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292B1 - Method of construction for earthquake-resistant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struction for earthquake-resista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9292B1 KR101339292B1 KR1020110106726A KR20110106726A KR101339292B1 KR 101339292 B1 KR101339292 B1 KR 101339292B1 KR 1020110106726 A KR1020110106726 A KR 1020110106726A KR 20110106726 A KR20110106726 A KR 20110106726A KR 101339292 B1 KR101339292 B1 KR 1013392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wires
- load
- damper
- earthquak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TCSSZJGUNDROE-UHFFFAOYSA-N gamma-amino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C(O)=O BTCSSZJGUNDR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16 structur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4—Structures with steel columns and be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5—Anti-seismic device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amp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15—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involving active or passive dynamic mass damp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에 일체를 이루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빔부재의 양측에 다수의 와이어를 각각 고정하고, 와이어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시켜서 기초부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지진하중의 인가시 와이어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와이어에 작용하는 인장력 및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와이어 각각의 하단과 기초부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한 내진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층간 변위에 따른 내진에 적절한 시스템의 구성이 용이하고, 하중에 따른 맞춤형 설계가 간편하며, 내진 효율을 증대시키고, 교체 및 변경에 따른 비용이 저렴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설치와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ires are respectively fixed to both sides of a beam member vertically installed to be integral to a structure, and the wires are extend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be fixed to the base part, respectively, so that th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wires upon application of an earthquake load. Making it work; And installing a damper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base of each wire to resist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acting on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figure a system suitable for the earthquak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building, the customized design according to the load, the seismic efficiency is increased, and the cost of replacement and modification is economical, Maintain and man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진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층간 변위에 따른 내진에 적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하중에 따른 맞춤형 설계가 간편하며, 내진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내진 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ismic method that can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earthquake according to the inter-layer displacement of a building, a customized design according to load is simple, and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seismic efficiency.
일반적으로, 내진 구조물은 골조의 강도를 증대하여 지진에 견디도록 하는 한편, 연성을 고려하여 골조 자체에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여 건축물 등과 같은 구조물의 부분적인 파괴를 인정하더라도 전반적인 붕괴를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In general, seismic structures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rame to withstand earthquakes, while absorbing vibration energy from the frame itself in consideration of the ductility, thereby preventing the overall collapse even if the partial destruction of the structure such as the building is recognized. Say
이러한 내진 구조물은 구조물의 거주성, 기능성 및 안정성을 향상 및 확보하도록 하고, 이를 위해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에너지를 흡수 및 소산시키고, 구조물의 파괴 등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The seismic structure is to improve and secure the occupancy, functionality and stability of the structure, to absorb and dissipate seismic energy acting on the structure, and to minimize the damage to life and property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structure.
종래에서 구조물에 내진을 위한 시스템은 구조물에서 변위가 크게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고, 구조물의 응답 가속도를 제한 수준 보다 낮게 줄여야 하며, 나아가서, 설치 전후를 대비하여 가속도, 변위, 밑변 전단력 모두를 감소시켜야 하고, 지진으로 인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변위를 억제함과 동시에 하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하여야 한다.Conventionally, a system for earthquake resistance in a structure should be installed where a large displacement occurs in the structure, and the response acceleration of the structure should be reduced below a limit level, and furthermore, the acceleration, displacement, and base shear force should be reduced in preparation for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In addition, by absorbing the vibration energy from the earthquake, the displacement should be suppressed and the load should be reduced.
