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383B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7383B1 KR101337383B1 KR1020070136253A KR20070136253A KR101337383B1 KR 101337383 B1 KR101337383 B1 KR 101337383B1 KR 1020070136253 A KR1020070136253 A KR 1020070136253A KR 20070136253 A KR20070136253 A KR 20070136253A KR 101337383 B1 KR101337383 B1 KR 101337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fragment
- images
- mosaic
- color ave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2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decimating pixels or lines of pixels; based on inserting pixels or lines of pix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자이크 이미지로 처리할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블록 이미지로 분할하는 과정; 상기 분할된 블록 이미지별 색상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상위 조각 이미지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상위 조각 이미지에서 상기 산출된 색상 평균값에 해당하는 조각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블록 이미지를 상기 검색된 조각 이미지로 대체하여 모자이크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다양한 조각 이미지로 합성하여, 색다른 분위기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editing an image in the mobile terminal, when an image to be processed as a mosaic image is selected, dividing the selected image into a block image; Calculating a color average value for each of the divided block images, and determining whether an upper fragment image for generating the mosaic image is selected; And searching for a fragm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color average value in the selected upper fragment image, and replacing the block image with the found fragment image to display a mosaic image.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may generate images having a different atmosphere by synthesizing the images stored by the user's selection into various pieces of images.
휴대 단말기, 조각 이미지, 색상, 모자이크 Handset, sculpture image, color, mosaic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그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각 이미지를 이용한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editing the image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mosaic image using a fragment image and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기능들은 통화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 기능, 카메라 기능, 디지털 이동 방송 기능(DMB 또는 DVB), 인터넷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이 중 카메라 기능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따로 구비하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나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user can use various functions in the mobile terminal. Here, the various functions may be a video call function, a camera function, a digital mobile broadcasting function (DMB or DVB), an internet function, as well as a call function and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mong them, the camera function is widely used a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take a picture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having a digital camera.
이러한 이유로 휴대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와 비슷한 성능을 구비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추세이다. For this reason, camera functions in portable terminals have tended to have similar performance as digital cameras.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digital camera is also available in the camera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이렇게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통해 좀 더 다양한 기능들(예를 들어 사진 합성, 편집 등)이 사용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중에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기능은 단순하게 몇 개의 이미지만을 합성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편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various functions can be used by using the camera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requires that more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photo synthesis and editing) be used through the camer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particular, since a function for editing an image among the camera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only a function of synthesizing only a few images,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cannot edit an image in various way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각 이미지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fragment image and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 방법은 모자이크 이미지로 처리할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블록 이미지로 분할하는 과정; 상기 분할된 블록 이미지별 색상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상위 조각 이미지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상위 조각 이미지에서 상기 산출된 색상 평균값에 해당하는 조각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블록 이미지를 상기 검색된 조각 이미지로 대체하여 모자이크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 edi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dividing the selected image into a block image when an image to be processed as a mosaic image is selected; Calculating a color average value for each of the divided block images, and determining whether an upper fragment image for generating the mosaic image is selected; And searching for a fragm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color average value in the selected upper fragment image, and replacing the block image with the found fragment image to display a mosaic imag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위 조각 이미지 및 상기 상위 조각 이미지에 포함되는 조각 이미지들을 저 장하는 저장부; 모자이크 이미지로 처리하기 위해 선택된 이미지를 블록 이미지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을 산출하고,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상위 조각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상위 조각 이미지에서 상기 산출된 색상 평균값에 해당하는 조각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블록 이미지를 상기 검색된 조각 이미지로 대체하여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생성된 모자이크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pper fragment image and the fragment image included in the upper fragment image; The color image of the block image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selected image into a block image for processing into a mosaic image, and when the upper fragment image for generating a mosaic image is selected, the calculated color average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upper fragment image. A controller for searching for a corresponding fragment image and generating a mosaic image by replacing the block image with the found fragment image;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generated mosaic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조각 이미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모자이크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다양한 조각 이미지로 합성하여, 색다른 분위기의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displayed as a mosaic using a fragment image desir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generate a mosaic image having a different atmosphere by synthesizing an image stored by a user's selection into various pieces of images.
