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0959B1 - 필름 재합착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재합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959B1
KR101340959B1 KR1020130099128A KR20130099128A KR101340959B1 KR 101340959 B1 KR101340959 B1 KR 101340959B1 KR 1020130099128 A KR1020130099128 A KR 1020130099128A KR 20130099128 A KR20130099128 A KR 20130099128A KR 101340959 B1 KR101340959 B1 KR 10134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unit
lamination
laminated film
lamin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후현
이수광
김창수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생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생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생테크
Priority to KR102013009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9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65H16/103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1/00Apparatus for splic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필름 재합착 장치가 개시된다. 필름 재합착 장치는,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합착된 합지 필름이 롤 형상으로 거치되고 구동력을 제공받아 합지 필름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언와인더 유닛과, 언와인더 유닛으로 공급되는 합지 필름에 이송 장력을 부여하는 필 유닛과, 필 유닛을 통과한 합지 필름을 공급받고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비정상 합착 상태로 확인되면 제1 필름은 필 유닛을 재차 경유하여 장력이 변동되도록 하고 제2 필름은 이송 경로를 따라 정상 이송시키는 피더부와, 필 유닛을 재차 경유하여 장력이 변동된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함께 유입되어 합지 필름으로 재차 합착하는 라미네이션 유닛과, 라미네이션 유닛을 통과한 상기 합지 필름을 수용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 재합착 장치{FILM RECOHERE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필름이 합착된 합지 필름의 비정상 합착 상태를 바르게 교정하여 재합착되도록 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지 필름은 복수의 필름이 합착되어 하나의 필름으로 합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합지 필름은 제1 필름과,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제2 필름을 포함한다. 제1 필름과 제2 필름은 소정의 가압 롤러에 의해 양측면이 가압되어 압착됨으로써 합지 필름을 형성된다.
그러나, 합지 필름은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하나의 합지 필름으로 합착하는 과정에서 접착되는 일부분이 주름지게 돌출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와 같이, 합지 필름의 일부분이 주름진 비정상 합착 부분이 발생되면, 합지 필름을 이용한 작업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되고 소비자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합지 필름의 비정상 합착 상태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필름 재합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합착된 합지 필름이 롤 형상으로 거치되고 구동력을 제공받아 합지 필름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언와인더 유닛과, 언와인더 유닛으로 공급되는 합지 필름에 이송 장력을 부여하는 필 유닛과, 필 유닛을 통과한 합지 필름을 공급받고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비정상 합착 상태로 확인되면 제1 필름은 필 유닛을 재차 경유하여 장력이 변동되도록 하고 제2 필름은 이송 경로를 따라 정상 이송시키는 피더부와, 필 유닛을 재차 경유하여 장력이 변동된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함께 유입되어 합지 필름으로 재차 합착하는 라미네이션 유닛을 포함한다.
언와인더 유닛은, 베이스 바디와, 베이스 바디에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합지 필름을 거치하는 언와인더와, 제1 방향과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된 장력을 부여하면서 합지 필름을 필 유닛 방향으로 이송하는 스플라이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언와인더는, 베이스 바디에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에 설치되는 언와인더 모터와, 언와인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합지 필름이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회전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라이싱 유닛은, 베이스 바디에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플라이싱 바디와, 스플라이싱 바디의 상측에서 언와인더 유닛으로부터 합지 필름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합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랭핑부와, 스플라이싱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합지 필름에 장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부는, 스플라이싱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합지 필름이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 플레이트와, 안착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합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피더부와 라미네이션 유닛은 라미네이션 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며, 피더부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이송하는 피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션 유닛은, 라미네이션 프레임에 설치되는 라미네이션 모터와, 라미네이션 모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유입되는 라미네이션 롤러와, 라미네이션 롤러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라미네이션 롤러와의 사이에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함께 유입되어 합지 필름으로 합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롤러와, 슬라이딩 롤러에 슬라이딩 구동력을 제공하는 라미네이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롤러는 라미네이션 프레임에 힌지 플레이트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 유닛은 슬라이딩 롤러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미세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미세 조정부는, 힌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로드가 신장(伸長)되도록 설치되는 미세 조정 실린더와, 미세 조정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되며 힌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접하며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테이퍼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션 유닛에는 필 유닛을 다시 경유하여 라미네이션 롤러로 유입되는 제1 필름을 라미네이션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제1 필름이 제2 필름과 비정상 합착 상태의 설정된 값이 최대 일 경우 로드가 최대 전진할 수 있다.
