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5764B1 - 쿼시 야기 안테나 - Google Patents

쿼시 야기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764B1
KR101345764B1 KR1020120091450A KR20120091450A KR101345764B1 KR 101345764 B1 KR101345764 B1 KR 101345764B1 KR 1020120091450 A KR1020120091450 A KR 1020120091450A KR 20120091450 A KR20120091450 A KR 20120091450A KR 101345764 B1 KR101345764 B1 KR 10134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 ring
quasi
pair
ring resonators
freque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당오
김채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7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40Imbricated or interleaved structures; Combined 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rrangements, e.g. comprising two or more non-connected fed radiating elements
    • H01Q5/48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pole type antennas
    • H01Q5/49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pole type antennas with parasitic elements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for dual-band or multi-band, e.g. imbricated Yagi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44Resonant antennas with a plurality of divergent straight elements, e.g. V-dipole, X-antenna; with a plurality of elements having mutually inclined substantially straight por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쿼시 야기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급전부; 상기 급전부에 의해 급전되어 전파를 방사하는 다이폴 유도기; 및 상기 다이폴 유도기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전파의 방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도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도파기는 상기 전파를 다중 주파수 대역을 통해 방사시키는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를 포함하는 쿼시 야기 안테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쿼시 야기 안테나{QUASI YAGI ANTENNA}
본 발명은 쿼시 야기 안테나(quasi Yagi antenna)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무선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무선 전파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다양한 구조를 갖는 안테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 안테나 중에서 쿼시 야기 안테나(quasi Yagi antenna)는 유도기(driver)의 앞쪽에 도파기(director)가, 뒤쪽에 반사기(reflector)가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파의 지향성을 높인 안테나이다. 한편, 데이터 통신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예를 들어 5GHz 주파수의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대역, 또는 3GHz 주파수의 와이맥스(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대역 등의 다중 대역을 통한 전송 특성을 구현하는 안테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쿼시 야기 안테나는 단일 대역을 통한 데이터 전송만을 지원할 수 있다. 만약, 쿼시 야기 안테나를 이용하여 낮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파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유도기와 도파기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안테나의 크기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전파를 소정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것과 동시에, 다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파를 방사할 수 있는 쿼시 야기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지향도 및 다중 대역 전송 특성을 갖는 것과 동시에 소형화 특성을 갖는 쿼시 야기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는 급전부; 상기 급전부에 의해 급전되어 전파를 방사하는 다이폴 유도기; 및 상기 다이폴 유도기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전파의 방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도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도파기는 상기 전파를 다중 주파수 대역을 통해 방사시키는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는 상기 다이폴 유도기의 궤전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은 갭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쿼시 야기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갭은,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의 마주보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도파기는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분할 링 공진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분할 링 공진기는 갭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분할 링 공진기의 상기 갭은 상기 분할 링 공진기의 갭이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상기 내부 분할 링 공진기의 면에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의 상기 갭은, 상기 갭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쿼시 야기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급전부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면; 상기 다이폴 유도기를 급전시키는 공면 스트립 라인; 및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면을 상기 공면 스트립 라인에 접속하는 발룬을 포함하는 쿼시 야기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전체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전부, 상기 다이폴 유도기 및 상기 도파기는 상기 유전체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쿼시 야기 안테나의 반사기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면이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다이폴 유도기는 상기 다중 주파수 대역 중의 제1 주파수의 역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은 상기 다중 주파수 대역 중의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의 역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파를 소정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것과 동시에, 다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파를 방사시킬 수 있는 쿼시 야기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향도 및 다중 대역 특성과 함께, 소형화 특성을 갖는 쿼시 야기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a) 및 배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종래 안테나의 방사패턴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다양한 분할 링 공진기의 폭에 대한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은 언급된 구성요소, 동작 및/또는 소자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quasi-Yagi Antenna)는 분할 링 공진기(SRR; Split Ring Resonator)를 이용하여 도파기(director)를 구현함으로써, 전파를 소정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것과 동시에, 다중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파를 방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는 소형의 분할 링 공진기를 이용하여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a) 및 배면도(b)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는 단일 평면 쿼시 야기 안테나(coplanar quasi-Yagi Antenna)로 구현된 것으로서, 유전체 기판(110), 급전부(120), 다이폴 유도기(130), 도파기(140) 및 접지면(150)을 포함한다.