그러나, 종래의 내진 시스템은 건축물의 층간 응답에 따라 댐퍼를 설치하여야 하고, 건축물의 층간 높이, 건축물의 기둥 개수, 건축물의 재료 등에 따라 지진의 응답이 다르며, 높은 건축물일수록 층간 변위의 차가 크게 됨으로써, 내진에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지진 발생시 댐퍼 교체에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ismic system, dampers must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inter-layer response of the building, and the response of the earthquake vari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pillars of the building, the material of the building, etc. It was difficult to develop an economical and effective system for earthquake resistance,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an expensive cost occurred in replacing a damper when an earthquake occurred.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변위에 따른 적절한 구성이 용이하고, 내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교체 및 변경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여 경제적인 설치와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ppropriat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inter-layer displacement of the building, to increase the seismic efficiency, and save the cost and time due to replacement and change, economical installation and The purpose is to en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의 내진을 위한 공법으로서, 상기 구조물에 일체를 이루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빔부재의 양측에 다수의 와이어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시켜서 기초부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지진하중의 인가시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상기 인장력 및 상기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와이어 각각의 하단과 상기 기초부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진 공법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earthquake resistance of the structure, a plurality of wires are respective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beam member that is installed vertically to be integral to the structure, Extending the wires to be inclined downward so as to respectively fix them to the foundation so that a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wires upon application of an earthquake load; And installing a damper between a lower end of each of the wires and the base part to resist the tensile force and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on the wire.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빔부재의 일측마다 다수개가 서로 나란하도록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빔부재의 일측에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시키고, 상기 기초부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of the wire may include fixing the wires one by one at a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ires are fix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wir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beam member. The other end of the wire may be fixed to a plurality of parts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와이어는, 프리스트레스트가 가해지도록 미리 인장력이 가해진 프리텐션 와이어일 수 있다.The wire may be a pretension wire to which tension is applied in advance so that the prestress is applied.
상기 빔부재는, 상기 구조물에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에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기초부에 대하여 배열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할 수 있다.The beam membe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structure, and in each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s ar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base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댐퍼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댐퍼가 상기 인장력과 상기 압축력을 유체의 점성력을 이용하여 흡수하는 점성댐퍼이고, 상기 와이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installing of the damper, the damper may be a viscous damper that absorbs the tensile force and the compressive force by using the viscous force of the fluid, and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wire.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공법에 의하면, 건축물의 층간 변위에 따른 내진에 적절한 구성이 용이하고, 하중에 따른 맞춤형 설계가 간편하며, 내진 효율을 증대시키고, 교체 및 변경에 따른 비용이 저렴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설치와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eismic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figure appropriate for the earthquak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building, easy to design according to the load, increase the seismic efficiency, and the cost of replacement and change is economical It can be installed, maintained and mana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공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응력분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비교예 2에 따른 응력분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비교예 3에 따른 응력분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공법의 실시예 1에 따른 응력분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ismic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ismic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seismic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공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ismic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eismic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공법은 수직의 빔부재와 기초부에 와이어를 다수로 고정하는 단계(S11)와, 와이어 각각의 하단과 기초부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는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eismic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S11) of fixing a plurality of wires to the vertical beam member and the base portion, an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base of each wire It may include the step (S12) for installing a damper.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S11)에 의하면, 구조물(20)에 일체를 이루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빔부재(11)의 양측에 다수의 와이어(12)를 각각 고정하고, 와이어(12)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시켜서 기초부(30)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지진하중의 인가시 와이어(12)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조물(20)은 일례로 프레임(21)을 포함하는 학교건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건축물이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ep (S11) of fixing the wire, a plurality of
