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960B1 - Reclamation type road discerning device - Google Patents
Reclamation type road discern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0960B1 KR101340960B1 KR1020120030140A KR20120030140A KR101340960B1 KR 101340960 B1 KR101340960 B1 KR 101340960B1 KR 1020120030140 A KR1020120030140 A KR 1020120030140A KR 20120030140 A KR20120030140 A KR 20120030140A KR 101340960 B1 KR101340960 B1 KR 1013409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 delete delete
- reflector
- buried
- embedd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도로 지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차량 운전자에게 필요한 도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내구성은 물론 시인성이 향상된 매립형 도로 표지병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은 도로 지면에 매립되는 투명한 몸체와, 몸체에 내장되며 전방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시켜 몸체의 상부면을 통해 경사지게 반사광을 조사하는 반사체를 포함한다.
Disclosed is a buried road marker bottle which can effectively provide road information necessary for a vehicle driver in a state of being buried in a road surface,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as well as durability.
The buried road marker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body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road, and a reflector which is embedded in the body and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ront to obliquely reflect the reflected light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립형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지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차량 운전자에게 필요한 도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 물고임 이 방지되며, 반사광이 조사되는 표면에서의 훼손이 방지되어 내구성 및 시인성(visibility) 확보 기능이 향상된 매립형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road marker bottle, which can provide road information necessary for a vehicle driver in a state of being buried in a road surface, as well as preventing an upper bite and preventing damage on a surface to which reflected light is irradiated. And it relates to a buried road sign bottle is improved visibility securing function.
도로 표지병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중앙 분리선, 도로 경계선, 급커브선 등에 설치되는 표지 수단으로서, 도로 상에서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각종의 도로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As the road marker bottle is widely known, it is a marker means installed on a central separation line, a road boundary line, a sharp curve line, etc., and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safety is required on the road, and serves to inform a vehicle driver of various road information.
특히, 흐린 날이나 야간 등과 같이 차량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차량으로부터 발광된 빛(예: 헤드라이트 광)을 재귀반사 시켜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 사정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difficulty in securing a forward view of the vehicle driver, such as on a cloudy day or at night, the vehicle driver can easily identify road conditions by retro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eg, headlight light).
최근까지 소개된 도로 표지병의 경우, 그 재질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도로 표지병 형태가 등장하였으나,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도로 표지병은 대부분 몸체가 도로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있고, 몸체의 적어도 일면을 통해 반사체 또는 발광체를 구비하는 형태를 지녔다. 이는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 중에 보다 손쉽게 도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형태였기 때문이었다.
In the case of road sign bottles introduced until recently, various types of road sign bottles appeared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structure, but most of the road sign bottles that are actually applied have a body protruding upward from the road surface, and reflectors through at least one side of the body. Or it has a form provided with a light-emitting body. This was because the driver could easily identify road information while driving the vehicle.
하지만, 이와 같은 주지된 도로 표지병의 경우, 도로 지면으로부터 몸체가 돌출된 형상을 지님에 따라, 운행 중인 차량과의 충돌로 인하여 빈번하게 손상되거나 이탈되는 문제가 따랐다. 아울러, 지형적 특성상 눈이 많이 내리는 도로 상에 설치될 경우, 돌출된 몸체가 제설 차량으로부터 타격을 받아 손상 및 이탈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 경우 도로 표지병의 유지 보수는 물론 신품 교체에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well-known road marker bottle, as the body protrudes from the road surface, there is a problem of frequently being damaged or dislodged due to a collision with a vehicle in operation. In addition, when installed on a snowy road due to the topograph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truding body is damaged and detached by being blown from the snow removing vehicle, and in this case, the maintenance of the road sign bottle and a new replacement were expensive. .
따라서 운행 중인 차량으로부터 충돌을 입지 않으면서도 운행 중인 차량의 하중 및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차량 운전자에게 손쉽게 도로 정보를 식별시켜 줄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도로 표지병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ructural strength that can withstand the load and impact of the vehicle in operation without being hit by the vehicle in operation, and to develop an improved road marker that can easily identify road information to the vehicle driver. Attention is rising.
본 발명은 도로 지면에 매립되어 도로 상을 운행 중인 차량으로부터의 충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ried road marker bottle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that can reduce the impact damage from the vehicle running on the road.
