 변경을 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에 의하여 기기측단자결합부재와 전선측단자결합부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재는 시계 반대 또는 정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잠금과 풀림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체결 및 분리가 간단해질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재는 너트 풀림 방지 와셔로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부재의 종류는 발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When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the locking member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or forward to change the state so that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and the wir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remain locked. The locking member can prevent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and the wir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from loosening. 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can change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by rotating in a counterclockwise or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and disengaging can be simplified. The lock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nut loosening washer, the type of the locking memb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또한, 전선고정부는 상기 전선의 전단을 압착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전선의 후단을 압착 고정하는 제2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전선은 전선고정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 fixing part may be composed of a first fixing par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front end of the wire, and a second fixing par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rear end of the wire. As such, the wires can be minimiz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ire fixing part.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새로운 단자 개발 시, 기기측에 결합되는 단자결합부재의 형상을 통일하여 전선을 전선용단자에 장착할 수 있다. 즉, 기기에 관계없이 기기측단자결합부재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기기측단자결합부재에 체결되는 전선측단자결합부재의 형상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선용단자에 고정된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압착력의 설정 및 관리가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전선에 따른 압착력 설정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when developing a new terminal, the electric wire can be mounted on the wire terminal by unifying the shape of the terminal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device side. That is, as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is formed in the same shape irrespective of the device, the shape of the wir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fastened to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can also be uniformly formed. Therefore, as the setting and management of the pressing force for fixing the wire fixed to the wire terminal is kept constant,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setting of the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wire.
또한, 본 발명은 전선용단자의 기기측단자결합부재와 상기 기기측단자결합부재에 체결되는 전선측단자결합부재를 나사형으로 형성하여 단자의 접촉면이 증가하여 전선측단자결합부재로 공급되는 전원을 충분히 기기측단자결합부재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that is supplied to the wir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by increasi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terminal by forming a screw-type wir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fastened to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of the wire terminal and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enough to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단자 개발 시 단자에 체결되는 전선과 단자와의 결합력 테스트를 전선의 종류 및 두께 등에 관계 없이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carried out irrespective of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wire and the bonding force test between the wire and the terminal fastened to the terminal when developing a new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용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기측단자결합부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선측단자결합부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4, i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용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기측단자결합부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선측단자결합부재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단자(10)은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와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선용단자(10)의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를 좌측 방향이라 하고, 전선(50)이 형성 방향을 우측 방향이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용단자(10)은 각종 기기에서 접촉되는 장치 중 어느 하나이나 설명의 편의상 대전류단자와 장착되는 단자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전선용단자(10)의 종류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to 3, the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은 기기(미도시)와 접촉되는 기기접속부(120)와 기기접속부(120)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체결공(142)이 형성된 단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접속부(120)와 단자부(14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기기접속부(120)는 전선용단자(10)가 장착되는 기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evice side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는 기기측단자접속부(100)의 일 단에 마련되며, 단자부(140)와 체결되는 체결단자(220)를 포함함다. 또한,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는 체결단자(220) 일단에 체결단자(2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선(50)의 일단이 고정되는 전선고정부(240)를 포함한다. The wire side
