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742B1 - Pop Up type Shift Lever Device - Google Patents
Pop Up type Shift Leve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8742B1 KR101338742B1 KR1020110105036A KR20110105036A KR101338742B1 KR 101338742 B1 KR101338742 B1 KR 101338742B1 KR 1020110105036 A KR1020110105036 A KR 1020110105036A KR 20110105036 A KR20110105036 A KR 20110105036A KR 101338742 B1 KR101338742 B1 KR 101338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ft
- trigger
- matic
- pop
- shift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는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1)와 콘솔(2)사이에 형성된 센터페시아(3)와, 조작신호를 통해 센터페시아(3)의 내부로 들여보내지거나 밖으로 인출되고 H-Matic -/+변속과 P-R-N-D 변속단을 조작하는 팝업 변속레버건(10)으로 구성됨으로써, 센터페시아(3)에서 꺼내진 상태에서 트리거(Trigger)방식으로 P-R-N-D 변속단조작과 H-MATIC-/+ 변속조작이 구현되는 편리함은 물론, 특히 돌출된 콘솔형 변속레버와 같이 충돌에 의한 예기치 못한 상해 위험성이나 컬럼형 변속레버와 같이 조향휠 조작에 따른 오조작 가능성도 없는 특징을 갖는다.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enter fascia (3) formed between the cluster (1) and the console (2) constituting the driver's seat, and is introduced into or out of the center fascia (3) through the operation signal H It consists of a pop-up shift lever gun 10 which operates the -Matic-/ + shift and the PRND shift stage, so that the PRND shift stage operation and the H-MATIC // are triggered in a triggered manner while being taken out from the center fascia 3. + In addition to the convenience of the shift operation, in particular, there is no risk of unexpected injury due to a collision, such as a protruding console-type shift lever, or the possibility of incorrect operation due to steering wheel operation, such as a column shift le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속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와 콘솔부위가 연결되는 센터페시아의 내부로 팝업(Pop Up) 가능하게 매몰됨으로써 변속레버로 인한 콘솔점유공간을 제거할 수 있는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ft lever device, and in particular, a pop-up type shift that can remove a console occupied space due to a shift lever by being buried in a pop-up capable of being popped up into a center fascia connected to a cluster forming a driver's seat. It relates to a lever device.
일반적으로 변속레버는 변속기의 변속단을 차속에 맞춰 변경하기 위한 조작장치로서, P(주차)-R(후진)-N(중립)-D(주행)와 같은 게이트 패턴(Gate Pattern)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In general, the shift lever is a control device for changing the shift stage of th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moves along a gate pattern such as P (Park)-R (Reverse)-N (Neutral)-D (Drive). do.
도 5(가)는 상기와 같은 변속레버중 콘솔형 변속레버로서, 이 경우는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와 콘솔사이에서 돌출되어진다.Figure 5 (a) is a console-type shift lever of the shift lev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protrudes between the cluster and the console constituting the driver's seat.
도 5(나)는 상기와 같은 변속레버의 다른 예인 컬럼형 변속레버로서, 이 경우는 조향휠의 옆에서 돌출되어진다.5 (b) is another example of the shift lever as a column type shift lever, in which case it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steering wheel.
이에 따라, 운전자는 변속시 콘솔형 변속레버든 컬럼형 변속레버든 돌출된 노브부위를 잡고 원하는 변속단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driver can operate the desired shift stage by holding the protruding knob portion, whether the console type shift lever or the column type shift lever.
하지만, 상기와 같은 콘솔형 변속레버는 콘솔에서 돌출된 구조를 이루어 콘솔 레이아웃이 불리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컵 컵홀더 수납공간 확보와 필요 버튼을 위한 공간 확보에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However, the console-type shift lever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the console, which inevitably has a disadvantage in console layout, and thus, it is difficult to secure a cup cup holder storage space and a space for a necessary button.
