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8254B1 - 특고압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특고압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254B1
KR101338254B1 KR1020130128862A KR20130128862A KR101338254B1 KR 101338254 B1 KR101338254 B1 KR 101338254B1 KR 1020130128862 A KR1020130128862 A KR 1020130128862A KR 20130128862 A KR20130128862 A KR 20130128862A KR 101338254 B1 KR101338254 B1 KR 101338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bs
high voltage
mof
switch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성화종합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종합전기(주) filed Critical 성화종합전기(주)
Priority to KR102013012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25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8Disposition or arrangement of f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D(Voltage Detector), LA(Lightening Arrester), 퓨즈, 접지 스위치를 일체형으로 축소한 LBS(Load Break Switch)를 구축하도록 한 특고압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고압 수배전반의 인입점에 연결되어 특고압 케이블의 연결 및 차단을 수행하는 일체형 LBS)부; 일체형 LBS부에 연결된 MOF(Metering Out Fit)부; MOF부에 병렬로 연결된 PT(Potential Transformer)부; MOF부와 PT부에 연결된 VCB(Vacuum Circuit Breaker)부; VCB부에 연결된 CT(Current Transformer)부; 및 PT부와 CT부에서 검출된 신호와 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표시하는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를 포함하며; 일체형 LBS부는, 특고압 수배전반의 인입점에 설치되는 LBS; 특고압 수배전반의 인입점에 LBS와 병렬로 연결된 VD(Voltage Detector); 단독 접지로 연결되고 LBS에 병렬로 연결된 LA(Lightening Arrester); LA와 함께 LBS에 연결된 퓨즈; 및 일단이 퓨즈와 MOF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에 연결된 접지 스위치를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고압 수배전반 {Distributing panel for very high voltage}
본 발명은 특고압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VD(Voltage Detector), LA(Lightening Arrester), 퓨즈, 접지 스위치를 일체형으로 축소한 LBS(Load Break Switch)를 구축하도록 한 특고압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전력을 상용 전압으로 강압하여 수용가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 설비, 변전소로부터 수전된 고압의 전력을 상용 전압으로 강압하기 위한 변전 설비, 강압된 전기를 빌딩 내 각 부의 전기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배전 설비, 스위치 장치 및 기타 안전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배전반에 적용하는 폐쇄형 배전반은, 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각 수용가의 부하에 적합하게 감압한 후에 배전하도록 전기 기기나 회로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계기류, 계전기류, 변성기류,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VCB), 단로기(Disconnect Switch; DS) 등과 같은 개폐기류, 부스바 등을 하나의 장소에 집중해서 시설하는 것으로서, 각 단위 회로마다 격리하여 수납되도록 접지된 금속 또는 절연 격벽에 의해 분할되거나, 별도의 공간을 갖는 여러 개의 격실 구조로 이루어진 것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4509호(2010.09.24 등록)는 빌딩이나 공장 및 플랜트, 석유화학, 제철, 건설 등과 같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사용전력이 많은 곳에서 전기를 분배 공급하는 고압 배전반의 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고압 배전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고압 배전반에 있어서, 고압 배전반은, 진공차단기가 설치되는 제1격실과, 복수의 계기용 변류기가 설치되며 절연판에 의하여 계기용 변류기가 절연되는 제2격실과, 배선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부가 구성된 제3격실과, 특고압 절연애자와 다수의 모선 부스바가 설치되는 제4격실을 포함하고, 제1격실은 진공차단기와 크래들이 설치되고, 진공차단기의 후단에는 접속자가 형성되어 후방의 크래들의 부싱에 접속되고, 크래들의 각 부싱의 전면에 상하로 분할된 투명 분할창이 스프링에 의하여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고, 투명 분할창은 절연성이 우수한 아크릴수지로 제조되고, 일단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힌지공에는 고정핀으로 고정되어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배전반의 폭을 작게 하여 배전반의 