유전체 기판(110)은 이의 상면과 하면에 금속면을 갖는 단일 유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유전체 기판(110)의 상면(111)에는 급전부(120), 다이폴 유도기(130) 및 도파기(140)가 형성될 수 있다. 급전부(120)는 다이폴 유도기(130)를 급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급전부(120)는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면(121), 발룬(122) 및 공면 스트립라인(coplanar stripline)(123)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면(121)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발룬(122)은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면(121)을 공면 스트립라인(122)에 접속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룬(BALUN; BALance to UNbalance transformer, 평형 불평형 변성기)(122)은 정합용 트랜스로서, 공면 스트립라인(122)의 평행 2선 선로와,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면(121)의 불평형 선로를 접속시킬 수 있다. 공면 스트립라인(123)은 다이폴 유도기(130)를 급전시킬 수 있다.
다이폴 유도기(130)는 급전부(120)에 의해 급전되어 전파를 방사할 수 있다. 다이폴 유도기(130)는 대칭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2개의 다이폴 소자를 이용하여 전파를 방사할 수 있다. 도파기(140)는 다이폴 유도기(130)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전파의 방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다이폴 유도기(130)의 중앙부에는 궤전점(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접지면(150)은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반사기(reflec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지면(150)은 유전체 기판(110)의 하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파기(140)는 전파를 다중 주파수 대역을 통해 방사시키도록,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SRR; Sprit Ring Resonator)(141,142)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는 다이폴 유도기(130)의 궤전점(131)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 각각은 갭(1412,1422)이 형성된 금속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분할 링 공진기(141,142)는 사각 링 형상인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분할 링 공진기(141,142)는 원형 링 등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제1 분할 링 공진기(141)의 갭(1412)은 제2 분할 링 공진기(142)와 마주보는 면과 반대되는 제1 분할 링 공진기(141)의 면(14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할 링 공진기(142)의 갭(1422)은 제1 분할 링 공진기(141)와 마주보는 면과 반대되는 제2 분할 링 공진기(142)의 면(142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한 쌍의 갭(1412,1422)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갭(1412,1422)은 서로 안테나 외부를 향하면서 반대인 방향으로 분리되므로, 서로 간의 결합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전기적인 다이폴로서 동작하는 효과를 갖는다.
분할 링 공진기(141,142)는 이의 수직방향으로 인가되는 시변 자기장에 의해서 동작하며, 전기적으로 소형이고 높은 Q값을 갖는 LC 공진기로서 동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는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2개의 주파수 동작 모드에 의하여 이중 대역 전송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쿼시 야기 안테나 고유의 지향도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물리적 파라미터들은 전송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물리적 파라미터들은 안소프트(Ansoft)사의 고주파 시뮬레이터(HFSS; 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3GHz 대역 및 5GHz 대역의 이중 대역 특성을 갖는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설계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수치들이 선택될 수 있다.
유전체 기판(110)의 두께 = 0.812 mm, 유전체 기판(110)의 유전상수 = 3.55, L1 = 9.1 mm, L2 = 15.7 mm, L3 = 4.9 mm, L4 = 3.1 mm, L5 = 4 mm, L6 = 11.4 mm, L7 = 25.75 mm, L8 = 9.5 mm, L9 = 28.5 mm, W1 = 1.85 mm, W2 = 3.6 mm, W3 = 0.9 mm, W4 = 1.2 mm, d1 = 1.25 mm, d2 = 8 mm, g1 = 0.75 mm, and g2 = 0.7 mm
다이폴 유도기(130)의 길이는 반파장 길이(λ/2, λ는 전파의 파장)로 설계되었다. 발룬(122)은 임피던스 정합된 T접합과, 설계 주파수(제1 주파수)에서 반파장 길이(L 3-L 2=λ/4)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microstrip line)의 지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쿼시 야기 안테나(100)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측정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주파수별 반사손실(return loss)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일점 쇄선으로 된 그래프는 종래 안테나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된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시뮬레이션을 통한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내고, 실선으로 된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낸다. 종래 안테나로는 다이폴(dipole) 소자로 된 도파기를 갖는 쿼시 야기 안테나가 사용되었다. 반사손실은 안리츠(Anritsu)사의 네트워크 분석기 38397C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안테나는 5GHz 대역, 즉 5~5.57GHz 주파수 대역에서 -10(dB) 이하의 반사손실(return loss)을 요구하는 단일 대역으로 동작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는 3GHz WiMAX 대역(FB2)과 5GHz WLAN 대역(FB1) 모두에서 동작하는 2개의 동작 모드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는 분할 링 공진기 모드와 기생 모드로 인하여 이중 대역의 특성을 갖는다.
