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6827B1 -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827B1
KR101346827B1 KR1020110104298A KR20110104298A KR101346827B1 KR 101346827 B1 KR101346827 B1 KR 101346827B1 KR 1020110104298 A KR1020110104298 A KR 1020110104298A KR 20110104298 A KR20110104298 A KR 20110104298A KR 101346827 B1 KR101346827 B1 KR 10134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iquid
transfer
transfer line
hou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9614A (ko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동서그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서그린산업 filed Critical (주)동서그린산업
Priority to KR102011010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8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8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과수, 채소, 화훼 등의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설하우스 및 축사의 천정에 설치되어 물 또는 양액이나 약제 살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액체가 흐르는 유로 내부의 압력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설치와 해체가 간편한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는 하우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서로 단절된 제 1 및 제 2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액체가 흐를 수 있는 이송부와, 하우스 내부공간 중 설정된 제 1영역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제 1분사모듈들과, 상기 하우스 내부공간 중 상기 제 1영역을 벗어난 제 2영역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된 제 2분사모듈들과, 이송부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liquid supplying apparatus for horticulture and cattle shed}
본 발명은 인삼, 과수, 채소, 화훼 등의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설하우스 및 축사의 천정에 설치되어 물 또는 양액이나 약제 살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액체가 흐르는 유로 내부의 압력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설치와 해체가 간편한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가에서 인삼, 과수, 채소, 화훼 등의 원예를 위한 시설재배용 비닐하우스나, 계사(鷄舍), 돈사(豚舍), 우사(牛舍) 등과 같은 각종 축사(畜舍) 등에 내부의 수분공급, 습도조절이나 식물성장을 위한 양액(養液)공급, 각종 병원균을 살균 및 예방하기 위한 약제살포를 위해 내부 천정에 노즐이 구비된 메인공급배관을 설치하고, 이 메인공급배관에 필요로 한 액체를 고압펌프로 공급하여 노즐을 통해 비닐하우스 내부나 축사 의 내부에 분무되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비닐하우스 내부에 물을 분무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급수장치를 살펴보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1) 상부에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분무호스(5)와, 분무호스(5)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나 수도와 같은 관수공급기(7)를 포함한다. 분무호스(5)에는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분무호스(5)의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분사홀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무호스(5)는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골조(3)에 주로 고정된다.
상술한 종래의 급수장치는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무호스(300)가 길게 설치된다. 펌프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분무호스에 유입되는 물은 분무호스를 따라 흐르다가 분사홀들을 통해 분사된다.
하지만, 물이 최초 유입되는 분무호스의 앞 부분에서 일정 정도 압력이 유지되어 분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나 뒷부분으로 갈수록 압력이 점진적으로 낮아져 분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분무호스의 가장 뒷부분은 압력이 매우 낮아 분사홀을 통해 분무되지 못하고 흘러내려 물이 손실된다.
또한, 농작물을 수확한 후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급수장치가 필요 없음에도 불구하고 비닐하우스의 골조에 분무호스가 고정되어 있어 분무호스의 탈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토양 연작 장애로 인한 시설물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시설되어 있는 장치 등을 철거하여 재사용을 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그에 따른 비용부담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시설하우스 및 축사의 천정에 설치되어 물 또는 양액이나 약제 살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액체가 흐르는 유로 내부의 압력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설치와 해체가 간편한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는 하우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서로 단절된 제 1 및 제 2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액체가 흐를 수 있는 이송부와; 상기 하우스 내부공간 중 설정된 제 1영역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제 1분사모듈들과; 상기 하우스 내부공간 중 상기 제 1영역을 벗어난 제 2영역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된 제 2분사모듈들과; 상기 이송부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제 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분사모듈들이 결합되는 제 1이송라인과, 상기 제 1이송라인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제 2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분사모듈들이 결합되는 제 2이송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액체가 저장된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며 펌프가 설치된 메인공급라인과, 상기 메인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 1서브공급라인과, 상기 메인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 2서브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공급라인으로 상기 액체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분사모듈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수단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메인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압축공기공급라인과, 상기 펌프와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메인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의 가동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메인공급라인을 개방하는 제 1밸브와, 상기 압축기의 가동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공급라인을 개방하는 제 2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라인을 상기 하우스의 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에 상부가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이송라인과 결합되는 제 1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지지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이송라인이 끼워지는 호형의 홀더가 형성된 바이스부와, 상기 바이스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에 매달리는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줄에 상부가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분사모듈에 결합되는 제 2지지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지지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분사모듈에 형성된 돌기부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에 매달리는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2개의 분기편으로 갈라지고 상기 고정홈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수평바와, 상기 분기편의 바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된 수평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수평바의 타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단부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바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이송라인과 상기 제 1서브공급라인을 나란하게 결속하는 결속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스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마다 이송라인을 달리하여 분사모듈들을 설치함으로써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의 편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스 내부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해체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를 발췌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체공급장치는 각종 농작물 재배를 위한 원예용 비닐하우스나, 계사, 돈사, 우사 등과 같은 각종 축사(畜舍) 등에 내부의 수분공급, 습도조절이나 식물성장을 위한 양액공급, 각종 병원균을 살균 및 예방하기 위한 약제살포를 위해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체공급장치는 일 예로 이송부와, 제 1분사모듈(30)과, 제 2분사모듈(20)을 구비한다.