빔부재(11)는 구조물(20)에 일체를 이루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데, 구조물(20)의 일부를 이루거나, 구조물(20)과는 별개로 이루어져서 구조물(20)에 수직되게 고정될 수 있는데, H 빔을 포함하여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빔부재(11)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구조물(20)의 외측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거나, 본 실시예와 달리 구조물(20)의 내측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The
와이어(12)는 다수로 이루어져서 일례로 PC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빔부재(11)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고,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기초부(30)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며, 지진하중에 대하여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고, 양단이 빔부재(11)와 기초부(30)에 용접 방식이나 별도의 고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와이어(12)는 빔부재(11)의 일측마다 다수개가 서로 나란하도록 고정되기 위하여, 빔부재(11)의 일측에 일단이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되도록 하고, 기초부(30)에 타단이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12)가 빔부재(11)의 일측마다 4개가 고정됨으로써 빔부재(11) 각각에 대하여 8개가 고정된다. 여기서, 기초부(30)는 H 형강이 삽입된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이루어져서 지면에 마련될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되는 고정빔(31)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빔(31)에 와이어(12)의 하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와이어(12)의 설치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정빔(31)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H 형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plurality of
와이어(12)는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가 가해지도록 미리 인장력이 가해진 프리텐션 와이어(pretension wi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와이어(12)는 PC 강선에 인장력을 가하고, 빔부재(11)와 기초부(30)에 양단을 고정시킨 다음, 인장력을 해제시킴으로써 프리스트레스트가 가해지도록 하는 프리텐션 와이어일 수 있다.The
댐퍼를 설치하는 단계(S12)에 의하면, 와이어(12)에 작용하는 인장력 및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와이어(12) 각각의 하단과 기초부(30) 사이에 댐퍼(13)를 설치한다.According to the step S12 of installing the damper, the
댐퍼(13)는 다수로 이루어져서 와이어(12)에 작용하는 인장력 및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와이어(12) 각각의 하단과 기초부(30) 사이에 설치되는데, 일례로 와이어(1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와이어(12)의 인장력과 압축력을 유체의 점성력을 이용하여 흡수하는 점성댐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댐퍼(13)는 신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서 내측에 점성을 가진 유체, 예컨대 오일이 채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신축방향이 와이어(12)에 교차하는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The
또한, 댐퍼(13)는 점성댐퍼와 함께 스프링댐퍼가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댐퍼는 신축이 가능한 실린더 내에 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가 신축됨으로써 댐핑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한편, 댐퍼(13)는 와이어(12)의 하단과 기초부(30)에 양측이 직접 고정 내지 연결되거나, 연결부재(13a)에 의해 와이어(12)의 하단과 기초부(30)에 양측이 고정 내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3a)는 와이어 또는 빔 형태를 비롯하여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빔부재(11)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구조물(20)마다 다수로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물(20)에 2개가 설치됨을 나타내며, 이러한 빔부재(11) 각각에서 와이어(12)가 기초부(30)에 대하여 배열되는 방향(X,Y)이 서로 직교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공법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seismic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빔부재(11)인 기둥을 중심으로 그 양측으로 PC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12)가 다수로 배치되고, 지진하중, 예컨대 수평하중이 발생시 하중이 작용해 오는 방향의 와이어(12)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고, 빔부재(11)를 기준으로 그 반대쪽의 와이어(12)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와이어(12)에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면 와이어(12) 자체가 세장하므로 압축력에 의해 쉽게 좌굴이 발생하게 되어 면외 영구변형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1차 해석에서 압축력이 작용한 힘만큼 시공시 양측의 와이어(12)에 미리 초기 인장력을 도입시킴으로써 후에 압축력이 작용하더라도 그 힘만큼 상쇄되어 인장상태 또는 영부재 상태로 유지되어 세장한 와이어(12)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또한, 와이어(12)와 기초부(30)의 하부 부분에 설치한 댐퍼(13)에서 1차적으로 발생한 인장력 및 압축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도록 초기의 인장력 크기를 줄임과 아울러 분산시킬수 있도록 한다. 초기 인장력과 추가 발생되는 인장력의 합을 와이어(12)와 댐퍼(13)가 분산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댐퍼(13)는 와이어(12)의 하부와 기초부(3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댐퍼(13)가 와이어(12) 중간에 설치되는 경우 와이어(12)에 도입되는 초기 인장력에 의해 댐퍼(13)가 늘어나 초기 장력이 없어지므로 초기 장력의 의미가 사라지고, 지진하중에 대한 댐퍼(13)의 효과가 없게 된다. 또한, 국내의 지진하중이 일본의 지진하중 절대크기에 대해 약 1/3 ~ 1/5 정도 수준이어서 일본에서 사용되는 부재 크기 및 초기 도입 장력의 크기가 우리나라에서 적용될 때에는 부재 크기 및 장력값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1차 구조해석을 통해 강선에 작용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확인한 후, 2차 해석시 작용한 압축력만큼 와이어(12)에 초기 인장력을 도입한다. 와이어(12)의 직경은 최초 작용시킨 초기 인장력과 지진하중 작용시 작용한 추가 인장력을 더한 하중을 기준으로 산정할 수 있다. The
각 층에서 작용한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물(20)의 중앙부분에 빔부재(11)를 설치할 수 있다. 빔부재(11)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철골부재, 예컨대 압연 H 형강 또는 용접 H 형강으로 할 수 있고, 각 층마다 빔부재(11)를 구조물(20), 예컨대 학교 건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횡보강재를 설치하고, 학교건물 외곽보와 벽체를 관통시켜 고정시킨다. 빔부재(11) 하부와 와이어(12)를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조물(20)로서 일례인 학교건물의 앞부분 동결선 깊이 이하에 SRC(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기초보를 설치한다. 기초부(30)를 H 형강이 삽입된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하고 신설기둥과 정착구를 PC(프리캐스트)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철골부재로 변경함으로써 제작비와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The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시스템(10)에 의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을 비교하기로 하며, 이들의 적용 구조물(20)은 학교건물로서, 적용기준이 건축구조설계기준(KBC2009, 건설교통부)과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KCI-USD07, 한국콘크리트학회)이 적용되고, 사용되는 재료로서, 콘크리트가 fck=24N/mm2이고, 철근이 KSD3504 SD40 fy=400N/mm2이고, 강재가 SM490이며, 적용하중으로서, 중력방향 하중이 아래의 표 1과 같고, 지진하중이 아래의 표 2와 같으며, 단위하중조합이 아래의 표 3과 같다.Hereinafter,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by the
비교예 1은 기본 구조물로만 이루어지고, 빔부재, 와이어, 댐퍼가 미설치된 예로서, 표 4에서 밑면전단력, 표 5에서 층간 변위, 표 6 및 표 7에서 X 방향과 Y 방향에서 시간이력 층간변위를 각각 나타낸다. Comparative Example 1 is made of only the basic structure, and the beam member, wire, damper is not installed, the bottom shear force in Table 4, the interlayer displacement in Table 5, the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in the X and Y direction in Table 6 and Table 7 Respectively.
