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5530B1 -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530B1
KR101335530B1 KR1020120120661A KR20120120661A KR101335530B1 KR 101335530 B1 KR101335530 B1 KR 101335530B1 KR 1020120120661 A KR1020120120661 A KR 1020120120661A KR 20120120661 A KR20120120661 A KR 20120120661A KR 101335530 B1 KR101335530 B1 KR 101335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dercut
close contact
fixed block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재
윤병주
Original Assignee
이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재 filed Critical 이중재
Priority to KR102012012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7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non-rigid undercut forming elements, e.g. elastic or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언더컷(undercut)을 갖는 제품을 사출 성형하고 취출할 수 있는 사출 성형 금형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출 성형 금형의 하부 코어는, 하부 원판에 고정 결합된 고정 블록,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서로 밀착될 때의 위치인 제1 위치와, 캐비티에서 성형된 사출 성형 제품을 하부 코어에서 취출할 때의 위치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 및 언더컷의 형상에 대응되는 언더컷 그루브(undercut groove)를 갖고, 고정 블록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되는 언더컷 형성용 블록을 구비한다.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밀착되는 고정 블록의 일 측면은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어진 경사면이다. 이동 블록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이 고정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언더컷 그루브가 사출 성형 제품의 언더컷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Injection mold for molding product having undercut}
본 발명은 사출 성형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언더컷(undercut)을 갖는 제품을 사출 성형할 수 있는 사출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은 용융 상태의 수지를 금형의 내부에 주입 후 냉각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압축성형(compression molding), 압출성형(extrusion molding) 등의 다른 성형 공법에 비해 제품의 형태 및 사이즈에 제한이 적으며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이 우수하여 플라스틱 제품의 성형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사출 성형 분야에서 언더컷(undercut)은 제품의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부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전형적인 사출 성형 제품은 용융 수지의 사출 및 경화 후에 금형의 상부 코어(core)와 하부 코어를 분리하면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언더컷을 갖는 제품은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를 분리시키는 단순한 방법으로는 사출 성형 금형으로부터 온전하게 취출할 수 없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의 사출 성형 금형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의 통상적인 사출 성형 금형은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 이들을 지지하는 상부 원판과 하부 원판 이외에도, 상부 고정판, 하부 고정판, 밀판, 밀핀, 스페이서 블록 등을 더 포함하고, 여기에 더하여 제품의 언더컷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코어 및 이의 구동 수단들을 더 구비하였다. 이로 인해 사출 성형 금형의 크기와 두께를 줄이기도 어렵고, 제작 비용도 증대되었다.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언더컷(undercut)을 갖는 제품을 사출 성형하고 취출할 수 있는 사출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밀판, 밀핀, 스페이서 블록 등의 부재를 제거하여 크기와 두께를 줄이고 제작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언더컷을 갖는 제품을 사출 성형하고 취출할 수 있는 사출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부 원판 및 하부 원판, 서로 밀착된 때 언더컷(undercut)을 구비한 사출 성형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원판에 지지되는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원판에 지지되는 하부 코어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하부 원판에 고정 결합된 고정 블록,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서로 밀착될 때의 위치인 제1 위치와, 상기 캐비티에서 성형된 사출 성형 제품을 상기 하부 코어에서 취출할 때의 위치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 및 상기 언더컷의 형상에 대응되는 언더컷 그루브(undercut groove)를 갖고, 고정 블록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되는 언더컷 형성용 블록을 구비한다.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밀착되는 고정 블록의 일 측면은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어진 경사면이고, 이동 블록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언더컷 형성용 블록이 고정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언더컷 그루브가 사출 성형 제품의 언더컷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은, 상기 언더컷 그루브가 형성된 측면과 상기 고정 블록에 밀착되는 측면이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고정 블록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은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언더컷 그루브는 상기 고정 블록 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고정 블록의 외주변을 에워싸도록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복수의 블록 피스(block