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0073B1 - 구상화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구상화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073B1
KR101340073B1 KR1020130119430A KR20130119430A KR101340073B1 KR 101340073 B1 KR101340073 B1 KR 101340073B1 KR 1020130119430 A KR1020130119430 A KR 1020130119430A KR 20130119430 A KR20130119430 A KR 20130119430A KR 101340073 B1 KR101340073 B1 KR 10134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opening
spheroidizing agent
tilting
h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원
한성오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 캐스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캐스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 캐스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11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0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탕이 수용된 래들의 전후좌우 이동과 승강 및 틸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용탕 이송 및 틸팅 장치에서 틸팅이 완료된 래들에 구상화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상화제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용해로에서 출탕되는 용탕이 수용되는 래들, 상기 용해로로부터 래들을 진출입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래들을 승강시켜 용기에 틸팅하는 틸팅유닛에 의해 틸팅이 완료되어 상기 용해로로 복귀하는 래들에 구상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구상화제를 상향이송하는 상향이송부; 상기 상향이송부 상단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향 이송된 구상화제가 담기게 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에 의해 낙하하는 구상화제를 상기 래들로 안내하는 하향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상화제 공급장치 {Spheroidizer supply}
본 발명은 구상화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조설비에서 용해로에서 출탕되는 용탕을 이송한 후 틸팅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용탕 이송 및 틸팅 장치에 구비되는 구상화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조공정에서는 용해로에서 선철 등을 녹인 용탕을 이용하여 각종 형상의 주조 제품을 제작하게 되는데, 용해로에서 만든 용탕은 래들에 수용되어, 조형기에 의해 공급되는 주형에 용탕을 주입하는 용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송한 후, 상기 주입로 내부로 부어 넣는 틸팅공정(tilting, 래들을 기울여 용탕을 주입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용탕이 수용되는 래들은 그 크기가 매우 클 뿐 아니라 용탕은 고온을 이루므로 동시에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주조 공장의 여건상 상기한 용해로와 용기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지 못하고, 상호 높이 차이가 있는 주조 설비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래들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승시켜 래들을 틸팅하였다.
여기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래들을 용기로 운반한 후 용기에 용탕을 붓는 과정에서 용탕이 튀거나 넘쳐흐르는 문제와 크레인에 매달린 래들이 낙하되는 안전사고로 인해 인적, 물적, 시간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는 위험성을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서, 주조 설비에서 래들의 전후좌우 이동과 더불어 래들의 승강 및 틸팅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탕 이송 및 틸팅 장치에 있어 래들이 상기 용해로에 장입하기 전, 래들에 공급되어야 하는 구상화제(용탕의 흑연조직을 구상화시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게 하는 목적으로 쓰이는 철합금)의 투입을 최적화 할 수 있는 구상화제 공급장치의 개발이 더불어 병행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KR 10-0883976 B1 KR 20-0320152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탕이 수용된 래들의 전후좌우 이동과 승강 및 틸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용탕 이송 및 틸팅 장치에서 틸팅이 완료된 래들에 구상화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상화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상화제 공급장치는, 용해로에서 출탕되는 용탕이 수용되는 래들, 상기 용해로로부터 래들을 진출입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래들을 승강시켜 용기에 틸팅하는 틸팅유닛에 의해 틸팅이 완료되어 상기 용해로로 복귀하는 래들에 구상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구상화제를 상향이송하는 상향이송부; 상기 상향이송부 상단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향 이송된 구상화제가 담기게 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에 의해 낙하하는 구상화제를 상기 래들로 안내하는 하향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이송부는 구상화제를 수용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이 고정되어 상기 바스켓을 상향 경사지게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한 쌍으로 포개어져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하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판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호퍼의 하부를 개폐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하향이송부는 상기 개폐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에 의해 낙하하는 구상화제를 하향 경사지게 안내하는 하향경사관, 상기 하향경사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하향경사관을 래들 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 실린더, 상기 하향경사관 하부의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들삽입관 및, 상기 하향경사관의 타측에 설치되어 래들삽입관을 승강시켜, 상기 래들삽입관이 래들에 삽입분리되게 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은 제3 실린더 또는 풀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용탕 이송 및 틸팅의 자동화에 따른 래들 이송 및 틸팅 시간의 단축 등으로 인하여 주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탕 이송 및 틸팅의 자동화하는 동선과 간섭되지 않고 구상화제 공급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조 생산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래들(100), 이송유닛(200) 및 틸팅유닛(3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래들(1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래들(100)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틸팅유닛(3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상화제 공급장치(4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상화제 공급장치(4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평면도로 나타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탕 이송 및 틸팅 시스템은 용해로(10)에서 출탕되는 용탕을 이송하여, 조형기에 의해 공급되는 주형으로 용탕을 주입하는 용기(20)에 용탕을 틸팅(tilting: 용탕이 수용된 래들을 기울여 용탕을 쏟아 붓는 공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용해로(10)와 용기(20)의 위치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있으며 조형기가 지면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여 용탕이 수용되는 래들(100)을 직교되는 경로를 따라 이송 후, 상기 래들(100)을 상승시켜 틸팅해야 하는 환경조건을 가지는 주조설비에 최적화된 구상화제 공급장치(400)를 제공하기 위함임을 주지하여 이해를 돕고자 한다.