이송부는 하우스(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액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한다. 도시된 예에서 이송부는 제 1이송라인(21)과, 제 2이송라인(25)으로 구비된다. 제 1이송라인(21)의 내부에는 제 1유로가 형성되고, 제 2이송라인(25)의 내부에는 제 2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송부는 서로 단절된 2개의 제 1 및 제 2유로가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은 하우스(10)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하우스(10)는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 또는 가축이 사육되는 공간을 갖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제 1이송라인(21)과 제 2이송라인(25)은 하우스(10)의 상부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은 길이만큼 긴 하나의 파이프로 각각 구성되거나, 짧은 파이프를 여러 개 연결하여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은 내부에 액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에는 물, 양액, 약제 등의 액체가 공급된다.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의 일 단부는 막혀있거나 또는 하우스(10) 외부로 노출되거나 별도의 액체회수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으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는 액체가 저장된 저장탱크(미도시)와,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며 펌프(미도시)가 설치된 공급라인(8)으로 이루어진다. 공급라인(8)은 분기되어 제 1이송라인(21)과 제 2이송라인(25)으로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가 가동하면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가 공급라인(8)을 통해 제 1이송라인(21)과 제 2이송라인(25)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라인(8)에는 액체의 이송을 차단하는 개폐밸브(9)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은 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스(10) 천장측에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후술한다.
제 1이송라인(21)에는 제 1분사모듈(30)이 설치되고, 제 2이송라인(25)에는 제 2분사모듈(2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 1분사모듈(30)과 제 2분사모듈(20)은 하우스(10) 내부공간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다.
하우스(10)의 내부공간은 최소한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령,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스의 내부공간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하우스(10)의 중심(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기준으로 제 1영역(A)은 좌측의 내부공간을, 제 2영역(B)은 우측의 내부공간을 뜻한다.
제 1이송라인(21)은 제 1영역(A)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제 1이송라인(21)과 나란하게 설치된 제 2이송라인(25)은 제 1 및 제 2영역(A)(B)을 가로지른다. 그리고 제 1분사모듈(30)은 제 1영역(A) 내의 제 1이송라인(21)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제 2분사모듈(20)은 제 2영역(B) 내의 제 2이송라인(25)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 1이송라인(21)을 따라 흐르는 액체는 제 1분사모듈들(30)을 통해 제 1영역(A)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제 1영역(A)을 벗어난 제 2영역(B)으로는 제 2분사모듈(20)을 통해 액체가 분사된다.
