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621B1 - Balloon catheter for swallowing training - Google Patents
Balloon catheter for swallowing trai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6621B1 KR101336621B1 KR1020120126538A KR20120126538A KR101336621B1 KR 101336621 B1 KR101336621 B1 KR 101336621B1 KR 1020120126538 A KR1020120126538 A KR 1020120126538A KR 20120126538 A KR20120126538 A KR 20120126538A KR 101336621 B1 KR101336621 B1 KR 101336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oon
- tube body
- tube
- swallowing
- trai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3—Means for fixing the tube inside the body, e.g. balloons, retaining means
- A61J15/0046—Expandable retainers inside body lumens of the enteral tract, e.g. fixing by radially contacting a lumen wall
- A61J15/0049—Inflatable Ballo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5—Oesophag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장치는,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하여 식도에 삽입되는 관본체,관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로 유체를 주입함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벌룬 및 벌룬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도록, 관본체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형의 주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allow training apparatus using a balloon. Swallow training apparatus using a ball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body inserted into the esophagus by inserting through the patient's nose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body, the balloon is inflated and contracted by injecting fluid into the insid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llow injection tube formed along the tube body to inject and discharge the fluid into the ballo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가 삼킴 훈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삼킴 훈련용 비위관 및 이를 이용한 삼킴훈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ogastric tube for swallowing training and a swallowing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patient with a swallowing disorder.
삼킴장애(cricopharyngeal dysfuction)는 삼킴 과정의 이상으로 삼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삼킴은 음식물 덩어리의 위치에 따라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의 세 과정으로 나누어진 부드럽게 조화된 일련의 움직임으로 이루어진다. 넓은 의미에서 거식증 환자나 인지기능 및 의식 저하로 식사를 하지 못하는 환자들도 모두 삼킴장애로 진단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삼킴 기능에 관여하는 신경이나 근육 같은 구조물들의 이상으로 삼킴 기능이 저하된 경우, 특히 기도 흡인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 국한시켜 정의를 내린다. Cricopharyngeal dysfuction is a condition in which swallowing is more difficult than the swallowing process. Normal swallowing consists of a series of smoothly coordinated movements divided into three stages: oral cavity, pharynx, and esophagu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ood mass. In a broad sense, all patients with anorexia or those who cannot eat due to cognitive and consciousness are diagnosed as swallowing disorders, but in general, when swallowing function is reduced due to abnormalities of nerves and muscles involved in swallowing function, In particular, the definition is limited to the symptoms of airway aspiration.
삼킴 과정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호흡 및 저작기능과의 조화가 필요한데 이러한 동작들은 뇌간에 있는 조화운동중추에 의해 조절된다.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정상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으므로, 비위관을 삽관하여 액상의 음식물을 투입한다. The swallowing process requires coordination with breathing and mastication, which are controlled by the center of the harmonious motor in the brainstem.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can not eat normally, intubate the nasogastric tube and inject liquid food.
즉, 삼킴훈련을 위해서 삽관되어 있던 비위관을 제거하고, 삼킴훈련을 끝낸 후에는 다시 비위관을 삽관해야 하므로 환자에게 많은 부담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삼킴훈련도 원활하게 실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after removing the nasogastric tube that was inserted for swallowing training, and after the swallowing training, the nasogastric tube should be inserted again, thus causing a lot of burden on the patient, and thu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wallowing training could not be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풍선을 이용하여 삼킴훈련을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allow training apparatus using a balloon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swallowing training using a ballo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장치는, 환자의 코를 통해 삽입하여 식도에 삽입되는 관본체와, 상기 관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로 유체를 주입함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벌룬 및 상기 벌룬의 내부로 상기 유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도록, 상기 관본체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형의 주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Swallow training apparatus using a ball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esophagus by inserting through the patient's nose, and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body, injecting fluid into the And a hollow injection tube formed along the tube body to inflate and discharge the fluid and the fluid into and into the ballo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벌룬은 환자의 코로부터 상기 관본체를 따라 17~23Cm 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코로부터 상기 관본체를 따라 20Cm 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is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patient's nose along the tube body at 17 to 23 cm, and more preferably at a portion of 20 cm along the tube body from the patient's nose.
본 발명에서는 풍선을 이용하여 삼킴훈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swallow training using a ballo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벌룬이 팽창된 상태이다.