배전반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되어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인접한 모선 부스바 간에 아크발생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배전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진공차단기의 투입단계를 문을 열지 않고 용이하게 하부 전면 도어 상에 표시된 램프에 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진공차단기의 투입이나 해제 시에 아크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안전하게 진공차단기를 투입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리로 형성되는 모선 부스바의 설치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고장 시에 상용화된 사용부품을 용이하게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6704호(2012.10.26 등록)는 전압 감지 기능 센서가 내장된 고압 벽관통 부싱 및 저압 벽관통 부싱을 배전반에 채택하여 전력계통의 높은 안정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배전반 내부 기기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전압 감지 기능을 갖춘 격벽 격실 축소형 고저압 폐쇄배전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고압 벽관통 부싱, 고압 공급 케이블을 통해 유입된 전기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기, 전압을 감지 제어하는 전압표시제어기, 계기용 변압기, 진공차단기, 계기용 변류기, 다기능 디지털 보호계전기, 서어지 흡수기,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고압 배전반 및 저압 벽관통 부싱, 기중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 영상 변류기, 다기능 디지털시계, 누전 화재경보기,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저압 배전반으로 이루어지고, 저압 배전반과 고압 배전반은 금속판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격벽으로 격실을 갖춘 격벽 격실 축소형 고저압 폐쇄배전반에 있어서, 고압 벽관통 부싱은 24kV 특고압에 적용되도록 내부에 도체가 삽입 배치되고, 도체의 주변에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애관이 배치되며, 절연애관의 중앙에 패널 걸림부가 설치되고, 패널 걸림부의 내부에 도체와 평행 방향으로 전압 감지 기능 센서가 내장되는 동시에 외주 면에 전압감지 기능 센서와의 접속 단자를 형성하며, 패널 걸림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점진적으로 적어지면서 절연애관의 표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방열절연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절연애관의 양쪽 끝단에 다수 개의 방열절연돌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돌출턱의 가장자리 선단 면에 도체와 연결된 접속판이 설치되고, 저압 벽관통 부싱은 7.2kV 이하 고압 및 저압에 적용되도록 내부에 도체가 삽입 배치되고, 중앙에 패널 걸림부가 설치되며, 패널 걸림부의 내부에 도체와 평행 방향으로 전압감지 기능 센서가 내장되는 동시에 외주 면에 전압 감지 기능 센서와의 접속 단자를 형성하고, 패널 걸림부의 양쪽 끝단에 도체와 연결된 접속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배전반은, 크게 LBS(Load Break Switch)반, MOF(Metering Out Fit)반, PT(Potential Transformer)반, VCB(Vacuum Circuit Breaker)반으로 4개의 판넬(Panel)로 구성되는 폐쇄 배전반 구조를 가지며, 설치 면적이 적어도 가로 5,600(mm), 세로 4,600(mm)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에 판넬 제작 및 조립에 소요되는 외주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공간 제약이 있는 전기실에 설치 불가하여 공사비용을 증대시키고 수출 시에 컨테이너 탑재로 인한 공간 제약 및 비효율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배전반은, 절연 거리의 확보를 고려하기 위한 외함 설계가 필요하여 배전반의 외함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며, 또한 정전 작업 시 또는 유지 보수 작업 시에 방전을 위한 접지 작업이 별도로 필요한데, 즉 접지봉으로 각 상을 방전시키고, 접지봉을 연결한 다음에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공정을 가지고 있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배전반은, 판넬 적용 시에 공간이 많이 필요하여 좁은 전기실에 설치하기에는 그 제약이 많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450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34730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VD(Voltage Detector), LA(Lightening Arrester), 퓨즈, 접지 스위치를 일체형으로 축소한 LBS(Load Break Switch)를 구축하도록 한 특고압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LBS에서 절연체를 사용하여 3상의 고정 도체와 가동 도체로 구성된 상간을 차폐하여 상간의 절연 거리를 축소하도록 한 특고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특고압 수배전반의 인입점에 연결되어 특고압 케이블의 연결 및 차단을 수행하는 일체형 LBS(Load Break Switch)부; 상기 일체형 LBS부에 연결된 MOF(Metering Out