상기 도 1과, 본 발명에 따른 래들(100), 이송유닛(200) 및 틸팅유닛(300)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 2와, 본 발명에 따른 래들(100)을 측면도 및 정면도로 나타낸 도 3 및 도 4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유닛(300)을 측면도로 나타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래들(100), 이송유닛(200), 틸팅유닛(300), 구상화제 공급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래들(100)은 용해로(10)에서 출탕되는 용탕이 수용되는 것으로, 자세하게 상기 래들(100)은 포크홀(110), 몸체(120), 가이드 판(130) 및 베이스프레임(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20)는 용탕이 수용되며, 틸팅 시 용탕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입구(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판(130)은 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20)의 내부 저면에 구상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홀(1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투입홀(131)은 래들(100)이 이송되어 틸팅된 후 복귀할 시, 상기 용해로(10)에 장입하기 전 래들(100)에 공급되어야 하는 구상화제(용탕의 흑연조직을 구상화시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게 하는 목적으로 쓰이는 철합금)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40)는 몸체(120)가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양측에 상기 틸팅유닛(300)의 포크리프트(330)에 구비된 포크(331)가 삽입밀착되는 포크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포크홀(110)의 내부에는 상기 포크(331)의 삽입 시 밀착을 위한 하부경사판(114)과 상부안내판(112)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경사판(114)은 포크홀(110) 내부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포크(331)의 저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크(331) 저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기 포크홀(110)의 저면과 포크(331)의 저면 간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안내판(112)은 포크홀(110) 내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포크(331) 상면의 형상에 대응하되 일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포크(331)가 삽입될 시 상기 포크홀(110)의 입구에서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포크(331)의 상면과 상기 포크홀(110) 내부의 상면이 상호 밀착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유닛(200)은 용해로(10)에 상기 래들(100)이 출입할 수 있게 직선이송하는 것으로 제1 레일(210)과 제1 대차(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레일(210)은 용해로(10)에 래들(100)이 출입하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용해로(10)의 하부 지면에서 전방으로 직진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대차(220)는 래들(100)이 적재되어 상기 제1 레일(210)을 따라 주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레일(210)을 따라 주행하는 다수의 제1 주행휠(도면부호 미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주행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서보모터(도면부호 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틸팅유닛(300)은 이송유닛(200)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래들(100)을 상승시켜 상기 이송유닛(200)의 이동경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래들(100)을 이송하여 상기 용기(20)에 틸팅하는 것으로, 제2 레일(310), 제2 대차(320) 및 포크리프트(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레일(310)은 제1 레일(210)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제1 레일(2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래들(100)을 용기(20) 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대차(320)는 제2 레일(310)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래들(100)을 용기(20) 측으로 직선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제2 레일(310)을 따라 주행하는 다수의 제2 주행휠(도면부호 미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주행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서보모터(도면부호 미도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대차(320)는 상기 래들(100)이 포크리프트(330)에 의해 승강되면서 좌우이동 됨으로 정밀제어를 위해 상기 제2 레일(310)과 상기 제2 대차(320)를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구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제2 레일(310)을 따라 랙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제2 서보모터에 피니언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대차(320)의 정밀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포크리프트(330)는 제2 대차(3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대차(220)에 의해 접근하는 래들(100)을 상승시킨 후 상기 제2 대차(320)에 의해 용기(20) 측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래들(100)을 틸팅하게 되는 것으로, 포크(331), 포크플레이트(332), 캐리지(333) 및 마스트(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크플레이트(332)는 상기 래들(100)의 포크홀(110)에 삽입밀착되는 포크(331)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포크플레이트(332)는 상기 포크(331)의 폭과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크(331)의 일측에는 스토퍼(도면부호 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포크홀(110)에 포크(331)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포크리프트(330)는 래들(100)의 무게와 상기 포크(331)가 삽입되는 포크홀(110)의 구조로 인해 상기 래들(100)을 안정적으로 승강 및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333)는 포크플레이트(332)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포크플레이트(332)의 