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7507B1 -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507B1
KR101337507B1 KR20130056383A KR20130056383A KR101337507B1 KR 101337507 B1 KR101337507 B1 KR 101337507B1 KR 20130056383 A KR20130056383 A KR 20130056383A KR 20130056383 A KR20130056383 A KR 20130056383A KR 101337507 B1 KR101337507 B1 KR 10133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residue
asr
vehicle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현
민태진
이정규
윤진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5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62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shredding scrap metal, e.g. automobi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4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the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trays or with tables
    • B03C1/0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the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trays or with table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05Direct recuperation and re-use of scrap material during moulding operation, i.e. feed-back of us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89Recycling systems, wherein the flow of products between producers, sellers and consumers includes at least a recycling step, e.g. the products being fed back to the sellers or to the producers for recycl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자동차 파쇄 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 ASR)을 투입받는 내부 고안을 가진 호퍼;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유입받아 성형하는 노즐; 및 호퍼를 통해서 투입받은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노즐로 제공하는 피딩부를 포함하며, 호퍼의 내부 공간에 자성을 가진 자성체가 위치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ASR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편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이 없고, 자동차 파쇄 잔재물의 성형체가 파손되지 않고 온전하게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ASR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규모가 커갈수록 폐자동차(ELV : End of Life Vehicle)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큰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각국은 점점 더 엄격한 규제를 통하여 오염은 최소화하고 자원의 재활용은 극대화하는 친화경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폐자동차 슈레더산물 가운데 철스크랩과 비철금속은 현재 거의 재질별 분리가 이루어져 재활용 되고 있으나, 소위 자동차 파쇄 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이라 부르는 잔재물은 대부분 소각 및 매립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파쇄 잔재물은 자동차 중량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어, 폐자동차 재활용률 재고를 위해서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재질별로 분리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폐자동차의 해체공정을 살펴보면, 최초 해체업자에게 인도되어 유용 부품이 회수된 후, 압축하여 슈레더 업체로 옮겨지며 이렇게 압축된 차량을 프레스 바디(Press Body)라고 한다. 프레스 바디(Press Body)에서 철, 비철금속 등의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슈레더 공정을 거치고 나면, 재이용이 곤란한 합성수지, 유리, 고무 등의 잔재물이 남는데, 이러한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ASR(Automobile Shredder Residue) 라고 한다.
현재 ASR은 현재 폐자동차에서 약 25% 전후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량 소각이나 매립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다. 소각하여 감용화 하는 것이 가능한 고체 산업폐기물은 소각하여 매립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ASR의 소각이나 매립은 폐자동차의 재활용률 감소와 매립지의 부족, 환경오염 문제등을 야기하고 있어 재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알려진 폐자원(refuse derived fuel: RDF)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ASR을 성형하여 연료로서 재활용하려는 시도를 하였지만, ASR 속에 혼입된 금속편으로 인해 스크류가 손상되거나(도 1 참조), 또는 ASR에 혼입된 금속편으로 인해 노즐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ASR을 성형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SR의 성형시에 ASR에 혼입된 금속편으로 인하여 장치의 손상이 없는 ASR 성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체가 파손되지 않고 온전하게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ASR 성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파쇄 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 ASR)을 투입받는 내부 고안을 가진 호퍼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유입받아 성형하는 노즐; 및 상기 호퍼를 통해서 투입받은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상기 노즐로 제공하는 피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의 내부 공간에 자성을 가진 자성체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장치는, 상기 호퍼의 내부 중심이 아닌 상기 호퍼의 내부 측면으로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공급시키는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퍼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자성체는, 상기 컨페이어 벨트에 의해 자동차 파쇄 잔재가 공급되는 상기 호퍼의 내부 측면과 대향하는 내부 측면에 위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장치에서 사용되는 자성체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원반 형상이며, 자성체의 회전의 중심은 