특히, 변속레버가 콘솔에서 돌출되어 고정됨으로써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가 부딪힐 경우, 운전자의 머리에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성도 있을 수밖에 없다.In particular, when the shift lever is protruded from the console and fixed, the head of the driver may collide with each other during a collision, which may inevitably cause serious injury to the head of the driver.
또한, 컬럼형 변속레버는 조향휠 옆에서 돌출되어 위치됨으로써 조향휠 조작시 변속레버를 오조작 가능성이 있고, 또한 조향휠 옆에서 고정됨으로써 위치 변경이 매우 어려울 수밖에 없다.In addition, the columnar shift lever is protruded from the side of the steering wheel,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misoperation of the shift lever when the steering wheel is operated, and the position shift lever is fixed by the steering wheel.
특히, 상기와 같은 컬럼형 변속레버는 H-MATIC-/+ 기능을 구비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re is a structural limitation that the columnar shift lever cannot have the H-MATIC-/ + function.
여기서, H-MATIC-/+ 는 1단 다운쉬프트로 감속(-)과 1단 업쉬프트로 가속(+)함으로써 자동변속기에서도 수동변속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칭한다.
Here, H-MATIC-/ + refers to a function capable of implementing a manual shift mode even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by decelerating (-) by one-stage downshift and accelerating (+) by one-stage upshift.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와 콘솔사이에 형성된 센터페시아의 내부로 매몰된 상태를 유지하다 센터페시아에서 꺼내진 상태에서 트리거(Trigger)방식으로 P-R-N-D 변속단조작과 H-MATIC-/+ 변속조작이 구현됨으로써, 변속레버로 인해 제약을 받던 콘솔공간의 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oint is kept buried inside the center fascia formed between the cluster forming the driver's seat and the console, PRND speed change operation in a triggered manner in the state taken out from the center fascia And H-MATIC- / + shift operation is implemen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console space was limited by the shift lever.
또한, 본 발명은 센터페시아에서 꺼내진 상태에서 트리거(Trigger)방식으로 P-R-N-D 변속단조작과 H-MATIC-/+ 변속조작을 구현해줌으로써, 운전자의 손 움직임이 거의 없이 변속 조작을 구현하는 편리함이 있고, 특히 돌출된 콘솔형 변속레버와 같이 충돌에 의한 예기치 못한 상해 위험성이나 컬럼형 변속레버와 같이 조향휠 조작에 따른 오조작 가능성도 없는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the PRND shift step operation and H-MATIC- / + shift operation in the triggered state in the state taken out from the center fascia, there is a convenience to implement the shift operation with little driver's hand movement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that does not have an unexpected risk of injury due to a collision, such as a protruding console type shift lever or a misoperation possibility due to steering wheel operation such as a column type shift lever.
또한,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인입과 인출이 직선이동으로 구현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크게 단순화하고 낮은 비용으로 구성될 수 있는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that can be configured at a low cost by greatly simplify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by the introduction and withdrawal of the shift lever in a linear move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는 콘솔사이에 형성된 센터페시아에 노출되어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버튼과;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operation button for generating an on-off signal is exposed to the center fascia formed between the console;
상기 센터페시아에 노출되어 H-MATIC-/+ 변속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H-MATIC-/+ 버튼과;An H-MATIC-/ + button exposed to the center fascia to generate an H-MATIC-/ + shift control signal;
상기 작동버튼에 의한 구동시 상기 센터페시아의 내부로부터 밖으로 빠져나오고, 트리거방식으로 눌러줌에 따라 P-R-N-D 변속단 신호를 TCU로 보내며 상기 H-MATIC-/+ 버튼 온(On)시 H-MATIC-/+ 변속신호를 상기 TCU로 보내주는 변속단조작건;When driven by the operation button, it exits from the inside of the center fascia and, when pressed in a triggered manner, sends a PRND shift stage signal to the TCU and H-MATIC- / when the H-MATIC-/ + button is on. A shift stage operation for transmitting a shift signal to the TCU;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변속단조작건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상기 센터페시아로부터 빠져 나오거나 상기 센터페시아의 내부로 들어가는 이동레버와, 상기 이동레버의 손으로 감싸는 부위에 구비되어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의 눌림위치에 따라 상기 P-R-N-D 변속단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H-MATIC-/+ 버튼 온(On)시 H-MATIC-/+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속단스위치로 구성된다.The shift stage operation gun is provided with a motor generating power, a moving lever connected to a motor shaft of the motor to move out of the center fascia or into the center fascia, and a portion wrapped by the hand of the moving lever. And a shift stage switch generating the PRND shift stag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ed position of the trigger and generating the H-MATIC-/ + shift signal when the H-MATIC // + button is turned on. do.