또한, 본 발명은 도로 지면에 매립된 상태에서도 차량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으로 도로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는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ried road marker bottle that can deliver the road information to the vehicle driver with high visibility even when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노면 상의 물고임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차량 바퀴와의 접촉면에서 표면 훼손을 억제시켜 줄 수 있는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ried road marker bottle that can prevent the water trapping phenomenon on the road surfac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to suppress surface damage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vehicle wheel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지면에 매립되는 투명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전방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재귀반사 시켜 상기 몸체의 상부면을 통해 경사지게 반사광을 조사하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body embedded in the road ground; And a reflector embedded in the body and reflect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front to reflect the light obliquely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반사체는, 상기 몸체의 내부를 가로질러 마련된 내부 장홈을 통해 수용될 수 있다. The reflector may be received through an internal long groove provided across the inside of the body.
또한, 상기 반사체는, 상기 내부 장홈을 통해 수용되어 도로 지면을 수평 기준으로 상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lector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by an angle set to be upwardly received bas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road through the internal long groove.
또한, 상기 반사체는, 상기 내부 장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 개로 구획된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반사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lect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flecting unit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nal long groove.
여기서, 상기 반사 유닛이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의 벽면에는 광 반사 물질이 처리될 수 있다. Here, the light reflection material may be process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reflection unit is inserted.
또한, 상기 반사 유닛이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 간의 경계 구간에는 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reinforcing rib may be provided in a boundary section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reflective unit is inserted.
이러한 반사 유닛은, 후면으로 광 반사 물질이 처리되어 입사된 광을 전면으로 반사하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반사구일 수 있다.
The reflective unit may be a reflector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that reflects the incident light by treating the light reflective material to the rear surface.
상기 몸체는, 상기 반사체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해 하부면을 통해 개폐되는 하부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The body may include a lower cover that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a lower surface for mounting and detaching the reflector.
여기서,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면에는 광 반사 물질이 처리될 수 있다. Here, the light reflecting material may be pro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그리고 상기 몸체의 상부는 중앙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may be formed inclined downwar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from the center.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도로 지면을 따라 차량이 운행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돌출된 복수의 선형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ear protrusions protruding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along the road surface.
또한, 상기 몸체는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갈수록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져서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may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본 발명인 매립형 도로 표지병에 의하면, 도로 표지병을 도로 지면에 매립 시공할 수 있어 운행 중인 차량으로부터의 충돌 피해를 저감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운행 중인 차량의 하중 및 충격을 구조적으로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여 도로 표지명의 내구 수명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그 결과, 도로 표지병의 유지 보수비는 물론 신품 교체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uried road marker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marker bottle can be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thereby reducing the collision damage from the vehicle in ope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life of the road sign name by securing the rigidity to structurally withstand the load and impact of the vehicle in oper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road sign bottle as well as the cost of new replacement.
나아가, 본 발명인 매립형 도로 표지명은 도로 지면 내에 매립된 상태에서도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전달하고자 하는 도로 정보를 높은 시인성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몸체의 재질과, 몸체 내부에 내장되되 광 반사 각도가 상향 조절된 반사체에 의해 가능해 질 수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ors can be provided with a high visibility of the roa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field of view of the vehicle driver even when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This can be made possible by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body as a whole and the reflector which is built in the body but whose light reflection angle is upwardly adjusted.
특히, 도로 표지병에 내장된 반사체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된 광(예: 헤드라이트의 광)을 도로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예: 15°)로 위를 향하여 반사한다. 그 결과 차량에 탑승 중인 운전자의 시야에 높은 시인성으로 반사광이 식별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eflector embedded in the road sign bottle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eg, headlight) upwards at a predetermined angle (eg 15 °) relative to the road surface. As a result, the reflected light can be identified with high visibility in the field of view of the driver in the vehicle.
더 나아가, 본 발명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은 도로 지면으로 노출된 구간의 형상이 전후 양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면을 통해 물고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행 중인 차량의 바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률을 줄여 줄 수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ors of the buried road marker bottle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section exposed to the road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to the front and rear both sides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ip problem of the wheel of the vehicle in operation to slip on the road surface can reduce the occurrence rate of safety accidents.
