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170B1 - Reinforcing structure for masonry wall,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inforcing structure for masonry wall,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1170B1 KR101341170B1 KR1020120031947A KR20120031947A KR101341170B1 KR 101341170 B1 KR101341170 B1 KR 101341170B1 KR 1020120031947 A KR1020120031947 A KR 1020120031947A KR 20120031947 A KR20120031947 A KR 20120031947A KR 101341170 B1 KR101341170 B1 KR 1013411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r
- wedge
- tension member
- masonry wall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31 aramid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콘크리트 주요 구조부 사이에 끼인 조적식 칸막이벽체가 지진발생시 전도, 탈락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비구조부재에 대한 내진보강공법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또 다른 전제 조건으로 경제성, 환경성, 미관성, 시공성을 함께 고려하였고, 학교 교실의 철거부위를 최소화 하여 짧은 공사기간으로, 학생 수업환경에 변화가 없도록 하였고 건식공법으로 겨울방학 기간 중에도 공사가 가능 하도록 하며, 휨 성질이 약한 PC 강연선을 긴장재로 용이하게 사용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은, 콘크리트 건축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돌 조적 벽체(3)의 일면 이상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또는 상기 벽돌 조적 벽체(3)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긴장재(10)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면접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벽돌 조적 벽체를 지지하는 보강판(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부 중 일측 이상에 설치되며 너트가 체결된 케미컬 앵커(30), 상기 케미컬 앵커에 체결되며 상기 긴장재가 쐐기식으로 연결되는 커플러 정착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플러 정착수단은, 상기 케미컬 앵커가 관통되어 상기 너트로 고정되는 앵커홀 및 볼트공이 구비되어 상기 긴장재가 정착되도록 하는 판상의 커플러 정착구, 상기 커플러 정착구의 볼트공에 볼트 체결되며 내부에 쐐기홀이 구비된 커플러 하우징, 상기 커플러 하우징의 쐐기홀에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긴장재가 고정되는 테이퍼 형태의 쐐기형 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dge-typ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s and a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A non-structural member which prevents human injury from being caused by falling and falling of a masonry partition wall sandwiched between existing main structural parts during an earthquake. The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was developed and the other prerequisites were economical, environmental, aesthetic and constructive considerations. The demolition of school classrooms was minimized so that there was no change in student class environment. The dry construction method enables construction during the winter vacation, and it is intended to easily use PC strands with weak bending properties as tensioning materials.
The wedge-typ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mason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masonry masonry wall 3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crete building,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ixed through the fixing means. At least one tension member (10) fixed to the building or the brick masonry wall (3);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 while interviewing the brick masonry wall includes a reinforcement plate 20 for supporting the brick masonry wall, the fixing means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building and the nut is fastened The chemical anchor 3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er anchorage 40 is fastened to the chemical anchor and the tens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wedge. The coupler fix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anchor hole and a bolt hole through which the chemical anchor is penetrated and fixed to the nut to bolt-couple the plate-shaped coupler anchorage to fix the tension member, and a bolt hole of the coupler anchorage, and a wedge hole therein. The coupler housing includes a tapered wedge coupler mounted in the wedge hole of the coupler housing and having the tension member fixed there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의 조적에 의한 벽체가 지진 발생시 수평 전단력에 의해 붕괴되지 않도록 하며 휨 성질이 약한 PC 강연선을 이용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dge-typ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s, and a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wall of a brick by masonry is prevented from collapse by a horizontal shear force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dge-typ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for a masonry wall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using the same, and a seismic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지진재해대책법 제14조에 의거 우리나라 학교의 기존시설에 대한 내진보강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적용되는 방법은 주요 구조부의 보강을 통해 시설물을 안정화 시키고 지진발생시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 피해를 예방하는데 그 목표치를 상정해 놓고 있다.In accordance with Article 14 of the Earthquake Disaster Countermeasures Act, seismic reinforcement of existing schools in Korea is being promoted. Currently applied methods are aimed at stabilizing facilities