상기 모터는 리니어 모터이다. The motor is a linear motor.
상기 이동레버는 상기 리니어 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되지 않은 부위를 손으로 감싸 쥘수 있도록 절곡시켜주고, 절곡된 부위로 상기 트리거를 구비해 손가락으로 상기 트리거를 눌러 줄 수 있게 된다. The moving lever is bent to be wrapped around the portion of the linear motor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by hand, and the trigger is provided with the bent portion to press the trigger with a finger.
상기 그립에는 측면부위로 윈도우가 뚫려져 상기 트리거의 눌림에 따른 이동시 상기 트리거의 측면으로 새겨진 P-R-N-D 변속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In the grip, a window is drilled through the side portion, and thus the P-R-N-D shift stage engraved on the side of the trigger can be recognized when the trigger moves.
상기 트리거는 스프링으로 탄발지지되고, 상기 이동레버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내부에 걸려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턱을 연장형성한다. The trigg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nd extends at least one or more locking jaws that are caught inside so as not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lever.
상기 변속단스위치는 상기 트리거에 의해 눌려지는 스위치단자와, 상기 스위치단자의 눌림에 따라 전기접점을 형성하고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PCB로 구성된다. The shift stage switch is composed of a switch terminal pressed by the trigger and a PCB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tact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switch terminal.
상기 변속단조작건에는 상기 센터페시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더 포함된다. The shift stage operation condi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rail installed inside the center fascia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lever.
상기 이동레버에는 돌출된 가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가이더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The moving lever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guider, and the guide rail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which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guider is fitted.
상기 TCU에는 상기 트리거의 눌림 횟수에 따른 상기 변속단스위치의 전기신호를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전기신호로 상기 P-R-N-D 변속단조작과 상기 H-MATIC-/+ 변속조작을 달리하는 로직이 더 포함된다.
The TCU further includes logic for distinguishing an electrical signal of the shift stage switch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trigger is pressed, and differenting the PRND shift stage operation from the H-MATIC-/ + shift operation with the distinguished electrical signal. .
이러한 본 발명은 H-MATIC-/+ 변속을 변속레버의 이동없이 구현하고 변속단 조작시에만 센터페시아에서 꺼내줌으로써, 콘솔공간에 대한 변속레버의 제약이 해소되고 특히 돌출된 콘솔형 변속레버나 컬럼형 변속레버에서 발생되던 제반 문제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H-MATIC-/ + shift without shifting the shift lever and removes it from the center fascia only when the shift stage is operated, thereby eliminating the restriction of the shift lever with respect to the console space, and particularly the protruding console type shift lever or column. It is effective to solve all the problems caused by the type shift lever.