piec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과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의 방향이 직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은,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사출 성형 제품이 상기 고정 블록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을 상기 고정 블록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수단은,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일 측 단부가 결합된 로드(rod)와, 상기 이동 블록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의 타 측 단부를 상기 고정 블록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은, 상기 이동 블록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하부 원판에 지지된 이동 블록 액추에이터(actuato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 금형은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서로 이격된 때 상기 사출 성형 제품을 상기 하부 코어로부터 분리 취출하는 취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취출 유닛은, 고압의 에어 제트(air jet)를 상기 사출 성형 제품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코어까지 연장된 에어 제트 유로, 및 상기 에어 제트 유로 내에 삽입된 것으로, 상기 에어 제트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파여지고 상기 에어 제트 유로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그루브(groove)를 구비하는 보디(body)와, 상기 캐비티에 상기 보디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에어 제트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 헤드(head)와, 상기 보디와 헤드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보다 직경이 작은 넥(neck)을 구비하는 삽입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의 외주면과 상기 에어 제트 유로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은 0.02 내지 0.04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 금형에 의하면 언더컷을 갖는 제품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고 용이하게 분리 취출할 수 있다. 더욱이 언더컷이 제품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경우뿐만 아니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경우에도 사출 성형 및 취출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언더컷을 갖는 제품을 사출 성형하여 취출할 수 있는 사출 성형 금형이면서 아울러, 종래 사출 성형 금형에서 구비된 밀판, 밀핀, 스페이서 블록 등의 부재를 제거하여 크기와 두께를 줄이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블록과 이로부터 취출되기 전의 사출 성형 제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출 성형 금형에 구비된, 언더컷 성형 블록의 탄성 가압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사출 성형된 제품이 도 1의 사출 성형 금형에서 분리 취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삽입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 블록과 이로부터 취출되기 전의 사출 성형 제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출 성형 금형에 구비된, 언더컷 성형 블록의 탄성 가압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10)는 상부 원판(11), 하부 원판(13), 상부 코어(15), 및 하부 코어(20)를 구비한다. 상부 원판(11) 및 하부 원판(13)은, 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는 하부 원판(13)은 고정되고 상부 원판(11)이 하부 원판(13)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상부 원판(11) 및 하부 원판(13)은 편평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일 수 있다.
상부 코어(15)는 상부 원판(11)의 하측면에 고정 지지되고, 하부 코어(20)는 하부 원판(13)의 상측면에 지지된다. 상부 원판(11)과 하부 원판(13)이 서로 가까워지면 상부 코어(15)와 하부 코어(20)는 서로 밀착되고, 상부 원판(11)과 하부 원판(13)이 서로 멀어지면 상부 코어(15)와 하부 코어(20)가 서로 분리된다. 상부 코어(15)와 하부 코어(20)가 서로 밀착된 때 사출 성형 제품(1)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52)가 형성된다.
하부 코어(20)는 하부 원판(13)에 고정 결합된 고정 블록(21)과, 하부 원판(13)에 밀착된 제1 위치와, 하부 원판(1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Z축 방향으로 이동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30)과, 고정 블록(21)과 이동 블록(30) 사이에 배치되며 고정 블록(21)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되는 언더컷(undercut) 형성용 블록(45)을 구비한다. 부연하면, 상부 코어(15)와 하부 코어(20)가 서로 밀착되어 캐비티(52)가 형성되고 그 캐비티(52)에 용융된 수지가 주입 및 경화되어 사출 성형 제품(1)이 형성될 때 이동 블록(30)의 위치가 제1 위치이고, 상부 코어(15)와 하부 코어(20)가 서로 분리되고 캐비티(52)에서 성형된 사출 성형 제품(1)을 하부 코어(20)에서 분리 취출할 때 이동 블록(30)의 위치가 제2 위치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출 성형 금형(10)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제품(1)은 평면형 TV, 또는 평면형 모니터의 베젤(bezel)로서 사각형 틀 형상이며, 사각형의 테두리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언더컷(undercut)(3)(도 4 내지 도 6 참조)을 구비한다. 고정 블록(21)은 하부 원판(13)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된다. 고정 블록(21)의 상측면은, 중앙부에 마련되어 용융 수지(미도시)의 캐비티(52) 주입시 상부 코어(15)에 밀착되는 제1 상부 코어 밀착면(22)(도 5 참조)과, 제1 상부 코어 밀착면(22)의 외주변에 마련되어 제품(1)의 아래측 표면에 대응되고 캐비티(52)를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제1 캐비티 한정면(23)으로 구분된다. 이동 블록(30)은 고정 블록(21)의 외측에서 그 외주변을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이동 블록(30)은 사각형 폐곡선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된 제1 내지 제4 블록 피스(block piece)(31, 32, 33, 34)를 구비하며, 그 상측면에는 용융 수지의 캐비티(52) 주입시 상부 코어(15)와 밀착되는 제2 상부 코어 밀착면(41)(도 5 참조)이 마련된다.