'이미지'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인물, 풍경 및 정물 등의 사진과 여러 장의 이미지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파노라마 사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다른 휴대 단말기나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된 사진, 그림 등도 포함될 수 있다. The image may include a panorama picture genera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images and a picture of a person, a landscape, and a still life input through a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image may include a picture or a picture downloaded from the Internet or downloaded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or the terminal.
'모자이크 이미지'는 여러 개의 조각 이미지를 모아서 생성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Mosaic image' refers to an image generated by collecting several pieces of images.
'조각 이미지'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저장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조각 이미지는 동전 이미지, 색종이 이미지, 꽃 이미지, 사진 등 다양 한 색상을 갖을 수 있는 이미지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Fragment image' means an image stored to generate a mosaic image. Here, the fragment image may include all images that may have various colors such as coin images, confetti images, flower images, and photographs.
'상위 조각 이미지'는 조각 이미지를 종류별로 나타내기 위해 썸네일 형태로 저장되어지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The upper fragment image refers to an image that is stored in thumbnail form to represent fragment images by type.
'블록 이미지'는 임의의 이미지를 모자이크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해 일정한 픽셀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하였을 때, 분할된 블록별 해당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Block image' refers to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vided block when a predetermined image is divided into blocks of a predetermined pixel unit to convert an arbitrary image into a mosaic image.
'픽셀 단위'는 여러 개의 픽셀을 묶어 그룹으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Pixel unit' means grouping several pixels togeth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카메라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카메라부(110)는 촬영된 광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카메라 센서는 CCD 센서로,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따로 분리해서 구현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측면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는 카 메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키 및 이미지 편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단축키를 구비할 수 있다.The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모자이크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모자이크 이미지로 생성할 이미지를 설정된 픽셀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블록에 해당하는 블록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조각 이미지 그룹 중에서 산출된 색상 평균값이 포함되는 조각 이미지 그룹을 검색하고, 검색된 조각 이미지 그룹에서 산출된 색상 평균값과 유사한 조각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블록 이미지를 검색된 조각 이미지로 대체하여 생성된 모자이크 이미지를 표시한다.The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140)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 소자 등을 구비하여,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에 표시부(140)는 입력부(120)로도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40)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모자이크 합성 모드에서 생성된 모자이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휴대 단말기의 동작 중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각 이미지 들을 비슷한 색상끼리 그룹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저장된 각각의 조각 이미지들을 대표하는 상위 조각 이미지를 썸네일로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각 이미지들로 동전 이미지, 색종이 이미지들이 입력되었으며, 동전 이미지 중에서 비슷한 색상을 갖는 동전 이미지끼리 그룹핑되어 저장되고, 색종이 이미지 중에서 비슷한 색상을 갖는 색종이 이미지끼리 그룹핑되어 저장되었다면, 저장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동전 이미지 그룹을 대표로 하여 표시할 수 있는 동전 이미지, 색종이 이미지 그룹을 대표하여 표시할 수 있는 색종이 이미지 각각을 상위 조각 이미지들로 저장한다.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부(130)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 또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다른 휴대 단말기나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된 이미지를 모자이크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모자이크 이미지로 변환할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를 설정된 픽셀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픽셀 단위에 표시되는 블록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을 산출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조각 이미지 그룹 중에서 산출된 색상 평균값이 포함되는 조각 이미지 그룹을 검색하고, 다시 검색된 조각 이미지 그룹에서 산출된 색상 평균값과 유사한 색상 값을 갖는 조각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블록 이미지를 검색된 조각 이미지로 대체하여 모자이크 이미지로 생성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된 모자이크 이미지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 름도이다. 여기서 도 2a는 도 2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b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각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2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fragment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2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B. 2B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piece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뉴 등을 통해 조각 이미지 설정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21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조각 이미지 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표시부(140)에 조각 이미지 입력창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표시된 조각 이미지 입력창을 통해 조각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220단계에서 조각 이미지로 사용될 다수개의 이미지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조각 이미지로 인터넷, 다른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된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한 후 저장부(150)에 저장한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조각 이미지로 사용될 이미지는 동전 이미지, 색종이 이미지, 꽃 이미지, 동물 이미지 등 다양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는 이미지가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2A, when the user selects the fragment image setting mode through a menu, the