필 유닛은, 이송 프레임과, 이송 프레임에 설치되어 합지 필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이송 아이들 롤러와, 합지 필름에 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 모터와, 피더부를 통해 재공급된 제1 필름의 이송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인장 아이들 롤러와, 이송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 필름에 장력을 부여하는 이송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션 유닛을 통과한 상기 합지 필름을 수용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는, 라미네이션 유닛을 통해 재합착된 합지 필름이 유입되는 거치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되어 합지 필름을 거치하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합지 필름에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합지 필름을 제1 필름과 제2 필름으로 재분리하고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재합착함으로써, 합지 필름의 불량 상태를 바르게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합지 필름을 이용한 작업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고 소비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재합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름 재합착 장치의 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라미네이션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라미네이션 유닛에서 라미네이션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라미네이션 유닛의 라미네이션 실린더의 로드 전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미네이션 실린더의 로드 후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미세 조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미세 조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재합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필름 재합착 장치의 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재합착 장치(600)는, 합지 필름(11)을 거치하고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언와인더 유닛(100)과, 합지 필름(11)에 장력을 부여하는 필 유닛(200)과, 합지 필름(11)을 제1 필름(11a) 또는 제2 필름(11b)으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피더부(300)와, 제1 필름(11a) 및 제2 필름(11b)을 재합착하는 라미네이션 유닛(400) 및 재합착된 합지 필름(11)을 거치하는 거치부(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합지 필름(11)은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이 접착된 상태의 필름을 말한다.
언와인더 유닛(100)은 합지 필름(11)을 거치하여 보관하고, 일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언와인더 유닛(100)은, 베이스 바디(10)와, 베이스 바디(10)에 제1 방향(A)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합지 필름(11)을 거치하는 언와인더(20)와, 제1 방향(A)과 엇갈리는 제2 방향(B)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된 장력을 부여하면서 합지 필름(11)을 필 유닛(200) 방향으로 이송하는 스플라이싱 유닛(30)을 포함한다.
베이스 바디(10)는 작업 공간의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 방향(A)을 따라 LM 레일(12)이 설치되고 제2 방향(B)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더(14)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향(A)은 합지 필름(11)이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이고, 제2 방향(B)은 합지 필름(11)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베이스 바디(10)의 LM 레일(12)에는 언와인더(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언와인더(20)는, 베이스 바디(10)에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21)과, 거치 프레임(21)에 설치되는 언와인더 모터(23)와, 언와인더 모터(2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합지 필름(11)이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회전 거치대(25)를 포함한다.
거치 프레임(21)은, LM 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방향(A)을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된다. 거치 프레임(21)의 슬라이딩 구동력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일정 거리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거치 프레임(2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합지 필름(11)의 공급 과정에서 공급 경로의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조치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언와인더 모터(23)는 거치 프레임(21)에 설치되어, 합지 필름(11)의 공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언와인더 모터(23)의 구동축에 회전 거치대(25)가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풀리 및 밸트를 이용하여 언와인더 모터(23)의 구동력을 회전 거치대(25)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언와인더 모터(23)의 구동축과 회전 거치대(25) 사이에 풀리 및 밸트를 설치하고 감속기를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회전 거치대(25)는 언와인더 모터(23)의 구동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롤 형상으로 거치된 합지 필름(11)을 필 유닛(200) 방향으로 공급한다. 한편, 합지 필름(11)은 스플라이싱 유닛(30)을 거쳐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필 유닛(200)에 공급될 수 있다.
스플라이싱 유닛(30)은, 베이스 바디(10)에 제2 방향(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플라이싱 바디(31)와, 스플라이싱 바디(31)의 상측에서 언와인더 유닛(100)으로부터 합지 필름(11)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합지 필름(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33)와, 스플라이싱 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합지 필름(11)에 장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35)를 포함한다.
