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613B1 - Block toy - Google Patents
Block to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1613B1 KR101341613B1 KR1020120015895A KR20120015895A KR101341613B1 KR 101341613 B1 KR101341613 B1 KR 101341613B1 KR 1020120015895 A KR1020120015895 A KR 1020120015895A KR 20120015895 A KR20120015895 A KR 20120015895A KR 101341613 B1 KR101341613 B1 KR 1013416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emitting device
- substrate
- polygon
-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블록완구가 개시된다. 블록완구는 일정 두께를 가진 다각형의 몸체와, 다각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는 금속 또는 자석과, 다각형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한 발광소자, 그리고 발광소자를 덮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덮개로 구성된다.Block toys are disclosed. A block toy is a polygonal body having a certain thickness, a metal or magnet located in a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gon, a light emitting device located on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polygon, and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cover cove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It is comp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의 다른 블록완구와 결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창작을 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와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블록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toy that can be enjoyed by learning effects and play by creating a variety of shapes in combination with other block toys of various shapes.
종래 조립식 완구의 경우, 몇몇 정형화된 모양의 한계로 인해 창의적인 구조물 형성에 한계가 있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prefabricated toys,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formation of creative structures due to some standardized shape limitatio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록완구에 내장된 금속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다른 블록완구와 결합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측에 형성된 발광소자를 통해 심미적인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블록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toy that can be combined with other block toys by using a metal or magnet embedded in the block toys as well as provide aesthetic effect through a light emitting element formed on one side. There is.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의 일 예는, 일정 두께를 가진 다각형의 몸체; 상기 다각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는 금속 또는 자석; 상기 다각형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한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를 덮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덮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xample of a blo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gonal body having a certain thickness; A metal or magnet located in a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gon; A light emitting devic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polygon; And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cover cove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의 다른 일 예는, 일정면적의 상하 뚫린 빈 공간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몸체; 상기 다각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는 금속 또는 자석; 상기 다각형의 빈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온/오프, 밝기, 깜빡임 또는 색상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포함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위치한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를 덮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상면 덮개; 및 상기 기판의 하면을 덮는 하면 덮개;를 포함한다.Another example of a blo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polygonal body including a hollow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a predetermined area; A metal or magnet located in a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gon; A substrat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empty space of the polygon, the substrate including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on / off, brightness, flickering or color chan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top cover cove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bottom cover covering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블록완구와 결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창작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와 놀이를 함께 즐길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를 통해 심미적인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with other block toys to create a variety of shapes can be enjoyed together with the learning effect and play. In addition, the aesthetic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의 분리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블록완구를 거꾸로 뒤집은 경우의 분리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회로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의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를 다른 블록완구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도 6의 블록완구를 다른 블록완구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lo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en the block toy of FIG. 1 is turned upside dow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block toy in combination with other toys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lo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block toy of FIG. 6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nother block toy.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block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의 분리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완구를 거꾸로 뒤집은 경우의 분리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의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2 및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lo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parated perspective view when the block toy of Figure 1 upside dow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4.
본 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는 사각형의 몸체(100), 상면 덮개(120) 및 하면 덮개(130)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어회로가 존재하는 기판(140), 발광소자(150a,b,c,d),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160), 외부와 연결되는 USB 포트(170) 및 스위치(180) 등이 존재한다.Block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사각형 몸체(100)의 각 변의 가장자리에는 자석 또는 금속(110a,b,c,d)이 위치한다. 자석 또는 금속(110a,b,c,d)은 사각형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자력이 통과할 수 있는 두께로 밀폐되거나 일부가 몸체(100)의 상하면에 드러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자석 또는 금속(110a,b,c,d)은 몸체의 상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네 변 모두에 자석 또는 금속(110a,b,c,d)이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적용 예에 따라 어느 한 변 또는 두 변 등 일부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자석 또는 금속(110a,b,c,d)은 변의 중앙부분에 반드시 위치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는 등 다른 블록완구와의 결합(도 5 참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위치이면 된다. Magnets or