한편, 사출 성형 금형(10)은 하부 원판(13)에 지지되며 이동 블록(30)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 액추에이터(actuator)(70)를 구비한다. 이동 블록 액추에이터(70)는 예컨대, 하부 원판(13)에 고정된 공압 실린더(71)와, 공압 실린더(71)로부터 돌출되거나 수축되는 로드(73)에 일 측이 연결되고 타 측이 이동 블록(30)에 결합된 구동 부재(7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구동 부재(72)의 이동에 의해 이동 블록(3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 코어(20)와 대면하는 상부 코어(15)의 하측면은, 중앙부에 마련되어 용융 수지(미도시)의 캐비티(52) 주입시 고정 블록(21)의 제1 상부 코어 밀착면(22)(도 5 참조)에 밀착되는 제1 하부 코어 밀착면(18)(도 5 참조)과, 제1 하부 코어 밀착면(18)의 외주변에 마련되어 제품(1)의 윗측 표면에 대응되고 캐비티(52)를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제3 캐비티 한정면(17)과, 제3 캐비티 한정면(17)의 외주변에 마련되어 이동 블록(30)의 제2 상부 코어 밀착면(41)에 밀착되는 제2 하부 코어 밀착면(19)(도 5 참조)으로 구분된다.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에는 제품(1)의 언더컷(3)(도 4 참조)의 형상에 대응되는 언더컷 그루브(undercut groove)(48)가 구비된다. 사출 성형으로 제품(1)을 형성할 때 언더컷 그루브(48)에 용융 수지가 채워지고 경화되어 언더컷(3)이 형성될 수 있다. 언더컷 그루브(48)는 고정 블록(21) 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의 상측면은 제품(1)의 아래측 표면에 대응되고 캐비티(52)를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제2 캐비티 한정면(49)이다. 정리하면, 사출 성형 제품(1)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52)는 고정 블록(21)의 제1 캐비티 한정면(23)과,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의 제2 캐비티 한정면(49) 및 언더컷 그루브(48)와, 상부 코어(15)의 제3 캐비티 한정면(17)(도 5 참조)에 의해 한정된다.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에 밀착되는 고정 블록(21)의 측면(25)은 상기 제1 캐비티 한정면(23)의 바깥에 형성되는 경사면이다. 상기 고정 블록(21)의 경사면(25)은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의 방향, 즉 X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동 블록(30)이 제1 위치(도 4 참조)에서 제2 위치(도 6 참조)로 이동하면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이 고정 블록 경사면(25)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언더컷 그루브(48)가 사출 성형 제품(1)의 언더컷(3)(도 6 참조)에서 이격된다.
상기 고정 블록(21)의 경사면(25)을 마주보고 밀착되는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의 측면(46)은 상기 고정 블록 경사면(25)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서, 언더컷 형성용 블록(5)이 고정 블록 경사면(25)에 대해 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 언더컷 그루브(48)가 형성된 측면과 고정 블록 경사면(25)에 밀착되는 경사면(46)은 서로 등지도록 반대 측에 배치된다.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을 고정 블록(21)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수단은, 로드(60)와, 스프링(59)과, 브라켓(57)을 구비한다. 로드(60)는 이동 블록(30)을 수평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그 일 측 단부(61)가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에 결합된다. 스프링(59)은 이동 블록(30)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 안착홈(38)에 삽입 안착되어 로드(60)의 타 측 단부(62)를 고정 블록(21) 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브라켓(57)은 이동 블록(30)의 외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안착홈(38)으로 연결된 브라켓 안착홈(37)에 삽입되고 스크류(55)에 의해 이동 블록(30)에 고정되어 스프링(59)을 지지한다.
