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5307B1 - 슬러지 분배기 - Google Patents

슬러지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307B1
KR101335307B1 KR1020110091483A KR20110091483A KR101335307B1 KR 101335307 B1 KR101335307 B1 KR 101335307B1 KR 1020110091483 A KR1020110091483 A KR 1020110091483A KR 20110091483 A KR20110091483 A KR 20110091483A KR 101335307 B1 KR101335307 B1 KR 10133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ubular body
screw blade
outle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943A (ko
Inventor
강수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9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3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30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처리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체(10)는,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입구(12)와, 내부의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방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러지출구(14)를 구비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슬러지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관체의 내부에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중공형의 스크류블레이드(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러지출구(14)에는 슬러지의 배출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중공형의 스크류블레이드(20)에 의하여 슬러지의 이송량을 충분히 확보함과 같이, 슬러지출구(14)를 하방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분배기{Device for distributing sludge}
본 발명은 하수 또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 이동 및 분배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러지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하수 또는 오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각종 약품과의 반응 및 침전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하수는 이를 침사지, 최조 침전지, 폭기조, 최종 침전지, 소독 설비를 통과한 후 방류되는데 이러한 과정 중에서 최초 침전지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농축, 소화 등의 처리 공정 후, 탈수기에서 케이크화되고 슬러지 처리 공정에서 처리되지 못한 슬러지는 침사조로 반송되어 재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탈수기를 거친 슬러지는 분배장치를 통하여 건조기에 공급되는데, 슬러지 분배장치는 탈수된 슬러지를 건조기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슬러지 분배장치는 슬러지를 피딩시키는 양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이를 통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건조기 측으로 신속, 정확하게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슬러지를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복수 개의 건조기 중에서 투입되어야 하는 조건의 건조기로 신속, 정확한 슬러지의 분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슬러지 분배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이 슬러지의 이송량이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슬러지를 건조기에 공급하기 위한 분기 과정에서도 많은 부하가 걸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과 같은 사용상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슬러지의 이송량이 충분한 슬러지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기로 슬러지를 분배하기 위한 슬러지출구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러지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분배기는,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입구와, 내부의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방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러지출구를 구비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슬러지 통로를 구비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중공형의 스크류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슬러지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슬러지를 단속시키기 위한 밸브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분배장치에 의하면, 중공형의 중공형의 스크류블레이드에 의하여 슬러지의 이송량을 충분히 확보함과 같이, 슬러지출구를 하방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의 슬러지를 보다 원활하게 이송시키면서 원하는 슬러지출구를 통하여 예를 들면 건조기 등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시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하여 최소한의 동력으로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분배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분배기의 예시 단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분배기는 슬러지가 투입되는 슬러지입구(12)와, 다수개의 슬러지 출구(14a,14b,14c,14d;14)를 구비하는 관체(1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관체(10)는, 슬러지 분배기로 투입되는 슬러지를 슬러지출구(14)로 안내하는 통로라고 할 수 있으며, 원통상의 관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체(10)의 상측 일단부에 설치되는 슬러지입구(12)는, 예를 들면 탈수기에서 탈수된 슬러지가 투입되는 부분이다. 탈수기에서 탈수된 슬러지는 유동성이 저하된 상태로 상기 입구(12)로 투입된다.
또한 상기 관체(10)의 하방에는 다수개의 슬러지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러지출구(14)는 관체(10)의 하방에 형성되는데, 이는 자중에 의하여 슬러지가 슬러지출구(14)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러지출구(14)를 관체(10)의 하방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분배되는 슬러지가 슬러지출구(14)로 배출될 때 중력에 의한 자중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출구(14)를 통하여 슬러지 분배시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슬러지출구(14)는 다수개의 건조기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슬러지입구(12)를 통하여 투입된 슬러지는 상기 관체(10)의 내부를 통하여 이동한 후, 상기 다수개의 슬러지출구(14)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통하여 건조기로 공급된다. 상기 슬러지출구(14)는 관체(10)의 하방에서,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일측에 설치된 슬러지출구(14)와 반대측까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관체(10)의 내부에는 중심이 비어 있는 중공형의 스크류블레이드(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블레이드(20)는 슬러지입구(12)를 통하여 투입된 슬러지를 복수개의 출구(14)로 피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블레이드(20)는 축방향으로 중앙이 비어 있는 중공(中空)형이다. 따라서 스크류블레이드(20)가 회전하게 되면, 그것과 접촉하고 있는 가장자리 부분의 슬러지가 도면상좌측(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것과 동시에, 중앙 부분에 있는 슬러지도 슬러지의 점성 및 마찰 등에 의하여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형의 스크류블레이드(20)에 의하여, 슬러지의 이송량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어서 신속하면서도 원활한 슬러지의 분배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스크류블레이드(20)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블레이드(20)의 일단부는 모터 등의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단부는 관체(10)의 측면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크류블레이드(20)의 일단부는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16)과 연결되어 있고, 스크류블레이드(20)의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관체(10)의 타단부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기 스크류블레이드에서 회전축(16)과 연결되는 부분은 스크류블레이드의 정중앙이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고, 예를 들면 스크류블레이드의 단부를 중앙으로 연장하고, 이러한 중앙 부분에 회전축을 연결해야 진원을 그리는 회전이 가능하게 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되는, 예를 들면 건조기로 이동하는 슬러지의 단속을 위하여, 상기 슬러지출구(14)에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슬러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의 건조기로 슬러지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슬러지출구(14)의 단부 부근에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슬러지의 단속을 위하여 설치되는 밸브는 수동작으로 조작 가능한 공지된 수동밸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면서 개폐되는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 등도 이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밸브의 예를 들면 나이프 게이트 밸브(knife gate valve) 등과 같은 게이트 밸브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슬러지 분배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슬러지입구(12)로 투입되는 슬러지는 예를 들면 탈수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슬러지이고, 이렇게 투입된 슬러지는 회전하는 중공형 스크류블레이드(20)에 의하여 관체(10) 내부에서 반대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건조기와 연결되어 있는 슬러지출구(14) 중에서, 슬러지를 공급받아 건조시킬 수 있는 상태의 건조기와 연결된 슬러지출구(14)를 통하여 슬러지가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슬러지출구(14)의 단부에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러지가 슬러지출구(14)를 통하여 건조기로 공급되는가의 여부는 밸브의 개폐 여부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건조기 중에서 슬러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의 건조기가 있으면, 수동으로 밸브를 열어서 건조기로 슬러지를 공급하게 된다. 또는 슬러지출구(14)에 설치된 밸브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의 압력 및/또는 전기의 공급여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밸브이면, 소정의 조작 동작을 통하여 밸브를 열어서 슬러지출구(14)를 통하여 건조기로 슬러지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관체(10)의 내부에서 슬러지가 이송될 때, 중공형의 스크류블레이드(20)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되는데, 본 발명의 스크류블레이드(20)는 중심이 비어 있는 중공형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의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크류블레이드(20)의 회전에 의하여 관체(10)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슬러지가 슬러지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될 때, 슬러지출구(14)가 하방에 설치되어 있어서 슬러지의 배출시 그 자체의 자중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스크류블레이드(20) 등에 걸리는 부하가 작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실질적으로 스크류블레이드(20)의 힘이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충분한 슬러지의 이송 및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형의 스크류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슬러지의 이송량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하방의 슬러지출구를 통하여 슬러지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10 ..... 관체 12 ..... 슬러지입구
14, 14a,14b,14c ...... 슬러지출구 16 ..... 회전축
20 ..... 중공형 스크류블레이드