through reinforcement of major structural units and preventing human life damage by preventing collaps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그러나 지진발생시 인명피해 원인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건물붕괴로 인한 직접 적인 피해(40%)보다는 비구조 부재 파괴로 인한 2차적 피해(60%)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주요 구조 부재의 내진성능 향상과 동시에 비구조 부재의 보강도 함께 병행 되어야만 실질적 내진보강이 이루어졌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causes of casualties in the earthquake, the secondary damage (60%) due to the destruction of non-structural members is greater than the direct damage (40%) due to the collapse of the build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ubstantial seismic reinforcement is achieved only when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main structural members is improved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non-structural members is performed together.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된 기존 학교시설의 경우 단변방향의 교실과 교실사이의 칸막이 벽은 벽돌로 쌓여 있고, 이는 4변 콘크리트 구조체에 끼어 있는 형상으로 조적 벽체 특성상 수평력에 의한 전단력이 매우 취약하다. 특히 상부 콘크리트 보와 맞닿는 부위는 벽돌이 접착몰탈 없이 얹혀 있거나 빈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붕괴 전도 되어 인명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원인을 내포하고 있다.In the existing school facility with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partition wall between the classroom and the classroom on the short side is piled with brick, which is sandwiched in the four-side concrete structure, and the shear force due to the horizontal force is very weak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sonry wall. In particular, the area where the upper concrete beam is in contact with the brick is placed without adhesive mortar or empty space, and most of them have a cause that can cause human damage due to collapse and fall when an earthquake occurs.
따라서 이에 대한 보강공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reinforcement method for this.
지진피해에 따른 성능수준을 보면 건물의 인명안전성능수준은, 중요 구조부 와 비구조부의 피해가 발생하며, 주요 구조부의 휨 강성은 손상이 되나 붕괴 여력은 남아 있고, 비구조부재는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여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학교시설내진설계 기준 고시 15쪽 참조) 이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추진되는 내진보강 사업은 주요 구조부재는 붕괴방지를 위해 내진보강을 하도록 되어 있으나, 비구조부재는 내진보강 범위에 권장사항으로 만 포함되어있다.(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13호 : 학교시설내진설계 기준 고시 제7장 2009.4.30).According to the earthquake damage performance level, the safety safety performance level of the building causes damage to important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parts,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major structural parts is damaged, but the collapse capacity remains, and the non-structural members are seriously damaged. (Refer to page 15 of the Seismic Design Standard Notice for School Facilities), and even though there is a risk of human injury, the current seismic reinforcement project is required to strengthen seismic reinforcement to prevent collapse. However, non-structural members are included only as a recommendation in the scope of seismic reinforcemen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tice 2009-13: Notice of Seismic Design Standard for School Facilities, Chapter 7 2009.4.30).
또한 현재 개발된 내진보강 공법도 주요구조부의 구조보강 공법만 있고, 비 구조부재에 대한 내진 보강 공법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currently developed has only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method of the main structural part, and the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the non-structural members has not been developed.
이에 맞춰 지진재해대책법에 의해 국가재난대비책에 중요시설인 기존학교의 내진보강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In response,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Act is promoting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projects of existing schools, which are important facilities for national disaster preparedness.
그러나, 현재 추진되는 내진보강은 건물붕괴방지를 위한 주요구조부의 보강에만 치우쳐 있고 비 주요구조부에 대한 내진 보강은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질적 재난대비 정책목적에 부응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current seismic reinforcement is focused only on the reinforcement of major structures to prevent building collapse, and the seismic reinforcement on non-main structures is not progressed. Therefore, it does not meet the actual purpose of disaster preparedness policy.
종래 비 구조부재에 대한 내진 보강공법은 기존벽체의 단면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The conventional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the non-structural member has a method of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of the existing wall, but the problem is as follows.
1. 단면증가로 건물의 자중이 늘어난다.1. Increasing the cross-section increases the weight of the building.
2. 시공이 복잡하여 짧은 방학기간 중 공사완료가 어렵다.2. It is difficult to complete construction during short vacation due to complicated construction.
3. 과도한 공사비로 한정된 예산상 선택이 어렵다.3. Limited budget due to excessive construction costs.