또한, 본 발명은 센터페시아에서 꺼내진 상태에서 트리거(Trigger)방식으로 P-R-N-D 변속단과 H-MATIC-/+ 변속조작을 구현함으로써, 운전자의 손 움직임이 거의 없이 변속 조작을 구현하는 편리함과 함께 오조작 없이 빠른 조작도 구현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PRND shift stage and the H-MATIC-/ + shift operation in a triggered manner in the state of being taken out of the center fascia, thereby making it easy to implement shift operation with little driver's hand movement and misopera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implemented without quick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센터페시아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해 변속레버의 이동 없이 H-MATIC-/+ 변속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H-MATIC-/+ 변속을 조작할 수 있는 편리함도 제동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operate the H-MATIC-/ + shift faster by performing the H-MATIC-/ + shift without moving the shift lever using a button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
또한, 본 발명은 직선이동으로 변속레버가 인입과 인출되어 전체적인 구성을 크게 단순화하고 제조비용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hift lever is pulled in and out by the linear movement to greatly simplify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1(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변속단 조작부 내부구성도이며, 도 3(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P-R-N-D 변속단 조작도이며, 도 5(가),(나)는 종래에 따른 돌출 고정형 변속레버장치이다.Figure 1 (a), (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hift stage operation portion of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a) , (B) is an operation of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PRND shift stage operation diagram of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a), (b) is a conventional According to the protruding fixed shift lever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가)와 같이,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는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1)와 콘솔(2)사이에 형성된 센터페시아(3)와, 조작신호를 통해 센터페시아(3)의 내부로 들여보내지거나 밖으로 인출되고 H-Matic -/+변속과 P-R-N-D 변속단을 조작하는 팝업 변속레버건(1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does not let the
상기 팝업 변속레버건(10)은 센터페시아(3)의 외부로 노출되어 온오프신호를 주는 작동버튼(11)과, 센터페시아(3)의 외부로 노출되어 H-Matic-/+ 변속신호를 주는 H-Matic-/+버튼과, 작동버튼(11)의 온신호로 센터페시아(3)의 내부에 매몰된 상태에서 밖으로 인출되어 운전자의 P-R-N-D 변속단조작과 H-MATIC-/+ 변속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변속단조작건(20)으로 구성된다.The pop-up
상기 작동버튼(11)에 설치된 센터페시아(3)에는 상기 작동버튼(11)이외에 버튼이나 디스플레이 등이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H-Matic-/+버튼은 자동변속기에서 수동변속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1단 다운쉬프트로 감속(-)모드인 H-Matic-(12a)와, 1단 업쉬프트로 가속(+)모드인 H-Matic+(12b)로 구성된다.The H-Matic-/ + button is for realizing a manual shift mode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H-Matic- (12a), which is a deceleration (-) mode with a first downshift, and an acceleration (+) with a first upshift. It consists of H-Matic + 12b which is a mode.
통상, 상기 H-Matic-/+버튼에 의한 변속단은 1,2,3,4,5,6단이 적용되지만, 이는 변속기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In general, 1,2,3,4,5,6 steps are applied to the shift stage by the H-Matic-/ + button, but this is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pecification.
도 1(나)는 변속단조작건(2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단조작건(20)은 동력을 발생하는 리니어 모터(21)와, 리니어 모터(21)의 모터축(21a)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됨으로써 센터페시아(3)로부터 빠져 나오거나 센터페시아(3)의 내부로 들어가는 이동레버(23)와, 이동레버(23)의 선단부위에 스프링(26)으로 탄발지지된 트리거(24)와, 트리거(24)의 눌림위치에 따라 변하는 P-R-N-D 변속단 신호를 TCU로 전송하는 변속단스위치(25)와, 센터페시아(3)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레버(2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8)로 구성된다.1 (b)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이동레버(23)는 리니어 모터(21)의 모터축(21a)과 연결된 연장단(23a)과, 센터페시아(3)의 곡선면과 일치되도록 연장단(23a)의 끝부위에서 절곡된 그립(23b)으로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건(Gun)형상을 이루게 된다.The