스프링(59)은 브라켓(57)과 로드(60)의 타 측 단부(61)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고 스프링 안착홈(38)의 말단과 로드 타 측 단부(61) 사이에 유격(裕隔)이 있기 때문에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은 로드(60)에 의해 고정 블록(21)의 경사면(25) 측으로 탄성 가압된다. 상기 탄성 가압력은 로드(60)의 길이 방향과 수평인 X축 방향이며, 이는 제1 위치(도 4 참조) 내지 제2 위치(도 6 참조)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 블록(30)의 이동 방향, 즉 Z축 방향과 직교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블록(3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사출 성형 제품(1)은 고정 블록에서 이격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사출 성형된 제품이 도 1의 사출 성형 금형에서 분리 취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품(1)의 사출 성형 이후 취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블록(30)은 하부 원판(13)에 밀착된 제1 위치이고 상부 코어(15)와 하부 코어(20)가 밀착되어 형성된 캐비티(52)(도 1 참조)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고 경화하여 언더컷(3)을 구비한 제품(1)이 성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품(1)을 사출 성형 금형(10)(도 1 참조)에서 분리 추출하기 위하여 상부 코어(15)와 하부 코어(20)를 이격시킨다. 제품(1)은 상부 코어(15)를 따라가지 않고, 언더컷(3)이 언더컷 그루브(48)에 걸려 하부 코어(20)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블록(30)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동 블록(30)이 하부 원판(13)에서 이격되어 Z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언더컷 형성용 블록(45)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와 동시에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은 로드(60)에 의해 고정 블록 경사면(25)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되므로, X축 방향과 Z축 방향의 힘의 합력에 의해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은 고정 블록 경사면(25)을 따라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사출 성형 제품(1)은 Z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 블록(21)으로부터 이격되고, 언더컷(3)은 언더컷 그루브(48)에 의해 방해되지 않게 분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블록(21)의 제1 캐비티 한정면(23)에서 분리된 제품(1)은 하부 코어(20)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수 제품(1)을 잡아 금형(10)(도 1 참조)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삽입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하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10B)을 설명한다. 이 사출 성형 금형(10B)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사출 성형 금형(10)과 많은 부분이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에서 지시하는 참조 번호 중 도 1에서 표시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10B)의 상부 코어(15B)와 하부 코어(20B)가 밀착되고 캐비티(52B)에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되는 제품(5)은 중앙부가 폐쇄된 얇은 판 형상으로 외주부에 언더컷(7)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 코어(15B)와 하부 코어(20B)가 밀착되더라도 고정 블록(21B)의 중앙부가 상부 코어(15B)의 하측면으로부터 미세하게 이격되어 용융 수지가 주입될 캐비티(cavity)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사출 성형 장치(10B)는 상부 코어(15B)와 하부 코어(20B)가 서로 이격된 때 사출 성형 제품(5)을 하부 코어(20B)로부터 분리 취출하는 취출 유닛을 구비한다. 취출 유닛은, 하부 원판(13)의 외부로부터 하부 코어(20B), 구체적으로 는 고정 블록(21B)을 통해 수지가 경화되어 하부 코어(20B)에 붙어 있는 제품(5)까지 연장 형성된 에어 제트 유로(160)와, 에어 제트 유로(160) 내에 삽입된 삽입 부재(140)를 구비한다. 에어 제트 유로(160)는 고압의 에어 제트(air jet)를 사출 성형 제품(5)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에어 제트 유로(160)는 하부 원판(13) 외부에 마련된 에어 제트 펌프(air jet pump)에 연결될 수 있다.
중앙부가 폐쇄된 제품(5)의 특성상 언더컷(7)을 빼낼 수 있도록 언더컷 형성용 블록(45)이 상승되더라도(도 6 참조), 부분적으로, 예컨대, 제품(5)의 중앙부가 여전히 고정 블록(21B)에 들러붙어 있을 수 있는데, 고압의 에어 제트가 이렇게 들러붙어 있는 제품(5)의 부분에 토출되어 제품(5) 전체가 하부 코어(20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렇게 전체가 분리된 제품(5)을 용이하게 사출 성형 금형(10B)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삽입 부재(140)는 보디(150)와, 헤드(142)와, 넥(neck)(144)을 구비한다. 보디(150)는 에어 제트 유로(16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외주면(151)과, 상기 외주면(151)에서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파여지고 에어 제트 유로(16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groove)(153)를 구비한다. 헤드(142)는 캐비티(52B)에 보디(150)보다 더 가깝게 위치한다. 헤드(142)는 에어 제트 유로(160)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는 직경을 가진다.