Fit)부; 상기 MOF부에 병렬로 연결된 PT(Potential Transformer)부; 상기 MOF부와 상기 PT부에 연결된 VCB(Vacuum Circuit Breaker)부; 상기 VCB부에 연결된 CT(Current Transformer)부; 및 상기 PT부와 상기 CT부에서 검출된 신호와 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표시하는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LBS부는, 상기 특고압 수배전반의 인입점에 설치되는 LBS; 상기 특고압 수배전반의 인입점에 상기 LBS와 병렬로 연결된 VD(Voltage Detector); 단독 접지로 연결되고 상기 LBS에 병렬로 연결된 LA(Lightening Arrester); 상기 LA와 함께 상기 LBS에 연결된 퓨즈; 및 일단이 상기 퓨즈와 상기 MOF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에 연결된 접지 스위치를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지 스위치는, 상기 LBS 차단 시에 차단되어, 상기 LBS 차단 시에 발생되는 2차 충전 전류 방전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특고압 수배전반은, 다수 개의 격실을 구비하는 하나의 판넬 내부에 상기 일체형 LBS부, 상기 MOF부, 상기 PT부, 상기 VCB부, 상기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 및 상기 CT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일체형 LBS부는, 상기 판넬의 제1 격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체형 LBS부의 구성 요소들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LBS부 본체; 하부가 상기 LBS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연결 바에 의해 상부가 서로 연결되며, 3상의 고정 도체와 가동 도체로 구성된 상간을 서로 차폐하는 다수 개의 절연 차폐판; 및 상기 LBS부 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LBS부 본체를 전후 이동시켜 주는 두 개의 LBS부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PT부는, 상기 판넬의 제3 격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PT부의 구성 요소들을 고정 설치하는 PT부 본체; 및 상기 PT부 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PT부 본체를 전후 이동시켜 주는 두 개의 PT부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VD(Voltage Detector), LA(Lightening Arrester), 퓨즈, 접지 스위치를 일체형으로 축소한 LBS(Load Break Switch)를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배전반 대비 표면적 및 부피(전체 설치 면적)를 약 1/4로 축소할 수 있으며, 이에 판넬 제작 및 조립에 소요되는 외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료비를 50(%) 이상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 및 경량화에 의한 배전반 설치 공간 축소로 공간 제약이 있는 전기실에도 설치 가능하여 공사비용을 감소시키고 수출 시에 컨테이너 탑재가 용이해져 해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LBS에서 절연체를 사용하여 3상의 고정 도체와 가동 도체로 구성된 상간을 차폐하여 상간의 절연 거리를 축소하도록 함으로써, 배전반의 소형화로 외함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며, 또한 판넬 적용 시에도 공간이 축소되어 좁은 전기실뿐만 아니라 모든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 작업 시나 유지 보수 작업 시에 LBS 및 PT(Potential Transformer)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번거로운 공정 없이 정전 작업 시나 유지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고압 수배전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특고압 수배전반의 판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일체형 LBS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PT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고압 수배전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고압 수배전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특고압 수배전반(100)은, 일체형 LBS(Load Break Switch)부(110), MOF(Metering Out Fit)부(120), PT(Potential Transformer)부(130), VCB(Vacuum Circuit Breaker)부(140),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150), CT(Current Transformer)부(160)를 포함한다.
일체형 LBS부(110)는, 부하 개폐용 스위치로서 특고압 케이블(예를 들어, 3상4선)의 연결 및 차단을 수행하는데, LBS(111)를 VD(Voltage Detector)(112), LA(Lightening Arrester)(113), 퓨즈(Fuse)(114), 접지 스위치(Earth Switch)(115)와 함께 일체형으로 축소 구현하며, 일단이 특고압 수배전반(100)의 인입점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MOF부(120)에 연결된다.
LBS(111)는, 전동으로 자동 조작되는 부하 개폐기(예를 들어, 24(KV) 630(A))로서, 특고압 수배전반(100)의 인입점에 설치되며, 해당 인입점에 VD(112)와 병렬로 연결되고 해당 인입점의 반대 측에 퓨즈(114)와 연결된다.