만약 종래(도 1 참고)와 같이 제 1영역(A)과 제 2영역(B)을 가로지르는 하나의 이송라인만 설치되고, 여기에 일정 간격으로 분사모듈들이 설치된 경우 제 2영역(B)을 지나는 액체의 압력은 제 1영역을 지날 때보다 현저히 낮아져 제 2영역(B)에서는 분사가 원활히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우스(10)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마다 서로 다른 이송라인(21)(25)에 설치된 분사모듈들을 통해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의 편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2영역(B)에는 제 2분사모듈(20)을 설치하지 않는다. 대신에 제 1이송라인(21)과 다른 유로를 갖는 제 2이송라인(25)을 설치하고, 제 2이송라인(25)의 후방에 제 2영역(B)을 커버하는 제 2분사모듈들(20)을 설치한다. 제 2이송라인(25)의 전방(제 1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제 2분사모듈들(20)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제 2이송라인(25)을 흐르는 액체는 제 1영역(A)을 지나더라도 압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영역(B)에서 제 2분사모듈들(20)을 통해 원활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우스(1)의 내부공간을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하우스의 내부공간을 3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라인 역시 분할된 영역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된다. 가령, 하우스의 내부 공간을 입구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2, 3, 4영역으로 구분한 경우 4개의 이송라인, 즉 제 1, 2, 3, 4 이송라인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 1영역에 해당하는 제 1이송라인에 일정 간격으로 제 1분사모듈들이 설치되고, 제 2영역에 해당하는 제 2이송라인에 일정 간격으로 제 2분사모듈들이 설치되고, 제 3영역에 해당하는 제 3이송라인에 일정 간격으로 제 3분사모듈들이 설치되고, 제 4영역에 해당하는 제 4이송라인에 일정 간격으로 제 4분사모듈들이 설치된다.
한편,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은 결속구(100)에 의해 상하로 나란하게 결속된다. 결속구(100)는 2개의 끼움홈을 갖도록 S자 형상의 고리로 이루어진다.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101)에 제 1이송라인(21)이 끼워져 결합되고,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03)에 제 2이송라인(25)이 끼워져 결합된다.
제 1이송라인(21) 및 제 2이송라인(25)은 각각 하나의 긴 파이프로 구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파이프를 여러 개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들은 제 1 및 제 2분사모듈(30)(20)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 1분사모듈(30)을 살펴보면, 제 1이송라인(21)을 통해 이동하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메인유로가 형성된 메인관(31)과, 메인관(31)의 양측에 형성되며 메인유로와 연통되는 서브유로가 내부에 마련된 분기관(33)과, 분기관(33)의 나사부(34)에 나사결합되며 서브유로로 유입된 액체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분사구(37)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캡(35)과, 분기관(33)의 상부에 형성되며 고정홈(43)이 마련된 돌기부(41)를 구비한다. 메인관(31)의 하부에는 2개의 립(32)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2개의 립(32) 사이에는 제 2이송라인(25)이 끼워진다. 이러한 립(32)은 제 2이송라인(25)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제 1이송라인(21)과 제 2이송라인(25)이 상호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기관(33)의 내부 또는 노즐캡의 내부에는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가 설치되고, 필터부재를 통과한 액체를 분사구(37)를 통해 분사시키는 노즐팁이 노즐캡(35)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 1분사모듈(30)의 메인관(31)의 전후로 제 1이송라인(21)을 구성하는 파이프가 끼움결합된다. 제 1영역(A)에 위치하는 제 1이송라인 (21)은 파이프와 제 1분사모듈(30)이 번갈아 배치되어 상호 결합된다.
한편, 제 2분사모듈(20)은 상술한 제 1분사모듈(30)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2영역(B)에 위치하는 제 2이송라인(25)은 파이프와 제 2분사모듈(20)이 번갈아 배치되어 상호 결합되고, 제 1영역(A)에 위치하는 제 2이송라인(25)은 제 2분사모듈(20)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하나의 파이프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제 1 및 제 2분사모듈 구조 외에도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통상적인 분사노즐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을 하우스의 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하우스(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줄(27)과, 고정줄(27)에 상부가 지지되고 하부는 제 1이송라인(21) 또는 제 2이송라인(25)과 결합되는 제 1지지구(60)를 구비한다.
고정줄(27)은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고정줄(27)은 제 1이송라인(21)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고정줄(27)로 와이어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지지구(60)는 바이스부(61)와, 바이스부(6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67)와, 몸체부(67)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줄(27)에 매달리는 고리부(69)를 구비한다.
바이스부(61)는 호형의 제 1 및 제 2홀더(63)(65)가 상하로 인접하여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이송라인(21)과 제 2이송라인(25)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제 1 및 제 2홀더(63)(65)에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이 각각 끼워진다.