위와 같은 문제점 등으로 결과적으로 비 구조부재에 대한 내진보강이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As a result, the seismic reinforcement of the non-structural members is not achiev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등록특허 제10-1017686호(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Patent No. 10-1017686 (Anti-earthquake reinforcing structure for masonry wall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선출원은, 긴장재와 보강판을 통해 지진시 조적식 벽체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긴장재를 PC 강연선으로 사용할 때 PC 강연선을 구조물의 천정부와 바닥부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Although the previous application has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masonry wall during an earthquake through the tension member and the reinforcement plate, it did not provide an alternative to easily install the PC strand in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structure when the tension member is used as the PC strand. .
그리고, 선출원은 보강판이 앵커를 통해 벽체에 고정되는데, 상기 앵커의 앵커링시 보강판이 손상될 수 있고, 상기 앵커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보강판의 뒤쪽에서 앵커링되므로 상기 앵커가 삐뚤게 앵커링될 수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And, the first application is the reinforcement plate is fixed to the wall through the anchor, the reinforcement plate may be damaged during anchoring of the anchor, the anchor is anchored at the back of the reinforcement plate that is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can be anchored at an acute angle There are disadvantage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콘크리트 주요 구조부 사이에 끼인 조적식 칸막이벽체가 지진발생시 전도, 탈락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비구조부재에 대한 내진보강공법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또 다른 전제 조건으로 경제성, 환경성, 미관성, 시공성을 함께 고려하였고, 학교 교실의 철거부위를 최소화 하여 짧은 공사기간으로, 학생 수업환경에 변화가 없도록 하였고 건식공법으로 겨울방학 기간 중에도 공사가 가능 하도록 하며, 휨 성질이 약한 예를 들어 PC 강연선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develop a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the non-structural member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fall of the masonry partition wall sandwiched between the existing concrete main structure when the earthquake occurs. Another precondition for this is economical, environmental, aesthetic and constructive considerations. The demolition part of the school classroom was minimized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of students was not changed and the student's classroom environment was not chang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dge-typ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for masonry walls that can be easily used, for example, having a weak bending property, and a seismic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판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보강판을 조적식 벽체에 고정하려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reinforcement plate to the masonry wall without causing damage to the reinforcement plate.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은, 콘크리트 건축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돌 조적 벽체의 일면 이상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또는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긴장재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면접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벽돌 조적 벽체를 지지하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부 중 일측 이상에 설치되며 너트가 체결된 케미컬 앵커, 상기 케미컬 앵커에 체결되며 상기 긴장재가 쐐기식으로 연결되는 커플러 정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dge-typ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masonry masonry wall partitioning an interior space of a concrete building,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ecured through the fixing means. At least one tension member secured to the brick masonry wall;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 while interviewing the brick masonry wall and includes a reinforcement plate for supporting the brick masonry wall, The fixing means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building, the chemical anchor with a nut fastened , Coupler fixing means is fastened to the chemical anchor and the tens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wedge.
상기 커플러 정착수단은, 상기 케미컬 앵커가 관통되어 상기 너트로 고정되는 앵커홀 및 볼트공이 구비되어 상기 긴장재가 정착되도록 하는 판상의 커플러 정착구, 상기 커플러 정착구의 볼트공에 볼트 체결되며 내부에 쐐기홀이 구비된 커플러 하우징, 상기 커플러 하우징의 쐐기홀에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긴장재가 고정되는 테이퍼 형태의 쐐기형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er fix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anchor hole and a bolt hole through which the chemical anchor is penetrated and fixed to the nut to bolt-couple the plate-shaped coupler anchorage to fix the tension member, and a bolt hole of the coupler anchorage, and a wedge hole therein. Coupled housing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dge-shaped coupler of the tapered shape is mounted in the wedge hole of the coupler housing and the tension member is fixed therein.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의하면, 기존 건축물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하부를 지지기반으로 하는 긴장재의 긴장력과 보강판에 의해 조적식 벽체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하부 보(천정부와 바닥부) 등의 지지를 받게 되어 지진이 발생되어도 전도 붕괴하지 않고, 붕괴가 일어나더라도 벽돌이나 파편의 비산을 막아 인명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특히 지진재해대책법 및 국가재난대비책으로 추진되는 기존학교시설의 내진보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기타 유사한 구조의 일반건축물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wedge-typ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the masonry wall is the upper and lower beam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due to the tension and reinforcement plate of the tension member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f the existing building.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floor), it will not collapse even when an earthquake occurs, and even if the collapse occurs, it will prevent the bricks and debris from scattering and drastically reduce the casualties.In particular,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Act and the National Disaster Preparedness Plan It can be usefully applied to seismic reinforcement of existing school facilities, as well as other buildings of similar structure.