이에 더해, 상기 그립(23b)의 측면부위로는 윈도우(23c)가 뚫려지는데, 상기 윈도우(23c)는 트리거(24)의 눌림 정도에 따라 변하는 P-R-N-D 변속단의 위치를 운전자의 시각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이동레버(23)에는 가이더(23d)가 더 구비되는데, 이는 리니어 모터(21)에 의한 직선이동시 상기 가이드레일(28)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moving
이에 따라, 상시 가이드레일(28)에도 가이드홈(28a)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버(23)의 가이더(23d)를 결합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상기 가이더(23d)와 상기 가이드홈(28a)은 다양한 구조를 이루지만, 통상 "T"형상을 이룸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도 2는 변속단조작건(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2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24)는 이동레버(23)의 절곡된 그립(23b)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스프링(26)으로 탄발지지됨으로써,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힘 크기가 증가될수록 스프링(26)의 압축변형정도가 증가된다.As shown, the
또한, 상기 트리거(24)의 측면부위에는 P-R-N-D를 새긴 디스플레이(24a)를 형성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24a)는 이동레버(23)에 뚫린 윈도우(23c)와 일치됨으로써 운전자는 트리거(24)의 눌림에 따른 P -> R -> N -> D 변화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이에 더해, 상기 트리거(24)에는 상부걸림턱(24b)과 하부걸림턱(24c)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ㅇ하부걸림턱(24b,24c)은 트리거(24)가 이동레버(23)의 그립(23b)내부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구속하는 작용을 하여 준다. In addition, the
상기 상부ㅇ하부걸림턱(24b,24c)은 트리거(24)의 위쪽부위와 아래쪽 부위에서 연장된 돌출부위로 형성된다.The upper and
한편, 상기 트리거(24)의 이동경로에는 구비된 변속단스위치(25)는 트리거(24)에 의해 눌려지는 정도에 따라 P -> R -> N -> D 전기신호를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보내줌으로써, TCU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P-R-N-D 변속단에 맞춰 변속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를 위해, 상기 변속단스위치(25)는 외력에 의해 눌려지고 외력제거시 탄성복원되는 스위치단자(25a)와, 스위치단자(25a)의 눌림정도에 따라 P -> R -> N -> D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를 갖추고 TCU로 이어진 PCB(25b)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하지만, 본 실시예에선 상기 변속단스위치(25)는 트리거(24)에 의해 한번 눌려지고 나면 P -> R -> N -> D 전기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상기와 같이 트리거(24)의 일회 눌림으로 P -> R -> N -> D 전기신호가 순차적으로 발생되면, 변속단스위치(25)의 전기신호를 받는 TCU의 로직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고, 특히 트리거(24)의 조작을 통해 구현되는 H-Matic-/+ 버튼(12a,12b)의 연계 작동 로직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P-> R-> N-> D electrical signals are sequentially generated by one push of the
일례로, 트리거(24)의 1회 눌림을 P -> R -> N -> D 변속단 변화로 인식하고, 트리거(24)의 2회 눌림을 H-Matic-/+ 의 1,2,3,4,5,6단 변속으로 인식하게 되면, TCU의 제어로직은 변속단스위치(25)의 전기신호를 인식하는 간단한 기능만을 필요로 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one press of the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3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가)는 팝업 변속레버건(10)이 클러스터(1)와 콘솔(2)사이에 형성된 센터페시아(3)의 내부로 완전히 매입된 상태로서, 이 경우 리니어 모터(21)는 모터축(21a)의 길이가 최대로 짧아지고, 모터축(21a)에 연결되어 센터페시아(3)의 내부로 완전히 매입된 이동레버(23)는 센터페시아(3)의 곡선면과 일치되어진 그립(23b)으로 인해 변속레버장치의 존재여부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3 (a) is a state in which the popup
이러한 상태에서 센터페시아(3)부위에는 센터페시아(3)의 밖으로 돌출된 어떠한 구조물도 없어짐으로써, 콘솔부위는 확 트여진 콘솔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center fascia (3) part is no structure protruding out of the center fascia (3), so that the console part can form an expanded console space.