호퍼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자성체에 붙은 금속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상기 호퍼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자성체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상기 호퍼의 내부 측면으로 공급된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의 프로파일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는 깔대기 형상이고, 상기 호퍼의 측면부의 일부에는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의 프로파일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절개부에 평행하게 위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노즐은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는 상기 호퍼를 통해서 투입받은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로 제공하며, 상기 경로 내부에는 내부가 비어 있고 길이를 가진 원통이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의 측면에는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의 양면 중 일면은 막혀있고 다른 일면은 개방되어 있으고, 상기 원통은 그 일면이 막혀 있는 부분이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경로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ASR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편으로 인하여 노즐과 스크류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성형체가 파손되지 않고 온전하게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ASR 성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RDF 성형 장치에서의 금속편으로 인해 스크류가 손상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종래 RDF 성형 장치에서의 금속편으로 인해 노즐이 손상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SR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노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원의 상세한 설명 및/또는 청구범위에서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서로 연결(또는 접속 또는 체결 또는 결합)되어 있다는 표현은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매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SR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SR 성형 장치는 호퍼(10), 금속물 제거부(20), 노즐(30), 및 피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컨베이어 벨트(50)를 추가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10)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 ASR)(이하, 'ASR'이라고 함)을 컨베이어 벨트(50)를 통해서 제공받아, 피딩부(40)로 제공한다.
호퍼(10)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깔대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50)로부터 호퍼(10)의 중심이 아닌 일 측면으로 ASR을 공급받을 수 있다. 내부 중심으로 투입하지 않는 이유는 어차피 ASR이 투입되어 스크류로 피딩작업이 시작되면 측면으로 투입한 것과 같은 형태로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렇게 호퍼(10)의 일 측면으로 ASR을 투입함으로써, 후술하는 자성체(21)와 마주보는 면적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호퍼(10)의 내부의 일 측면으로 제공된 ASR의 프로파일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형태가 되며 이러한 형태로 ASR이 피딩부(40)로 이동하게 된다.
호퍼(10)는 측면부(11)와 연결부(13)를 포함하며, 연결부(13)는 피딩부(40)와 연결되어 ASR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10)의 일 측면에는 금속물 제거부(20)가 위치된다.
금속물 제거부(20)는 회전 원판의 형상을 가진 자성체(21), 자성체(2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M2), 자성체(21)에 붙는 금속물을 분리시키는 블레이드(25), 및 블레이드(25)를 지지하는 지지부(G)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M2)는 모터일 수 있다.
자성체(21)는 회전축(29)을 통해서 구동부(M2)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회전을 한다. 이러한 회전을 통해서 자성체(21)의 일 영역은 호퍼(10)의 내부, 호퍼(10)의 외부, 다시 호퍼(10)의 내부, .. 이런 방식으로 위치하게 된다.
자성체(21)의 일 영역이 호퍼(10)의 내부를 지날때 ASR에 혼입된 금속물이 상기 일 영역에 부착되고, 이후 상기 일 영역이 호퍼(10)를 벗어나 외부를 지날때 자성체(21)에 부착된 금속물은 블레이드(25)에 의해 이탈하게 된다.
지지부(G)는 블레이드(2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블레이드(25)를 지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가능할 것이다.
자성체(21)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의 내부에 존재하는 ASR의 프로파일과 평행한 형태로 위치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ASR 속에 혼입되어 있는 금속물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의 중심은 예를 들면 호퍼(1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자성체(21)는, 컨페이어 벨트(50)에 의해 자동차 파쇄 잔재가 공급되는 호퍼의 내부 측면과 대향하는 내부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자성체(21)의 역할 및 위치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노즐(30)은 피딩부(40)로부터 ASR을 공급받아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0)은 본체(31), 및 본체(3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30a, 30b)를 포함하며, 피딩부(40)로부터 제공받는 ASR은 노즐(30)에 형성된 경로(30a, 30b)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형상(A)으로 성형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피딩부(40)는 호퍼(10)로부터 ASR을 제공받아 노즐(3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부(40)는 내부가 비어 있어 ASR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41), 구동부(M1)(41)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43), 및 회전축(43)에 부착된 다수의 윙들(43)을 포함한다. 회전축(43)이 회전함에 따라서 윙들(43)들은 본체(41)에 존재하는 ASR을 노즐(3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호퍼(210)는 깔대기 형상이고, 측면부(211), 측면부(211)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217), 피딩부(40)와 연결되어 ASR을 제공하는 연결부(223)를 포함한다.