VD(112)는, 통전 표시를 하는 검진기(예를 들어, 25.8(KV))로서, 특고압 수배전반(100)의 인입점에 LBS(111)와 병렬로 연결된다.
LA(113)는, 일단이 단독 접지에 연결되어 낙뢰로부터 특고압 수배전반(100)을 보호하는 세 개의 피뢰기(예를 들어, 18(KV) 5(KA))로서, 다른 일단이 LBS(111)에 퓨즈(114)와 함께 병렬로 연결된다.
퓨즈(114)는, 과전압 및 과전류로부터 특고압 수배전반(100)을 보호하기 위한 퓨즈(예를 들어, 24(KV) 40(KA))로서, 일단이 LBS(111)에 LA(113)와 함께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 스위치(115)와 함께 MOF부(120)에 연결된다.
접지 스위치(115)는, 수동 조작으로 정전 시 또는 유지 보수 작업 시에 R, S, T 상 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로, 일단이 퓨즈(114)와 MOF부(12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접지 스위치(115)는, LBS(111) 차단 시에 전동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될 수도 있으며, LBS(111) 차단 시에 발생되는 2차 충전 전류 방전을 차단시킬 수 있다.
MOF부(120)는, PT(예를 들어, 13200/110(V)) 및 CT(예를 들어, 75/5(A))를 구비하여 전력 사용량을 계측하기 위한 전기 계량기용 변압변류기로서, 일체형 LBS부(110)와 PT부(130) 사이에 연결된다.
PT부(130)는, 퓨즈(131)와 세 개의 PT(132)를 구비한 계기용 변압기로서, 일단이 MOF부(120)와 VCB부(140)에 병렬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150)에 연결되어, MOF부(120)를 통해 걸리는 전압 값을 검출하여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150)로 전달해 준다.
VCB부(140)는, PT부(130)의 2차측의 부하단 사고 차단이나, 점검 보수를 위해 차단하기 위한 특고압 차단기(예를 들어, 24(KV) 630(A))로서, 일단이 PT부(130)와 함께 MOF부(12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CT부(160)에 연결된다.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150)는, 일단이 PT부(13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CT부(160)에 연결되어, PT부(130)와 CT부(160)에서 검출된 신호(즉, 전압 값, 전류 값)와 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값(전력 값 등)을 표시해 준다.
CT부(160)는, 세 개의 CT(예를 들어, 100/5(A))를 구비한 계기용 변류기로서, VCB부(140)와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150)에 연결되어, VCB부(140)를 통해 흐르는 전류 값을 검출하여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150)로 전달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특고압 수배전반(100)은, VD(112), LA(113), 퓨즈(114), 접지 스위치(115)를 일체형으로 축소한 LBS(111)를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배전반 대비 표면적 및 부피(전체 설치 면적)를 약 1/4로 축소할 수 있으며, 이에 판넬(200)의 제작 및 조립에 소요되는 외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료비를 50(%) 이상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 및 경량화에 의한 수배전반(100)의 설치 공간 축소로 공간 제약이 있는 전기실에도 설치 가능하여 공사비용을 감소시키고 수출 시에 컨테이너 탑재가 용이해져 해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특고압 수배전반의 판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특고압 수배전반(100)은, 일체형 LBS부(110), MOF부(120), PT부(130), VCB부(140),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150), CT부(160)를 하나의 판넬(210) 내부에 구비하여 설치한다.
판넬(210)은 4개의 격실(211 ~ 214)을 구비하며, 제1 격실(211)에는 일체형 LBS부(110)를 설치하며, 제2 격실(212)에는 MOF부(120)를 설치하며, 제3 격실(213)에는 PT부(130)를 설치하며, 제4 격실(214)에는 VCB부(140),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150), CT부(160)를 설치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일체형 LBS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체형 LBS부(110)는, LBS부 본체(116), 다수 개의 절연 차폐판(117), 두 개의 LBS부 레일(118)을 더 포함한다.
LBS부 본체(116)는, 판넬(210)의 제1 격실(2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판으로서, 상부에 일체형 LBS부(110)의 구성 요소들(즉, LBS(111) VD(112), LA(113), 퓨즈(114), 접지 스위치(115), 절연 차폐판(117), LBS부 레일(118))을 고정 설치해 준다.