이에 더하여, 도로 지면으로 노출된 구간에서 차량의 바퀴가 직접 접촉하는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반사광이 조사되는 경로 상의 표면 훼손 발생을 억제해 줄 수 있다. 그 결과 반사광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도로 정보 전달 기능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해 낼 수 있다.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area where the wheels of the vehicle directly contact in the section exposed to the road surfa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urface damage on the path to which the reflected light is irradiated. As a result, the visibility of the reflected light is improved, and the road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can be more accurate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간략히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도로 지면을 따라 시공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간략히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of a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road groun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100)은, 도로 지면에 매립되는 투명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내장되며 전방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시켜 반사광(L′)을 조사하는 반사체(130)를 포함한다.
The buried
몸체(110)는 도로 지면에 매립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의 외장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특히, 매립형 도로 표지병(100)의 경우, 도로 지면을 따라 운행 중인 차량으로부터 인가된 하중 및 충격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조적인 강성 및 재질적인 경도가 확보되는 것이 중요하다. The
특히, 이러한 몸체(110)는 반사체(130)로부터 조사되는 반사광(L′)을 전방의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기 위하여, 반사광(L′)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일부 취약 구간에 대한 구조적인 강성을 더욱 강인하게 해주기 위하여 금속 합금 소재를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가볍고 저렴하며 구조적인 강도 확보에 용이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이어서, 반사체(130)를 설명하기에 앞서 몸체(110)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몸체(110)의 상부, 즉 상부면의 형상은 전후 길이 방향의 중앙(C.L)에서부터 전, 후방 각각의 양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몸체의 상부면(110a)에서의 물고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우천 시의 경우 도로 지면으로 내린 빗물이 몸체의 상부면(110a)에 고이는 것을 방지한다. The shape of the upper portion,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만일, 몸체의 상부면(110a)에 물이 고이게 되면, 도로 지면을 타고 주행 중인 차량의 바퀴가 물이 고인 도로 표지병에 접촉될 때 미끄러지는 현상(즉, 노면 슬립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노면 슬립 현상은 차량 충돌 사고의 심각한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고임 억제 구조를 채택한 것이다. 즉, 몸체(110)의 중앙(C.L)으로부터 양쪽으로 하향 경사진 몸체의 상부면(110a)에서는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배제된다.
If water accumulates on the
그리고 몸체의 상부면(110a)에는 도로 지면을 따라 차량이 운행하는 방향(즉, 몸체의 전후 방향)과 나란하게 상향 돌출된 복수의 선형 돌기(112)가 마련될 수 있다. The
특히, 이러한 복수의 선형 돌기(112) 각각은, 서로 인접한 것끼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선형 돌기(112)는 운행 중인 차량의 바퀴가 몸체의 상부면(110a)의 전면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해주는 구성으로서 바퀴에 의한 접촉 마찰 면적을 줄여줌으로써, 몸체의 상부면(110a)이 훼손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킨다. 그 결과 몸체(110)에 내장된 반사체(130)로부터 조사되는 반사광(L′)이 훼손된 표면에 의해 간섭되지 않으며 높은 시인성을 유지한 채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까지 강하게 식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선형 돌기(112) 각각의 간격 사이로 반사체(130)의 반사광(L′) 조사 경로가 형성되도록 해줄 수 있다. 그 결과 반사광(L′)이 선형 돌기(112) 각각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어 시인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each of the plurality of
그리고 몸체의 하부면(110b)에는 탈착 결합되는 하부 커버(120)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커버(120)는 몸체(110)에 반사체(130)를 신규로 장착할 경우 또는 반사체(130)의 수명이 다할 경우 신품 교체를 위하여 몸체의 하부면(110b)을 통해 분리 탈착되는 커버 부재이다. 따라서 이러한 하부 커버(120)의 형상 및 구조는 도시된 특정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조금씩 다르게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In addition, a
이러한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커버(120)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장홈(도 2의 111)이 마련되며, 이 내부 장홈을 통해 반사체(130)가 수용된다.