여기서, 단자부(140)에는 나사 형상의 체결공(142)가 형성될 수 있고, 체결단자(220)는 체결공(142)에 삽입 체결되도록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자부(140)의 우측 단부에는 나사 형상으로 단부가 형성되며, 체결단자(220)은 체결공(142)에 회전 결합될 수 있는 볼트 형상의 단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자부(140)에 체결공(142)이 형성되고, 체결단자(220)가 체결공(142)에 수납 체결된 볼트의 형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조건에 따라 체결단자(220)이 암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자부(140)가 수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단자부(140)과 체결단자(220)가 나사, 볼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체결단자(220)가 단자부(140)에 체결될 때의 체결 접촉면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충분히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로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상기 전선(50)은 복수 가닥의 전선이 하나로 묶여 구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고정부(240)는 상기 전선(50)을 압착하여 전선(50)이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선고정부(240)는 전선(50)의 전단을 압착 고정하는 제1 고정부(242)와 전선(50)의 후단, 즉 전선(50)의 몸체부분을 압착 고정하는 제2 고정부(244)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1 고정부(242)는 전선(50)의 전단 몸체를 압착하고, 제2 고정부(244)는 전선(50)의 몸체 부분을 압착하되 전선(50)의 내부에 마련된 심선을 압착하여 전류나 전압이 전선(50)의 심선을 통해 신호가 기기로 보다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한다. The
보다 자세하게, 상기 제1 고정부(242)는 전선(50)과 단자부(140)를 동시에 압착하여 전선(50)이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244)는 전선(50)의 후단을 압착하여 전선(5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이때, 전선고정부(240)는 전선(50)과 압착 결합된다. 즉, 전선고정부(240)는 전선(5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와 전, 후 방향으로 전선(50)과 단자부(140)의 하부와 양면을 홀딩(holding)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전선고정부(240)에 전선(50)이 장착되기 전에는 전선고정부(240)가 전, 후 방향으로 너비를 넓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선(50)이 전선고정부(240)에 장착된 이후에는 전선고정부(240)를 죄여 전선고정부(240)와 전선(50)이 압착될 수 있게 한다. At this time, the
이때, 전선(50)은 단자의 종류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며, 각각의 전선(50)을 압착하는 압착력은 그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전선(50)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선(50)을 전선고정부(240)에 장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선고정부(240)를 전, 후로 개폐하여 전선(50)을 수납 및 죄여 전선의 두께에 관계없이 전선을 전선고정부(24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선용단자(10)에 전선(50)을 장착하는 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고, 전선(50)과 전선고정부(240)의 압착 정도를 전선에 따라 목록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기기에에 연결되는 전선용단자(10)을 나사형의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와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로 분리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전류 단자가 마련되어도 기기와 전선용단자(10)의 연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By separating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전선용단자(10)의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과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의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evice-side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는 전선고정부(240)와 일체로 마련되어 전선고정부(240)에서 전선(50)의 풀림을 방지하는 락킹부재(2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락킹부재(260)는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와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가 체결될 때 토크에 의한 밀림, 헛돌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락킹부재(260)는 회전을 통해 단자(100, 200) 사이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 풀림 방지 와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부재(260)가 너트 풀림 방지 와셔로 형성됨에 따라 소정의 진동에 의해서도 락킹부재(26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 및 분리가 간단해지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와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 사이에 접착제 등의 별도의 추가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단자(100, 20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는 락킹부재(2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와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를 잠금 설정하는 예시를 들어 설명하지만, 락킹부재(260)는 시계 방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와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를 잠금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wire side
락킹부재(260)는 체결단자(220)가 체결공(142)에 삽입될 때 체결단자(220)와 함께 체결공(14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체결공(142)에 삽입될 때까지 잠기지 않은 상태가 유지된다. 락킹부재(260)가 체결공(142)에 삽입되면 작업자는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락킹부재(260)를 잠금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락킹부재(260)가 잠금 설정됨에 따라 기기측단자결합부재(100)와 전선측단자결합부재(200)의 결속력이 향상되어 전선용단자(10)과 기기의 분리를 방지하여 전선용단자(10)을 통해 기기에 고전압이 보다 안전하게 공급될 수 있다.