첫 번째 모드는 WLAN 5GHz 대역(FB1)에서 발생되는 기생 모드로써, 분할 링 공진기(141,142)는 기생소자로써의 전형적인 도파기와 유사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두 번째 모드는 안테나의 다이폴 유도기(130)가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수직한 방향으로 시변 자기장을 인가하여 분할 링 공진기(141,142)가 WiMAX 대역(FB2)에서 전형적인 공진기로서 동작하는 분할 링 공진기 모드이다. 특히, 분할 링 공진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쿼시 야기 안테나(100)는 5.2GHz 대역에서 반파장의 길이를 갖는 다이폴 유도기(130)를 가지고 있음에도, 3.45GHz의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하게 되므로, 종래의 쿼시 야기 안테나와 비교하여 전기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종래 안테나의 방사패턴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일점 쇄선으로 된 그래프는 종래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된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3.45GHz 주파수에서의 방사패턴을 나타내고, 실선으로 된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5.2GHz 주파수에서의 방사패턴을 나타낸다.
기생모드인 5.2GHz 주파수에서는 종래의 쿼시 야기 안테나와 거의 유사한 방사 패턴을 갖는다. 그리고, 3.45GHz 주파수의 분할 링 공진기 모드에서도 쿼시 야기 안테나 고유의 지향도를 유지하는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3.45GHz 주파수에서의 방사 패턴의 지향도는 5.7dBi(방사효율 0.61)이고, 5.2GHz 주파수에서의 방사패턴의 지향도는 6.3dBi(방사효율 0.84)으로서, 두 주파수 대역에서의 지향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파기를 구성하는 분할 링 공진기(141,142)는 링의 전체 길이가 인덕턴스 성분을 만들어내고,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갭(gap) (1412,1422)이 커패시턴스 성분을 만들어내어서, 아래의 식 1과 같은 공진주파수를 발생시키게 된다.
[식 1]
Figure 112012067155102-pat00001
(f0는 공진주파수(Hz), L은 분할 링 공진기의 인덕턴스(H) 성분, C는 분할 링 공진기의 커패시턴스(F) 성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다양한 분할 링 공진기의 크기에 대한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서, 일점 쇄선으로 된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폭이 8.5mm인 경우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내고, 실선으로 된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폭이 9.0mm인 경우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된 그래프는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폭이 9.5mm인 경우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한 변의 길이(L8)가 변화되면,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공진 주파수가 이동하므로, 분할 링 공진기 모드의 주파수 대역이 변화하게 된다. 즉, 정사각형 형상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한 변의 길이(L8)의 값을 8.5mm에서 9.0mm, 9.5mm로 증가시킴에 따라, 분할 링 공진기 모드의 주파수 대역이 3.7GHz 대역(FB21)에서 3.5GHz 대역(FB22), 3.4GHz 대역(FB23) 순으로 점차 낮은 주파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인덕턴스 성분이 증가하여, 공진 주파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때, 기생모드의 5.2GHz 주파수 대역(FB1)은 분할 링 공진기의 크기 변화에 불구하고, 그 특성이 크게 변동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본적으로 '공진기'와 '안테나'는 '비(非)방사'와 '방사'라는 부분에서 모순된 개념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파기(140)로 사용된 분할 링 공진기(141,142)는 상대적으로 낮은 Q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분할 링 공진기의 낮은 Q특성으로 인하여, '비방사'를 갖는 공진기 형태의 도파기(140)가 안테나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할 링 공진기(141,142)는 분할 링 공진기 모드에서 전기적으로 소형화된 유도기에 의하여 도파기로 동작하므로, 안테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때,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기생모드에서의 특성 및 지향도 패턴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폴 유도기(130)는 다중 주파수 대역 중의 제1 주파수(FB1 대역의 5.2GHz)의 역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 각각은 앞서 언급된 식 1에 따라, 다중 주파수 대역 중의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FB2 대역의 3.4GHz, 3.5GHz, 3.7GHz 등)의 역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 대역의 주파수에 따라 다이폴 유도기(130) 및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다중 모드 전송 특성의 쿼시 야기 안테나(100)를 설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6의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들 중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를 구성하는 분할 링 공진기(141,142)는 원형의 금속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원형의 금속 링의 