An interior long groove (111 of FIG. 2)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이어서 도 1은 물론, 도 2를 병행 참조하여 반사체(130)와 상기 반사체(130)가 수용되는 몸체의 내부 장홈(111)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Subsequently, the structure of the internal
반사체(130)는 몸체(110)의 내부 장홈(111)을 통해 수용되어 전술한 하부 커버(120)에 밀폐 고정되는 광 반사 부재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복수의 반사 유닛(133)을 포함한다. The
특히, 이러한 반사체(130)는 전방으로부터 운행 중인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높은 시인성을 가지면서 반사광(L′)을 인식시켜 주기 위하여 도로 지면(G)을 수평 기준으로 상향으로 설정된 각도(a°)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각도(a°)는 15° 정도인 것이 좋으며, 이러한 각도는 본 발명을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각도(a°)는 조금씩 다르게 실시되어도 무방하다.In particular, the
특히, 도시된 반사 유닛(133)은 도 1을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후방의 소켓(137)과 상기 소켓(137)을 통해 취부 고정되는 반사구(134)를 포함하는 구성 형태를 갖는다. 즉, 전방으로부터 조사된 차량의 광(예: 헤드라이트 광)이 반사구의 전면(135)을 통과하여 수렴된 후, 반사구의 후면(136)을 통해 반사되어 다시 전방으로 반사광(L′)을 조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반사구의 후면(136) 즉, 소켓(137)의 취부 고정 면상에는 광 반사 물질이 다양한 방식(예: 반사 도료, 반사 필름 등)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간략히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반사 유닛(133)으로 구성된 반사체(130)가 몸체(110)의 내부 장홈(111)을 통해 수용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반사 유닛(133)이 몸체(110)에 개별적으로 수납되기 위하여, 몸체(110)의 내부 장홈(111)에는 복수 개의 수용홈(115)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수용홈(115)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100)에 내장되는 반사 유닛(133)의 개수와 대응된다.As shown, a plurality of receiving
수용홈(11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내부 장홈(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용홈(115)의 내부에 반사 유닛(133)이 하나씩 수납된다. 그리고 반사 유닛(133)이 삽입되는 각 수용홈(115) 간의 경계 구간에는 상기 내부 장홈(111)을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보강 리브(116)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 리브(116)는 내부 장홈(111)에 의해 몸체(110) 내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위를 보강하는 부위로서,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조금씩 다른 형상 및 크기로 변형되어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2, 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수용홈(115)의 내부 벽면에는 광 반사 물질(m)이 처리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하부 커버(120)의 상부면(120a)에도 역시 광 반사 물질(m)이 처리될 수 있다. 이는 수용홈(115) 및 하부 커버(120)에 의해 밀폐된 공간상에 배치되는 반사 유닛(133)의 광 반사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반사 유닛(133)을 통해 수렴되고 조사된 반사광 중에서 수용홈(115) 또는 하부 커버의 상부면(120a) 쪽으로 난반사된 광을 모아서 전방으로 조사해 줄 수 있다. 즉, 이로 인하여, 광 반사 강도가 향상되며, 전방의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더욱 강렬하게 광을 노출시켜 줄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light reflecting material m may be trea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한편,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100)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도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구체적인 고정 수단으로 접시 볼트(140)를 이용한다. 즉, 몸체의 가장 자리 구간에 하나 이상의 볼트 체결 공(141)이 마련됨에 따라, 준비된 접시 볼트(140)를 상기 볼트 체결 공(141)을 통과시켜 도로 지면 내측까지 타설한다. 이에 따라 매립형 도로 표지병(100)의 고정 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uri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도로 지면을 따라 시공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도로 지면(G)을 소정의 깊이로 파낸 다음, 복수의 반사 유닛(133)이 내장된 몸체(110)를 매립한다. 이때, 몸체(110)의 형상은 하부면(110a)에 비해 상부면(110a)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설정된 각도(b°)만큼 상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는 몸체(110)의 매립 시 시공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매립된 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 토 또는 실리콘 등을 타설하여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준비된 접시 볼트(140)를 상기 몸체(110)와 지면 사이에 수직으로 체결해 줌으로써 매립형 도로 표지병의 고정 상태를 더 더욱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ried road marker bottle constructed along a road surf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first, the road surface G is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n the
한편, 몸체의 상부면(110a)은 몸체의 전후 길이 방향 중앙(C.L)으로부터 양단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지니므로, 물고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몸체의 전후 길이 방향 중앙(C.L)에서의 높이(h1)에 비해 양단 쪽의 높이(h2)가 상대적으로 낮은 관계로, 몸체의 상부면(110a)에서의 물고임 현상이 배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110a) of the body has a shape inclined toward both ends from the front and rear longitudinal center (CL) of the body, it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That is, since the height h2 at both ends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height h1 at the front-rear longitudinal center CL of the body, the water trapping phenomenon at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을 간략히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였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100)에 비해 그 평면 형상만이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변형된 것일 뿐, 이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후술될 부호의 설명을 참조하면 해당 구성들에 관하여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bur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매립형 도로 표지병에 의하면, 도로 표지병을 도로 지면에 매립 시공할 수 있어 운행 중인 차량으로부터의 충돌 피해를 저감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운행 중인 차량의 하중 및 충격을 구조적으로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여 도로 표지명의 내구 수명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그 결과, 도로 표지병의 유지 보수비는 물론 신품 교체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uried road marker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marker bottle can be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thereby reducing collision damage from the vehicle in ope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life of the road sign name by securing the rigidity to structurally withstand the load and impact of the vehicle in oper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road sign bottle as well as the cost of new replacement.