조각 이미지로 사용될 이미지가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230단계에서 입력된 이미지의 크기를 확인하여, 확인된 이미지의 크기를 설정된 픽셀 단위의 크기로 리사이징한다. 여기서 설정된 픽셀 단위의 크기는 32x32 또는 24x24의 크기가 될 수 있다. When the image to be used as the fragment image is input, the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240단계에서 리사이징된 이미지별로 RGB 색상값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30)는 조각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해 두 개 이상으로 입력된 이미지의 색상값을 산출한다. 색상값을 확인한 제어부(130)는 250단계에서 확인된 색상값에 따른 이미지별 색상 평균값을 산출한다. 240단계 및 250단계를 도 2b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b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도 2b와 같이 동전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로 분할하고, 분할된 픽셀별로 색상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산출된 픽셀별 색상값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에 따라 도 2b를 참조하면, 동전 이미지 하나의 색상 평균값은 F6F1ED가 되며, 다른 하나의 동전 이미지 색상 평균값은 F7F7F7이 된다. 여기서 이러한 색상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은 조각 이미지로 설정하기 위해 입력된 모든 이미지들의 색상 평균값이 산출될 때까지 반복한다.Next, the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260단계에서 산출된 색상 평균값에 따른 그룹별로 조각 이미지를 분류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30)는 색상 평균값이 유사한 이미지들끼리 그룹핑하여 조각 이미지 그룹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270단계에서 저장부(150)를 제어하여 분류된 조각 이미지 그룹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색상 평균값에 많이 포함되는 색상에 따라 이미지를 그룹핑한다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50)를 제어하여 빨강색이 많이 포함되는 이미지끼리, 파랑색이 많이 포함되는 이미지끼리, 노란색이 많이 포함되는 이미지끼리 그룹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색상 평균값을 16진수의 값으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130)은 저장된 조각 이미지들을 구분하기 위한 상위 조각 이미지를 썸네일 등으로 저장부(150)를 제어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자이크 이미지 생성시,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위 조각 이미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조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the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 다. 여기서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generating a mosaic image in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Her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mosaic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메뉴 또는 단축키를 입력하여, 이미지 편집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31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이미지 편집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모자이크 합성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표시하거나, 모자이크 합성을 포함한 이미지 편집 메뉴(사진 보정, 동영상 캡쳐, 포토 스티커 제작, 사진 장식 등)들을 목록으로 표시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모자이크 합성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조각 이미지 설정 모드가 선택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 조각 이미지 설정 모드가 선택된다면, 제어부(130)는 도 2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조각 이미지를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selects an image editing mode by inputting a menu or a shortcut key to generate a mosaic image, the
모자이크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320단계에서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 때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이미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썸네일로 표시되거나, 목록으로 나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325단계에서 모자이크 이미지로 처리할 이미지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된 이미지 중에서 모자이크 이미지로 처리할 이미지를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330단계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설정된 픽셀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설정된 픽셀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미리 저장된 조각 이미지의 크기로 분할할 수 있 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픽셀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모자이크 이미지로 처리할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조각 이미지의 크기 블록으로 분할하는 경우, 블록 이미지와 조각 이미지가 동일한 크기이므로, 제어부(130)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블록 이미지와 조각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만을 비교하면 된다. When the mosaic composition mode is selected, the
모자이크 이미지로 처리할 이미지를 블록 이미지로 분할한 제어부(130)는 335단계에서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상위 조각 이미지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표시부(140)에 조각 이미지로 미리 설정된 이미지들을 썸네일이나 목록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부(120)을 통해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조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조각 이미지는 동전 이미지뿐만 아니라, 색상으로 표시되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한다. 상위 조각 이미지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340단계에서 분할된 픽셀 단위별 블록 이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345단계에서 블록 이미지별 색상 평균값을 산출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30)는 블록 이미지별로 색상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색상값 별로 색상 평균값을 산출한다. 블록 이미지별로 색상 평균값을 산출한 제어부(130)는 350단계에서 상위 조각 이미지에 포함된 조각 이미지 중에서 산출된 색상 평균값에 해당하는 조각 이미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350단계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operation 335,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 이미지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arching for a fragme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410단계에서 상위 조각 이미 지에 포함된 조각 이미지 그룹 중에 산출된 색상 평균값을 포함하는 조각 이미지 그룹을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420단계에서 검색된 조각 이미지 그룹에서 블록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과 유사한 색상 평균값을 갖는 조각 이미지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블록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이 노란색 75%이고, 조각 이미지 그룹은 조각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이 노란색 60% 이상 70% 미만인 제1 조각 이미지 그룹, 노란색 70% 이상 80% 미만인 제2 조각 이미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블록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인 노란색 75%를 확인하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조각 이미지 그룹을 검색한다. 제어부(130)는 색상 평균값이 노란색 70% 이상 80% 미만인 제2 조각 이미지 그룹을 확인하고, 확인한 제2 조각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조각 이미지 중에서 블록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과 비슷한 색상 평균값을 갖는 조각 이미지를 검색하여 선택한다. 블록 이미지의 색상 평균값과 비슷한 색상 평균값을 갖는 조각 이미지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도 3으로 되돌아간다.Referring to FIG. 4, the
