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8532B1 -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532B1
KR101338532B1 KR1020110035587A KR20110035587A KR101338532B1 KR 101338532 B1 KR101338532 B1 KR 101338532B1 KR 1020110035587 A KR1020110035587 A KR 1020110035587A KR 20110035587 A KR20110035587 A KR 20110035587A KR 101338532 B1 KR101338532 B1 KR 101338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cucumber
extract
fraction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170A (ko
Inventor
김상무
최승화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53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53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6Echinodermata, e.g. starfish, sea cucumbers or sea urch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β-glucuronidase 저해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대장암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합성 대장암 치료물질과는 달리 천연물질인 해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부작용 등이 문제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lon cancer containing extract of sea cucumber}
본 발명은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민소득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영양과잉 및 운동부족으로 성인병의 발병이 증가하여 국민 건강에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2년도 우리국민의 사망 원인별 질병은 1위 암, 2위 뇌혈관질환, 3위 심장질환, 4위 당뇨, 5위는 만성하기도 질환이다.
채소의 섭취가 적고 육류의 섭취가 높은 선진국형 식단 즉, 영양과잉 섭취 및 고지방식은 장내세균의 효소생산을 유도할 뿐 아니라 담즙배설을 촉진하여 장내미생물에 의해 과도한 2차 담즙산과 스테로이드 대사체 등을 생성하며, 장내세균의 β-glucuronidase 의 활성을 높여 2차 담즙산, 독성물질의 탈포합 또는 indole 등의 생성을 증가시켜 대장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내세균의 구성은 음식물, 연령, 유산균 섭취, 발암원의 흡수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결과 장내세균이 생산하는 효소활성도 영향을 받는다.
β-glucuronidase는 간에서 benzo(a)pyrene 등의 유독성 물질이 glucuronic acid conjugate로 무독화되어 장으로 보내졌을 때 이 결합을 끊어 주어 발암원을 제공한다. 따라서 장내세균이 생성하는 β-glucuronidase는 대장암과 같은 성인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성인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장내의 높은 pH에 의해 β-glucuronidase의 활성이 유도되므로 장내 pH를 낮추어 β-glucuronidase 활성을 저하시키거나, β-glucuronidase 저해제를 사용한 직접적인 저해로 발암원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해삼은 극피동물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류의 총칭이다. 약효가 인삼과 같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 식품학적으로 해삼은 수분이 많아 90.5%가 수분이 대부분이며 단백질이 3.2%, 지방이 0.2%, 무기질이 3.5%이다. 무기질로는 칼슘이 많으며, 단백질의 질이 우수하고 칼슘과 인이 적절한 비율로 들어 있다. 연골부에는 콘드로이친 황산이 많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은 단맛을 내는 alanine 및 감칠맛을 내는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인삼의 기능성 성분인 saponin의 함량도 높아 바다의 인삼으로 불린다.
이들 해삼은 해저 백화현상 등을 유발하여 국내 해양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들의 효율적인 이용은 어민들의 소득증가, 기능성 소재 시장의 확대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의 복원 등 여러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세계 인구의 증가로 인한 식량부족,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의 상승으로 육지 경작면적의 감소,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 등의 요인으로 육상생물 유래 천연물의 이용에는 한계가 있으며,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해양 천연물질로부터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천연물질, 특히 해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대장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해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β-glucuronidase 저해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대장암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합성 대장암 치료물질과는 달리 천연물질인 해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부작용 등이 문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해삼(Stichopus japonicas)은 극피동물 해삼강에 속하며 몸은 앞뒤로 긴 원통 모양이고, 등에 혹 모양의 돌기가 여러 개 나 있다. 몸의 앞쪽 끝에는 입이 열려 있고 그 둘레에 촉수가 여러개 달려 있으며, 뒤쪽 끝에는 항문이 있다. 또 아랫면에 가는 관으로 된 관족이 많이 나 있어, 이것으로 바다 밑을 기어 다닌다. 피부 속에는 석회질로 된 작은 골편(骨片)이 드문드문 들어 있다. 암수의 구별이 있으나, 겉모습으로는 구별하기 힘들다. 외부에서 자극을 받으면 장(腸)을 끊어서 항문 밖으로 내보내는데, 재생력이 강해서 다시 생긴다.