나아가, 도로 지면 내에 매립된 상태에서도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전달하고자 하는 도로 정보를 높은 시인성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몸체의 재질과, 몸체 내부에 내장되되 광 반사 각도가 상향 조절된 반사체에 의해 가능해 질 수 있다. 특히, 도로 표지병에 내장된 반사체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된 광(예: 헤드라이트의 광)을 도로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예: 15°)로 위를 향하여 반사한다. 그 결과 차량에 탑승 중인 운전자의 시야에 높은 시인성으로 반사광이 식별될 수 있다.Furthermore, even when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roa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field of view of the vehicle driver with high visibility. This can be made possible by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body as a whole and the reflector which is built in the body but whose light reflection angle is upwardly adjusted. In particular, the reflector embedded in the road sign bottle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eg, headlight) upwards at a predetermined angle (eg 15 °) relative to the road surface. As a result, the reflected light can be identified with high visibility in the field of view of the driver in the vehicle.
더 나아가, 도로 지면으로 노출된 구간의 형상이 전후 양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면을 통해 물고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행 중인 차량의 바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률을 줄여 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로 지면으로 노출된 구간에서 차량의 바퀴가 직접 접촉하는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반사광이 조사되는 경로 상의 표면 훼손 발생을 억제해 줄 수 있다. 그 결과 반사광의 시인성이 보다 높게 확보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도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해 줄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shape of the section exposed to the road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both front and rear sid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trapp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ip problem of the wheel of the vehicle in operation to slip on the road surface can reduce the occurrence rate of safety accidents.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area where the wheels of the vehicle directly contact in the section exposed to the road surfa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urface damage on the path to which the reflected light is irradiated. As a result, the visibility of the reflected light is secured higher, and the road information can be mor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drive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도로 표지병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buried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claims that follow,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it is to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G: 도로 지면
100, 200: 매립형 도로 표지병
110, 200: 몸체
110a, 210a: 몸체의 상부면 110b, 210b: 몸체의 하부면
111, 211: 내부 장홈 115, 215: 수용홈
116, 216: 보강 리브
120, 220: 하부 커버
120a, 220a: 하부 커버의 상부면
130, 230: 반사체
133, 233: 반사 유닛 134, 234: 반사구
135, 235: 반사구의 전면 136, 236: 반사구의 후면G: road floor
100, 200: landfill
110, 200: body
110a, 210a: upper surface of the
111, 211: internal
116, 216: reinforcement rib
120, 220: lower cover
120a, 220a: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130, 230: reflector
133, 233:
135, 235: front of the
Claims (11)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전방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몸체의 상부면을 통해 경사지게 반사광을 조사하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매립형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130)는, 후방의 소켓(137)과 상기 소켓(137)을 통해 취부 고정되는 전방의 반사구(134)로 이루어지는 반사 유닛(133)이고,
상기 몸체(100)는,
상부면(110a)을 몸체의 전후 길이 방향 중앙(C.L)으로부터 양단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하되, 돌출된 선형 돌기(112)를 다수로 형성되도록 하며,
내부에는 몸체의 전후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내부 장홈(111)을 마련하여 상기 내부 장홈(11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된 다수의 보강 리브(116)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수용홈(115)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수용홈(115)들 내에는 상기 반사 유닛(133)들이 각각 삽입되되, 다수로 형성된 상기 선형 돌기(112)들 각각의 간격 사이에 각각의 반사유닛(133)들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형 돌기(112)들 각각의 간격 사이에 상기 각각의 반사유닛(133)들의 반사광(L) 조사 경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로 표지병.A body buried in the ground of the road and provided with a linear protrusion protruding i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along the ground of the road; And
In the embedded road sign bottle comprising: a reflector embedded in the body, reflec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ront to irradiate the reflected light obliquely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reflector 130 is a reflection unit 133 including a rear socket 137 and a front reflector 134 fixed through the socket 137.