특히, 긴장재로 최적 조건을 갖고 있으면서도 휨 성질이 약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PC 강연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진 보강 구조물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s a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because the PC strand can be used that is not easy to install due to the weak bending properties while having the optimum conditions as the tension material.
그리고, 경첩볼트를 통해 긴장재가 조적식 벽체에 고정되어 보강판이 조적식 벽체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보강판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경첩볼트의 볼팅시 경첩볼트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경첩볼트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In addition, the hinge bolt is fixed to the masonry wall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sonry wall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 can function and the hinge bolt can be checked visually when the hinge bolt is bolted. Can be installed in the location and installation work is very easy.
또한, 내진 보강 구조물이 조적 벽체의 일부분에 시공되어 공사기간이 짧아 방학기간 중 준공이 가능하며, 건식으로 겨울철 공사도 가능하다. 특히 공사비가 단면증설 공법의 50% 범위를 초과 하지 않아 주어진 예산에서 무리 없이 적용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is constructed on a part of the masonry wall, so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 so it can be completed during the vacation period, and dry construction is also possible in winter. In particular, since the construction cost does not exceed 50% of the section expansion method, it can be easily applied in a given budget.
이로 인하여 주요 구조부 보강과 함께 비 구조부재의 보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궁극적으로 기존 학교시설의 내진보강사업 목적이 달성될 것이다.
As a result, the reinforcement of the non-structural members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main structural units, and ultimately, the purpose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project of the existing school facilities will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과 바닥부의 고정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커플러 정착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설치 상태 전개도, 확대도, 분해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이 적용된 부분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이 외벽에 설치된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dg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ixed state diagram of the wedge-typ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mason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means applied to the wedg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exploded views, enlarged views,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er fixing means applied to the wedg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portion to which the wedge-typ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wedge typ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for a mason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outer wall.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100)은, 콘크리트 건축물(이하 '건축물'이라 칭함) 예를 들어 학교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교실로 구획하기 위하여 벽돌을 조적하여 시공하는 조적식 벽체(이하 '벽체'라 칭함)를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지진시 수평 전단력이 가해지더라도 벽체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긴장재와 보강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벽체의 일면 이상에 설치된다. 내진 보강 구조물(100)은 조적식 벽체(3)에 상하 종방향, 좌우 횡방향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wedge-type
긴장재(10)는 예를 들어 PC 강연선으로서, 양측이 각각 건축물의 상하부 보(천정부(1), 바닥부(2))에 고정되며 긴장력에 의해 천정부(1)와 바닥부(2)를 벽체(3)측으로 긴장하여 벽체(3)가 벽돌들간의 조적력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천정부(1)와 바닥부(2)의 지지를 받도록 함으로써 벽체(3)를 견고하게 한다.The
보강판(20)은 벽체(3)에 고정되어 벽체(3)의 파괴를 막고 일부 파괴가 발생하더라도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The
이러한 기능의 보강판(20)은 강화 플라스틱, 철재,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등으로서 장력을 갖는 다양한 소재의 사용이 가능하고, 벽체(3)의 높이에 맞는 크기로 이루어지되, 벽체(3)의 높이 변화와 취급(보관, 운반 등)을 감안하여 다수의 단위 판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단위 판재의 연결구조는 통상적인 판재 연결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조를 생략한다.