Claims (2)

  1.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입구와, 내부의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방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러지출구를 구비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슬러지 통로를 구비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중공형의 스크류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슬러지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슬러지를 단속시키기 위한 밸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분배장치.
  2. 삭제
KR1020110091483A 2011-09-08 2011-09-08 슬러지 분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483A KR101335307B1 (ko) 2011-09-08 2011-09-08 슬러지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483A KR101335307B1 (ko) 2011-09-08 2011-09-08 슬러지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943A KR20130027943A (ko) 2013-03-18
KR101335307B1 true KR101335307B1 (ko) 2013-12-02

Family

ID=4817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4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307B1 (ko) 2011-09-08 2011-09-08 슬러지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7456A (zh) * 2017-12-13 2018-03-30 湖南海鑫环保科技有限公司 叠加式多级多管污泥热解深度处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334Y1 (ko) 2001-07-28 2001-11-22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슬러지 제거장치
KR200394610Y1 (ko) * 2005-06-15 2005-09-02 디에스환경기술 주식회사 슬러지 분배기
KR20050096739A (ko) * 2004-03-31 2005-10-06 정영남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334Y1 (ko) 2001-07-28 2001-11-22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슬러지 제거장치
KR20050096739A (ko) * 2004-03-31 2005-10-06 정영남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KR200394610Y1 (ko) * 2005-06-15 2005-09-02 디에스환경기술 주식회사 슬러지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943A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5187B1 (en) Horizontal solids recycler
KR101804226B1 (ko) 슬러지 처리용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096615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PL89426B1 (ko)
JP6038679B2 (ja) 汚泥処理システム
KR101335307B1 (ko) 슬러지 분배기
JP2013139015A (ja) 固液分離装置及び汚泥処理システム及び固液分離方法
KR101189158B1 (ko) 건조슬러지를 재순환시키는 슬러지 처리 설비
KR0177364B1 (ko) 유.무기성 슬러지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JP7033011B2 (ja) スクリュー型分離装置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JP5774392B2 (ja) 遠心脱水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遠心脱水方法
KR101222452B1 (ko) 건설오니의 탈수·건조 시스템
KR102086768B1 (ko) 슬러지 이송용 스크류 컨베이어
KR101487860B1 (ko) 간이화장실용 대변처리조
KR100926264B1 (ko) 폐수 슬러지와 발전소의 소각재를 이용한 시멘트 부원료 제조방법
US2078235A (en) Hydraulic apparatus
KR101474956B1 (ko)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1581259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협잡물의 제거 및 건조장치
KR20170006173A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감량 시스템
KR100676867B1 (ko) 탈수 케익 처리 장치
KR101268710B1 (ko) 수처리용 분체 저장공급장치
JP2006300443A (ja) 乾燥処理機
FI112329B (fi) Sovitelma ilmanpoistimessa ja menetelmä sen toiminnan ohjaamiseksi
KR101471908B1 (ko) 배기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39512Y1 (ko) 슬러지 탈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06