절연 차폐판(117)은,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LBS부 본체(116)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연결 바(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에 의해 상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3상의 고정 도체와 가동 도체로 구성된 상간을 서로 차폐하여 상간의 절연 거리를 축소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LBS부 레일(118)은, LBS부 본체(116)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LBS부 본체(116)를 전후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체형 LBS부(110)를 가진 특고압 수배전반(100)은, 일체형 LBS부(110)에서 절연체를 사용하여 3상의 고정 도체와 가동 도체로 구성된 상간을 차폐하여 상간의 절연 거리를 축소하도록 함으로써, 수배전반(100)의 소형화로 외함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며, 또한 판넬(210) 적용 시에도 공간이 축소되어 좁은 전기실뿐만 아니라 모든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체형 LBS부(110)를 가진 특고압 수배전반(100)은, 지지 본체(116)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레일(118)에 의해서, 정전 작업 시나 유지 보수 작업 시에 일체형 LBS부(1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번거로운 공정 없이 정전 작업 시나 유지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체형 LBS부(110)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애자 본체와, 애자 본체를 지나는 모선에 VD(112)를 연결하는 활선감지애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접지 스위치(115)를 내장하여 LBS(111) 차단 시에 발생되는 2차 충전 전류 방전을 차단시켜 2차 충전 전류 방전으로 인한 감전 사고를 완전히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PT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T부(130)는, PT부 본체(133), 두 개의 PT부 레일(134)을 더 포함한다.
PT부 본체(133)는, 판넬(210)의 제3 격실(213)의 하부에 설치되는 함으로서, 내부 및 외부에 PT부(130)의 구성 요소들(즉, 퓨즈(131), PT(132), PT부 레일(134))을 고정 설치해 준다.
PT부 레일(134)은, PT부 본체(133)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PT부 본체(133)를 전후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PT부(130)를 가진 특고압 수배전반(100)은, PT부 본체(133)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PT부 레일(134)에 의해서, 정전 작업 시나 유지 보수 작업 시에 PT부(13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번거로운 공정 없이 정전 작업 시나 유지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특고압 수배전반(100)은, 판넬(210)의 제2 격실(2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MOF부(120)나, 판넬(210)의 제4 격실(2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VCB부(140)도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한 본체와 레일을 각각 구성함으로써, 정전 작업 시나 유지 보수 작업 시에 MOF부(120)나 VCB부(140)를 인출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특고압 수배전반
110: 일체형 LBS(Load Break Switch)부
111: LBS
112: VD(Voltage Detector)
113: LA(Lightening Arrester)
114, 131: 퓨즈
115: 접지 스위치(Earth Switch)
116: LBS부 본체
117: 절연 차폐판
118: LBS부 레일
120: MOF(Metering Out Fit)부
130: PT(Potential Transformer)부
132: PT
133: PT부 본체
134: PT부 레일
140: VCB(Vacuum Circuit Breaker)부
150: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
160: CT(Current Transformer)부

Claims (5)

  1. 특고압 수배전반의 인입점에 연결되어 특고압 케이블의 연결 및 차단을 수행하는 일체형 LBS(Load Break Switch)부;
    상기 일체형 LBS부에 연결된 MOF(Metering Out Fit)부;
    상기 MOF부에 병렬로 연결된 PT(Potential Transformer)부;
    상기 MOF부와 상기 PT부에 연결된 VCB(Vacuum Circuit Breaker)부;
    상기 VCB부에 연결된 CT(Current Transformer)부; 및
    상기 PT부와 상기 CT부에서 검출된 신호와 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표시하는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LBS부는, 상기 특고압 수배전반의 인입점에 설치되는 LBS;
    상기 특고압 수배전반의 인입점에 상기 LBS와 병렬로 연결된 VD(Voltage Detector);
    단독 접지로 연결되고 상기 LBS에 병렬로 연결된 LA(Lightening Arrester);
    상기 LA와 함께 상기 LBS에 연결된 퓨즈; 및
    일단이 상기 퓨즈와 상기 MOF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에 연결된 접지 스위치를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스위치는,
    상기 LBS 차단 시에 차단되어, 상기 LBS 차단 시에 발생되는 2차 충전 전류 방전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수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격실을 구비하는 하나의 판넬 내부에 상기 일체형 LBS부, 상기 MOF부, 상기 PT부, 상기 VCB부, 상기 디지털 복합형 계기부 및 상기 CT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수배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LBS부는,
    상기 판넬의 제1 격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체형 LBS부의 구성 요소들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LBS부 본체;
    하부가 상기 LBS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연결 바에 의해 상부가 서로 연결되며, 3상의 고정 도체와 가동 도체로 구성된 상간을 서로 차폐하는 다수 개의 절연 차폐판; 및
    상기 LBS부 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LBS부 본체를 전후 이동시켜 주는 두 개의 LBS부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수배전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T부는,
    상기 판넬의 제3 격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PT부의 구성 요소들을 고정 설치하는 PT부 본체; 및
    상기 PT부 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PT부 본체를 전후 이동시켜 주는 두 개의 PT부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수배전반.