도 4는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벌룬이 수축된 상태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비위관이 삽관된 상태에서 풍선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비위관을 이용한 삼킴훈련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wallow training apparatus using a ballo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with the balloon inflated.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with the balloon contracted.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3.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balloon in the state in which the nasogastric tube shown in FIG.
7 is a schematic flowchart of swallow training using a nasogastric tu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swallowing training nasogastric tube using a ballo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벌룬이 팽창된 상태(도 3)와, 벌룬이 수축된 상태(도 4)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nasogastric tube for swallow training using a ballo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III-III of FIG. 1. As a line schematic sectional drawing, it is a state in which a balloon was expanded (FIG. 3), and a balloon is retracted (FIG. 4), and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100)은 관본체(10), 벌룬(20) 및 주입관(30)을 구비한다.1 to 5, the swallowing training
관본체(10)는 음식물을 환자에게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연한 소재로 길게 형성되며 환자의 코, 인두, 식도를 통해 최종적으로 환자의 위에 삽입된다. 관본체(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관로(11)를 통해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다.
관본체(10)는 대략 5~6mm의 직경을 가지며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경로를 따라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관본체(10)의 하단은 위벽과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위벽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만곡되게 형성한다. 또한, 관본체(10)의 하단에는 복수의 토출구(12)가 형성되어 관로(11)를 통해 유입된 액상의 음식물이 관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관본체(10)의 상단에는 음식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허브(13)가 끼워진다. 음식물이 담겨 있는 팩 등은 별도의 연결관(미도시)에 의해 주입허브(13)에 연결된다. And the
벌룬(20)은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의 삼킴훈련을 보조하기 위한 의료 것이다. 벌룬(20)은 관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수축 및 팽창가능하다. 즉, 벌룬(20)은 신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벌룬(20)의 내측으로 유체가 주입되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된다. 역으로 유체가 벌룬 내부로부터 인출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20)은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하여 수축된다.
본 실시예에서 벌룬(20)은 그 팽창시에 대략 직경 2~3Cm로 팽창하며, 수축시에는 관본체(10)에 거의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피로 벌룬(20)을 팽창시키기 위해서는 식염수와 같은 유체를 대략 5~6cc 정도 주입하여야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벌룬(20)은 삼킴반응을 유발하는 부위에 배치시키면 환자가 이 벌룬(20)을 삼키는 훈련을 할 수 있다. 벌룬(20)이 배치되는 부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코입구로부터 관본체(10)를 따라 대략 17~23Cm 되는 지점이며, 보다 정확하게는 20Cm 되는 지점이다. 관본체(10)에서 코를 통해 삽입되지 않는 부분이 대략 15Cm 정도이므로, 벌룬(20)이 배치되는 지점은 관본체(10)의 상단부로부터 대략 35m정도 되는 지점이다. 벌룬(20)을 매개로 하는 훈련은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의 재활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한편, 주입관(30)은 벌룬(20)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유체가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주입관(30)은 관본체(10)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관본체(10)와 일체로 제조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본체(10)의 관로(11) 내부에 관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격벽(32)을 형성하여 관로(11)를 서로 격리된 두 부분으로 분리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다만, 이 격벽(32)은 관본체(10)의 상단으로부터 벌룬(20)이 배치된 부분까지만 형성된다. 즉, 격벽(32)에 의하여 형성된 유체관로(31)의 하단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20)의 내측 공간(21)과 연결된다. 그리고 주입관(30)의 상단부는 관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연장된다. 주입관(30)의 상단부 끝에는 유체주입허브(33)가 끼워지며, 이 유체주입허브(33)를 통해 주사기 등의 유체의 주입 및 인출수단이 연결된다. However, the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용 비위관(100)을 사용하여 환자가 삼킴훈련을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It describes how the patient to swallow training using the swallowing
본 발명에 따른 삼킴훈련방법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Swallowing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위관을 이용한 삼킴훈련방법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벌룬이 형성되어 있는 비위관(100)을 환자의 코를 통해 위까지 삽입한다. Referring to Figure 7, in the swallow training method using the nasogastric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stomach through the nose of the patient, the
일상시에는 주입허브(13)와 관본체(10) 내부의 관로(11)를 통해 액상의 음식물을 환자에게 투입하여 정상적으로 음식물 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영양분을 공급한다. 즉, 비위관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In everyday life, the liquid food is introduced into the patient through the