좌우이동(수평이동) 및 회전을 가능케 하여 상기 래들(100)이 용기(20)에 틸팅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마스트(334)는 캐리지(333)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지(333)를 승하강 가능케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포크플레이트(332), 캐리지(333) 및 마스트(334)는 포크리프트(330)의 유압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되는데,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압구동부의 후방에는 웨이트(미도시)를 구비하여 래들(100)의 무게에 의해 포크리프트(33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틸팅유닛(300)의 일측에 제어유닛(도면부호 미도시)을 설치하여 용탕의 이송 및 틸팅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유닛은 이송유닛(200) 및 틸팅유닛(300)과 전기,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닛(200) 및 틸팅유닛(300)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술된 도면들과 본 발명에 따른 구상화제 공급장치(400)를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상화제 공급장치(400)는 래들(100)이 틸팅유닛(300)에 의해 용기(20)에 틸팅된 후 상기 제2 대차(320)가 제2 레일(310)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포크리프트(330)가 래들(100)을 제1 대차(220)에 안치할 시, 상기 래들(100)이 제1 대차(220)에 의해 용해로(10)로 장입하기 전 상기 래들(100)에 구상화제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구상화제 공급장치(400)는 상기 제2 레일(310) 단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유닛(200) 및 틸팅유닛(300)과의 간섭을 피하고자 구상화제를 상향이송시킨 후 낙하시켜 상기 래들(1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향이송부(410), 호퍼(420), 개폐부(430) 및, 하향이송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상향이송부(410)는 제2 레일(310)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구상화제를 상향이송하는 것으로, 바스켓(411)과 벨트 컨베이어(4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스켓(411)은 구상화제가 수용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412)는 바스켓(411)이 고정되어 상기 바스켓(411)을 상향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412)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제3 서보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411)을 상향이송한 후 바스켓(411)이 벨트 컨베이어(412)의 상단에서 자연스럽게 상기 호퍼(420)에 구상화제를 쏟아 붓게 되면 초기 위치로 하향 이송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412)의 양단에 바스켓(41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바스켓(411)이 위치감지센서에 감지되면 벨트 컨베이어(412)가 정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호퍼(420)는 상향이송부(410) 상단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향이송부(410)에 의해 이송되는 바스켓(411)에 수용된 구상화제가 낙하되어 담기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개폐부(430)는 호퍼(420)와 하향이송부(440)를 연결시키되 상기 호퍼(4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420)의 하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고정플레이트(431), 개폐판(432) 및 제1 실린더(4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31)는 한 쌍으로 포개어져 호퍼(4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호퍼(420)의 하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432)은 고정플레이트(431)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 실린더(433)는 제1 실린더(433) 로드가 상기 개폐판(432)과 연결되어 제1 실린더(433) 로드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기 호퍼(420)의 하부를 폐쇄 및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하향이송부(440)는 개폐부(4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430)에 의해 낙하하는 구상화제를 상기 래들(100)로 안내하는 것으로, 하향경사관(441), 제2 실린더(442), 래들삽입관(443) 및 승강수단(4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경사관(441)은 개폐부(430)와 연통되되 상기 개폐부(4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430)에 의해 낙하하는 구상화제를 하향경사지게 안내한다. 이러한, 상기 하향경사관(441)에는 바이브레이터(미도시)를 설치하여 구상화제가 낙하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실린더(442)는 하향경사관(441)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 실린더(442) 로드의 인출입에 따라 상기 하향경사관(441)을 래들(100)의 투입홀(131) 측으로 회전 및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래들삽입관(443)은 하향경사관(441) 하부의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래들삽입관(443)은 하향경사관(441) 하부의 외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하강되면서 상기 래들(100)의 투입홀(131)에 삽입분리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승강수단(444)은 하향경사관(441)의 타측에 설치되어 래들삽입관(443)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자세하게 상기 승강수단(444)은 일단이 상기 하향경사관(441)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수단(444)과 연결되는 와이어(도면부호 미도시)의 당김 및 풀림을 제어하여 상기 하향경사관(441)을 승강시킬 수 있게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수단(444)은 제3 실린더(444a) 또는 풀리(444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실린더(444a)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제3 실린더(444a) 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제3 실린더(444a) 로드의 인출입에 따라 상기 래들삽입관(443)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풀리(444b)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권취 및 권출하여 상기 래들삽입관(443)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구상화제 