금속물 제거부(220)는, 회전 원판의 형상을 가진 자성체(221), 자성체(22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M2), 자성체(221)에 붙는 금속물을 분리시키는 블레이드(225), 및 블레이드(225)를 지지하는 지지부(G)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호퍼(210)는 내부가 비어 있어서 ASR을 유입받을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이고, 호퍼(210)의 측면부(211)의 일부에는 ASR의 프로파일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절개부(217)가 형성되어 있고, 자성체(221)는 절개부(217)와 소정 거리 이역되어 평행하게 위치되어 회전하게 된다. 자성체(221)가 절개부(217)와 소정 거리 이역되어야, 자성체(221)에 부착된 금속편이 절개부(215)에 부딪치지 않고, 자성체(221)에 부착된 상태로 블레이드(225)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자성체(221)는 호퍼(210)의 일부가 절개된 곳에 위치되어 호퍼(210) 내부에서 이동하는 ASR에 혼입된 금속물을 자신(221)에게 부착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노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노즐(30)은 ASR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들(33a, 33b, 33c, 33d)를 포함하고, 피딩부(40)는 호퍼(10)를 통해서 투입받은 ASR을 적어도 하나의 경로들(33a, 33b, 33c, 33d)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경로들(33a, 33b, 33c, 33d)의 내부에 길이를 가진 원통들(35a, 35b, 35c, 35d)이 ASR이 이동하는 방향과 각각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처럼 원통들(35a, 35b, 35c, 35d)이 각각 경로들(33a, 33b, 33c, 33d)에 위치됨으로써, 성형성이 좋고 재활용하기 용이한 형상(마치 연탄처럼 중심이 비어 있는 형상)의 ASR 성형체가 제조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들(35a, 35b, 35c, 35d)의 각각의 측면에는 상술한 경로들(33a, 33b, 33c, 33d)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9)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39)에 의해 ASR 성형체가 터지지 않고 양호한 모양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관통공(39)은 노즐(30)의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성형되어 유출되는 곳부터 파쇄 잔재물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곳까지 형성될 수 있다. 경로(33a)에 유입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은 적어도 경로(33a)에 유입되자마자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적어도, 관통공(39)이 형성되는 구간은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경로(33a)에 유입되는 곳에는 형성되어서는 안 되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경로(33a)에 유입된 후 적어도 소정거리 이동한 후의 위치부터 관통공(3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성형되기 전에 관통공(39)이 존재하면, 관통공(39)을 통해서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빠져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원통 각각은 양면 중 일면은 막혀있고 다른 일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이때 원통(35a, 35b, 35c, 35d)은 그 일면이 막혀 있는 부분이 ASR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경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피딩부(40)에 의해 공급되는 ASR은 원통들(35a, 35b, 35c, 35d)의 내부가 아닌 노즐(30)의 경로들(33a, 33b, 33c, 33d)로만 이동하게 된다.
노즐(30)은 경로들(33a, 33b, 33c, 33d)의 각각에 위치한 원통들(35a, 35b, 35c, 35d)을 각각 본체(31)에 결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대(37)는 예를 들면 나뭇잎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ASR의 이동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형상과 위치를 가진다.