헤드(142)의 외주면과 에어 제트 유로(16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G1)은 0.02 내지 0.04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만약 상기 간격(G1)이 0.02 mm 미만이면 사출 성형 제품(5)이 취출되기에 충분한 에어(air)가 공급되지 않고, 상기 간격(G1)이 0.02 mm 를 초과하면 캐비티(52B)로 유입되는 용융 수지가 에어 제트 유로(160)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세한 간격(G1)으로 인해 용융 수지는 경화되기 전이라고 하더라도 캐비티(52B)로부터 에어 제트 유로(160)로 유출되지 않는다.
넥(144)은 보디(150)와 헤드(142)를 연결한다. 넥(144)은 헤드(142)보다 직경이 작다. 상기 넥(144)과 에어 제트 유로(16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은 0.3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넥(144)이 상기 에어 제트 유로(1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를 충분하게 균일하게 하는 탱크의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균일하게 사출 성형 제품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그루브(153)의 깊이(G2)는 0.03 mm 내지 0.04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언더컷 10: 사출 성형 금형
15: 상부 코어 20: 하부 코어
21: 고정 블록 25: 고정 블록 경사면
30: 이동 블록 45: 언더컷 형성용 블록
48: 언더컷 그루브 59: 스프링
60: 로드 70: 이동 블록 액추에이터

Claims (9)

  1. 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부 원판 및 하부 원판; 서로 밀착된 때 언더컷(undercut)을 구비한 사출 성형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원판에 지지되는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원판에 지지되는 하부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하부 원판에 고정 결합된 고정 블록;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서로 밀착될 때의 위치인 제1 위치와, 상기 캐비티에서 성형된 사출 성형 제품을 상기 하부 코어에서 취출할 때의 위치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 및, 상기 언더컷의 형상에 대응되는 언더컷 그루브(undercut groove)를 갖고, 상기 고정 블록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되는 언더컷 형성용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밀착되는 상기 고정 블록의 일 측면은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어진 경사면이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이 상기 고정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언더컷 그루브가 상기 사출 성형 제품의 언더컷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은, 상기 언더컷 그루브가 형성된 측면과 상기 고정 블록에 밀착되는 측면이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고정 블록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은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언더컷 그루브는 상기 고정 블록 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고정 블록의 외주변을 에워싸도록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복수의 블록 피스(block piec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과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의 방향이 직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사출 성형 제품이 상기 고정 블록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을 상기 고정 블록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수단은, 상기 언더컷 형성용 블록에 일 측 단부가 결합된 로드(rod)와, 상기 이동 블록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의 타 측 단부를 상기 고정 블록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하부 원판에 지지된 이동 블록 액추에이터(actuato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가 서로 이격된 때 상기 사출 성형 제품을 상기 하부 코어로부터 분리 취출하는 취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취출 유닛은, 고압의 에어 제트(air jet)를 상기 사출 성형 제품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코어까지 연장된 에어 제트 유로; 및,
    상기 에어 제트 유로 내에 삽입된 것으로, 상기 에어 제트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파여지고 상기 에어 제트 유로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그루브(groove)를 구비하는 보디(body)와, 상기 캐비티에 상기 보디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에어 제트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 헤드(head)와, 상기 보디와 헤드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보다 직경이 작은 넥(neck)을 구비하는 삽입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의 외주면과 상기 에어 제트 유로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은 0.02 내지 0.0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금형.