도 3(나)는 센터페시아(3)에 노출된 작동버튼(11)을 눌러(On)줌으로써 팝업 변속레버건(10)이 센터페시아(3)로부터 빠져나오는 상태를 나타낸다.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pup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버튼(11)을 눌러 리니어 모터(21)를 구동하면, 리니어 모터(21)의 모터축(21a)이 빠져나오면서 이에 연결된 이동레버(23)를 밀어내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이때, 상기 이동레버(23)의 이동은 가이더(23d)를 매개로 결합된 가이드레일(28)을 매개로 안내됨으로써 안정적인 이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moving
이어, 이동레버(23)가 센터페시아(3)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온 후 작동버튼(11)의 조작을 멈춤으로써 이동레버(23)는 센터페시아(3)에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레버(23)에 구비된 트리거(24)가 외부로 노출된다.Subsequently, the moving
상기와 같이 센터페시아(3)에서 돌출된는 이동레버(23)는 전체적으로 건(Gun)형상을 이룸으로써 운전자가 이동레버(23)의 절곡된 그립(23b)부위를 손으로 감싸면, 운전자는 손가락으로 트리거(24)를 용이하게 눌러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센터페시아(3)에서 돌출된는 이동레버(23)의 트리거(24)를 운전자가 조작해 P-R-N-D 변속단을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iver operates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이동레버(23)의 그립(23b)부위를 손으로 감싼 상태에서 손가락에 힘(F)을 가해 트리거(24)를 눌러주면, 트리거(24)는 스프링(26)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밀려나게 된다.As shown, when the driver presses the
이어, 상기 트리거(24)의 밀림은 변속단스위치(25)의 스위치단자(25a)를 눌러 변형시키게 되고, 스위치단자(25a)의 눌림은 PCB(25b)의 전기접점을 형성해줌으로써 PCB(25b)에서 해당되는 전기신호가 발생된다.Subsequently, the push of the
상기 PCB(25b)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는 TCU로 보내지고, 이를 통해 TCU는 우전자의 변속요구에 맞춰 변속기의 변속단을 변경함으로써 운전자는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속기를 제어하게 된다.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이때, 상기 트리거(24)의 눌림정도에 맞춰 달라지는 변속단스위치(25)로 인해 PCB(25b)의 전기신호도 달라지고, TCU는 달라진 전기신호 변화에 맞춰 P -> R -> N -> D 변속단으로 인식하게 된다.At this time, due to the
그러므로, 운전자는 손가락을 이용해 트리거(24)의 눌림정도에 변화를 주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변속기를 P-R-N-D 변속단에 맞춰 제어하는 편리함을 구현하게 된다.Therefore, the driver realizes the convenience of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P-R-N-D shift stage by a simple operation of changing the pressing degree of the
상기와 같은 P-R-N-D 변속단 조작상태는 운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트리거(24)의 P-R-N-D를 새긴 디스플레이(24a)가 이동레버(23)에 뚫린 윈도우(23c)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되고, 트리거(24)의 눌림정도에 따라 P(a) -> R(b) -> N(c) -> D(d)로 변화됨에 기인된다.The driver can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ND shift stage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한편, 운전자가 H-Matic-/+ 변속을 원하는 경우, 운전자는 H-Matic-버튼(12a)이나 H-Matic+버튼(12b)을 먼저 눌러준 후 이어 트리거(24)의 다시 눌러줌으로써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river wants the H-Matic-/ + shift, the driver simply presses the H-Matic-
즉, 다시 눌려진 트리거(24)로 인해 함께 눌려진 스위치단자(25a)는 PCB(25b)의 전기접점을 달리 해 H-Matic-버튼(12a)이나 H-Matic+버튼(12b)에 해당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TCU가 인식함으로써 변속기는 H-Matic-/+변속(e)을 구현하게 된다.That is, the
그러나, 본 실시예에선 상기와 같은 P-R-N-D 변속단 조작과 H-Matic-/+ 변속(1,2,3,4,5,6)이 트리거(24)의 2회 눌림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P-R-N-D shift stage operation and H-Matic-/ + shift (1, 2, 3, 4, 5, 6) can be implemented only by pressing the
이는, TCU의 제어로직이 트리거(24)의 1회 눌림에 따른 변속단스위치(25)의 전기신호를 인식할 경우 P -> R -> N -> D로 순차적인 변속단 변화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이어 트리거(24)의 2회 눌림에 따른 변속단스위치(25)의 전기신호를 인식할 경우 H-Matic-/+ 의 1,2,3,4,5,6단 변속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간단하게 수행된다.When the control logic of the TCU recognizes an electrical signal of the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는 운전석을 이루는 클러스터(1)와 콘솔(2)사이에 형성된 센터페시아(3)와, 조작신호를 통해 센터페시아(3)의 내부로 들여보내지거나 밖으로 인출되고 H-Matic -/+변속과 P-R-N-D 변속단을 조작하는 팝업 변속레버건(10)으로 구성됨으로써, 센터페시아(3)에서 꺼내진 상태에서 트리거(Trigger)방식으로 P-R-N-D 변속단조작과 H-MATIC-/+ 변속조작이 구현되는 편리함은 물론, 특히 돌출된 콘솔형 변속레버와 같이 충돌에 의한 예기치 못한 상해 위험성이나 컬럼형 변속레버와 같이 조향휠 조작에 따른 오조작 가능성도 없게 된다.