추출대상인 해삼은 체벽 및 내장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해삼의 내장일 수 있다. 상기 해삼 내장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다른 부위에 비하여 β-glucuronidase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 (extract)"이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해삼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한 동물 추출물일 수 있으며, 추출용매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이들을 분획용매에 의해 수득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및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80%의 메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은 통상의 동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 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 가속용매, 극초단파, 초임계, 초고전압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상기 건조는 일 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해삼 추출물은 해삼을 건조하고 마쇄하여 건조시료를 제조한 후, 상기 건조 시료를 80% 메탄올에 첨가하고 추출하여 조추출액을 얻은 후에, 상기 조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한 해삼 추출물은 물에 용해하고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한 후에, 상기 분획물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해삼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해삼 추출물은 상기 수득된 추출액 및 분획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 및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 및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킨 해삼 추출물은 분말, 농축액 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농도는 0.1 내지 0.4 mg/mL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농도의 분획물의 경우 β-glucuronidase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표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와 같다.
(a)해삼에 80% 메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하고, 진공 건조하는 단계;
(b)상기 건조 추출물을 물에 용해하여,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하는 단계; 및
(c)상기 분획물을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해삼은 건조하여 마쇄된 해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해삼의 내장 또는 체벽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열풍건조 혹은 동결건조, 특히 동결건조일 수 있다. 해삼과 80% 메탄올의 함량은 해삼 1kg을 기준으로 80% 메탄올 1 L 내지 25 L, 5 L 내지 20 L, 15 L 내지 20 L일 수 있다. 또한 해삼 메탄올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단계를 거치는 경우, 해삼의 고형분을 제거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양질의 해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진공건조는 해삼 추출물이 전부 건조될 때까지 진공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공건조는 추출용매로 유기용매를 사용 하였을 경우 동결건조, 열풍건조 등의 방법보다 건조 시간이 짧고, 에너지 소비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진공건조 시 생산시간의 조절을 위하여 가열 등의 방법을 병행할 수 있으며, 가열은 30내지 60℃, 40℃일 수 있으며, 건조시간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0~60분간 할 수 있다. 건조된 해삼 추출물은 육안에 의한 관찰 시 하나의 단일물로 파악될 수 있을 정도로 전체적으로 균질한 갈색 즉, 암갈색일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건조 추출물의 분획을 위하여 물 등의 용매에 용해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용해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열 등의 방법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저분자 물질의 분획을 위하여 유기용매, 부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일 수 있으며, 특히 클로로포름일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분획한 해삼 분획물이 전부 건조될 때까지 진공건조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진공건조 시 생산시간의 조절을 위하여 가열 등의 방법을 병행할 수 있으며, 가열은 30내지 60℃, 40℃일 수 있으며, 건조시간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0~60분간 할 수 있다.
건조된 해삼 분획물은 육안에 의한 관찰 시 하나의 단일물로 파악될 수 있을 정도로 전체적으로 균질한 갈색 즉, 암갈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대장암에 대한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약리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해삼 체벽 추출물 및 내장 추출물이거나 이를 통합하여 제조한 추출물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0.001 중량% 내지99.9 중량%, 0.1 중량% 내지 99 중량%, 1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00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대장암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 과립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리모나데제, 산제, 시럽제, 안연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점안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캅셀제, 크림제, 환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기준으로 1일 0.0001 내지 12g/kg으로, 0.01 내지 10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 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15 g, 0.05 내지 10 g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100 중량부 당 0 내지 2000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5 내지 12 g이다.