스플라이싱 바디(31)는, 베이스 바디(10)에서 제1 방향(A)에 수직하는 제2 방향(B)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스플라이싱 바디(31)는 언와인더(20)에 선택적으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바디(10)에는 제2 방향(B)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더(14)가 설치된다. 따라서 스플라이싱 바디(31)는 슬라이딩 가이더(14)를 따라 언와인더(20)에 근접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플라이싱 바디(31)가 제2 방향(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언와인더(20)에서 공급되는 합지 필름(11)의 장력을 조절하면서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스플라이싱 바디(31)의 상측에는 클램핑부(33)가 설치된다.
클램핑부(33)는 스플라이싱 바디(31)의 상측에 설치되어 합지 필름(11)이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 플레이트(33a)와, 안착 플레이트(33a)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합지 필름(11)의 가장자리 부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실린더(33b)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33a)는 스플라이싱 바디(31)의 상측에서 일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언와인더(20)에 롤 형상으로 거치된 합지 필름(11)의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른 롤 형상의 합지 필름(11)을 언와인더(20)에 재차 거치하여 공급하는 경우, 새로 공급된 합지 필름(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이전 합지 필름(11)의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하여 계속적인 합지 필름(11)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작업자는 안착 플레이트(33a)의 상측에서 사용 상태의 합지 필름(11)의 단부와 신규로 공급된 합지 필름(11)의 단부를 정렬한 상태에서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계속적인 합지 필름(11)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클램핑 실린더(33b)는, 합지 필름(11)의 가장자리를 안착 플레이트(33a)에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착 플레이트(33a)의 가장 자리부분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된다. 따라서, 합지 필름(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합지 필름(11)들을 연결하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필 유닛(200)은 언와인더 유닛(100)을 통해 공급되는 합지 필름(11)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필 유닛(200)은 합지 필름(11)을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제1 필름(11a)을 재공급 받아 장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필 유닛(200)은, 이송 프레임(110)과, 이송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합지 필름(11)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이송 아이들 롤러(120)와, 합지 필름(11)에 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 모터(130)와, 피더부(300)를 통해 재공급된 제1 필름(11a)의 이송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인장 아이들 롤러(140)와, 이송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제1 필름(11a)에 장력을 부여하는 이송 실린더(150)를 포함한다.
이송 프레임(110)은, 언와인더 유닛(100)의 근접 위치에 설치되어 합지 필름(11)의 이송간에 장력을 부여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송 프레임(11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이들 롤러(120)가 설치되어 합지 필름(11)의 이송 상태를 가이드 하면서 지지한다. 또한, 이송 프레임(110)에는 이송 모터(130)가 설치됨으로써 합지 필름(11)의 이송 구동력을 부여한다. 한편, 이송 프레임(110)에는 제1 필름(11a)을 재공급받아 장력을 재조정하는 인장 아이들 롤러(140) 및 이송 실린더(150)를 포함한다.
인장 아이들 롤러(140)는 이송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의 일측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인장 아이들 롤러(140)의 설치된 개수는 제1 필름(11a)을 가이드하는 경로의 변경에 따라 그 설치 개수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장 아이들 롤러(140)로 가이드된 제1 필름(11a)은 이송 실린더(150)를 통해 장력이 재조정된다.
이송 실린더(150)는 제1 필름(11a)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로드의 전진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필름(11a)은 이송 실린더(150)의 로드 작동에 따라 장력의 재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송 실린더(150)를 이용하여 제1 필름(11a)의 장력을 재조정하는 것은, 합지 필름(11)에서 제1 필름(11a)이 제2 필름(11b)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접착된 상태가 불량이라고 확인되며 제1 필름(11a)을 늘려서 주름진 부분을 정상으로 복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 실린더(150)는 이송 프레임(110)에 하나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제1 필름(11a)의 장력의 적절한 조절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 유닛(200)을 통해 공급된 합지 필름(11)은 피더부(300)로 공급되어, 합지 필름(11)의 주름진 상태에 따라 제1 필름(11a) 및 제2 필름(11b)으로 선택적으로 분리된다.