긴장재(10)와 보강판(20)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시공성과 효율을 감안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긴장재(10)는 보강판(20)에 관통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긴장재(10)는 하나의 보강판(20)에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2개가 설치되고, 도면과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가 설치된 것을 예시한다.The
보강판(20)에는 설치 상태 기준 상하로 관통하는 2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긴장재(10)는 상하 양측이 각각 보강판(20)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구멍에 관통된 후 고정된다.The reinforcing
긴장재(10)와 보강판(20) 조립체는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구체적으로 긴장재(1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다.The
상기 고정수단은 휨이 되지 않는 PC 강연선의 특성에 따라 긴장재(10)를 휘지 않고 그대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바닥부(2)에 설치되며 너트(31)가 체결되는 케미컬 앵커(30), 케미컬 앵커(30)에 고정되는 커플러 정착구(40), 긴장재(10)와 커플러 정착구(40)를 연결하는 쐐기형 커플러(50)로 구성된다.The fix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as it is without bending the
케미컬 앵커(30)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건축물의 바닥부(2)에 매설되어, 커플러 정착구(40)를 매개로 하여 긴장재(10)를 건축물의 바닥부(2)에 고정한다.The
커플러 정착구(40)는, 예를 들어 상부와 저부가 평평한 블록의 형태이며 케미컬 앵커(30)가 관통되어 너트(31)로 고정되는 앵커홀(41) 및 긴장재(10)가 고정되며 보강판(20) 방향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쐐기홀(42)이 구비된다.The
앵커홀(41)은 케미컬 앵커(30)와 긴장재(10)의 위치 오차를 감안하여 장공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쐐기홀(42)은 쐐기형 커플러(50)와 동일한 테이퍼 형태로서 너트(31)의 조임으로 인한 커플러 정착구(40)의 이동시 커플러(50)가 쐐기식으로 고정되도록 유도한다.The
커플러 정착구(40)는 너트(31)의 조임시 바닥부(2)를 향해 이동하면서 긴장재(10)를 긴장시키는 것이므로 바닥부(2)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이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패드(43)가 개재될 수 있다. 탄성패드(43)는 커플러 정착구(40)를 지지하면서 커플러 정착구(4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Since the
쐐기형 커플러(50)는 예를 들어, 내부에 긴장재(10)가 관통 고정되며 둘레부가 테이퍼 진 콘의 형태이며, 예를 들어 다수개(2개 이상)의 편이 고정링을 통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The wedge-shaped
쐐기형 커플러(50)는 긴장재(10)가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내주면이 논슬립 구조 예를 들어 요철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wedge-shaped
이상에서는 상기 고정수단을 하부의 바닥부(2)에만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부의 천정부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은 천정부와 바닥부 중 어느 일측에만 적용되어도 무방하므로 상기 고정수단이 적용되지 않는 곳에서는 긴장재(10)는 일반적인 앵커를 통해 고정된다.
In the above, the fixing means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applied only to the
본 발명은 보강판(20)을 벽체에 고정하지 않고 긴장재(10)를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경첩볼트(60)가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경첩볼트(60)는 링부(61)에 긴장재(10)가 끼워져 긴장재(10)에 고정되며 볼트부(62)가 벽체에 삽입 고정된다.
The
지금까지는 긴장재(10)가 보강판(20)을 관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긴장재가 상하로 구분되어 상기 보강판의 내부에 관통되지 않으면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긴장재와 하부 긴장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인 상하부 고정수단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Until now, the
이와 같은 구성의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100)은 다수개가 벽체(3)에 일정 간격 두고 이격되거나 일렬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벽체(3)의 모든 부분을 보강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의 보강 방법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The wedge-type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은 다음과 같다.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wedg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S10) 내진보강홈 형성.(S10) seismic reinforcement groove formation.
벽체의 일면 이상(도면에는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내진보강홈을 형성한다. 상기 내진보강홈은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10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제원 및 간격은 내진 보강 구조물(100)의 크기와 벽체의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미 건축되어 있는 벽체(3)에 대해서는 커팅 등을 통해 내진보강홈을 형성하지만, 벽체의 초기 건축시에는 내진보강홈이 형성되도록 벽돌을 조적한다.A plurality of seismic reinforc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ll (shown as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draw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groove is a space for installing the wedge-type
상기 내진보강홈은 벽체의 단면에 변화를 주지 않기 위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내진보강홈을 형성하지 않고, 내진 보강 구조물(100)을 벽체의 면에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The seismic reinforcement grooves are intended not to change the cross section of the wall, and in some cases, the seismic reinforcement grooves may not be formed, and the
(S20) 고정수단 설치 및 보강판과 긴장재 조립체 설치.(S20) Fixing means installation and reinforcement plate and tension assembly installation.