직경 및 갭(1412,1422)의 크기는 다중 주파수 대역 중의 낮은 주파수의 역수에 대응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들 중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를 구성하는 도파기(140)는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분할 링 공진기(143,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분할 링 공진기(143,144)는 갭(1432)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분할 링 공진기(143,144)는 분할 링 공진기(141,14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분할 링 공진기(143,144)의 갭(1432,1442)이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갭(1412,1422)이 형성된 면(1411,1421)과 반대되는 내부 분할 링 공진기(143,144)의 면(1431,1441)에 형성되면, 보다 더 낮은 공진 주파수에서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들 중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 각각의 갭(1412,1422)은 갭(1412,1422)의 양측 단부로부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141,142) 각각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장되는 형태(1413,1414)(1423,1424)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할 링 공진기(141,142)의 커패시턴스 성분이 증가되어 보다 낮은 공진 주파수를 통한 전파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그래프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내고, 얇은 점선으로 도시된 그래프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내고, 굵은 점선으로 도시된 그래프는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내고,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그래프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의 주파수별 반사손실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는 5GHz 주파수 대역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2.7~3.5GHz 주파수 대역의 이중 대역 모드가 추가되는 효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쿼시 야기 안테나(100)는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는 구조이므로 공진 주파수를 더욱 낮은 주파수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쿼시 야기 안테나 110: 유전체 기판
120: 급전부 121: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면
122: 발룬 123: 공면 스트립라인
130: 다이폴 유도기 131: 궤전점
140: 도파기 141,142: 분할 링 공진기
1412,1422: 갭 143,144: 내부 분할 링 공진기
150: 접지면

Claims (9)

  1. 급전부;
    상기 급전부에 의해 급전되어 전파를 방사하는 다이폴 유도기; 및
    상기 다이폴 유도기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전파의 방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시키고,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로 구현된 도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도파기는 상기 전파를 다중 주파수 대역을 통해 방사시키는 쿼시 야기 안테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는 상기 다이폴 유도기의 궤전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은 갭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쿼시 야기 안테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갭은,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의 마주보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기는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분할 링 공진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분할 링 공진기는 갭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분할 링 공진기의 상기 갭은 상기 분할 링 공진기의 갭이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상기 내부 분할 링 공진기의 면에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의 상기 갭은,
    상기 갭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쿼시 야기 안테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면;
    상기 다이폴 유도기를 급전시키는 공면 스트립 라인; 및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면을 상기 공면 스트립 라인에 접속하는 발룬을 포함하는 쿼시 야기 안테나.
  8. 제1 항에 있어서,
    유전체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전부, 상기 다이폴 유도기 및 상기 도파기는 상기 유전체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쿼시 야기 안테나의 반사기 기능을 수행하는 접지면이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폴 유도기는 상기 다중 주파수 대역 중의 제1 주파수의 역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 각각은 상기 다중 주파수 대역 중의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의 역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쿼시 야기 안테나.