피더부(300)는 라미네이션 프레임(311)에 일체로 설치된 복수개의 피더 롤러(210) 및 제1 필름(11a)에 이송 장력을 부여하도록 어느 하나의 피더 롤러(210)에 슬라이딩 가압력을 제공하는 피더 실린더(211)를 포함한다. 물론 피더부(300)는 라미네이션 프레임(311)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라미네이션 프레임(31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소정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피더 롤러(210)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합지 필름(11)으로부터 분리된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에 이송 구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합지 필름(11)이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으로 분리되는 것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합지 필름(11)을 확인하여 주름부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제1 필름(11a)이 제2 필름(11b)으로부터 돌출된 것이 확인되면 합지 필름(11)을 커터를 이용하여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으로 분리한다. 물론, 합지 필름(11)의 표면 상태의 확인을 소정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커터(미도시)를 자동 제어하여 합지 필름(11)을 제1 필름(11a) 및 제2 필름(11b)으로 자동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더부(300)의 피더 실린더(211)에 의해 일정 장력을 부여받으면서 제1 필름(11a)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필 유닛(200)에 공급되어 장력이 재조정되고, 제2 필름(11b)은 이송 경로를 따라 정상 이송된다.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은 라미네이션 유닛(400)에 공급되어 장력이 재조정된 상태에서 합착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라미네이션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라미네이션 유닛에서 라미네이션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션 유닛(400)은, 필 유닛(200)을 재차 경유하여 장력이 변동된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이 함께 유입되어 합지 필름으로 재차 합착한다. 이와 같이, 라미네이션 유닛(400)을 이용하여 제1 필름(11a) 및 제2 필름(11b)을 함께 부착하여 합지 필름(11)으로 형성하는 것은,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의 부착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장력을 재조정하고 재합착하여 주름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라미네이션 유닛(400)은, 라미네이션 모터(310)와 라미네이션 롤러(320)와, 슬라이딩 롤러(330) 및 라미네이션 실린더(340)를 포함한다.
라미네이션 모터(310)는, 라미네이션 롤러(32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라미네이션 프레임(311)에 설치된다. 라미네이션 롤러(320)는 라미네이션 모터(310)의 회전축에 직결되도록 설치되어 합착 압력을 제공한다.
도 5는 라미네이션 유닛의 라미네이션 실린더의 로드 전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라미네이션 실린더의 로드 후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슬라이딩 롤러(330)는 라미네이션 롤러(32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라미네이션 롤러(320)와의 사이에서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을 함께 가압하여 합지 필름(11)으로 합착한다. 슬라이딩 롤러(330)의 슬라이딩 작용은 라미네이션 실린더(340)의 로드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롤러(330)의 일측에는 힌지 플레이트(350)가 설치된다.
힌지 플레이트(350)는 일단은 라미네이션 프레임(3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라미네이션 실린더(340)의 로드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힌지 플레이트(350)는 라미네이션 실린더(340)의 구동력을 슬라이딩 롤러(330)에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라미네이션 유닛(400)에는 필 유닛(200)을 다시 경유하여 라미네이션 롤러(320)로 유입되는 제1 필름(11a)을 라미네이션 프레임(311)의 높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360)가 설치된다.
가압 부재(3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롤러(330)의 근접 위치에서 제1 필름(11a)을 라미네이션 프레임(311)의 높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360)는 볼 스크류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 부재(360)가 제1 필름(11a)을 가압하는 것은, 제1 필름(11a)의 장력을 조절하면서 슬라이딩 롤러(330)에 투입되는 입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합지 필름(11)에서 제1 필름(11a)과 제2 필름(11b)의 합착 상태의 불량이 설정된 한계치를 최대로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가압 부재(360)의 로드가 최대 전진되도록 하여 제1 필름(11a)의 장력을 재조정하여 굴곡진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필름(11a) 및 제2 필름(11b)은 합착 상태의 불량 정도에 따라 필 유닛(200) 및 가압 부재(360)의 작동에 따라 장력이 재조정된 상태에서 재차 합착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정상의 합지 필름(11)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라미네이션 유닛(400)에는 슬라이딩 롤러(33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미세 조정부(370)가 설치된다.
도 7은 미세 조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미세 조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조정부(370)는, 힌지 플레이트(350)의 길이 방향으로 로드가 신장(伸長)되도록 설치되는 미세 조정 실린더(371)와, 미세 조정 실린더(371)의 로드(373)에 설치되며 힌지 플레이트(350)를 가압하는 테이퍼 플레이트(375)를 포함한다.