표 5는 층간변위(story drift)로서, Drift(Combined), 기본층간변위이고, 허용층간 변위=0.015hx(hx: 해당층 층고)이고, 하중조합(all)=DL(고정하중)+LL(활하중)+Self(자중)+EX+EY(지진하중)이다.Table 5 shows story drift, Drift (Combined), base layer displacement, permissible inter-layer displacement = 0.015hx (hx: corresponding floor height), load combination (all) = DL (fixed load) + LL ( Live load) + Self (self-weight) + EX + EY (earthquake load).
표 6 및 표 7은 시간이력 층간변위(Time history analysis)로서, 지진파 입력시 층간변위이고, 표 6은 X방향으로의 시간이력 층간변위로서 허용층간변위비(0.015)를 초과하고, 표 7은 Y방향으로의 시간이력 층간변위로서 허용층간변위비(0.015)를 초과한다.Table 6 and Table 7 show the time history analysis, which is the interlayer displacement when the seismic wave is input, and Table 6 shows the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in the X direction, which exceeds the allowable interlayer displacement ratio (0.015). The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in the Y direction exceeds the allowable interlayer displacement ratio (0.015).
또한, 비교예 1에 따른 응력분포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데, 응력분포는 초록색, 노란색, 오렌지색, 적색으로 갈수록 응력이 집중됨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i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stress distribution indicates that the stress is concentrated toward the green, yellow, orange, red.
비교예 2는 빔부재와 와이어만이 설치된 예로서, 표 8에서 밑면전단력, 표 9에서 층간 변위, 표 10 및 표 11에서 X 방향과 Y 방향에서 시간이력 층간변위를 각각 나타낸다. Comparative Example 2 is an example in which only the beam member and the wire are installed, and the bottom shear force in Table 8, the interlayer displacement in Table 9, and the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in the X and Y directions in Table 10 and Table 11, respectively.
표 9는 층간변위(story drift)로서, Drift(Combined), 기본층간변위이고, 허용층간 변위=0.015hx(hx:해당층 층고)이고, 하중조합(all)=DL(고정하중)+LL(활하중)+Self(자중)+EX+EY(지진하중)이다.Table 9 is the story drift, Drift (Combined), base layer displacement, allowable interlayer displacement = 0.015hx (hx: corresponding floor height), load combination (all) = DL (fixed load) + LL ( Live load) + Self (self-weight) + EX + EY (earthquake load).
표 10 및 표 11은 시간이력 층간변위(Time history analysis)로서, 지진파 입력시 층간변위이고, 표 10은 X방향으로의 시간이력 층간변위로서 허용층간변위비(0.015)를 초과하고, 표 11은 Y방향으로의 시간이력 층간변위로서 허용층간변위비(0.015)를 초과한다.Table 10 and Table 11 are time history analysis, which is the interlayer displacement at the seismic wave input, Table 10 is the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in the X direction and exceeds the allowable interlayer displacement ratio (0.015). The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in the Y direction exceeds the allowable interlayer displacement ratio (0.015).
또한, 비교예 2에 따른 응력분포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tress distribution which concerns on the comparative example 2 is shown to FIG. 5 and FIG.