고정대(37)는 노즐(30)의 본체(31)로 유입되는 ASR이 굳어지기 전의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도 4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조된 ASR 시편은 소각, 연소, 가스화 등에 사용될 때 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호퍼
20: 금속물 제거부
30: 노즐
40: 피딩부(40)

Claims (8)

  1. 자동차 파쇄 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 ASR)을 투입받는 내부 고안을 가진 호퍼;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유입받아 성형하는 노즐; 및
    상기 호퍼를 통해서 투입받은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상기 노즐로 제공하는 피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의 내부 공간에 자성을 가진 자성체가 위치되며,
    상기 자성체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자성체의 회전의 중심은 상기 호퍼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내부 측면으로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공급시키는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퍼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자성체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자동차 파쇄 잔재가 공급되는 상기 호퍼의 내부 측면과 대향하는 내부 측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원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에 붙은 금속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상기 호퍼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상기 호퍼의 내부 측면으로 공급된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의 프로파일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깔대기 형상이고, 상기 호퍼의 측면부의 일부에는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의 프로파일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절개부에 평행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는 상기 호퍼를 통해서 투입받은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로 제공하며,
    상기 경로 내부에는 내부가 비어 있고 길이를 가진 원통이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의 측면에는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의 양면 중 일면은 막혀있고 다른 일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원통은 그 일면이 막혀 있는 부분이 상기 자동차 파쇄 잔재물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경로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KR20130056383A 2013-05-20 2013-05-20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Active KR10133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383A KR101337507B1 (ko) 2013-05-20 2013-05-20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383A KR101337507B1 (ko) 2013-05-20 2013-05-20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507B1 true KR101337507B1 (ko) 2013-12-05

Family

ID=4998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6383A Active KR101337507B1 (ko) 2013-05-20 2013-05-20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169A (ko) * 2019-08-12 2021-02-22 김원근 쇳가루 분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770A (ja) * 2003-04-10 2004-11-11 Ruiko Noshiro ゴミ固形燃料(rdf)皮膜式製造機
JP2006150294A (ja) * 2004-11-30 2006-06-15 Maderekkusu Kk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リサイクル装置
KR20090009592U (ko) * 2008-03-20 2009-09-24 김근수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770A (ja) * 2003-04-10 2004-11-11 Ruiko Noshiro ゴミ固形燃料(rdf)皮膜式製造機
JP2006150294A (ja) * 2004-11-30 2006-06-15 Maderekkusu Kk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リサイクル装置
KR20090009592U (ko) * 2008-03-20 2009-09-24 김근수 Rdf 또는 rpf 고형연료의 유압식 압출성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169A (ko) * 2019-08-12 2021-02-22 김원근 쇳가루 분리기
KR102258383B1 (ko) 2019-08-12 2021-05-31 김원근 쇳가루 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16070T2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chredderstaub
US5080291A (en) Method of recycling automobile waste residue
KR102121874B1 (ko) 트롬멜을 이용한 폐차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복합선별 방법
CN102166578A (zh) 废旧汽车外壳回收前处理工艺及设备
JP2008232522A (ja) シュレッダ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10039606A (ko)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101732689B1 (ko)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1905001B1 (ko)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KR101337507B1 (ko)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AU2025201816A1 (en) Method, Process, and System of Using a Mill to Separate Metals from Fibrous Feedstock
KR101665501B1 (ko) 폐차 잔재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KR101976775B1 (ko)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장치
JPH03196888A (ja) 自動シユレッディング方法
KR20130141126A (ko)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방법
DE4442631C2 (de) Verfahren und Anlage zur Aufbereitung der in Shredderanlagen anfallenden Leichtfraktion
CN108348967B (zh) 用于拆解复合材料和混合物、尤其是固体混合物和炉渣的方法和装置
KR101346291B1 (ko) 양호한 성형성을 가진 자동차 파쇄 잔재물 성형 장치
KR200377514Y1 (ko)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 통 파쇄 분리장치
JP4964178B2 (ja) シュレッダ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60039034A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JP2001187406A (ja) プラスチック系一般廃棄物からコークス炉原料を製造する方法
KR200428074Y1 (ko) 자동차용 몰딩 스크랩의 재생 처리 설비
KR101391444B1 (ko) 자동차 폐플라스틱류의 재활용 처리시스템
KR200383029Y1 (ko) 폐 오일필터 파쇄 분리장치
KR100985493B1 (ko) 파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