공급장치(400)는 래들(100)이 이송되어 틸팅된 후 복귀할 시, 상기 용해로(10)에 장입하기 전 래들(100)에 공급되어야 하는 구상화제를 상기 래들(100)의 투입홀(131)에 공급함에 있어, 상기 이송유닛(200)과 틸팅유닛(300)의 동선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구상화제를 래들(100)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종래에 작업자가 직접 래들(100)에 공급함으로써 발생되었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상화제 공급장치(4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래들(100)이 이송되어 틸팅된 후 복귀할 시, 상기 마스트(334)에 의해 래들(100)이 하강하여 제1 대차(220)에 안착되면, 상기 구상화제 공급장치(400)의 제2 실린더(442)에 의해 상기 하향이송관(4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들(100)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래들삽입관(443)이 승강수단(444)에 하강하면서 래들(100)의 투입홀(131)에 삽입된다.
이후, 상기 구상화제 공급장치(400)의 바스켓(411)에 작업자가 첫번째 구상화제인 마그네슘을 투입하면 바스켓(411)이 벨트 컨베이어(412)에 의해 상향이송되어 마그네슘을 호퍼(420)에 쏟아 붓게 되며, 상기 바스켓(411)은 하향 이송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개폐부(430)에 의해 마그네슘(Mg)이 래들(100)의 몸체(120) 저면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 후에, 두번째 구상화제인 철(Fe)합금을 상기한 마그네슘의 공급과정과 마찬가지로 수행하여 상기 래들(100)에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철합금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수단(444)에 의해 래들삽입관(443)이 상승하게 되어 투입홀(131)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이후 상기 제2 실린더(44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들(10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상화제는 마그네슘이 먼저 래들(100)에 공급되고, 이후 철이 마그네슘의 상부에 공급되는 순서를 필수적으로 준수해야지만 올바른 구상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화에 따른 공급순서의 오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상화제 공급장치(400)와 연결된 제어판넬(600)을 상기 벨트 컨베이어(412)의 일측에 설치하여 별도로 상기 구상화제 공급장치(400)를 자동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호퍼(420)의 상부에는 CCTV를 설치하여 호퍼(420)에 담긴 구상화제의 종류를 제어판넬(600)에 디스프레이 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상화제 공급순서의 오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탕이 수용된 래들의 전후좌우 이동과 승강 및 틸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용탕 이송 및 틸팅 장치에서 틸팅이 완료된 래들에 구상화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상화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래들 110: 포크홀
112:상부안내판 114: 하부경사판
120: 몸체 121: 주입구
130: 가이드 판 131: 투입홀
140: 베이스프레임 200: 이송유닛
210: 제1 레일 220: 제1 대차
300: 틸팅유닛 310: 제2 레일
320: 제2 대차 330: 포크리프트
331: 포크 332: 포크플레이트
333: 캐리지 334: 마스트
400: 구상화제 공급유닛 410: 상향이송부
411: 바스켓 412: 벨트컨베이어
420: 호퍼 430: 개폐부
431: 고정플레이트 432: 개폐판
433: 제1 실린더 440: 하향이송부
441: 하향경사관 442: 제2 실린더
443: 래들삽입관 444: 승강수단
600: 제어판넬

Claims (5)

  1. 용해로(10)에서 출탕되는 용탕이 수용되는 래들(100), 상기 용해로(10)로부터 래들(100)을 진출입시키는 이송유닛(200), 상기 이송유닛(200)으로부터 이송된 래들(100)을 승강시켜 용기(20)에 틸팅하는 틸팅유닛(300)에 의해 틸팅이 완료되어 상기 용해로(10)로 복귀하는 래들(100)에 구상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300)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구상화제를 상향이송하는 상향이송부(410);
    상기 상향이송부(410) 상단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향 이송된 구상화제가 담기게 되는 호퍼(420);
    상기 호퍼(4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420)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430); 및,
    상기 개폐부(4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430)에 의해 낙하하는 구상화제를 상기 래들(100)로 안내하는 하향이송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상화제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이송부(410)는,
    구상화제를 수용하는 바스켓(411) 및,
    상기 바스켓(411)이 고정되어 상기 바스켓(411)을 상향 경사지게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상화제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30)는,
    한 쌍으로 포개어져 호퍼(4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420)의 하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431),
    상기 고정플레이트(431)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432) 및,
    상기 개폐판(432)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판(432)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호퍼(420)의 하부를 개폐하는 제1 실린더(4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상화제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이송부(440)는,
    상기 개폐부(4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430)에 의해 낙하하는 구상화제를 하향 경사지게 안내하는 하향경사관(441),
    상기 하향경사관(441)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하향경사관(441)을 래들(100) 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 실린더(442),
    상기 하향경사관(441) 하부의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들삽입관(443) 및,
    상기 하향경사관(441)의 타측에 설치되어 래들삽입관(443)을 승강시켜, 상기 래들삽입관(443)이 래들(100)에 삽입분리되게 하는 승강수단(4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상화제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44)은 제3 실린더(444a) 또는 풀리(444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상화제 공급장치.