내진 보강 구조물(100)의 긴장재(10)와 보강판(20)의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수단을 설치하며, 구체적으로 하부의 케미컬 앵커(30)를 각각 바닥부(2)에 설치하고, 긴장재(10)의 단부에 쐐기형 커플러(50)를 끼워 고정한 후, 쐐기형 커플러(50)를 커플러 정착구(40)의 쐐기홀(42)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긴장재(10)와 커플러 정착구(40)를 결속한다.Fixing means is installed in order to install the assembly of the
케미컬 앵커(30)를 커플러 장착구(40)의 앵커홀(41)에 끼운 후 너트(31)를 체결하여 케미컬 앵커(30)와 커플러 정착구(40)를 결속한다.The
너트(31)를 조이면 커플러 정착구(40)가 바닥부(2)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긴장재(10)가 긴장된다. 탄성패드(43)가 적용된 경우 탄성패드(43)는 커플러 정착구(40)와 바닥부(2)의 사이에 배치되며 커플러 정착구(40)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 변형하면서 커플러 정착구(40)를 지지하여 커플러 정착구(40)가 케미컬 앵커(30)와 긴장재(10)의 힘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When the
긴장재(10)의 천정부는 전술한 고정수단을 동일하게 설치하거나 일반적인 앵커를 천정부에 설치한 후 긴장재(10)를 상기 앵커에 끼움식으로 연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The ceiling of the
(S30) 마감.(S30) deadline.
내진 보강 구조물(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벽체를 마감한다. 마감은 접착 - 표면 보강 - 마감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벽체의 표면 및 내진보강홈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 표면에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표면강화제를 도포하여 보강층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층 표면에 마감재(내화 몰탈 등)를 도포하거나 벽지를 부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외부 마감층(230)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층과 마감층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내진 보강 구조물(100)의 설치로 완료될 수도 있으며, 페인트 등으로만 마감될 수도 있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벽체 따르면, 긴장재(10)의 긴장력에 의해 상하부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천정부와 바닥부(2)) 사이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지진 발생시 벽돌의 흔들림을 막아 수평 하중에 대응하여 붕괴를 막을 수 있고, 또한, 보강판(20)이 벽체의 진동을 흡수하여 벽체의 붕괴를 막을 수 있으면서 아울러, 벽체가 붕괴되더라도 벽돌 파편 등이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ll constru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tension of the
지금까지는 내진 보강 구조물(100)을 상하로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내진 보강 구조물(100)은 좌우 횡방향으로도 설치 가능하며(전술한 상하부 고정수단 등을 좌우에 배치하여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공 조건 등에 따라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Until now, the
본 발명은 기존 학교 시설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모든 건축물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ll similar buildings as well as existing school facilities.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긴장재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긴장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해 고정된다.4 to 7 show another example of the tension member fixing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member is fixed through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커플러 정착구(40)는 판재로서 케미컬 앵커(30)가 관통되어 너트(31)로 고정되는 앵커홀(41)이 구비되며, 후술하는 커플러 하우징(51)이 체결되는 볼트공이 구비된다.The
쐐기형 커플러(50)는 내부에 긴장재(10)가 삽입 고정되면서 별도의 커플러 하우징(51)을 매개로 하여 설치된다.The wedge-shaped
커플러 하우징(51)은 쐐기형 커플러(50)가 쐐기식으로 장착되는 쐐기홀이 구비되면서 커플러 정착구(40)에 볼트식으로 고정된다.The
커플러 하우징(51)은 쐐기형 커플러(50)의 장착을 위하여 쐐기홀이 구비되어 쐐기형 커플러(50)가 장착되는 하우징 본체(52) 및 커플러 정착구(40)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너트(54)로 체결되며 하우징 본체(52)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부(53)로 분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볼트부(53)는 커플러 정착구(40)에 지지되도록 너트(54)의 반대쪽에 지지링(53a)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지지링(53a)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직경의 볼트부가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또한, 커플러 하우징(51)의 내부에는 쐐기형 커플러(50)를 커플러 하우징(51)의 쐐기홀쪽으로 지지하여 긴장재(10)를 더욱 팽팽하게 설치하는 탄성부재(코일스프링 등)(55)가 적용된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coil spring, etc.) 55 supports the wedge-shaped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100)이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에서처럼,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100)은 실내의 천정, 벽에 종방향과 횡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도 9에서처럼, 건축물의 외벽에도 설치 가능하다.