본 발명에서 천연조미료란 천연물을 사용하여 식품의 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의 총칭을 의미한다. 상기 천연조미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조미료와 같이 여러 가지 천연복합물,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5 g, 0.05 내지 10 g이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에 있어, 상기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 의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0.3 내지 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고, 천연 조미료 조성물은 100 g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g, 0.1 내지 2 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β-glucuronidase 효소 활성을 저해하여 2차 담즙산 및 indole 등의 생성을 억제, 대장암 관련 질환의 예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해삼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해삼 분말의 제조
실험에 사용한 해삼은 동해안 자연산 활해삼을 (주)다오물산(주문진, 대한민국)에서 2009년에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구입한 동해안산 해삼은 체벽 및 내장을 분리하고 건조 한 후 마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구입한 평균 무게 181 g의 동해안산 해삼의 체벽과 내장을 분리하고 72시간 동안 -80℃ 하에서 동결건조 하여 건조 해삼과 내장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를 마쇄하고 500 mm 채로 여과하여 여과된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해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한 해삼 체벽 및 내장 분말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조한 체벽 분말 200 g에 80% 메탄올 5 L를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용매 추출하였다. 추출 후 상층액은 40℃ 하에서 진공 건조하였으며, 남은 고형분은 다시 80% 메탄올 5 L를 가하여 추출하고 이를 2회 반복한 뒤 상층액을 진공 건조하여 70.5 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한 내장 분말 285 g에 80% 메탄올 2 L를 가하여 상온에서 5시간 동안 용매 추출하였다. 추출 후 상층액은 40℃ 하에서 진공 건조하였으며, 남은 고형분은 다시 80% 메탄올 2 L를 가하여 추출하고 이를 2회 반복한 뒤 상층액을 진공 건조하여 101.7 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서 -40℃로 보관하였다.
실시예 1-3. 해삼 추출물의 분획
상기 수득한 해삼 추출물을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하여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80% 메탄올로 추출한 해삼 체벽 및 내장 추출물(100 g)에 5배량의 물(500 mL)을 첨가하고 같은량(500 mL)의 헥산를 첨가하여 헥산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사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고 40℃ 하에서 진공 건조하였으며, 상기 수득한 분획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서 -40℃로 보관하였다.
< 실시예 2> 해삼 분획물의 분석
해삼 내장 분획물의 β- glucuronidase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해삼 분획물의 β-glucuronidase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β-glucuronidase는 간에서 benzo(a)pyrene등의 유독성 물질이 glucuronic acid conjugate로 무독화 되어 장으로 보내졌을 때 이 결합을 끊어 주어 발암원을 제공하며 이로 인하여 대장암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β-glucuronidase의 저해는 대장암을 예방효과가 기대되므로, β-glucuronidase를 통하여 해삼 분획물의 항대장암 활성을 분석하였다. 해삼 분획물의 β-glucuronidase 효소 저해활성의 측정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유래의 β-glucuronidase(Sig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10 mM phosphate buffer(pH 7.0)로 농도를 조정한 시료 0.1 mL에 10 mM phosphate buffer(pH 7.0) 2.2 mL와 20 U/mL E. coli β-glucuronidase 0.1 mL를 가하여 37℃에서 5분간 예비 반응하였다. 이후 40 mM p-nitrophenyl-β-D-glucuronide 0.1 mL를 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하였으며, 0.25 M Na2CO3 1.5 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한 다음 405 nm에서 저해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사카릭산(saccharic acid 1,4-lactone)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해삼 내장 용매분획물의 β-glucuronidase 저해활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ractions β-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
0.01 mg/mL1 0.1 mg/mL 0.4 mg/mL
헥산 NI2 NI NI
클로로포름 9.1 ± 0.6a 49.4 ± 2.3a 79.7 ± 0.5a
에틸아세테이트 9.5 ± 2.0a 16.1 ± 0.2b 45.6 ± 0.1b
부탄올 NI 3.5 ± 1.7c 22.8 ± 0.5c
NI NI NI
사카릭 산 ND3 50.1 ± 2.0a 80.2 ± 3.2a
a-c Means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The final concentration in the reaction mixture.