KR1020120120661A 2012-10-29 2012-10-29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335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661A KR101335530B1 (ko) 2012-10-29 2012-10-29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661A KR101335530B1 (ko) 2012-10-29 2012-10-29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530B1 true KR101335530B1 (ko) 2013-12-02

Family

ID=4998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661A KR101335530B1 (ko) 2012-10-29 2012-10-29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5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11B1 (ko) * 2014-06-03 2015-07-15 주식회사 에뛰드 탄성 재질의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20150135563A (ko) * 2014-05-22 2015-12-03 (주)아모레퍼시픽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20160040964A (ko) * 2014-10-06 2016-04-15 주식회사 에뛰드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102247102B1 (ko) * 2020-04-23 2021-05-04 주식회사 몰텍스 차량용 내장재 성형장치
CN113954321A (zh) * 2021-11-10 2022-01-21 深圳市银宝山新科技股份有限公司 斜顶机构及模具
KR102427099B1 (ko) * 2021-05-31 2022-07-29 (주)신화테크 자동차용 일체형 휠가드 성형장치
WO2022227542A1 (zh) * 2021-04-29 2022-11-03 浙江凯华模具有限公司 一种汽车保险杠注塑模具内部双弹针脱倒扣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651Y1 (ko) * 1985-12-18 1989-04-29 주식회사 금성사 사출금형의 언더커트 처리장치
JPH09109195A (ja) * 1995-10-20 1997-04-28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2003245955A (ja) 2002-02-25 2003-09-02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金型
JP2005212370A (ja) 2004-01-30 2005-08-11 Toyota Motor Corp 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651Y1 (ko) * 1985-12-18 1989-04-29 주식회사 금성사 사출금형의 언더커트 처리장치
JPH09109195A (ja) * 1995-10-20 1997-04-28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2003245955A (ja) 2002-02-25 2003-09-02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金型
JP2005212370A (ja) 2004-01-30 2005-08-11 Toyota Motor Corp 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563A (ko) * 2014-05-22 2015-12-03 (주)아모레퍼시픽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01602737B1 (ko) 2014-05-22 2016-03-14 (주)아모레퍼시픽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01537011B1 (ko) * 2014-06-03 2015-07-15 주식회사 에뛰드 탄성 재질의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20160040964A (ko) * 2014-10-06 2016-04-15 주식회사 에뛰드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101646640B1 (ko) 2014-10-06 2016-08-08 (주)에뛰드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102247102B1 (ko) * 2020-04-23 2021-05-04 주식회사 몰텍스 차량용 내장재 성형장치
WO2022227542A1 (zh) * 2021-04-29 2022-11-03 浙江凯华模具有限公司 一种汽车保险杠注塑模具内部双弹针脱倒扣机构
KR102427099B1 (ko) * 2021-05-31 2022-07-29 (주)신화테크 자동차용 일체형 휠가드 성형장치
CN113954321A (zh) * 2021-11-10 2022-01-21 深圳市银宝山新科技股份有限公司 斜顶机构及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530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2404773B1 (ko) 언더컷 부분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출 성형 금형
WO2010035840A1 (ja)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KR101501812B1 (ko)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KR101191231B1 (ko) 사출 성형 금형
KR20210108291A (ko) 공압형 제품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출 성형 금형
US20120100244A1 (en) Plastic injection mold
KR101397536B1 (ko) 속이 빈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20160143401A (ko) 3단 사출금형 및 3단 사출금형의 제품취출방법
KR101646640B1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101624301B1 (ko) 천 부착 사출물 성형 금형
KR20170017246A (ko) 박육 제품용 사출금형장치
KR101655987B1 (ko) 수축, 확장되는 다수의 언더컷성형코어를 갖는 사출금형
CN107443687A (zh) 一种具有收缩变形控制的空调注塑件注塑模具及注塑方法
CN103909630A (zh) 司筒顶出机构
JP2008162213A (ja) 射出成形金型
CN111775407B (zh) 一种tpu气嘴注塑模具以及注塑方法
CN207077721U (zh) 气缸式模具顶针板复位机构
KR101189111B1 (ko) 사출 성형 금형
CN201366772Y (zh) 具有滑块的模具
KR101602737B1 (ko)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01801977B1 (ko) 사출 성형 장치 및 사출 성형 방법
CN109955440B (zh) 脱模装置、注塑模具及注塑工件脱模方法
CN206733515U (zh) 二次顶模具机构
KR20210075785A (ko)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