KR1020130128862A 2013-10-29 2013-10-29 특고압 수배전반 Expired - Fee Related KR101338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862A KR101338254B1 (ko) 2013-10-29 2013-10-29 특고압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862A KR101338254B1 (ko) 2013-10-29 2013-10-29 특고압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254B1 true KR101338254B1 (ko) 2013-12-09

Family

ID=4998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8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8254B1 (ko) 2013-10-29 2013-10-29 특고압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880B1 (ko) * 2016-06-17 2016-10-07 (주)은성엔지니어링 금속구조물을 이용한 접지 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09471B1 (ko) 2022-10-19 2023-03-1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이 집적회로 제어모듈을 이용한 수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678B1 (ko) 2008-08-13 2010-07-14 최성권 전류개선방식의 고절전형 수배전반
KR100984509B1 (ko) 2010-05-06 2010-09-30 성화종합전기(주) 고압 배전반
KR101266963B1 (ko) 2011-10-25 2013-05-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678B1 (ko) 2008-08-13 2010-07-14 최성권 전류개선방식의 고절전형 수배전반
KR100984509B1 (ko) 2010-05-06 2010-09-30 성화종합전기(주) 고압 배전반
KR101266963B1 (ko) 2011-10-25 2013-05-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880B1 (ko) * 2016-06-17 2016-10-07 (주)은성엔지니어링 금속구조물을 이용한 접지 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09471B1 (ko) 2022-10-19 2023-03-1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이 집적회로 제어모듈을 이용한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704B1 (ko) 전압 감지 기능을 갖춘 격벽 격실 축소형 고?저압 폐쇄배전반
KR100876586B1 (ko) 공기절연 고·저압 격실금속피복 절연축소형 폐쇄배전반
CN101540484B (zh) 开关机构
CN202840358U (zh) 六氟化硫环网柜
CN106159787A (zh) 一种封闭式气体绝缘开关柜
KR101336968B1 (ko) 다적재 멀티 배전반
KR10148993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291790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01298812A (ja) サージ保護配電システム
TWI445268B (zh) Switchgear
KR101338254B1 (ko) 특고압 수배전반
US12155182B2 (en) Electrical equipment with additional compartment and wiring to account for temperature limitations of connected conductors
KR101189520B1 (ko) 전압 감지 기능을 내장한 고?저압 벽관통형 부싱
KR100703036B1 (ko) 특고압 밀폐형 수변전 장치
KR101231766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105356306A (zh) 一种分组自动投切补偿柜安装结构
KR101231765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201536232U (zh) 一种气体绝缘环网配电单元
CN201584679U (zh) 电压互感器柜
KR200386749Y1 (ko) 특고압 밀폐형 수변전 장치
CN219677927U (zh) 一种充气柜侧出结构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100696675B1 (ko) 특별고압 수전설비
CN203278083U (zh) 一种小型化断路器柜
KR101008234B1 (ko)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0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80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1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