KR1020120091450A 2012-08-21 2012-08-21 쿼시 야기 안테나 Active KR10134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450A KR101345764B1 (ko) 2012-08-21 2012-08-21 쿼시 야기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450A KR101345764B1 (ko) 2012-08-21 2012-08-21 쿼시 야기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764B1 true KR101345764B1 (ko) 2014-01-03

Family

ID=5014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450A Active KR101345764B1 (ko) 2012-08-21 2012-08-21 쿼시 야기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76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579B1 (ko) * 2015-06-12 2016-07-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EP3062394A1 (en) * 2015-02-24 2016-08-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rray antenna device
EP3399589A1 (en) * 2017-05-03 2018-11-0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Beam shaping antenna for laminated glass
US10256549B2 (en) 2017-04-03 2019-04-09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Compact size, low profile, dual wideband, quasi-yagi,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system
CN110247167A (zh) * 2019-05-30 2019-09-17 南通至晟微电子技术有限公司 毫米波平面准八木天线单元、阵列天线以及相控阵天线
CN111224225A (zh) * 2020-01-08 2020-06-02 南京大学 一种紧凑型双偶极子驱动器及应用该驱动器的准八木天线
KR20210046996A (ko) * 2019-10-21 2021-04-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임피던스 다중분기용 방사상 전력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빔조향 안테나
CN118137144A (zh) * 2024-05-07 2024-06-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引向装置和fttr网组设备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 metamaterial patterns embedded on a Quasi Yagi antenna for RFID application, Microwaves, Communications *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 metamaterial patterns embedded on a Quasi Yagi antenna for RFID application, Microwaves, Communication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2394A1 (en) * 2015-02-24 2016-08-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rray antenna device
KR101635579B1 (ko) * 2015-06-12 2016-07-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US10256549B2 (en) 2017-04-03 2019-04-09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Compact size, low profile, dual wideband, quasi-yagi,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system
US10396428B2 (en) 2017-05-03 2019-08-2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Beam shaping antenna for laminated glass
JP2018191276A (ja) * 2017-05-03 2018-11-29 パロ アルト リサーチ セン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合わせガラス用ビーム成形アンテナ
US20180323492A1 (en) * 2017-05-03 2018-11-0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Beam shaping antenna for laminated glass
EP3399589A1 (en) * 2017-05-03 2018-11-0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Beam shaping antenna for laminated glass
CN110247167A (zh) * 2019-05-30 2019-09-17 南通至晟微电子技术有限公司 毫米波平面准八木天线单元、阵列天线以及相控阵天线
CN110247167B (zh) * 2019-05-30 2024-05-24 南通至晟微电子技术有限公司 毫米波平面准八木天线单元、阵列天线以及相控阵天线
KR20210046996A (ko) * 2019-10-21 2021-04-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임피던스 다중분기용 방사상 전력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빔조향 안테나
KR102373906B1 (ko) 2019-10-21 2022-03-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임피던스 다중분기용 방사상 전력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빔조향 안테나
CN111224225A (zh) * 2020-01-08 2020-06-02 南京大学 一种紧凑型双偶极子驱动器及应用该驱动器的准八木天线
CN118137144A (zh) * 2024-05-07 2024-06-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引向装置和fttr网组设备
CN118137144B (zh) * 2024-05-07 2024-08-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引向装置和fttr网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4994B2 (en) Broadband phased array antenna system with hybrid radiating elements
US10879616B2 (en) Shared-aperture antenna
KR101345764B1 (ko) 쿼시 야기 안테나
EP3605727A1 (en) Antenna, multiband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497808B2 (en) Ultra-wideband miniaturized omnidirectional antennas via multi-mode three-dimensional (3-D) traveling-wave (TW)
KR101411444B1 (ko) 다중 대역 평판형 모노폴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3753059U (zh) 多频低sar天线及电子设备
US8866689B2 (en) Multi-band antenna and methods for long term evolution wireless system
US8477073B2 (en) Internal wide band antenna using slow wave structure
EP1684382A1 (en) Small ultra wideband antenna having u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US20120068898A1 (en) Compact ultra wide band antenna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io waves
GB2402552A (en) Broadban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system
CN104396086A (zh) 一种天线及移动终端
US10283856B2 (en) Monopole antenna
KR101714921B1 (ko) 메타물질을 이용한 다중 대역 흡수체
CN106067596A (zh) 基于共面波导馈电的小型化宽频带介质谐振器天线
WO2019223318A1 (zh) 室内基站及其pifa天线
CN107248613B (zh) 一种高增益双频天线单元
CN110112549A (zh) 一种差分馈电三频双极化天线
KR20110040393A (ko) 비아홀 구조의 피씨비 안테나
KR101729036B1 (ko) 모노폴 안테나
US10374311B2 (en) Antenna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210628484U (zh) 一种超宽带偶极子天线
CN107425259A (zh) 一种具有独立频带控制特性的四波段单极子天线
Kumar et al. A CPW fed octagonal patch UWB antenna with WiMAX band-notched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