고리부(69)는 고정줄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몸체부에서 동그랗게 말아져 형성되되 하부가 열린 걸이홈(68)을 갖는다. 제 2영역에 설치되는 제 1지지구는 제 2홀더에 제 2이송라인이 끼워진다.
상기 제 1지지구(60) 외에 고정수단으로 제 2지지구(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2지지구(80)는 고정줄(27)에 상부가 지지되고 하부는 제 1 또는 제 2분사모듈(30)(20)에 결합된다.
제 1분사모듈(30)에 결합되는 제 2지지구(80)를 살펴보면, 분기관(33)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41)의 고정홈(43)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81)와, 결합부(8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91)와, 몸체부(91)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줄(27)에 매달리는 고리부(93)를 구비한다. 고리부(93)는 고정줄(27)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몸체부(91)에서 동그랗게 말아져 형성되되 하부가 열린 걸이홈(95)을 갖는다.
그리고 결합부(81)는 일측이 2개의 분기편(85)으로 갈라지고 고정홈(43)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고정홈(43)으로 삽입되는 수평바(83)와, 분기편(85)의 바깥면에 형성되어 고정홈(43)으로 삽입된 수평바(8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걸림턱(86)과, 수평바(83)의 타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바(87)와, 수직바(87)의 단부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몸체부(91)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바(87)를 구비한다.
제 2분사모듈(20)에 결합되는 제 2지지구는 제 1분사모듈에 결합되는 제 2지지구에 비해 몸체부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상술한 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스 내부에 액체공급장치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토양 연작 장애 등으로 인해 하우스를 철거할 시에 해체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체공급장치에 적용된 이송부는 도 2의 예와 달리 제 2이송라인(25)이 제 1이송라인(21)의 단부에 연결되어 일렬로 연장된다.
제 1이송라인(21)은 제 1영역(A)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 2이송라인(25)은 제 2영역(B)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파이프 형상의 제 1이송라인(21)의 내부에는 제 1유로가 형성되고, 파이프 형상의 제 2이송라인(25)에는 제 2유로가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유로는 서로 단절되어 형성된다. 제 2이송라인(25)의 후방 단부는 막히도록 형성된다.
제 1이송라인(21)과 제 2이송라인(25)은 연결부재(1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20)의 양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일측에 제 1이송라인(21)이 나사결합되고 타측에 제 2이송라인(25)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유로와 제 2유로는 연결부재(120)에 의해 구획된다. 이와 달리 하나의 파이프 중간을 막아 제 1이송라인과 제 2이송라인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이송라인(21)에는 다수의 제 1분사모듈들(30)이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고, 제 2이송라인(25)에는 다수의 제 2분사모듈들(20)이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다. 제 1 및 제 2분사모듈들(20)(30)은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으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10)는 액체가 저장된 저장탱크(111)와, 상기 저장탱크(111)와 연결되며 펌프(115)가 설치된 메인공급라인(113)과, 상기 메인공급라인(113)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이송라인(21)과 연결되는 제 1서브공급라인(117)과, 상기 메인공급라인(113)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이송라인(25)과 연결되는 제 2서브공급라인(119)으로 이루어진다.
제 2서브공급라인(119)은 제 1이송라인(21)과 나란하도록 연장되어 제 1영역(A)을 통과한다. 제 2서브공급라인(119)은 제 2이송라인(25)의 전방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을 하우스(10)의 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제 1지지구(60) 및 제 2지지구(80)가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영역(A)에 설치된 제 1지지구(60)의 바이스부(61)는 제 1이송라인(21)과, 제 2서브공급라인(119)을 동시에 지지한다. 즉, 제 1홀더(63)에 제 1이송라인(21)이 끼워지고, 제 2홀더(65)에 제 2서브공급라인(119)이 끼워진다. 또한, 결속구(100)에 의해 제 1이송라인(21)과 제 2서브공급라인(119)이 나란하게 결속된다.