The lock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전선용단자 50: 전선
100: 기기측단자결합부재 120: 기기접속부
140: 단자부 142: 체결공
200: 전선측단자결합부재 220: 체결단자
240: 전선고정부 260: 락킹부재10: wire terminal 50: wire
100: devic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120: device connection
140: terminal portion 142: fastening hole
200: wir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220: fastening terminal
240: wire fixing part 260: locking member
Claims (6)
상기 단자부와 체결되는 체결단자와 상기 체결단자 일 단에 상기 체결단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선의 일단이 고정되는 전선고정부가 마련된 전선측단자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측단자결합부재는,
상기 전선고정부와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전선고정부에서 상기 전선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 풀림 방지 와셔로 형성된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단자.A devic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provided with a device connecting portion contacting the device and a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device connecting portion;
And a wir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having a wire fixing part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astening terminal at one end of the fastening terminal and the fastening terminal and fixed to one end of the wire, and is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The wire 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And a locking member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wire fixing part and formed with a nut loosening washer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wire in the wire fixing part.
상기 단자부에는 나사 형상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단자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 체결되도록 볼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portion is formed with a screw-shaped fastening hole,
The fastening terminal is a wir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bolt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체결단자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단자를 시계 반대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기기측단자결합부재와 상기 전선측단자결합부재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ocking member
When the fastening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the fastening terminal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forward to change the state so that the devic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and the wire-side terminal coupling member are kept in a locked state. .
상기 전선고정부는
상기 전선의 전단을 압착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전선의 후단을 압착 고정하는 제2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line is
A first fixing part for crimping and fixing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wire;
Wir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fixing portion for pressing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wi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467A KR101348162B1 (en) | 2012-07-09 | 2012-07-09 | An electric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467A KR101348162B1 (en) | 2012-07-09 | 2012-07-09 | An electric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8162B1 true KR101348162B1 (en) | 2014-01-07 |
Family
ID=5014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44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8162B1 (en) | 2012-07-09 | 2012-07-09 | An electric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816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6633B1 (en) * | 2017-01-31 | 2017-03-14 |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 Electric wire connec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4346A (en) * | 2004-07-09 | 2006-01-1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Ring terminal |
KR100681050B1 (en) * | 2005-12-08 | 2007-02-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Car Ring Terminal |
-
2012
- 2012-07-09 KR KR1020120074467A patent/KR1013481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4346A (en) * | 2004-07-09 | 2006-01-1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Ring terminal |
KR100681050B1 (en) * | 2005-12-08 | 2007-02-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Car Ring Termina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6633B1 (en) * | 2017-01-31 | 2017-03-14 |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 Electric wire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9515428A (en) | Output contact with exchangeable contact area | |
KR102002954B1 (en) |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 |
JP5926258B2 (en) | Battery pack connector | |
EP2909878B1 (en) | Battery cell terminal quick connect clamp with connecting tab | |
CN103872500B (en) | A kind of interface unit | |
KR100882612B1 (en) | Underground type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connector | |
US9716352B1 (en) | Electrical cord having plugs with improved safety features | |
KR101348162B1 (en) | An electric terminal | |
KR101366118B1 (en) | Terminal for battery | |
US7611372B2 (en) | Rotatably locking plug and connector | |
CN107078264B (en) | Energy storage device, contact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nergy storage device | |
KR101902368B1 (en) | Battery cover with a battery clamping lug | |
US11695233B2 (en) | Charging coupler | |
US9425531B2 (en) | Stage pin connector | |
CN112563789B (en) | Automatic locking connector | |
CN102412444A (en) | Cage type terminal used for electric device and electric device employing cage type terminal | |
KR102117071B1 (en) | Contact device of power cable | |
KR101663283B1 (en) | Cable connection Device for Battery Jump Start and Earth TerminalApparatus to be Terminal Part away from Gripping Part | |
KR101389228B1 (en) | Electricity connection connector and electricity connection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having the same | |
KR101916397B1 (en) | A battery clamping lug for vehicle battery post pole | |
KR20090008993A (en) | Vehicle battery terminal fastening structure | |
KR101627265B1 (en) | Underground line installing apparatus | |
JP2021114802A (en) | cover | |
CN107275818B (en) | Connector assembly, power suppl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 |
KR102788375B1 (en) | High current plug-in connector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812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23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