The body 100,
The upper surface 110a is formed in a shape inclined downward toward both ends from the front-rear longitudinal center CL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linear protrusions 112 are formed,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grooves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long groove 111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6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long groove 111 ( 115) to form,
The reflective units 133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15, respectively, so that the respective reflective units 133 are positioned between the intervals of the linear protrusions 112 formed in plural. A buried road sign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ed light (L) irradiation path of each of the reflective units 133 is formed between the intervals of each of the linear projections (1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0140A KR101340960B1 (en) | 2012-03-23 | 2012-03-23 | Reclamation type road discern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0140A KR101340960B1 (en) | 2012-03-23 | 2012-03-23 | Reclamation type road discern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7939A KR20130107939A (en) | 2013-10-02 |
KR101340960B1 true KR101340960B1 (en) | 2013-12-13 |
Family
ID=4963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0140A Active KR101340960B1 (en) | 2012-03-23 | 2012-03-23 | Reclamation type road discern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096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3406U (en) * | 1994-01-17 | 1995-08-21 | 이호범 | Road sign |
KR200217028Y1 (en) * | 2000-10-07 | 2001-03-15 | 이기선 | lane indication cake |
KR200354778Y1 (en) * | 2004-03-24 | 2004-06-30 | 박도식 | Reflect bulb |
KR20080079366A (en) * | 2007-02-27 | 2008-09-01 | 이국희 | Road safety signs for lane dividers |
-
2012
- 2012-03-23 KR KR1020120030140A patent/KR10134096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3406U (en) * | 1994-01-17 | 1995-08-21 | 이호범 | Road sign |
KR200217028Y1 (en) * | 2000-10-07 | 2001-03-15 | 이기선 | lane indication cake |
KR200354778Y1 (en) * | 2004-03-24 | 2004-06-30 | 박도식 | Reflect bulb |
KR20080079366A (en) * | 2007-02-27 | 2008-09-01 | 이국희 | Road safety signs for lane divid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7939A (en) | 2013-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77513A (en) |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using different materials | |
KR101066918B1 (en) | Guard rails for guard rails | |
KR200420476Y1 (en) | Delegator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 |
US20090041541A1 (en) | Recessed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 |
KR101340960B1 (en) | Reclamation type road discerning device | |
KR20160090052A (en) | tires-killer type barricade | |
US6439803B1 (en) |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 |
KR20110134799A (en) | Retaining wall block | |
KR20150087485A (en) | Roadstud | |
KR101208583B1 (en) | Guard rail with shock absorbing reflective plate | |
KR20220163557A (en) | Embedded Road Marker Case | |
KR100660127B1 (en) | Lane discrimination improvement method of road and structure of road | |
WO2009116703A1 (en) | A road stud | |
KR200432648Y1 (en) | Eye-guided rod for road | |
KR101016446B1 (en) | Road Separators | |
JP3768757B2 (en) | Self-luminous road fence | |
KR200245944Y1 (en) | Prefabricated overspeed prevent prominence | |
KR100593202B1 (en) | Shock-absorbing guard of sharp curve U-turn section boundary stone | |
KR101204131B1 (en) | Mist road pavement stud | |
KR200430974Y1 (en) | Road safety sign | |
JP7458954B2 (en) | Car stopper | |
KR101127080B1 (en) | Traffic lane identifier and road with the same | |
KR101000414B1 (en) | Road speed bumps | |
CN101768930A (en) | Road stud | |
KR20060035554A (en) | Road Separat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