제 2영역(B)에 설치된 제 1지지구의 바이스부는 제 2이송라인만을 지지한다. 이때 제 2이송라인은 제 1홀더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공급장치를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은 드레인수단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도 5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드레인수단은 메인공급라인(113)으로 액체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 제 1 및 제 2분사모듈(30)(20)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제 1 및 제 2분사모듈(30)(20)에 양액이나 약제가 잔류하게 되는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양액이나 약제가 굳어 제 1 및 제 2분사모듈(30)(20)의 분사구가 막힐 수 있다. 또한, 제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의 유로 상에 스케일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레인수단에 의해 액체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고압의 공기를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으로 공급하여 잔류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도시된 드레인수단의 일 예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기(130)와, 압축기(130)와 메인공급라인(113)을 연결하는 압축공기공급라인(131)과, 펌프(115)와 압축기(1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50)와, 메인공급라인(113)에 설치되어 펌프(115)의 가동시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메인공급라인(113)을 개방하는 제 1밸브(114)와, 압축기(130)의 가동시 제어부(150)에 의해 압축공기공급라인(131)을 개방하는 제 2밸브(161)를 구비한다. 펌프(115), 압축기(130), 제 1 및 제 2밸브(114)(13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0)로 통상적인 컴퓨터가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일정 시간마다 펌프(115)를 가동시켜 액체를 메인공급라인(113)을 통해 제 1 및 제 2이송라인으로 공급함으로써 하우스 내부에 액체를 분사시킨다. 이때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제 1밸브(114)는 메인공급라인(113)의 유로를 개방하고, 제 2밸브(133)는 압축공기공급라인(131)의 유로를 차단한다.
그리고 펌프(115)의 가동이 중단되면 제어부(150)는 제 1밸브(114) 및 제 2밸브(133)를 제어하여 메인공급라인(113)의 유로를 차단하고, 압축공기공급라인(131)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50)는 압축기(130)를 가동시켜 고압의 압축공기를 메인공급라인(113)을 통해 공급한다. 압축공기는 제 1 및 제 2서브공급라인(117)(119)을 통해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으로 유입되어 제 1 및 제 2이송라인(21)(25), 제 1 및 제 2분사모듈(30)(20)에 잔류하는 액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 드레인수단으로 제 1 및 제 2드레인라인(160)(165)과, 제 3 및 제 4밸브(161)(167)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밸브(161)는 메인공급라인(113)에서 분기되는 제 1드레인라인(160)에 설치되고, 제 4밸브(167)는 제 2이송라인(25)의 후단에서 연결되는 제 2드레인라인(165)에 설치된다. 제 3 및 제 4밸브(161)(167)는 메인공급라인(113)을 통해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 액체의 압력에 의해 제 1 및 제 2드레인라인(160)(165)의 유로를 차단하고, 액체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제 1 및 제 2드레인라인(160)(165)의 유로를 개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제 3 및 제 4밸브(161)(167)는 통상적인 솔레노이드밸브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 3 및 제 4밸브(161)(167)는 제어부(1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가령, 펌프(115)의 가동시 제 3 및 제 4밸브(161)(167)는 제 1 및 제 2드레인라인(160)(165)의 유로를 차단하고, 액체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제 1 및 제 2드레인라인(160)(165)의 유로를 개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펌프(115)가 정지하여 액체의 공급이 중단되면 제 3 및 제 4밸브(161)(167)는 열려 유로에 잔류하는 액체들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30)의 가동시 제 3 및 제 4밸브(161)(167)는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분사모듈(20)(30)의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지 못하는 이물질 등을 제 1 및 제 2드레인라인(160)(165)을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스 20: 제 2분사모듈
21: 제 1이송라인 25: 제 2이송라인
27: 고정줄 30: 제 1분사모듈
60: 제 1지지구 80: 제 2지지구
100: 결속구

Claims (5)

  1. 하우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제 1유로가 형성된 제 1이송라인과 제 2유로가 형성된 제 2이송라인을 구비하여 액체가 흐를 수 있는 이송부와;
    상기 하우스 내부공간 중 설정된 제 1영역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제 1분사모듈들과;
    상기 하우스 내부공간 중 상기 제 1영역을 벗어난 제 2영역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된 제 2분사모듈들과;