비교예 3은 빔부재와 와이어만이 설치된 예로서, 와이어가 프레텐션 와이어가 사용된 예를 나타내며, 표 12에서 밑면전단력, 표 13에서 층간 변위, 표 14 및 표 15에서 X 방향과 Y 방향에서 시간이력 층간변위를 각각 나타낸다. Comparative Example 3 is an example in which only the beam member and the wire are installed, and the wire is an example in which a tension wire is used, the bottom shear force in Table 12, the interlayer displacement in Table 13, and the X and Y directions in Table 14 and Table 15, respectively.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is shown, respectively.
표 13은 층간변위(story drift)로서, Drift(Combined), 기본층간변위이고, 허용층간 변위=0.015hx(hx:해당층 층고)이고, 하중조합(all)=DL(고정하중)+LL(활하중)+Self(자중)+EX+EY(지진하중)+PT(프리텐션하중)이다.Table 13 shows story drift, Drift (Combined), base layer displacement, permissible inter-layer displacement = 0.015hx (hx: corresponding floor height), load combination (all) = DL (fixed load) + LL ( Live load) + Self (self-weight) + EX + EY (earthquake load) + PT (pretension load).
표 14 및 표 15는 시간이력 층간변위(Time history analysis)로서, 지진파 입력시 층간변위이고, 표 14는 X방향으로의 시간이력 층간변위로서 초기인장력만을 도입했을 때 층간변위 저감 효과가 적으며, 표 15는 Y방향으로의 시간이력 층간변위로서 초기입장력만을 도입했을 때 층간변위 저감 효과가 적다.Table 14 and Table 15 show time history analysis, which is the layer displacement when seismic wave is input.Table 14 shows the time history layer displacement in the X direction. Table 15 shows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terlayer displacement when only the initial entry force is introduced as the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in the Y direction.
또한, 비교예 3에 따른 응력분포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tress distribution which concerns on the comparative example 3 is shown to FIG. 7 and FIG.
실시예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시스템로서, 빔부재, 와이어 및 댐퍼가 설치되고, 와이어는 프리텐션 와이어가 적용되는 예로서, 표 16에서 밑면전단력, 표 17에서 층간 변위, 표 18 및 표 19에서 X 방향과 Y 방향에서 시간이력 층간변위를 각각 나타낸다. Example 1 is an earthquake resista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eam member, a wire and a damper are installed, and the wire is a pretension wire applied, for example, bottom shear force in Table 16, interlayer displacement in Table 17, Table 18 and Table 19 Are the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s in the X and Y directions, respectively.
표 17에서 층간변위(story drift)로서, Drift(Combined), 기본층간변위이고, 허용층간 변위=0.015hx(hx:해당층 층고)이고, 하중조합(all)=DL(고정하중)+LL(활하중)+Self(자중)+EX+EY(지진하중)+PT(프리텐션하중)이다.In Table 17, as story drift, Drift (Combined), base layer displacement, allowable interlayer displacement = 0.015 hx (hx: corresponding floor height), load combination (all) = DL (fixed load) + LL ( Live load) + Self (self-weight) + EX + EY (earthquake load) + PT (pretension load).
표 18 및 표 19는 시간이력 층간변위(Time history analysis)로서, 지진파 입력시 층간변위이고, 표 18은 X방향 시간이력 층간변위로서, 층간변위는 5층을 제외한 다른 층에서는 만족함을 나타내고, 표 19는 Y방향 시간이력 층간변위로서, 층간변위가 일부층에서는 줄어들었음을 나타낸다.Table 18 and Table 19 are time history analysis, which is the interlayer displacement when seismic wave input, Table 18 is the X-direction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and the interlayer displacement is satisfied in other layers except the five layers. 19 is the time history interlayer displacement in the Y direction, indicating that the interlayer displacement is reduced in some layers.
실시예 1에 따른 응력분포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시스템(10)을 학교건물 등의 구조물(20)에 추가할 경우, 충분히 허용층간변위를 만족시킬 수 있다.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Example 1 is shown in FIGS. 9 and 10. As such, when the earthquake-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1 : 빔부재 12 : 와이어
13 : 댐퍼 20 : 구조물
21 : 프레임 30 : 기초부
31 : 고정빔11
13: damper 20: structure
21
31: fixed beam
Claims (5)
상기 구조물에 일체를 이루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빔부재의 양측에 다수의 와이어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시켜서 기초부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지진하중의 인가시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상기 인장력 및 상기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와이어 각각의 하단과 상기 기초부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빔부재의 일측마다 다수개가 서로 나란하도록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빔부재의 일측에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시키고, 상기 기초부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시키고,
상기 빔부재는,
상기 구조물에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에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기초부에 대하여 배열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고,
상기 댐퍼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댐퍼가 상기 인장력과 상기 압축력을 유체의 점성력을 이용하여 흡수하는 점성댐퍼이고, 상기 와이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공법.As a method for earthquake resistance of the structure,
A plurality of wires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beam member vertically installed so as to be integral with the structure, and the wires are extended to be inclined downward so as to be fixed to the base parts, respectively, so that th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wires when the earthquake load is applied. Making it work; And
And installing a damper between a lower end of each of the wires and the base part to resist the tensile force and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on the wire.