조각 이미지가 검색되면, 제어부(130)는 355단계에서 블록 이미지를 검색된 조각 이미지로 대체한다. 이와 같은 과정들은 모든 블록 이미지가 검색된 조각 이미지로 대체될 때까지 반복한다. 모든 블록 이미지가 검색된 조각 이미지로 대체되면, 제어부(130)는 360단계에서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조각 이미지로 대체되어 생성된 모자이크 이미지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저장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된 모자이크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모자이크 이미지 생성시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If the fragment image is found, the
본 발명에서 이미지 편집 모드에서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자이크 이미지 생성을 미리 설정하여, 카메라 촬영시, 촬영되는 이미지를 조각 이미지를 이용하여 모자이크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generating a mosaic image in the image editing mod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osaic image generation may be set in advance so that the photographed image may be displayed as a mosaic image by using a fragment image during camera shooting. .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2A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fragme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각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Figure 2b is a screen example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piece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 이미지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trieving a fragme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6253A KR101337383B1 (en) | 2007-12-24 | 2007-12-24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6253A KR101337383B1 (en) | 2007-12-24 | 2007-12-24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8576A KR20090068576A (en) | 2009-06-29 |
KR101337383B1 true KR101337383B1 (en) | 2013-12-06 |
Family
ID=4099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62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7383B1 (en) | 2007-12-24 | 2007-12-24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738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4358B1 (en) * | 2011-11-02 | 2013-05-14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hotomosaic Image Genera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69645A (en) | 2004-03-15 | 2005-09-29 | Microsoft Corp | High-quality gradient-corrected linear interpolation for demosaicing color images |
KR20060052353A (en) * | 2004-11-01 | 2006-05-19 |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 System and Method for White Point Estimation |
-
2007
- 2007-12-24 KR KR1020070136253A patent/KR10133738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69645A (en) | 2004-03-15 | 2005-09-29 | Microsoft Corp | High-quality gradient-corrected linear interpolation for demosaicing color images |
KR20060052353A (en) * | 2004-11-01 | 2006-05-19 |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 System and Method for White Point Estim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8576A (en) | 2009-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600054B (en) | Camera, and camera control method | |
KR100827089B1 (en) | How to take a panoramic photo | |
CN102811313A (en) |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 |
US20100225785A1 (en) | Image processor and recording medium | |
US20120047459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US9262062B2 (en) | Method of providing thumbnail image an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of | |
CN112954196A (en) | Shooting method, shoot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CN103312981A (en) | Synthetic multi-picture taking method and shooting device | |
US6912002B1 (en) | Digital stil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2003289549A (en) | Image processing system, imaging device, and parameter deciding program for the device | |
JP2010097449A (en) | Image composition device, image composition method and image composition program | |
KR100776433B1 (en) | Mobile terminal capable of improved image synthesis | |
KR10133738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thereof | |
JP3324986B2 (en) |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e reproducing method | |
JP2002112079A (en) | Electronic camera | |
JP2005055743A (en) | Image display method | |
JP2002084440A (en) | Digital camer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JP7651306B2 (en) | Image capture device, image capture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KR100735330B1 (en) | Editing method of video screen in mobile terminal | |
CN104899915A (en) |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 |
JP2004134872A (en) | Data searching and displaying system | |
US20050041110A1 (en) | Digital camera user interface and method | |
CN111164961A (en) |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intelligent terminal | |
KR100797482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hoot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2019121914A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