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955B1 - 뇌종양의 재발 가능성 및 생존 예후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 Google Patents
뇌종양의 재발 가능성 및 생존 예후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6955B1 KR101346955B1 KR1020110029117A KR20110029117A KR101346955B1 KR 101346955 B1 KR101346955 B1 KR 101346955B1 KR 1020110029117 A KR1020110029117 A KR 1020110029117A KR 20110029117 A KR20110029117 A KR 20110029117A KR 101346955 B1 KR101346955 B1 KR 1013469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pression level
- gene
- seq
- genes
- my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8—Prognosis of disease develop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915개의 프로브 세트의 발현 양상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뒷받침에 의한 자율 추정된 계층적 군집화를 나타낸다. 붉은색은 AU(approximately unbiased) 테스트의 값이며, 녹색은 BP(bootstraping) 분석의 값을 나타낸다.
도 3은 기존에 보고된 각각의 특수한 유전자 마커 및 임상적인 특성과 자율 추정된 군집화로 정해진 5개의 군집 사이의 연관에 대한 히트맵(heatmap)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4f는 수질아세포종 집단의 복합적인 분석을 나타낸다.
도 4a는 낮은 발현율(5% 미만) 또는 가변성(IQR < 0.25)을 가진 프로브 세트를 제외하고 Kool과 Fattet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염색체 17p13과 17p12의 156개 전사체의 발현 양상을 이용한 자율 추정된 계층적 군집화를 나타낸다.
도 4b는 낮은 발현율 또는 가변성을 가진 프로브 세트를 제외하고 Thompson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염색체 17p13과 17p12의 138개 전사체의 발현 양상을 이용한 자율 추정된 계층적 군집화를 나타낸다.
도 4c 내지 4e는 정상 뇌의 데이터를 포함한 MYC와 MYCN의 상대적인 발현율을 나타낸 바이플롯(biplot)이다(4c: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데이터, 4d: Kool과 Fattet의 데이터, 4e: Thompson의 데이터).
도 4f는 MYC/MYCN의 평균 발현수준과 염색체 17p13 및 17p12에서 전사체의 발현 양상의 PC1간의 바이플롯을 나타낸다.
도 5는 염색체 17p13과 17p12로부터 유래된 207개의 전사체의 발현 양상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뒷받침에 의한 자율 추정된 계층적 군집화를 나타낸다. 붉은색은 AU(approximately unbiased) 테스트의 값이며, 녹색은 BP(bootstraping) 분석의 값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6f는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데이터를 통한 수질아세포종의 분석을 나타낸다.
도 6a는 낮은 발현율(5% 미만) 또는 가변성(IQR < 0.25)을 가진 프로브 세트를 제외하고 17p13과 17p12의 207개 전사체의 발현 양상을 이용한 자율 추정된 계층적 군집화를 나타낸다.
도 6b는 정해진 군집과 임상적인 특성과의 연관을 나타낸다.
도 6c는 염색체의 위치에 따른 염색체 17의 전사체의 발현 양상을 나타낸 히트맵이다.
도 6d는 17p의 염색체 변형을 나타낸다.
도 6e는 207개의 17p 전사체의 발현 양상으로부터 계산된 PC 플롯을 나타낸다.
도 6f는 자율 추정된 계층적 군집화 분석에 의해 정해진 하위 집단의 전체 생존을 나타낸 카플란-마이어 곡선이다.
도 7a 내지 7c는 염색체 17에서의 염색체 변형과 발현 양상을 비교한 도이다.
도 8a 내지 8b는 5년 생존 상태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성 유전자의 염색체 분리를 나타낸다.
도 8a는 염색체 17p의 각각의 프로브 세트 염색체 부위에 대응한 ROC 곡선 하의 부분적 영역(pAUC, p=0.2), 스튜던트 t-검정 형태의 -log10에 의해 수득된 P 값, 및 신호 대 잡음 비율(signal-to-noise-ratio)을 나타낸다.
도 8b는 염색체 17p가 가장 적게 소실된 2명의 환자의 log2-값을 나타낸다.
도 9는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데이터에 의한 염색체 17p의 상대적인 발현수준과 MYC/MYCN 발현의 평균과의 바이플롯을 나타낸다.
도 10은 Kool과 Fattet의 데이터에 의한 데이터에 의한 염색체 17p의 상대적인 발현수준과 MYC/MYCN 발현의 평균과의 바이플롯을 나타낸다.
도 11은 Thomson의 데이터에 의한 염색체 17p의 상대적인 발현수준과 MYC/MYCN 발현의 평균과의 바이플롯을 나타낸다.
