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368B1 - 곡선형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곡선형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5368B1 KR101335368B1 KR1020110101596A KR20110101596A KR101335368B1 KR 101335368 B1 KR101335368 B1 KR 101335368B1 KR 1020110101596 A KR1020110101596 A KR 1020110101596A KR 20110101596 A KR20110101596 A KR 20110101596A KR 101335368 B1 KR101335368 B1 KR 1013353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ord
- cable
- lower chord
- upper chord
- air tu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에서 단부와 중앙부 상세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에어튜브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
20: 에어튜브 21: 외피
22: 보강섬유 30: 단부정착구
31: 슬리브 32: 케이블고정구
40: 센터정착구 41: 제1윙플레이트
42: 제2윙플레이트 43: 연결볼트
44: 리브플레이트 45: 베어링
50, 50a, 50b: 케이블 51: 스웨이징수나사부
Claims (7)
-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길이방향으로 긴 부재로로 구성되는 에어튜브(20);
길이방향으로 긴 강재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튜브(20)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튜브(20)에 하방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하방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된 압축력을 부담하는 상현재(10a);
길이방향으로 긴 강재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튜브(20)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튜브(20)에 상방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방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된 압축력을 부담하는 하현재(10b);
상기 상현재(10a)와 하현재(10b)의 길이방향 양 측면 양 단부에 고정 장치된 단부정착구(30);
상기 상현재(10a)와 하현재(10b)의 길이방향 양 측면 중앙부에 고정 장치된 센터정착구(40); 및,
상기 상현재(10a)와 하현재(10b)의 길이방향 양 측면 각각에서 상기 센터정착구(40)를 통과하면서 상기 단부정착구(30)에 긴장 정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현재(10a)와 하현재(10b)를 연결하는 케이블(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튜브(20)는 길이방향의 중심부로부터 양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현재(10a) 및 하현재(10b)는 상기 에어튜브(20)에 대응하는 형태로, 중심부로부터 양단부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좁아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50)을 배치함에 있어,
일단이 상기 상현재(10a)에 정착되는 케이블은 상기 하현재(10b)에 구비된 센터정착구(40)를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하현재(10b)에 정착되는 케이블은 상기 상현재(10a)에 구비된 센터정착구(40)를 통과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제1항에서,
상기 케이블(50)은, 상기 상현재(10a)와 하현재(10b)의 길이방향 양 측면 각각에서, 상현재(10a)의 단부정착구(30)에 정착하면서 하현재(10b)의 센터정착구(40)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제1케이블(50a);과, 하현재(10b)의 단부정착구(30)에 정착하면서 상현재(10a)의 센터정착구(40)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제2케이블(5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20)는, 내부에 에어튜브의 외피(21)보다 신장율이 작은 소재의 보강섬유(22)가 일방향으로 고정 장치되도록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정착구(40)는, 상기 상현재(10a) 또는 하현재(10b)의 길이방향 양 측면 각각에서 에어튜브(20)를 향해 경사지게 접합되는 제1윙플레이트(41); 상기 제1윙플레이트(41) 외측으로 제1윙플레이트(41)에 이격 배치되는 제2윙플레이트(42); 상기 제1윙플레이트(41)와 제2윙플레이트(42)를 연결하는 연결볼트(43); 상기 상현재(10a)의 상부면 또는 하현재(10b)의 하부면에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상현재(10a) 또는 하현재(10b)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위치한 제2윙플레이트(42) 상호 간을 연결하는 리브플레이트(44);로 구성되어 상현재(10a) 또는 하현재(10b)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동시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블(50)은, 상기 센터정착구의 연결볼트(43) 내측으로 제1,2윙플레이트(41, 42)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제4항에서,
상기 센터정착구(40)는, 상기 제1,2윙플레이트(41, 42) 사이에서 상기 연결볼트(43)의 관통 설치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베어링(4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정착구(30)는, 상기 상현재(10a) 또는 하현재(10b)의 길이방향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관 형상의 슬리브(31); 상기 슬리브(31) 단부에 장치되는 케이블고정구(3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케이블(50)은, 상기 단부정착구의 슬리브(31)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단부정착구의 슬리브(31)를 통과한 케이블(50)이 상기 케이블고정구(32)에 의해 고정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제6항에서,