As described,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1 : 클러스터 2 : 콘솔
3 : 센터페시아 10 : 팝업 변속레버건
11 : 작동버튼 12a : H-Matic -
12b : H-Matic + 20 : 변속단조작건
21 : 리니어 모터 21a : 모터축
23 : 이동레버 23a : 연장단
23b : 그립 23c : 윈도우
23d : 가이더
24 : 트리거 24a : 디스플레이
24b,24c : 상부ㅇ하부걸림턱
25 : 변속단스위치 25a : 스위치단자
25b : PCB 26 : 스프링
28 : 가이드레일 28a : 가이드홈1: cluster 2: console
3: center fascia 10: popup shift lever gun
11:
12b: H-Matic + 20: Speed change operation
21:
23: moving
23b:
23d: guider
24: trigger 24a: display
24b, 24c: upper and lower locking jaw
25: shifting
25b: PCB 26: Spring
28:
Claims (10)
상기 센터페시아에 노출되어 H-MATIC-/+ 변속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H-MATIC-/+ 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에 의한 구동시 상기 센터페시아의 내부로부터 밖으로 빠져나오고, 트리거방식으로 눌러줌에 따라 P-R-N-D 변속단 신호를 TCU로 보내며 상기 H-MATIC-/+ 버튼 온(On)시 H-MATIC-/+ 변속신호를 상기 TCU로 보내주는 변속단조작건;을 포함하고,
상기 변속단조작건은 상기 센터페시아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상기 센터페시아의 내부로 들어가는 이동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레버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레버의 손으로 감싸는 부위에 구비되어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의 눌림위치에 따라 상기 TCU로 보내지는 상기 P-R-N-D 변속단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H-MATIC-/+ 버튼 온(On)시 상기 TCU로 보내지는 H-MATIC-/+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속단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An operation button exposed to a center fascia formed between the consoles to generate an on-off signal;
An H-MATIC-/ + button exposed to the center fascia to generate an H-MATIC-/ + shift control signal;
When driven by the operation button, it exits from the inside of the center fascia and, when pressed in a triggered manner, sends a PRND shift stage signal to the TCU and H-MATIC- / when the H-MATIC-/ + button is on. + A shift stage operation for sending a shift signal to the TCU;
The shift stage operating condition is composed of a moving lever which exits from the center fascia or enters into the center fascia. The moving lever is connected to a motor shaft of a motor generating power and is wrapped in a hand wrapped portion of the moving lever. A trigger provided with a finger and generating the PRND shift stage signal sent to the TCU according to the pressed position of the trigger and sent to the TCU when the H-MATIC-/ + button is turned on.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ft stage switch for generating a shift signal.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or is a linear motor.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lever is bent to be wrapped around the area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by hand, and provided with the trigger to the bent portion can be pressed to the trigger with a finger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4, wherein the moving lever has a window formed on a side thereof to recognize a PRND shift stage engraved on the side of the trigger when the window is moved.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trigg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nd extends at least one or more locking jaws that are caught inside so as not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lever.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shift stage switch comprises a switch terminal pressed by the trigger and a PCB which forms an electrical contact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switch terminal.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ift stage operating condi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rail installed inside the center fascia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hift lever.