도 12a 내지 12f는 염색체 17p의 상태 또는 MYC/MYCN의 발현수준으로 정해진 하위집단의 종합적인 생존에 대한 카플란-마이어(Kaplan-Meier) 곡선과 로그-순위 검사(log-rank test)를 나타낸다. 도 12a, 12c 및 12e는 모든 나이에 대해 나타내었고, 12b, 12d 및 12f는 3세 이상의 나이에 대해 나타내었다.
도 13a 내지 13d는 MYC/MYCN의 발현수준과 염색체 17p의 상태에 따라 정해진 7개(13a, 13b) 또는 5개(13c, 13d)의 하위집단의 종합적인 생존에 대한 카플란-마이어 곡선과 로그-순위 검사를 나타낸다. 도 13a 및 13c는 모든 나이에 대해 나타내었고, 13b 및 13d는 3세 이상의 나이에 대해 나타내었다.
도 14a 내지 14g는 모든 나이에 대하여 7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한 경우 종합적인 생존에 대한 카플란-마이어 곡선과 로그-순위 검사를 나타낸다.
도 15a 내지 15g는 3세 이상의 나이에 대하여 7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한 경우 종합적인 생존에 대한 카플란-마이어 곡선과 로그-순위 검사를 나타낸다.
도 16a 내지 16d는 모든 나이에 대하여 5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한 경우 종합적인 생존에 대한 카플란-마이어 곡선과 로그-순위 검사를 나타낸다.
도 17a 내지 17d는 3세 이상의 나이에 대하여 5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한 경우 종합적인 생존에 대한 카플란-마이어 곡선과 로그-순위 검사를 나타낸다.
도 18a 내지 18c는 7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한 경우 나이의 영향에 대한 카플란-마이어 곡선을 나타낸다. 도 18a는 높은 MYC/MYCN와 염색체 17p 비소실 집단, 도 18b는 중간 또는 높은 MYC/MYCN와 염색체 17p 소실 집단, 도 18c는 중간 MYC/MYCN와 염색체 비소실 집단의 곡선을 나타낸다.
Claims (22)
- 서열번호 1 내지 9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염색체 17p 관련 유전자, 서열번호 93 및 9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YC 및 MYCN 유전자, 및 서열번호 95 내지 10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WNT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 또는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복합적으로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뇌종양의 재발 위험성 및 생존 예후 예측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종양은 수질아세포종(medulloblastoma), 수막종, 신경초종, 뇌하수체선종, 및 신경교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인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인 것인 조성물.
-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뇌종양의 재발 위험성 및 생존 예후 예측용 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 키트 또는 단백질 칩 키트인 것인 키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T-PCR 키트는 서열번호 1 내지 9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염색체 17p 관련 유전자, 서열번호 93 및 9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YC 및 MYCN 유전자, 및 서열번호 95 내지 10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WNT 관련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 키트는 서열번호 1 내지 9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염색체 17p 관련 유전자, 서열번호 93 및 9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YC 및 MYCN 유전자, 및 서열번호 95 내지 10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WNT 관련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칩 키트는 서열번호 1 내지 9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염색체 17p 관련 유전자, 서열번호 93 및 9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YC 및 MYCN 유전자, 및 서열번호 95 내지 10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WNT 관련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뇌종양은 수질아세포종, 수막종, 신경초종, 뇌하수체선종, 및 신경교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인 키트.
- 1) 분리된 개체의 시료로부터 서열번호 95 내지 10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WNT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 또는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WNT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수준이 비증가된 것으로 확인된 개체 시료에서, 서열번호 1 내지 9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염색체 17p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 또는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3) 단계 2)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염색체 17p 관련 유전자들의 소실이 확인된 개체 시료에서, 서열번호 93 및 9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YC 및 MYCN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 또는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4) 단계 3)에서 정상 대조군 시료에 비해 MYC 및 MYCN 유전자의 발현수준이 증가된 개체 시료를 뇌종양의 재발 가능성이 높고 생존 예후가 나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종양의 재발 위험성 및 생존 예후를 예측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RNA 발현수준을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RNA 발현수준을 역전사 효소 중합반응,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랏, 및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발현수준을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발현수준을 웨스턴 블랏,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면역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침전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FACS 및 단백질 칩 방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뇌종양은 수질아세포종, 수막종, 신경초종, 뇌하수체선종, 및 신경교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인 방법.