상면 덮개(120) 및 하면 덮개(130)는 몸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내부의 기판(140), 발광소자(150a,b,c,d) 등을 덮는다. 하면 덮개(130)는 몸체의 하면에 위치한 USB 포트 및 스위치가 노출될 수 있는 각각의 개구부(132,134)를 포함한다. 상면 덮개(120) 및 하면 덮개(130)는 투명, 반투명, 불투명일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The
기판(140)은 발광소자(150a,b,c,d)의 온/오프, 밝기변화, 깜빡임, 색상변화 등의 제어, 충전지(160)의 충전 제어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그 제어회로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기판(140)은 몸체(100)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내부에 위치하나, 적용 예에 따라 몸체(100)의 중앙은 뚫려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판(140)은 몸체의 중앙부분에서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The
기판(140)에는 발광소자(150a,b,c,d)가 위치한다. 발광소자(150a,b,c,d)는 LED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소자일 수 있으며, LED의 경우 색상 변경이 가능한 소자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4 개의 발광소자(150a,b,c,d)를 도시하였으나 적용 예에 따라 1개 이상의 발광소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4 개의 발광소자 각각이 나타내는 색상이 서로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발광소자(150a,b,c,d)가 위치한 기판의 다른 한 면에는 충전지(160), USB 포트(170) 및 스위치(180)가 위치한다. 충전지(160)는 발광소자(150a,b,c,d)에 전력을 공급하며 또한 USB 포트(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된다. 스위치(180)는 사용자가 발광소자(150a,b,c,d)의 온/오프, 밝기 변화, 색상 변화 등의 다양한 발광소자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회로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40)에 존재하는 제어회로부는 충전제어부(300), 모드 제어부(310) 및 스위치 입력부(320)를 포함한다. 충전제어부(300)는 USB 포트(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를 통해 충전지(160)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 예는, USB 포트(17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경우를 들었으나, 적용 예에 따라 충전을 위한 기존의 다른 충전 포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circuit unit on the
스위치 입력부(320)는 사용자의 스위치(180) 입력을 파악한다. 그리고 모드 제어부(310)는 스위치 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이 파악되면 해당하는 모드가 되도록 발광소자(150a,b,c,d)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처음 스위치를 눌렀을 때는 발광소자의 온, 두 번째는 밝기 변화, 세 번째는 색상 변화, 네 번째는 오프 등의 모드를 미리 설정하는 등 스위치의 누름 횟수에 따라 발광소자(150a,b,c,d)의 여러 가지 출력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를 다른 블록완구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blo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block toys.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는 사각형의 다른 블록완구(500,550)와 결합되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자석 또는 금속(510a,b,c,d-110a,b,c,d-560a,b,c,d)을 통해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와 다른 블록완구 모두 각 변에 자석을 포함하거나 다른 사각형 블록완구에만 자석이 내장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에는 금속이 존재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lock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oth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블록완구를 다른 블록완구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lo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block toy of Figure 6 combined with other block toys.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블록완구는 육각형의 구조로서 몸체의 다각형의 형태만 도 5와 상이할 뿐, 각 변에 위치한 자석 또는 금속(610a,b,c,d,e), USB 포트 및 스위치를 위한 덮개 상의 개구부(632,634) 등의 구조가 동일하며 또한 내부에 제어회로를 포함한 기판과 발광소자가 존재함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6, the block toy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exagonal structure, which is different from FIG. 5 only in the shape of a polygon of a body, and magnets or metals (610a, b, c, d, e) located at each side, and a USB port. And the structur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는 도 1 내지 도 5의 사각형 형태 또는 도 6,7의 육각형 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도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몸체의 다각형 형태는 삼각형을 포함한 n 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block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shape of FIGS. 1 to 5 or the hexagonal shape of FIGS. 6 and 7, but may be realized in various shapes. That is, the polygonal shape of the body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n-angles or triangles including triangles.
본 실시 예에서 블록완구의 몸체의 상하면에 위치한 덮개들은 몸체의 도형과 동일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의 사각형 덮개는 그 형태가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할 수 있으며, 다만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블록완구의 결합시 이를 방해하지 않는 형태이면 된다. Covers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of the block toy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in the same shape as the figure of the body,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ectangular cover of FIG. 4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rectangle, a hexagon, and the like, but may be a shap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block toys as shown in FIGS. 5 and 8.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상기 다각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는 금속 또는 자석;
상기 다각형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한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를 덮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덮개;
상기 발광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
외부와 접속되는 USB 포트;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는 제어회로; 및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스위치의 누름 횟수를 감지하고, 상기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온/오프와 더불어, 밝기, 깜빡임 및 색상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A polygonal body having a certain thickness;
A metal or magnet located in a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gon;
A light emitting devic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polygon;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cover cover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USB port connected to the outside;
A control circuit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us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USB port; And
A switch;
The control circuit senses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switch, 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the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flickering and color change.
