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4058B1 -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058B1
KR101344058B1 KR1020130064888A KR20130064888A KR101344058B1 KR 101344058 B1 KR101344058 B1 KR 101344058B1 KR 1020130064888 A KR1020130064888 A KR 1020130064888A KR 20130064888 A KR20130064888 A KR 20130064888A KR 101344058 B1 KR101344058 B1 KR 101344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radio frequency
frequency signal
target object
output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태희
진성언
유중희
송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세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세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세텔
Priority to KR102013006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0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66Radar-tracking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0Radar-tracking systems; Analogous systems for range tracking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2Constructional details for solid-state radar sub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장치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증폭기, 증폭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대상 물체에 출력하는 송신 안테나, 그리고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변증폭기의 증폭률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DEVICE FOR MEASURING DISTANCE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는 거리 측정 장치 중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사용하는 거리 측정 장치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고정된 최대 출력값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거리 측정 장치가 차량에서 사용되는 이동형 거리 측정 장치는 차량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었다.
하지만, 이동하며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형 거리 측정 장치는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하며 제한된 전력을 사용해야 한다. 이때 이동형 거리 측정 장치가 고정된 최대 출력값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 시키는 경우에 배터리가 빨리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거리 측정 장치는 최대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거리 측정 장치의 사용 시간을 늘려야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장치 및 거리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장치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증폭기, 증폭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대상 물체에 출력하는 송신 안테나, 그리고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변증폭기의 증폭률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 측정 장치는,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력을 통해 이동하며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측정 장치와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증폭률로 증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값이 클수록 출력 레벨을 크게 하며, 상기 거리값이 작을수록 출력 레벨을 작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는 대상 물체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그리고 상기 반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되,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대상 물체에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 그리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부의 출력을 증폭하는 가변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변증폭기의 증폭률을 달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 장치는, 상기 송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가 자동 이득 제어기(AGC)의 입력 레벨 이하로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 레벨을 변경하도록 신호를 제공하는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은 거리 측정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최대 전력으로 발생시켜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경된 출력 레벨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은, 설정된 시간 안에 측정되는 값이 없으면, 상기 최대 전력으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는,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복수개의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간에 따라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거리값이 클수록 출력 레벨을 크게 하며, 상기 거리값이 작을수록 출력 레벨을 작게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는,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나누고, 각각의 구간에 따라 출력 레벨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은, 자동 이득 제어기(AGC)의 입력 레벨 이하로 신호가 수신되면,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가 상기 출력 레벨을 변경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최대 전력으로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리에 따라 가변적으로 출력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거리 측정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거리 측정 장치의 운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거리 측정 장치의 거리 구간과 증폭률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거리 측정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거리 측정 장치(100)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사용하는 거리 측정 레이더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하며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형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리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110), 가변증폭기(120), 송수신부(130) 및 배터리(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거리 측정 장치(100)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대상 물체(도시하지 않음)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제어하며, 가변증폭기(120)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제어한다. 여기서, 대상 물체는 거리 측정 장치(100)가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가리킨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어 신호를 통해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값에 따라 거리 측정 장치(100)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간에 따라 서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해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대상 물체와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디지털 신호를 통해 가변증폭기(120)의 증폭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가변증폭기(120)의 증폭을 제어하고, 거리 측정 장치(100)가 근거리에 있는 대상을 측정할 때는 RF출력의 이득값(또는 송신부(132)의 출력 레벨)을 낮게 하여, 배터리(140)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가변증폭기(120)는 송신부(132)에서 출력될 무선 주파수 신호 또는 수신부(134)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100)는 송신부(132)에서 출력될 무선 주파수 신호의 증폭된 정도에 따라 측정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30)는 대상 물체에게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30)는 대상 물체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132) 및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송신부(132)는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며, 수신부(134)는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40)는 거리 측정 장치(100)가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거리 측정 장치(100)는 배터리(140)에서 공급된 전력을 사용하여 이동하면서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리 측정 장치(100)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가변적으로 RF출력의 이득값을 제어함으로써, 거리 측정 장치(100)의 배터리(140) 소모를 줄이고, 거리 측정 장치(100)의 운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이때, 거리 측정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수신측의 증폭기(122)는 송신측의 가변증폭기(120)와 달리 고정 증폭기일 수 있다.