그리고 재활을 목적으로 삼킴훈련을 할 때에는 벌룬(20)을 팽창시킨다. 벌룬(20)은 환자의 삼킴반응을 유도하는 부분에 이미 배치되어 있으므로, 유체주입허브(33)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식염수를 벌룬(20)의 내부로 공급한다. 식염수는 주입관(30)의 관로(31)를 따라 벌룬(20) 내부로 주입되어 벌룬(20)을 일정 크기까지 팽창시킨다. 식염수를 주입하는 양에 따라 벌룬(20)의 부피가 변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5cc의 식염수를 주입하여 벌룬의 직경이 2.5Cm 정도로 부풀어지게 한다. And when swallowing training for the purpose of rehabilitation inflates the balloon (20). Since the
이렇게 벌룬이 부풀어지면, 환자는 이 벌룬(20)을 삼키는 훈련을 한다. 이렇게 삼킴훈련을 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벌룬(20)을 삼키면 벌룬(20)은 위장 쪽으로 위치가 이동된다. When the balloon is inflated in this way, the patient is trained to swallow the
따라서, 환자가 다시 삼킴훈련을 반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벌룬(2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켜 벌룬(20)을 수축시킨 후 관본체(10)를 상부로 이동시켜 벌룬(2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Therefore, when the patient wants to repeat the swallowing training again,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이러한 상태에서 벌룬(20)에 다시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뒤 삼킴훈련을 계속 반복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최종적으로 삼킴훈련이 끝난 후에는 벌룬(20)을 수축시키고, 비위관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Finally, after the swallow training, the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풍선을 사용한 삼킴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비위관을 제거해야 하고, 훈련 종료후에는 다시 삽관을 해야 했으므로 환자가 훈련에 많은 부담을 느껴 훈련에 소극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swallow using a balloon as described above, the nasogastric tube should be removed, and after the end of the training, the intubation had to be performed again.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비위관을 한 번 삽관한 후, 비위관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삼킴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훈련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asogastric tube can be intubated once, the swallowing training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removing the nasogastric tube, so that the train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또한, 환자들 중에는 인지기능이 우수한 케이스가 있는데, 이러한 환자들은 스스로 벌룬을 팽창 및 수축시킴으로써 삼킴훈련을 상시적으로 할 수 있어 재활이 촉진된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patients have excellent cognitive function, and these patien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stantly swallow swallow training by inflating and contracting the balloons themselves, thereby promoting rehabilitation.
미설명한 참조번호 h는 관본체(10)로부터 별도로 연장된 주입관(30)과 관본체(30)가 끼워지는 허브이다. Reference numeral h,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is a hub into whic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장치는 관본체를 통해 음식물을 위에 주입할 수 있는 비위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비위관이 아닌 형태, 즉 관본체를 통해 음식물이 주입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swallow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ball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of a nasogastric tube that can inject food through the tube body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that is, the non-nasal tube, that is, the tube body Food does not have to be injected through.
관본체가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관본체 내부의 통로가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주입관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또는 관본체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유연하게 길게 형성되며 주입관이 관본체를 따라 중공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The tube body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the passage inside the tube body may function as an injection tube for inflating the balloon, or the tube body is not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is formed to be flexible and long, and the injection tube is formed along the tube body. It may be installed hollow.
즉, 음식물의 주입 여부는 본 발명에서 선택적 사항이며, 식도에 팽창 및 수축가능한 벌룬을 배치시켜 삼킴훈련을 할 수 있는 구성이 본 발명에서 핵심적 사항이다. 이렇게 음식물의 주입을 배제하는 경우의 실시예에서는 관본체의 선단부가 식도 부분에 배치되며, 다시 말하면 벌룬이 관본체의 선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whether the food is injected or not is an optional matt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figuration capable of swallowing training by arranging a balloon that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esophagus is a key it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 the case of excluding the injection of food, the tip of the tube body is disposed in the esophagus portion, that is, the balloon may be disposed at the tip of the tube body.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비위관 10 ... 관본체
11 ... 관로 12 ... 토출구
13 ... 주입허브 20 ... 벌룬
21 ... 공간 30 ... 주입관
31 ... 유체관로 32 ... 격벽
33 ... 유체주입허브 100 ...
11 ...
13 ...
21 ...
31 ...