8 and 9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wedge-type
1 : 천정부, 2 : 바닥부
3 : 벽체,
10 : 긴장재, 20 : 보강판
30 : 케미컬 앵커, 31 : 너트
40 : 커플러 정착구, 41 : 앵커홀
42 : 쐐기홀, 43 : 탄성패드1: ceiling, 2: bottom
3: wall,
10: tension member, 20: reinforcement plate
30: chemical anchor, 31: nut
40: coupler anchorage, 41: anchor hole
42: wedge hole, 43: elastic pad
Claims (4)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면접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벽돌 조적 벽체를 지지하는 보강판(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부 중 일측 이상에 설치되며 너트가 체결된 케미컬 앵커(30), 상기 케미컬 앵커에 체결되며 상기 긴장재가 쐐기식으로 연결되는 커플러 정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정착수단은, 상기 케미컬 앵커가 관통되어 상기 너트로 고정되는 앵커홀(41) 및 볼트공이 구비되어 상기 긴장재가 정착되도록 하는 판상의 커플러 정착구(40), 상기 커플러 정착구의 볼트공에 볼트 체결되며 내부에 쐐기홀이 구비된 커플러 하우징(51), 상기 커플러 하우징의 쐐기홀에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긴장재가 고정되는 테이퍼 형태의 쐐기형 커플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At least one tension member dispos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rick masonry wall 3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crete building,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ixed to the concrete building or the brick masonry wall 3 through fixing means. 10;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 while interviewing the brick masonry wall includes a reinforcement plate 20 for supporting the brick masonry wall,
Wherein,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building and includes a nut anchored to the chemical anchor 30, the coupler fixing means is fastened to the chemical anchor and the tens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wedge,
The coupler fix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anchor hole 41 and a bolt hole through which the chemical anchor penetrates to fix the nut, and a plate-shaped coupler fixing unit 40 for fixing the tension member, and a bolt fastening to the bolt hole of the coupler fixing unit. And a coupler housing 51 having a wedge hole therein, and a wedge-shaped coupler 50 having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tension member is fixed to the wedge hole of the coupler housing. Wedg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상하 천정부와 바닥부 또는 좌우 벽체에 각각 케미컬 앵커(30)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100)을 설치하되, 상기 조적식 벽체 보강 구조물의 긴장재의 상하 또는 좌우 양측 단부를 각각 상기 제1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고정수단의 케미컬 앵커에 커플러 정착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긴장재를 상기 커플러 정착수단에 쐐기식으로 연결한 후 상기 케미컬 앵커의 너트를 조여 상기 긴장재를 설치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앵커홀(41) 및 볼트공이 구비되어 상기 긴장재가 정착되도록 하는 판상의 커플러 정착구(40)의 상기 앵커홀(41)에 상기 케미컬 앵커(30)를 너트(31)로 체결하고,
상기 커플러 정착구(40)의 볼트공에는 내부에 쐐기홀이 구비된 커플러 하우징(51)을 볼트 체결하며,
상기 커플러 하우징의 쐐기홀에 상기 긴장재가 고정되는 테이퍼 형태의 쐐기형 커플러(50)를 장착하여 상기 긴장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Wedge type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tension member 10, a reinforcement plate 20,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ension member to the brick masonry wall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rick masonry wall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crete building. By constructing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100,
A first step of installing fixing means including chemical anchors 30 in the upper and lower ceiling portions and the bottom or left and right walls of the concrete building, respectively;
After the first step to install the wedge-typ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100 for the masonry wall, the chemical anchor of the fixing means installed in the first step,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nsion member of the masonry wall reinforcement structure And a second step of connecting the coupler fixing means to the wedge type connecting the tension member to the coupler fixing means and then tightening the nut of the chemical anchor to install the tension member.