거리 측정 장치(100)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0), 혼합기(20) 및 주파수체배기(30)를 거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가변증폭기(120)를 통해 증폭한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132a)가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대상 물체에 전송한다.
대상 물체에서 반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안테나(134a)가 수신하고, 혼합기(20), 증폭기(122)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2)를 거쳐 제어부(110)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측정된 거리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 신호를 통해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측정된 거리값이 클수록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크게하여 송신 안테나(132a)의 출력 레벨을 크게 하고, 측정된 거리값이 작을수록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작게 하여 출력 레벨을 작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리 측정 장치(100)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고정된 출력 레벨을 사용하는 거리 측정장비 보다 전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거리 측정 장치(100)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거리 측정 장치의 거리 구간과 증폭률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100)는 측정된 거리에 따라 제어부(110)가 4개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디지털 신호를 통해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변경한다.
도 3에서와 같이,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은 총 4개의 단계(A, B, C, 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4개의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켜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거리 측정 장치(100)와 대상 물체간의 거리가 원거리로 A 구간에 있는 것으로 측정되면, 최대 전력으로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100%의 증폭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비교적 가까운 C 구간에 있는 것으로 측정되면,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50%로 증폭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거리 측정 장치(100)와 대상 물체간의 거리가 근거리인 D 구간에 있는 것으로 측정되면,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25%로 조절함으로써, 배터리(140)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 측정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대상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가변증폭기(120)의 증폭률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의 거리 구간 및 증폭률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한 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거리 측정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3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10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최대 전력으로 발생시켜 거리 측정 장치(100)와 대상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S100).
그리고, 거리 측정 장치(100)의 제어부(110)가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변경한다(S110). 이때, 제어부(110)는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간에 따라 출력 레벨을 결정하며, 측정된 거리값이 클수록 출력 레벨을 크게 하고, 측정된 거리값이 작을수록 출력 레벨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측정 장치(100)의 송신부(132)는 변경된 출력 레벨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S120).
또한, 거리 측정 장치(100)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가 멀어져 설정된 시간 안에 측정되는 값이 없으면, 최대 전력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S130, S140).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만약, 도 3의 C 구간에 있던 대상 물체가 B 구간으로 이동시, 기존의 50% 증폭률로는 거리측정을 할 수 없다. 이때, 자동 이득 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 이하 AGC)(150)의 입력레벨 이하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고,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160)가 출력신호를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부(110)가 다시 최대 증폭률로 출력 레벨을 변경하여 거리를 측정을 한다.
따라서, 거리 측정 장치(100)는 다시 최대 증폭률로 출력 레벨을 변경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에 맞게 출력되는 증폭률을 변경한다. 여기서, 슈미트 트리거 (160)의 기능은, 수신레벨의 일정이상에서 하이 신호를 만들고, 일정 이하에서는 로우 신호를 만든다. 즉, 슈미트 트리거 (160)의 로우 신호는, 현재의 RF출력의 이득값으로는 거리측정에 필요한 수신레벨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제어부(110)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게하여 거리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110)가 다시 최대 RF출력 이득값으로 거리측정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 측정 장치(10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최대 전력으로 발생시켜 거리 측정 장치(100)와 대상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S200).
그리고, 거리 측정 장치(100)의 제어부(110)가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변경한다(S210).
그리고, 거리 측정 장치(100)의 송신부(132)는 변경된 출력 레벨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S220).
이때, 거리 측정 장치(100)는 대상 물체가 이동하여 AGC(150)의 입력레벨 이하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대상 물체와의 거리 측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거리 측정 장치(100)는 AGC(150)의 입력레벨 이하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160)가 출력신호를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변경하고, 변경된 신호를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거리 측정 장치(100)는 다시 최대 전력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S200, S240).