2 No inhibition.
3 Not determined.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삼 내장의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용매분획물은 β-glucuronidase 효소 저해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헥산과 물 분획물은 저해활성이 없었다. β-Glucuronidase 효소 저해 활성이 존재하는 용매 분획물 중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0.1 mg/mL의 농도에서 약 49.4%를 저해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사카릭산은 0.1 mg/mL의 농도에서 50.1%를 저해하여 해삼 내장의 클로로포름 분획물과 β-glucuronidase 효소 저해활성이 유사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해삼 내장 용매 분획물 중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섭취하는 경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사카릭산과 β-Glucuronidase 저해활성이 유사하여 해삼 용매 분획물은 2차 담즙산, 독성물질의 탈포합 또는 indole 등의 생성을 억제시킴으로써 대장암을 유발 효과를 제어하거나 대장암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실시예 3> 해삼 분획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3의 해삼 분획물..................100 mg
옥수수 전분...............................68 mg
락토오즈..................................90 mg
미세결정질 셀룰로즈.......................4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2 mg
통상적인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교반한 후,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타정기를 사용하여 1 정당 유효 성분인 해삼 분획물이 100 mg씩 포함되어 있는 목적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3의 해삼 분획물....................100 mg
옥수수 전분................................68 mg
락토오즈...................................90 mg
미세결정질 셀룰로즈........................4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2 mg
통상적인 캅셀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1 캅셀 당100 mg의 해삼 분획물이 포함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젤라틴 캅셀에 충진하여 목적하는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실시예 1-3의 해삼 분획물...........................100 mg
농축 과즙........................................2 g
슈크로즈.........................................12 g
시트르산 나트륨..................................100 mg
향료.............................................70 mg
물...............................................적당량
통상적인 음료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 된 함량으로 적당량의 물에 혼합하고,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냉각시키고 용기에 충전하여 200 ml 용량의 음료 1병당 100 mg의 해삼 분획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6)

  1. 해삼 체벽 및 내장의 추출물, 또는 이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포함하고, β-glucuronidase의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삼 체벽 및 내장의 추출물, 또는 이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농도는 0.1 내지 0.4 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예방용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삼 체벽 및 내장의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a) 해삼의 체벽 및 내장을 건조하고 마쇄하여 건조 시료를 얻는 단계;
    (b) 상기 건조 시료를 80% 메탄올에 첨가하여 추출하고 진공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추출물을 물에 용해하고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분획물을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예방용 약학 조성물.
  6. 해삼 체벽 및 내장의 추출물, 또는 이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포함하고, β-glucuronidase의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0110035587A 2011-04-18 2011-04-18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338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587A KR101338532B1 (ko) 2011-04-18 2011-04-18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587A KR101338532B1 (ko) 2011-04-18 2011-04-18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170A KR20120118170A (ko) 2012-10-26
KR101338532B1 true KR101338532B1 (ko) 2013-12-06

Family

ID=4728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5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8532B1 (ko) 2011-04-18 2011-04-18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713B1 (ko) * 2018-01-10 2020-09-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Prevention Research, Vol. 3(1), pp. 82~9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170A (ko)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841B1 (ko)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0786B1 (ko) 아까시재목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448542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7428A (ko)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1961B1 (ko) 으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JP5969529B2 (ja) 抗炎症剤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KR101338532B1 (ko)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9490B1 (ko)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디엑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139872A (ko) 생강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57329B1 (ko)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20067467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0781B1 (ko)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20118174A (ko) 항산화 작용을 갖는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85215A (ko) 흑마늘 및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4649B1 (ko) 직립싸리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262743B1 (ko) 해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8208030A (ja) 肝中脂質蓄積抑制剤
KR101625280B1 (ko) 알바트렐러스 플레티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90800B1 (ko) 붉은덕다리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90792B1 (ko) 노란반달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141962A (ko) 생강즙 및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50068576A (ko)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4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4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