    상기 이송부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라인은 상기 제 1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분사모듈들이 결합되고, 상기 제 2이송라인은 상기 제 1이송라인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2분사모듈들이 결합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액체가 저장된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며 펌프가 설치된 메인공급라인과, 상기 메인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 1서브공급라인과, 상기 메인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이송라인과 연결되는 제 2서브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라인으로 상기 액체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분사모듈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수단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메인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압축공기공급라인과, 상기 펌프와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메인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의 가동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메인공급라인을 개방하는 제 1밸브와, 상기 압축기의 가동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공급라인을 개방하는 제 2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라인을 상기 하우스의 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에 상부가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이송라인과 결합되는 제 1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지지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이송라인이 끼워지는 호형의 홀더가 형성된 바이스부와, 상기 바이스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에 매달리는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줄에 상부가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분사모듈에 결합되는 제 2지지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지지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분사모듈에 형성된 돌기부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에 매달리는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2개의 분기편으로 갈라지고 상기 고정홈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수평바와, 상기 분기편의 바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된 수평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수평바의 타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단부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바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이송라인과 상기 제 1서브공급라인을 나란하게 결속하는 결속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KR1020110104298A 2011-10-12 2011-10-12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Active KR10134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298A KR101346827B1 (ko) 2011-10-12 2011-10-12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298A KR101346827B1 (ko) 2011-10-12 2011-10-12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614A KR20130039614A (ko) 2013-04-22
KR101346827B1 true KR101346827B1 (ko) 2014-01-10

Family

ID=4843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298A Active KR101346827B1 (ko) 2011-10-12 2011-10-12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66B1 (ko) 2021-06-07 2022-02-14 이홍근 급수용 노즐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241B1 (ko) * 2016-07-06 2017-01-03 (주)티에스엠 낙수방지 포그시스템
KR102175802B1 (ko) * 2020-04-23 2020-11-09 서문재규 방제액 분사기구
KR102231015B1 (ko) * 2020-07-27 2021-03-22 이주형 와류 발생 노즐부를 이용한 과수목 무인 방제 시스템
KR102670932B1 (ko) * 2021-08-13 2024-05-29 김재근 농업용 상수 또는 혼합액 공급설비의 맥동 및 진동 저감 장치
KR102416151B1 (ko) * 2021-11-08 2022-07-05 서문재규 고압 미스트 분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990A (ja) * 1995-11-01 2000-04-25 ベネスト エンジニアリング リミテッド 農業用その他のためのスプレイ装置および方法
KR20090042088A (ko) * 2007-10-25 2009-04-29 한성무 회전식 액체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990A (ja) * 1995-11-01 2000-04-25 ベネスト エンジニアリング リミテッド 農業用その他のためのスプレイ装置および方法
KR20090042088A (ko) * 2007-10-25 2009-04-29 한성무 회전식 액체 분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66B1 (ko) 2021-06-07 2022-02-14 이홍근 급수용 노즐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614A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827B1 (ko) 원예 및 축사용 액체공급장치
US12096727B2 (en) Hybrid aeroponic/hydroponic growing system
JP7216423B2 (ja) 植物栽培装置
US7823328B2 (en)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US20130247462A1 (en) Watering and Drainage Arrangement for a Multi-Layer Horticultural Structure
CN105101783B (zh) 用于竖直和水平栽培系统的加压种植空气系统
KR101452278B1 (ko) 분무경재배 시스템
TWI600372B (zh) 垂直種植生機塔
KR101407074B1 (ko) 약제분사장치
KR20170057685A (ko) 수경재배장치
KR101704401B1 (ko) 난 재배장치
US20150296725A1 (en) Aeroponic and Drip Gardener System
KR101845060B1 (ko) 딸기 육묘 설비
KR101402563B1 (ko)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US69835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hydroponic cultivation of plants
KR101728050B1 (ko) 약제분사장치
KR101845228B1 (ko) 버티컬식 수경재배장치
KR100979343B1 (ko) 식물재배장치
CN214385426U (zh) 一种农业种植用灌溉装置
KR100896395B1 (ko) 인삼포의 방제 시스템
CN102119653A (zh) 一种家用竹质管道式水培装置
KR20170067245A (ko)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KR102650045B1 (ko) 스마트팜을 이용한 수경 재배 시스템
KR101414557B1 (ko) 에브 앤드 플로우용 슬림형 재배 포트 어셈블리
KR20200139402A (ko) 다용도 수경재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