In the second step, the chemical anchor 30 is fastened with a nut 31 to the anchor hole 41 of the plate-shaped coupler anchorage 40 which is provided with an anchor hole 41 and a bolt hole to fix the tension member. ,
Bolting the coupler housing 51 having a wedge hole in the bolt hole of the coupler anchorage 40,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a wedge-typ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mason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to install the tension member by mounting a wedge-shaped coupler (50) of the tapered form is fixed to the wedge hole of the coupler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1947A KR101341170B1 (en) | 2012-03-28 | 2012-03-28 | Reinforcing structure for masonry wall, and the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1947A KR101341170B1 (en) | 2012-03-28 | 2012-03-28 | Reinforcing structure for masonry wall, and the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9852A KR20130109852A (en) | 2013-10-08 |
KR101341170B1 true KR101341170B1 (en) | 2013-12-13 |
Family
ID=4963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19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1170B1 (en) | 2012-03-28 | 2012-03-28 | Reinforcing structure for masonry wall, and the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117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5561B1 (en) * | 2016-09-29 | 2018-07-09 |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 Dual type rebar anchoring device |
KR102104604B1 (en) * | 2017-12-08 | 2020-04-24 | 주식회사 유원구조진단건축사사무소 | Environmental Friendly Structure Using Prestress |
KR102157288B1 (en) * | 2018-10-31 | 2020-09-17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Fixing module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masonry building and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using it |
CN110747729A (en) * | 2019-10-25 | 2020-02-04 |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Anti-pulling method and structure and support thereof |
CN116118945A (en) * | 2023-03-13 | 2023-05-16 | 宁波海和通讯科技有限公司 | Integrated laying submerged buo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10955A (en) * | 1998-04-30 | 1999-11-09 | Ohbayashi Corp | High hysteretic damping type brace |
KR101017686B1 (en) * | 2010-10-22 | 2011-02-28 | 오영근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s for Masonry Walls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2012
- 2012-03-28 KR KR1020120031947A patent/KR10134117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10955A (en) * | 1998-04-30 | 1999-11-09 | Ohbayashi Corp | High hysteretic damping type brace |
KR101017686B1 (en) * | 2010-10-22 | 2011-02-28 | 오영근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s for Masonry Walls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9852A (en) | 2013-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1170B1 (en) | Reinforcing structure for masonry wall, and the method thereof | |
CA2542039A1 (en) | Composite floor system with fully-embedded studs | |
US8359793B2 (en) | Earthquake force absorption system | |
KR101377327B1 (en) | Method for reinforcing seismic capability of existing moment frames buildings of reinforced concrete by section enlargement | |
KR102303736B1 (en) | Wire damping apparatus for lintel | |
KR20180010833A (en) | Seismic retrofit RC beam-column joints using hunch | |
KR102147383B1 (en) | Column shear strength reinforcing method and its reinforcing device | |
KR101017686B1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s for Masonry Walls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104604B1 (en) | Environmental Friendly Structure Using Prestress | |
JP2019196634A (en) | Reinforcement member for wooden frame | |
JP2019027195A5 (en) | ||
JP2018165467A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wall balustrade | |
KR101007073B1 (en) | Earthquake Reinforcement System of Building | |
KR101930268B1 (en) | Seismic reinforcing method for wall of apartment structure | |
KR20120037132A (en) | Reinforcemrnt method for earthquake-proof of wall | |
JP6122740B2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 |
KR20170101034A (en) |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of Opening of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Reinforcing Structure | |
KR101397886B1 (en) | Method for reinforcing seismic capability of existing moment frames buildings of reinforced concrete by section enlargement | |
KR101209363B1 (en) | Concrete block for seismic reinforcement of H-shaped column and seismic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 |
US20210108434A1 (en) | Reinforced building wall using compression rod | |
JP2001132262A (en) | Vibration control frame provided with friction damping mechanism | |
KR100452976B1 (en) | Joint structure of steel plate reinforced RC beam and slab for slim floor system | |
JP6231300B2 (en) | Ceiling material fall prevention device | |
KR101517114B1 (en) | Lower support of sectional cube structure | |
KR102495592B1 (en) | Assembly type aseismic reinforcement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