KR1020130119430A 2013-10-07 2013-10-07 구상화제 공급장치 Active KR101340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430A KR101340073B1 (ko) 2013-10-07 2013-10-07 구상화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430A KR101340073B1 (ko) 2013-10-07 2013-10-07 구상화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073B1 true KR101340073B1 (ko) 2014-01-02

Family

ID=5014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430A Active KR101340073B1 (ko) 2013-10-07 2013-10-07 구상화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0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617A (ja) * 1992-04-17 1993-11-09 Nippon Steel Corp 連鋳鋳込作業の自動化装置
JPH0731320A (ja) * 1993-07-13 1995-02-03 Nippon Ring Service:Kk 稚貝分配用ホッパー装置及び該ホッパー装置を用いた稚貝分配搬送装置
KR20040094500A (ko) * 2003-05-02 2004-11-10 중소기업진흥공단 주물용탕 자동 주입장치
JP2010269354A (ja) 2009-05-22 2010-12-02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の粉化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617A (ja) * 1992-04-17 1993-11-09 Nippon Steel Corp 連鋳鋳込作業の自動化装置
JPH0731320A (ja) * 1993-07-13 1995-02-03 Nippon Ring Service:Kk 稚貝分配用ホッパー装置及び該ホッパー装置を用いた稚貝分配搬送装置
KR20040094500A (ko) * 2003-05-02 2004-11-10 중소기업진흥공단 주물용탕 자동 주입장치
JP2010269354A (ja) 2009-05-22 2010-12-02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の粉化防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066B1 (ko) 용탕 이송 및 틸팅 시스템
US20190091763A1 (en) Method for trasporting molten metal
KR101340068B1 (ko) 용탕 이송 및 틸팅 장치
EP2427283B1 (en) Transportation line for transporting molten metal
US9289825B2 (en) Pouring equipment having melting furnace
KR101528772B1 (ko) 래들 경동식 자동주탕장치
CN110756777A (zh) 一种泡沫铝生产工艺线及其生产工艺
KR101340073B1 (ko) 구상화제 공급장치
KR101340070B1 (ko) 용탕 틸팅 시스템
CN212291673U (zh) 能定位锌锭的步进存放台及自动加锌锭系统
CN203076575U (zh) 一种浇注装置
KR101351082B1 (ko) 용탕 이송 장치에 구비되는 래들
CN114054731B (zh) 一种金属熔液转运用炉前升降转运车
CN217370444U (zh) 一种自动化浇注机
CN212640587U (zh) 倾翻式移动加锌小车及自动加锌锭系统
CN112923726B (zh) 用于冶炼炉的自动加料系统
CN111394676B (zh) 倾翻式移动加锌小车及自动加锌锭系统
CN203184637U (zh) 一种转注铝液的抬包倾翻台
CN109399466B (zh) 一种压力铸造系统及其压力铸造搬运起重机
KR101663190B1 (ko) 투입장치
CN219335959U (zh) 一种炉前升降转运车及炉前升降转运系统
CN111455298A (zh) 能定位锌锭的步进存放台及自动加锌锭系统
CN217675313U (zh) 阴极板上料系统和熔铸生产系统
CN111361943A (zh) 一种铜板自动上料线
CN221234490U (zh) 一种上砂箱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