33 ... fluid injection hub
Claims (3)
상기 관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로 유체를 주입함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벌룬; 및
상기 벌룬의 내부로 상기 유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도록, 상기 관본체를 따라 형성되는 중공형의 주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관본체에서 코의 입구부에 배치되는 지점부터 상기 관본체를 따라 17~23Cm 되는 부분에 상기 벌룬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장치. A tube body inserted through the nose of the patient and inserted into the esophagus;
A balloon form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body and capabl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by injecting a fluid into the tube body; And
And a hollow injection tube formed along the tube body to inject and discharge the fluid into the balloon.
Swallowing training device using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oon is disposed in the portion of the tube body 17 to 23cm along the tube body from the point disposed in the nose.
상기 벌룬은 상기 관본체에서 코의 입구부에 배치되는 지점부터 상기 관본체를 따라 20Cm 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을 이용한 삼킴훈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lloon is swallowed training apparatus using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part which is 20cm along the tube body from the point which is disposed in the inlet of the nose in the tube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538A KR101336621B1 (en) | 2012-11-09 | 2012-11-09 | Balloon catheter for swallowing train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538A KR101336621B1 (en) | 2012-11-09 | 2012-11-09 | Balloon catheter for swallowing training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0072A Division KR101264670B1 (en) | 2011-04-01 | 2011-04-01 | Nasogastric tube with a baloon and Method for training swallowing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7331A KR20120137331A (en) | 2012-12-20 |
KR101336621B1 true KR101336621B1 (en) | 2013-12-05 |
Family
ID=4790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65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6621B1 (en) | 2012-11-09 | 2012-11-09 | Balloon catheter for swallowing train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662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33377B (en) * | 2021-01-21 | 2023-03-28 |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 Cricopharyngeal muscle dysfunction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0667A (en) * | 2008-02-21 | 2009-08-26 |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 Aspiration prevention nasogastric tube |
US20100049103A1 (en) * | 2005-07-01 | 2010-02-25 | The Us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y from motor control via stimulation to a substituted site to an affected area |
-
2012
- 2012-11-09 KR KR1020120126538A patent/KR1013366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49103A1 (en) * | 2005-07-01 | 2010-02-25 | The Us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y from motor control via stimulation to a substituted site to an affected area |
KR20090090667A (en) * | 2008-02-21 | 2009-08-26 |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 Aspiration prevention nasogastric tub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7331A (en) | 2012-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4670B1 (en) | Nasogastric tube with a baloon and Method for training swallowing using the same | |
US20150209239A1 (en) | Nasogastric tube | |
CN103191515B (en) | Separable nasal gastric-intestinal tube | |
JP2010004915A (en) | Balloon catheter for dysphagia treatment | |
CN111135432A (en) | Telescopic peristaltic multi-balloon colon retrograde gas-liquid dual-radiography catheter device | |
CN213609296U (en) | Multifunctional catheter for dysphagia patient | |
CN110464653A (en) | A kind of multi-cavity slidably stomach tube | |
KR101336621B1 (en) | Balloon catheter for swallowing training | |
CN103211568A (en) | Auxiliary air bag sleeve for gastroscopy | |
JP6075078B2 (en) | Balloon deflating aid | |
CN201840764U (en) | Local medication therapeutic apparatus for esophagus | |
CN209286205U (en) | A kind of compound tube of sacculus dilating catheter and nasogastric tube | |
CN212141133U (en) | Telescopic peristaltic multi-balloon colon retrograde gas-liquid dual-radiography catheter device | |
CN217548579U (en) | Stomach tube guiding device | |
CN210020428U (en) | A gastric tube that can be fixed on the upper end of the stomach for gastric treatment | |
CN203663217U (en) | Three-cavity two-bag tube provided with metal guide wires and used for digestive tract rescuing | |
CN201831919U (en) | Appliance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hemorrhage | |
CN108403071B (en) | Four-bag sleeve for assisting endoscope treatment | |
CN206120765U (en) | Three chamber double -balloon administering means that nourishes | |
CN222899740U (en) | Multi-lumen feeding tube | |
CN203342057U (en) | Head bag type stomach tube | |
CN213251371U (en) | Stomach tube with end protector | |
CN205181968U (en) | Aversion intestines and stomach nutrition tube prevents backflowing | |
CN219480923U (en) | Anti-slip intestinal-taking-off stomach tube | |
CN103495220A (en) | Intestinal canal medicine input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911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12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