이와 같이, 거리 측정 장치(100)는 처음에는 최대 전력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거리값이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곳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그에 따라 출력 레벨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거리측정 상대가 되는 물체가 거리 D 구간에 있다가 A 구간으로 멀어지면 기존에 D 구간의 증폭률로 거리 측정을 하기 때문에 대상을 검출하지 못한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구간별로 측정 시간을 설정하여 정해진 시간 안에 측정되는 값이 없으면, 다시 최대전력으로 거리측정을 하여 처음부터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거리 측정 장치(100)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 구간에 따라 가변적으로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이동형의 거리 측정 장치(100)에 대한 배터리(140) 소모를 줄이고, 거리 측정 장치의 운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거리 측정 장치 110: 제어부
120: 가변증폭기 130: 송수신부
140: 배터리

Claims (15)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장치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증폭기,
    증폭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대상 물체에 출력하는 송신 안테나, 그리고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변증폭기의 증폭률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측정 장치와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증폭률로 증폭하도록 제어하는 거리 측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 측정 장치는,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력을 통해 이동하며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장치.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값이 클수록 출력 레벨을 크게 하며, 상기 거리값이 작을수록 출력 레벨을 작게 제어하는 거리 측정 장치.
  5. 대상 물체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반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되,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가 자동 이득 제어기(AGC)의 입력 레벨 이하로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 레벨을 변경하도록 신호를 제공하는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를 포함하는 거리 측정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대상 물체에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 그리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거리 측정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부의 출력을 증폭하는 가변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거리 측정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가변증폭기의 증폭률을 달리하도록 제어하는 거리 측정 장치.
  9. 삭제
  10. 거리 측정 장치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최대 전력으로 발생시켜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경된 출력 레벨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거리 측정 방법.
  11. 제10항에서,
    설정된 시간 안에 측정되는 값이 없으면, 상기 최대 전력으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거리 측정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출력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는,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복수개의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간에 따라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리 측정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거리값이 클수록 출력 레벨을 크게 하며, 상기 거리값이 작을수록 출력 레벨을 작게하는 거리 측정 방법.
  14. 제10항에서,
    상기 출력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는,
    측정된 거리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나누고, 각각의 구간에 따라 출력 레벨을 달리하는 거리 측정 방법.
  15. 제10항에서,
    자동 이득 제어기(AGC)의 입력 레벨 이하로 신호가 수신되면,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가 상기 출력 레벨을 변경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최대 전력으로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거리 측정 방법.
KR1020130064888A 2013-06-05 2013-06-05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Active KR101344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888A KR101344058B1 (ko) 2013-06-05 2013-06-05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888A KR101344058B1 (ko) 2013-06-05 2013-06-05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058B1 true KR101344058B1 (ko) 2013-12-24

Family

ID=4998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888A Active KR101344058B1 (ko) 2013-06-05 2013-06-05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0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949B1 (ko) 2018-05-16 2018-11-26 국방과학연구소 Uwb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근접 표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07387A (ko)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아모센스 위치 측정 장치
WO2021096242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아모센스 위치 측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949B1 (ko) 2018-05-16 2018-11-26 국방과학연구소 Uwb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근접 표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07387A (ko)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아모센스 위치 측정 장치
KR102704032B1 (ko) * 2019-03-07 2024-09-06 주식회사 아모센스 위치 측정 장치
WO2021096242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아모센스 위치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9941B1 (en) Wireless local-area access network routing device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8897729B1 (en) Closed-loop power control using multiple feedback loops
WO2016126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the gain of a millimeter wave phased array system
US1103854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connected to a power amplifier and a controller to control an input power based on a temperature of the power amplifi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KR101344058B1 (ko) 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KR20190049096A (ko) 차량용 레이다 시스템
JP4484895B2 (ja) 車載レーダ装置
EP3185031A1 (en) Position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erminal device
KR20050032810A (ko) 자동 이득 제어 루프를 위한 온도 보상 장치
JP6745649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646203A (zh) 具有多传输能力的数据传输系统及其操作方法
JP6464526B2 (ja) 高周波出力制御回路
KR101660708B1 (ko) 출력 변화 조정 가능한 자동레벨보상 회로
US831150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21157456A1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JP2013185954A (ja) レーダ装置
CN105099489A (zh) 一种射频信号处理模块、电子设备及射频信号放大方法
JP2011099786A (ja) レーダ装置
CN112953586B (zh) 数据传输系统以及用于操作数据传输系统的方法
JP7351673B2 (ja) 光ファイバ無線通信の受信モジュールおよび光ファイバ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469103B1 (ko) 간섭 제거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KR2013007360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32096B1 (ko) Fm rssi 검출을 통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958206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調整方法
JP2015231113A (ja) 無線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