Fixing the wire,
In order to fix the wires so that a plurality of wir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beam member, one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one side of the beam member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lurality,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horizontal to the base part. In the direction of a plurality of fixed,
The beam member,
Installed in a plurality in the structu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s ar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foundation in each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tep of installing the damper,
And the damper is a viscous damper that absorbs the tensile force and the compressive force by using a viscous force of the fluid, and is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wire.
프리스트레스트가 가해지도록 미리 인장력이 가해진 프리텐션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공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re,
Earthquake resistan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tension wire is pre-strengthened to the prestress is appli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726A KR101339292B1 (en) | 2011-10-19 | 2011-10-19 | Method of construction for earthquake-resist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726A KR101339292B1 (en) | 2011-10-19 | 2011-10-19 | Method of construction for earthquake-resista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2701A KR20130042701A (en) | 2013-04-29 |
KR101339292B1 true KR101339292B1 (en) | 2013-12-09 |
Family
ID=4844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67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9292B1 (en) | 2011-10-19 | 2011-10-19 | Method of construction for earthquake-resist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9292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40289A (en) * | 2007-03-26 | 2008-10-09 | I2S2:Kk | Damping device and building equipped with damping device |
KR100921706B1 (en) * | 2009-03-18 | 2009-10-15 | (주)대영구조기술단 | Earthquake Reinforcement Device and Safety Diagnosis Device for Aged Building Structures |
KR101070217B1 (en) * | 2011-04-15 | 2011-10-06 | 강토아이디테크 (주) | Seismic system |
-
2011
- 2011-10-19 KR KR1020110106726A patent/KR1013392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40289A (en) * | 2007-03-26 | 2008-10-09 | I2S2:Kk | Damping device and building equipped with damping device |
KR100921706B1 (en) * | 2009-03-18 | 2009-10-15 | (주)대영구조기술단 | Earthquake Reinforcement Device and Safety Diagnosis Device for Aged Building Structures |
KR101070217B1 (en) * | 2011-04-15 | 2011-10-06 | 강토아이디테크 (주) | Seismic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2701A (en) | 2013-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7677B1 (en) | Compisite column structure for steel and concrete | |
JP6920049B2 (en) | Seismic isolation building | |
US20080022610A1 (en) | Composite energy absorbing structure | |
KR102083066B1 (en) | Frame-type Damping Device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107217739A (en) | The frame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of a kind of superstructure vibration isolation | |
KR101301143B1 (en) | Seismic retrofit structure of pilotiies construction | |
KR101139761B1 (en) | Reinforcing wall for construction | |
KR101770988B1 (en) | Reforcing panel for concrete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 |
US5660007A (en) | Stiffness decoupler for base isolation of structures | |
JP2015094094A (en) | Bridge structure and method of reinforcing existing bridge | |
KR101337125B1 (en) | Earthquake-resistant system | |
CN202170577U (en) | Isolated structure of high-rise building | |
KR101339292B1 (en) | Method of construction for earthquake-resistant | |
JP6031632B1 (en) | Displacement limiting device used for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introducing pre-compression | |
JP5379285B1 (en) | Buildings using seismic control PC columns | |
JP6414877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 and building | |
JP6224420B2 (en) |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FT column and concrete bottom slab | |
KR101242972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partition wall using seismic control device | |
JP5619459B2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base plate assembly for seismic isolation device | |
JP6752006B2 (en) | Fixed structure of building unit and unit building | |
JP2016084701A (en) | Vibration control building | |
JP2015025358A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base plate assembly for seismic isolation device | |
JP2019100040A (en) | Base-isolated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ase-isolated structure | |
JP6126789B2 (en) | Tank support structure | |
JP2017110418A (en) | Build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1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