The pop-up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oving lever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guider, and the guide rail has a guide groove which is moved in the fitted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5036A KR101338742B1 (en) | 2011-10-14 | 2011-10-14 | Pop Up type Shift Leve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5036A KR101338742B1 (en) | 2011-10-14 | 2011-10-14 | Pop Up type Shift Lever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0343A KR20130040343A (en) | 2013-04-24 |
KR101338742B1 true KR101338742B1 (en) | 2013-12-06 |
Family
ID=4844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50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8742B1 (en) | 2011-10-14 | 2011-10-14 | Pop Up type Shift Lever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874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1957B1 (en) | 2013-08-06 | 2014-07-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Organ-type electronic shift lever |
KR101488325B1 (en) | 2013-08-21 | 2015-01-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p-up Type Electronic Auto Shift Lever |
KR101551974B1 (en) | 2014-08-11 | 2015-09-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ucture of lever for drive-by-wire system |
KR101714258B1 (en) * | 2015-11-18 | 2017-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ovable switch module |
KR101951464B1 (en) * | 2016-12-30 | 2019-02-22 | 에스엘 주식회사 | Automotive transmiss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3915A (en) * | 2006-02-02 | 2007-08-16 | Kojima Press Co Ltd | Interior trimming device for vehicle |
KR100751688B1 (en) * | 2006-02-02 | 2007-08-2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Vehicle electronic shift lev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JP2008184079A (en) * | 2007-01-31 | 2008-08-14 | Nissan Motor Co Ltd | Shift lever mechanism |
-
2011
- 2011-10-14 KR KR1020110105036A patent/KR1013387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3915A (en) * | 2006-02-02 | 2007-08-16 | Kojima Press Co Ltd | Interior trimming device for vehicle |
KR100751688B1 (en) * | 2006-02-02 | 2007-08-2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Vehicle electronic shift lev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JP2008184079A (en) * | 2007-01-31 | 2008-08-14 | Nissan Motor Co Ltd | Shift lever mechanis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0343A (en) | 2013-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8742B1 (en) | Pop Up type Shift Lever Device | |
JP5323609B2 (en) | Shift lock mechanism of shift device f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 |
CN108692003B (en) | Transmissions and Systems | |
KR101305824B1 (en) | Integrated Control Shift Lever Device | |
JP5905247B2 (en) | Integrated control shift lever device | |
KR102166706B1 (en) | Button type electronic shift lever system | |
KR101397591B1 (en) | Automotive transmission | |
KR101382694B1 (en) | Sliding Pop Up type Shift Lever Device | |
KR101704253B1 (en) | Button type electronic shift lever system | |
KR20130066972A (en) | Shift lever improving operability in automatic transmission | |
KR102238079B1 (en) | Hybrid shift lever | |
KR20170000007A (en) | 2-Step Button Type Electronic Auto Shift Lever | |
JP2004513012A (en) | Transmission op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ransmission operating device | |
KR101459960B1 (en) |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 |
JP2017009106A (en) | Vehicular electronic transmission system using smart key | |
CN210423680U (en) | Electronic gear shifting mechanism and automobile | |
JP2011037370A (en) | Vehicular shift control device | |
KR20210083528A (en) | Transmission for vehicle | |
JP4726463B2 (en) | Speed change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 |
KR20150059440A (en) | A transmission controller with button | |
KR101745252B1 (en) |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 |
KR102405971B1 (en) | Kickdown Switch | |
JP2000043600A (en) | Shift lever | |
CN102815212B (en) | The automobile bar apparatus of IGNITION CONTROL type | |
JP5461102B2 (en) | Switch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3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5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9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5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