미세 조정 실린더(371)는, 몸체 부분은 라미네이션 프레임(311)에 설치되고 로드는 힌지 플레이트(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미세 조정 실린더(371)의 로드에는 힌지 플레이트(350)의 측면을 가압하는 테이퍼 플레이트(375)가 설치된다.
테이퍼 플레이트(375)는 힌지 플레이트(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각을 이루는 테이퍼면(375a)이 형성된다. 따라서 미세 조정 실린더(371)의 로드(373) 작동이 이루어지면, 테이퍼면(375a)의 경사각에 따라 슬라이딩 롤러(330)는 라미네이션 롤러(320)에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미세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힌지 플레이트(350)에는 테이퍼 플레이트(375)와 접촉하는 부분에 회전 롤러(35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퍼 플레이트(375)와 힌지 플레이트(350)의 접촉 부분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켜, 힌지 플레이트(350)의 미세 위치 조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라미네이션 유닛(400)을 통과하여 주름 등이 불량 상태가 교정된 상태로 재합착된 합지 필름(11)은 거치부(500)에 거치된다.
거치부(500)는 거치 프레임(410)과 아이들 롤러(4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거치부(500)는 합지 필름(11)이 인접한 타 설비로 이송되기전 대기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베이스 바디 11...합지 필름
11a..제1 필름 11b..제2 필름
12...LM 레일 14...슬라이딩 가이더
20...언와인더 21...거치 프레임
23...언와인더 모터 25...회전 거치대
30...스플라이싱 유닛 31...스플라이싱 바디
33...클램핑부 33a..안착 플레이트
33b,.클램핑 실린더 35...아이들 롤러
100..언와인더 유닛 110..이송 프레임
120..이송 아이들 롤러 130..이송 모터
140..인장 아이들 롤러 150..이송 실린더
200..필 유닛 210..피더 롤러
300..피더부 310..라미네이션 모터
311..라미네이션 프레임 320..라미네이션 롤러
330..슬라이딩 롤러 340..라미네이션 실린더
350..힌지 플레이트 360..가압 부재
370..미세 조정부 371..미세 조정 실린더
373..로드 375..테이퍼 플레이트
400..라미네이션 유닛 500..거치부

Claims (13)

  1.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합착된 합지 필름이 롤 형상으로 거치되고,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합지 필름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언와인더 유닛;
    상기 언와인더 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합지 필름에 이송 장력을 부여하는 필 유닛;
    상기 필 유닛을 통과한 상기 합지 필름을 공급받고,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이 비정상 합착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필 유닛을 재차 경유하여 장력이 변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필름은 이송 경로를 따라 정상 이송시키는 피더부; 및
    상기 필 유닛을 재차 경유하여 장력이 변동된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이 함께 유입되어 합지 필름으로 재차 합착하는 라미네이션 유닛;
    를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와인더 유닛은,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합지 필름을 거치하는 언와인더; 및
    상기 제1 방향과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된 장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합지 필름을 상기 필 유닛 방향으로 이송하는 스플라이싱 유닛;
    을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언와인더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에 설치되는 언와인더 모터; 및
    상기 언와인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합지 필름이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회전 거치대;
    를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싱 유닛은,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플라이싱 바디;
    상기 스플라이싱 바디의 상측에서 상기 언와인더 유닛으로부터 상기 합지 필름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합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랭핑부; 및
    상기 스플라이싱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합지 필름에 장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
    를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스플라이싱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합지 필름이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합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실린더;
    를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부와 상기 라미네이션 유닛은 라미네이션 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피더부는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이송하는 피더 롤러 및 상기 제1 필름에 장력을 부여하는 피더 실린더를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유닛은,
    상기 라미네이션 프레임에 설치되는 라미네이션 모터;
    상기 라미네이션 모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이 유입되는 라미네이션 롤러;
    상기 라미네이션 롤러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라미네이션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이 함께 유입되어 합지 필름으로 합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롤러; 및
    상기 슬라이딩 롤러에 슬라이딩 구동력을 제공하는 라미네이션 실린더;
    를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롤러는 상기 라미네이션 프레임에 힌지 플레이트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름 재합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롤러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미세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 조정부는,
    상기 힌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로드가 신장(伸長)되도록 설치되는 미세 조정 실린더; 및
    상기 미세 조정 실린더의 상기 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접하며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테이퍼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유닛에는 상기 필 유닛을 다시 경유하여 상기 라미네이션 롤러로 유입되는 상기 제1 필름을 상기 라미네이션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필름이 상기 제2 필름과 비정상 합착 상태의 설정된 값이 최대 일 경우 로드가 최대 전진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 유닛은,
    이송 프레임;
    상기 이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합지 필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이송 아이들 롤러;
    상기 합지 필름에 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 모터;
    상기 피더부를 통해 재공급된 상기 제1 필름의 이송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인장 아이들 롤러; 및
    상기 이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필름에 장력을 부여하는 이송 실린더;
    를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유닛을 통과한 상기 합지 필름을 수용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라미네이션 유닛을 통해 재합착된 합지 필름이 유입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합지 필름을 거치하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
    를 포함하는 필름 재합착 장치.