상기 케이블(50)은, 단부가 스웨이징 처리되면서 수나사산으로 가공된 스웨이징수나사부(51)로 마련되며,
상기 단부정착구의 케이블고정구(32)는, 너트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스웨이징수나사부(51)에 체결되면서 단부정착구의 슬리브(31)에 걸리게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596A KR101335368B1 (ko) | 2011-10-06 | 2011-10-06 | 곡선형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596A KR101335368B1 (ko) | 2011-10-06 | 2011-10-06 | 곡선형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7283A KR20130037283A (ko) | 2013-04-16 |
KR101335368B1 true KR101335368B1 (ko) | 2013-12-03 |
Family
ID=4843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1596A Active KR101335368B1 (ko) | 2011-10-06 | 2011-10-06 | 곡선형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53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95716A (zh) * | 2014-05-22 | 2017-05-31 | 派桥梁有限公司 | 气动的支架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6791B1 (ko) * | 2017-08-16 | 2019-08-30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대공간 구조용 양방향 하중저항 장스팬 케이블 빔 |
CN108005311B (zh) * | 2017-12-12 | 2024-02-06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一种纤维复材筋的连接件 |
FR3096062B1 (fr) * | 2019-05-14 | 2021-10-01 | Conseil & Technique | Structures résistant au flamba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29006A (ja) * | 2000-03-27 | 2003-09-30 | ペドレッテイ,モーロ | 空気的構造要素 |
US20060099357A1 (en) * | 2002-06-24 | 2006-05-11 | Mauro Pedretti | Connecting and deflection element for pull strips in a pneumatic component |
-
2011
- 2011-10-06 KR KR1020110101596A patent/KR10133536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29006A (ja) * | 2000-03-27 | 2003-09-30 | ペドレッテイ,モーロ | 空気的構造要素 |
US20060099357A1 (en) * | 2002-06-24 | 2006-05-11 | Mauro Pedretti | Connecting and deflection element for pull strips in a pneumatic compon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95716A (zh) * | 2014-05-22 | 2017-05-31 | 派桥梁有限公司 | 气动的支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7283A (ko) | 2013-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179886B (zh) | 纤维增强塑料复合线缆的紧固具 | |
KR100641062B1 (ko) | 내력보강재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보강 시스템 및그 방법 | |
KR101335368B1 (ko) | 곡선형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
US10006477B2 (en) | Sheet and rod attachment apparatus and system | |
US10612240B2 (en) | Fibre reinforced polymer structures | |
CN104032848B (zh) | 一种自复位摩擦阻尼器 | |
KR101403271B1 (ko) |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와 이를 사용한 버팀보 및 버팀보 시공법 | |
JP2011226071A (ja) | 構造部材の補強構造、及び構造部材の補強方法 | |
CN110468709A (zh) | 一种带预应力索鞍结构的斜拉桥分段拉索体系及其制作安装方法 | |
JPH11158819A (ja) | 構築物のケーブル補強構造 | |
US10961711B2 (en) | Reinforcement system and a method of reinforcing a structure with a tendon | |
KR101073470B1 (ko) | 상·하현재를 구비한 텐셔닝 에어빔 시스템 | |
US20120255243A1 (en) | Seismic coupler | |
KR101067723B1 (ko) | 철골 구조물용 h-빔의 내력 강화구조 | |
KR101250473B1 (ko) | 입체 언더텐션 시스템 | |
US20140290177A1 (en) | Crossbeam and mounting method | |
KR102345593B1 (ko) | 보 보강 장치 | |
JP5840393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およびせん断補強部材 | |
JP4865104B2 (ja) | 複合構造梁の設計方法 | |
JP2011043025A (ja) | 緊張材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方法 | |
KR102394128B1 (ko) | 설하중에 강한 케이블 보강형 막구조물 | |
US9657477B2 (en) | Structural support beam | |
KR102137126B1 (ko) |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 |
KR101534269B1 (ko) | 마찰 접합 정착단을 이용한 강선보강 구조 | |
KR20180116066A (ko) | 고정장치를 이용한 내진상세 띠철근의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1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