상기 다각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는 금속 또는 자석;
상기 다각형의 빈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온/오프, 밝기, 깜빡임 또는 색상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포함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위치한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를 덮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상면 덮개;
상기 기판의 하면을 덮는 하면 덮개;
상기 하면 덮개의 일측에 위치한 USB 포트;
상기 발광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기판의 하면에 위치한 충전지; 및
상기 하면 덮개의 일측에 위치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고, 상기 스위치의 누름 횟수에 따라 발광소자의 온/오프의 제어와 더불어, 밝기, 깜빡임 및 색상 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완구.
A polygonal body including an upper and lower open void spaces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 metal or magnet located in a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gon;
A substrat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empty space of the polygon, the substrate including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on / off, brightness, flickering or color chan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top cover cove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 bottom cover covering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 USB port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ttom cover;
A rechargeable battery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nd a switch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ttom cover.
The control circuit charges the rechargeable battery us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USB port, and controls at least one of brightness, flickering, and color change as well as control of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switch. Block toy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895A KR101341613B1 (en) | 2012-02-16 | 2012-02-16 | Block to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895A KR101341613B1 (en) | 2012-02-16 | 2012-02-16 | Block to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4550A KR20130094550A (en) | 2013-08-26 |
KR101341613B1 true KR101341613B1 (en) | 2014-01-02 |
Family
ID=4921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5895A Active KR101341613B1 (en) | 2012-02-16 | 2012-02-16 | Block to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161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746B1 (en) * | 2013-06-21 | 2014-07-09 | (주)짐월드 | Block To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3536B1 (en) * | 2015-11-03 | 2017-03-08 | 안욱진 | Multi-convertible interior light and holder thereof |
CN109078341A (en) * | 2018-09-25 | 2018-12-25 | 塞伦斯玩具(上海)有限公司 | A kind of magnetic plate |
ES2877241B2 (en) * | 2020-05-12 | 2022-07-05 | Pitk Pelotas S L | LUMINOUS TOY |
CN112076486B (en) * | 2020-09-14 | 2022-06-10 | 廖嘉颖 | Prefabricated connecting building block external member of electronic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9669A (en) * | 2005-06-13 | 2006-12-18 | 강민수 | Component parts of prefabricated toy with light emitting part |
KR100993250B1 (en) * | 2010-05-07 | 2010-11-15 | (주)나비북스 | Magnet install form polygon plaything panels |
-
2012
- 2012-02-16 KR KR1020120015895A patent/KR1013416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9669A (en) * | 2005-06-13 | 2006-12-18 | 강민수 | Component parts of prefabricated toy with light emitting part |
KR100993250B1 (en) * | 2010-05-07 | 2010-11-15 | (주)나비북스 | Magnet install form polygon plaything panel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746B1 (en) * | 2013-06-21 | 2014-07-09 | (주)짐월드 | Block To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4550A (en) | 2013-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1613B1 (en) | Block toy | |
US10132491B2 (en) | Musical lanterns | |
US8974085B2 (en) | Lighting unit | |
WO2006044636A3 (en) | Illuminated, three-dimensional modules for a magnetic toy construction kit | |
US9885452B2 (en) | 3D swing simulation electronic candle lamp | |
CN114126726B (en) | game tile system | |
CA114506S (en) | Fan/light control switch | |
BRPI0721932A2 (en) | LIGHTED CONSTRUCTION STRUCTURES | |
US11287125B2 (en) | Inflatables with lighting module, systems, and methods | |
KR20200009198A (en) | Assembly type education apparatus using polyomino | |
KR101810054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 assembling | |
WO2024032019A1 (en) | Building block particle type smart led lamp | |
JP3196184U (en) | battery | |
US11779835B1 (en) | Video game controller | |
CN215221192U (en) | Lamp strip controller and lamp | |
KR20150043484A (en) | Base structure of food blender | |
CN204104241U (en) | The remote controller of roly-poly type | |
US10119690B2 (en) | Kind of LED light | |
CN211158604U (en) | Luminous body structure with magnetic force piece | |
CN205261288U (en) | Modular LED light body structure | |
CN211694541U (en) | Ceiling lamp | |
CN211738932U (en) | Magnetic attraction multidirectional spliced intelligent touch control light module | |
CN209237347U (en) | Facilitate the display module of splicing | |
KR101939092B1 (en) | Constructible LED Block | |
CN203298105U (en) | LED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structure of industrial remote control and industrial remote contr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