KR1020130099128A 2013-08-21 2013-08-21 필름 재합착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40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28A KR101340959B1 (ko) 2013-08-21 2013-08-21 필름 재합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28A KR101340959B1 (ko) 2013-08-21 2013-08-21 필름 재합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959B1 true KR101340959B1 (ko) 2013-12-13

Family

ID=4998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1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0959B1 (ko) 2013-08-21 2013-08-21 필름 재합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9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866A (ko) * 2020-05-09 2021-11-17 (주)엔피에스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KR102788056B1 (ko) * 2024-08-16 2025-04-01 (주)지우텍 편광필름 라미네이트 입사각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4111B2 (ja) * 1990-06-26 1999-01-06 四国化工機株式会社 複数のロール状フィルムの連続巻戻し装置
JP3569004B2 (ja) * 1994-10-17 2004-09-22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接合装置
JP3902593B2 (ja) * 2001-12-10 2007-04-11 大成ラミ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連結装置および連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4111B2 (ja) * 1990-06-26 1999-01-06 四国化工機株式会社 複数のロール状フィルムの連続巻戻し装置
JP3569004B2 (ja) * 1994-10-17 2004-09-22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接合装置
JP3902593B2 (ja) * 2001-12-10 2007-04-11 大成ラミ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連結装置および連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866A (ko) * 2020-05-09 2021-11-17 (주)엔피에스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KR102582352B1 (ko) * 2020-05-09 2023-09-26 (주)엔피에스 다층 필름용 컬 제거 장치
KR102788056B1 (ko) * 2024-08-16 2025-04-01 (주)지우텍 편광필름 라미네이트 입사각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1315B (zh) 层叠标签体的制造装置
WO2011078253A1 (ja) 液晶表示素子の連続製造方法及び装置
TWI302517B (ko)
TWI539501B (zh) Sheet stripping device and peeling method
JP2016008104A (ja) テープ貼着装置
US7611600B2 (en) Sticking apparatus and sticking method
JP2009073048A (ja) 製本装置
KR101340959B1 (ko) 필름 재합착 장치
US5772839A (en) Film applying apparatus
KR101501069B1 (ko) 배터리 셀 양면 자동 테이핑장치
JP5046825B2 (ja) 製本装置
CN103579066A (zh) 半导体晶圆的固定方法及半导体晶圆的固定装置
JP2009208912A (ja) シート接続装置
KR101554276B1 (ko) 불량영역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장치
JP4152401B2 (ja) シート束搬送装置
JPH08238736A (ja) ラミネータ
JP5165979B2 (ja) 製本装置
CN102530620B (zh) 一种用于三层结构薄膜的接料装置
JPH0826577A (ja) フィルム張付装置
JP4744247B2 (ja) 製本装置における表紙位置決め機構
JP2009113378A (ja) タイヤ用のプライ材料の切断搬出装置
JP5788679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2002154089A (ja) 積層手段を有する切断装置
EP0544977A1 (en) Method for laminating substrate with film and laminator
JP2010083107A (ja) 製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