- 1) 서열번호 1 내지 9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염색체 17p 관련 유전자가 소실되고, 서열번호 93 및 9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YC 및 MYCN 유전자의 발현수준이 활성화되고, 서열번호 95 내지 10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WNT 관련 유전자의 발현수준이 비증가된 세포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 또는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시험물질 처리 세포의 발현수준을 미처리 세포의 발현수준과 비교하여 염색체 17p 관련 유전자들의 소실, MYC 및 MYCN 유전자들의 발현 증가 및 WNT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시험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종양 재발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뇌종양은 수질아세포종, 수막종, 신경초종, 뇌하수체선종, 및 신경교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mRNA 발현수준을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쌍 또는 프로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mRNA 발현수준을 역전사 효소 중합반응,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랏 및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발현수준을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발현수준을 웨스턴 블랏,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면역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침전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FACS 및 단백질 칩 방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28674 | 2010-03-30 | ||
KR1020100028674 | 2010-03-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0030A KR20110110030A (ko) | 2011-10-06 |
KR101346955B1 true KR101346955B1 (ko) | 2014-01-02 |
Family
ID=4471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9117A Active KR101346955B1 (ko) | 2010-03-30 | 2011-03-30 | 뇌종양의 재발 가능성 및 생존 예후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6955B1 (ko) |
WO (1) | WO2011122859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55948A1 (ko) * | 2017-02-24 | 2018-08-30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폐암 환자의 생존 예후 예측용 마커 |
KR20180098155A (ko) * | 2017-02-24 | 2018-09-03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폐암 환자의 생존 예후 예측용 마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9000A (ko) * | 2023-03-09 | 2024-09-2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L1td1 단백질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N117737246B (zh) * | 2024-02-01 | 2025-01-28 |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 Plcb1基因作为生物标志物在侵袭性垂体腺瘤中的应用 |
CN118086505B (zh) * | 2024-03-29 | 2024-11-22 |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 一种间皮瘤预后预测方法、分子标志物及试剂盒及其应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225528A1 (en) * | 2002-03-13 | 2003-12-04 | Baker Joffre B. | Gene expression profiling in biopsied tumor tissues |
-
2011
- 2011-03-30 WO PCT/KR2011/002195 patent/WO2011122859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3-30 KR KR1020110029117A patent/KR10134695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225528A1 (en) * | 2002-03-13 | 2003-12-04 | Baker Joffre B. | Gene expression profiling in biopsied tumor tissue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55948A1 (ko) * | 2017-02-24 | 2018-08-30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폐암 환자의 생존 예후 예측용 마커 |
KR20180098155A (ko) * | 2017-02-24 | 2018-09-03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폐암 환자의 생존 예후 예측용 마커 |
KR101951289B1 (ko) | 2017-02-24 | 2019-02-22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폐암 환자의 생존 예후 예측용 마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122859A3 (ko) | 2012-05-18 |
WO2011122859A2 (ko) | 2011-10-06 |
KR20110110030A (ko) | 2011-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04304B2 (ja) | メラノーマ癌の予後予測 | |
EP2619321B1 (en) | Biomarkers for differentiating melanoma from benign nevus in the skin | |
EP2742149B1 (en) | Predicting response to anti-cd20 therapy in dlbcl patients | |
US10604809B2 (en) | Methods and kit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 |
JP2011525106A (ja) | 瀰漫性b大細胞型リンパ腫のマーカー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US20220275456A1 (en) | Differentiation marker gene set, method, and kit for differentiating or classifying subtype of breast cancer | |
US20210277479A1 (en) | Risk scores based on human phosphodiesterase 4 d variant 7 expression | |
US20070264644A1 (en) | Method for distinguishing betwee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nd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 |
KR101346955B1 (ko) | 뇌종양의 재발 가능성 및 생존 예후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 |
KR20070115891A (ko) | 충실성 종양의 예후전망을 위한 약물유전학 마커 | |
JP2015501138A (ja) | 神経膠腫の予後予測 | |
CN110573629B (zh) | 用于诊断早期胰腺癌的方法和试剂盒 | |
US20130303400A1 (en) | Multimarker panel | |
WO2015115544A1 (ja) | 大腸がんの転移又は再発リスクの評価方法 | |
WO2021003176A1 (en) | Identification of patients that will respond to chemotherapy | |
US20120225432A1 (en) | Method and Kit for the Prognosis of Mantle Cell Lymphoma | |
Sinnappah-Kang et al. | Heparanase expression and TrkC/p75NTR ratios in human medulloblastoma | |
EP4317458A1 (en) | Follicular thyroid cancer-specific marker | |
WO2009145924A2 (en) | Methods and materials for identifying patients at heightened risk for developing her2+ related brain tumors | |
US20150275313A1 (en) | Marker for diagnosis of bladder cancer recurrence | |
KR101833983B1 (ko) | DOCK10 유전자의 mRNA 또는 이들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들의 이용 | |
KR20230119346A (ko) | 흑색종 치료 내성 예측용 trim51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 |
CN119372316A (zh) | Fbxo45作为胰腺癌的预后标志物的应用 | |
CN119546782A (zh) | 高风险鼻咽癌的检测方法 | |
CN112760372A (zh) | 心肌梗死差异表达基因及其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